KR101850696B1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96B1
KR101850696B1 KR1020170045994A KR20170045994A KR101850696B1 KR 101850696 B1 KR101850696 B1 KR 101850696B1 KR 1020170045994 A KR1020170045994 A KR 1020170045994A KR 20170045994 A KR20170045994 A KR 20170045994A KR 101850696 B1 KR101850696 B1 KR 10185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rminal
caching
caching server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7004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5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server, e.g. server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은 단말의 콘텐츠 전송 요청에 대하여, 전송관리 서버부가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n(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 중에서 단말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가 예측되는 m(n>m,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에 의해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로 보내는 과정; 및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할당할 m개의 캐싱 서버들을 재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Multimedia- contents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of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속 단말의 접속 이력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복수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복수의 캐싱 서버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접속 단말로 동시에 전송하며, 또한 전송되는 스트림의 효율에 따라 더 나은 캐싱 서버로 지속적으로 변경시킴에 의해 최적의 스트리밍 효율을 얻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HTTP를 이용한 적응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표준인 MPEG_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전송률, 비디오 해상도 등의 파라미터를 다르게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예, 다중 해상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작성한 뒤 이를 여러 조각의 파일로 나누고, 이들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들의 주소를 갖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작성하여 서버에 저장하여 두고, 클라이언트가 이 메타데이터 파일을 참조하여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순서대로 내려받아 끊김 없이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MPEG_DASH는 서버는 단순히 HTTP만을 지원하면 되고, 클라이언트가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상태와 단말 상태에 맞추어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한 모든 지능적 기능을 담당하는 스트리밍 방식으로서,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방화벽에 의한 차단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MPEG_DASH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에서는 단말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하나의 캐싱 서버가 단말에 할당되고, 할당된 캐싱 서버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순차적으로 단말로 전송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은 하나의 캐싱 서버에 의해 하나의 전송 요청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전송 환경의 변경 즉, 단말이 모바일 환경일 경우 단말의 네트워크가 계속 변경되거나, 캐싱 서버의 자체 부하 및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가로 인한 지연 등의 상황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10-0431137호(2004.04.30. 등록)
한국공개특허 10-2007-0031669호(2007.03.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 그리고 현재의 전송 속도를 참조하여 단말에 대해 가장 전송 속도가 좋은 캐싱 서버를 단말에 할당하고 다수의 캐싱 서버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최적의 전송 효율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은
단말의 콘텐츠 전송 요청에 대하여, 전송관리 서버부가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n(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 중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가 예측되는 m(n>m,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에 의해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로 보내는 과정; 및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할당할 m개의 캐싱 서버들을 재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송 속도는 IP대역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특정 하위 클래스가 공통으로 상위 클래스의 전송 속도의 평균과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보일 경우 해당 하위 클래스를 별도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장치는
단말의 접속 이력과 캐싱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의 접속 이력과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 그리고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를 선정하는 전송관리 서버부;
원본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n(n은 m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200-1~200-n)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에 의해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에 동시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캐싱 서버부; 및
m개의 캐싱 서버들로부터 동시에 전송받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조합하여 재생하고, m개의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로 전달하는 단말;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캐싱 서버들 각 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개의 캐싱 서버를 재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말의 접속 이력과 상기 캐싱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저장하는 접속 이력 저장부; 및
상기 접속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접속 이력과 상기 n개의 캐싱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를 선정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캐싱 서버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 및 상기 캐싱 서버로부터 캐싱 서버의 부하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개의 캐싱 서버를 재선정하는 전송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싱 서버부는 n개의 캐싱 서버를 포함하며,
캐싱 서버들 각각은
해당 캐싱 서버의 부하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하는 상태관리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 및
원본콘텐츠 저장부의 원본 콘텐츠에 동기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캐싱콘텐츠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전송 속도가 평균값과 차이가 날 경우에는 새로운 캐싱 서버부를 할당할 것을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의 전송관리부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전송 환경의 변경. 즉, 단말이 모바일 환경일 경우 단말의 네트워크가 계속 변경되거나, 캐싱 서버의 자체부하 및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가로 인한 지연 등의 상황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MPEG_DASH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은 단말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는 m개의 캐싱 서버를 선정하고,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수의 캐싱 서버들 각각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캐싱 서버에서 동시에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한다.
이후 최적의 캐싱 서버들을 재선정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완료한다.
여기서,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접속에 대해 n(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 중에서 최적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는 m개의(n>m,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하여 접속 단말에 할당한다.
이를 위해, 접속 단말의 IP대역에 대한 캐싱 서버의 평균 전송 속도를 파악하고 이를 더 나은 캐싱 서버를 선정하거나 향후 접속시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캐싱 서버를 선정하기 위한 데이터로 누적 관리한다.
만일, 부하율이 높은 캐싱 서버가 있다면 해당 캐싱 서버는 선정 및 재선정에서 제외된다.
접속 단말의 IP 대역에 대해 전송 속도가 높았던 캐싱 서버가 없을 경우에는 새로운 캐싱 서버를 선정하며 또한, 전송 속도가 높았던 캐싱 서버들 중에서 부하가 높은 것들을 제외한 결과 m개 미만의 캐싱 서버가 남았을 경우에도 새로운 캐싱 서버를 선정한다.
캐싱 서버의 부하는 CPU 부하율, 메모리 사용율, 네트워크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부하 몇 % 이상, 메모리 사용량 몇 % 이상, 네트워크 전송 속도 몇 bps 이하 등의 컷오프(cutoff) 값을 설정해 두고, 이 컷오프 값 이하 혹은 이상일 경우에만 즉, 부하율이 적을 경우에만 캐싱 서버가 접속 단말에 할당된다.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에서는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로부터 동시에 전송받은 조각 파일을 조합하여 재생하도록 하며, 각 캐싱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전송관리 서버부로 보낸다.
전송관리 서버부는 전송중인 각 캐싱 서버의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가장 전송 속도가 좋은 캐싱 서버에게 나머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스트리밍하게 하거나 가장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는 캐싱 서버를 빼고 가능성이 더 높은 캐싱 서버로 변경하여 계속적으로 최적의 전송루트를 찾으며, 해당 전송 속도를 IP대역을 기반으로 저장관리한다.
기업이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내부망의 IP대역은 규모가 클 경우에는 65535개(B클래스), 작을 경우에는 255개(C클래스)의 IP대역을 가지며 내부망 내부의 단말들의 특성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내부망에 속한 단말들은 특정 캐싱 서버에 대해 비슷한 전송 속도를 보인다.
즉, 회사 내부의 단말들은 비슷한 전송 속도를 가지므로 회사 내부의 어떤 단말에 대해 전송 속도가 좋은 캐싱 서버는 동일한 회사(즉, 동일한 클래스)의 다른 단말에 대해 높은 확률로 거의 동일한 전송 속도를 보인다.
따라서 동일한 클래스의 단말에 대해서는 동일한 캐싱 서버를 할당하는 것이 보편적일 수 있다.
참고로, IP 주소는 대역에 따라 클래스(class) A, B, C, D, 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클래스 A는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쓰이며, IP 주소 4마디 중 첫 번째 마디의 숫자가 1~126(약 1,600만 개 IP 주소 사용 가능)까지 사용된다. 클래스 B는 중규모 네트워크 환경용으로 129~191(약 65,000개 IP 주소 사용 가능)까지, 클래스 C는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되는 것으로 192~223(254개 IP 주소 사용 가능)까지 사용된다.
B클래스 내의 특정 C클래스의 단말이 특정 캐싱 서버에 대해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평균전송 속도를 보이는 경우 해당 C클래스는 별도의 그룹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어떤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들이 비슷한 전송 속도가 나오는 경우에는 이들 하위 클래스들을 공통으로 관리한다. 만일, 특정 하위 클래스의 전송 속도가 같은 클래스 내의 다른 하위 클래스들과 다르게 나오면 해당 하위 클래스를 별도의 그룹으로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단말의 콘텐츠 전송 요청에 대하여, 전송관리 서버부는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n(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들 중에서 단말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가 예측되는 m(n>m,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한다. (S302)
n개의 캐싱 서버들을 가지는 캐싱 서버부는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에 의해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을 이용하여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한다. (S304)
단말은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전송관리 서버부로 보낸다. (S306)
전송관리 서버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할당할 캐싱 서버를 재선정한다. (S308)
예를 들어, 전송관리 서버부는 가장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캐싱 서버를 빼고 가능성이 더 높은 캐싱 서버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m개의 캐싱 서버를 재선정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완료되지 않았다면 전송과정으로 되돌아간다. (S310)
이와 같은 과정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다중분할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장치(10)는 전송관리 서버부(100), 캐싱 서버부(200), 단말(300)을 포함한다.
전송관리 서버부(100)는 단말(300)의 접속 이력과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으로부터 단말(300)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저장하고, 단말(300)의 접속 이력과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으로부터 단말(300)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 그리고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의 부하 상태를 바탕으로 단말(300)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한다.
캐싱 서버부(200)는 원본콘텐츠 저장부(40)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n(n은 m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200-1~200-n)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100)에 의해 선정된 상기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단말(300)에 동시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동기화된 콘텐츠라는 것은 같은 이름의 파일이라도 크기, 수정시간 등이 원본 콘텐츠에 맞추어진 콘텐츠를 말한다.
단말(300)은 m개의 캐싱 서버들로부터 동시에 전송받은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조합하여 재생하고, m개의 캐싱 서버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100)로 전달한다. 또한, 전송 속도가 평균값과 차이가 날 경우에는 새로운 캐싱 서버부(200)를 할당받을 수 있도록 전송관리 서버부(100)의 전송관리부(110)에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10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의 부하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말(300)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개의 캐싱 서버를 재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100)는
상기 단말(300)의 접속 이력과 캐싱 서버(200-1~200-n)로부터 상기 단말(300)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저장하는 접속 이력 저장부(120); 및
상기 접속 이력 저장부(120)에 저장된 상기 단말(300)의 접속 이력과 상기 n개의 캐싱 서버(200-1~200-n)로부터 상기 단말(300)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를 바탕으로 단말(300)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를 선정하며, 상기 단말(300)로부터 캐싱 서버(200-1~200-n)로부터 단말로 전송되는 전송 속도 및 상기 캐싱 서버((200-1~200-n)로부터 캐싱 서버((200-1~200-n)의 부하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300)에 대하여 최적으로 예측되는 m개의 캐싱 서버를 재선정하는 전송관리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싱 서버부(200)는 n개의 캐싱 서버(200-1~200-n)를 포함하며,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은
해당 캐싱 서버의 부하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하는 상태관리부(210);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부(220); 및
동기화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캐싱콘텐츠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전송관리 서버부(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 단말의 접속 이력을 IP 대역 및 IP 주소로 관리
- 접속 단말의 IP 주소를 클래스 기반으로 관리
- B클래스 단위로 전송 속도를 관리하고, C 클래스 단위의 단말들이 공통으로 상위 B클래스의 전송 속도의 평균과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보일 경우 해당 C클래스의 IP 대역을 별도로 관리
-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서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지속적으로 확인
여기서, 전송관리 서버부(100)는 캐싱 서버(200-1~200-n)들 각각으로부터 현재 평균적으로 전송 중인 전송 속도와 부하 정보를 전달받고, 평균적인 전송 속도 및 부하와 비교하여 현재 전송 속도 및 부하를 수치화하여 캐싱 서버(200-1~200-n) 각각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변수로 사용한다.
표 1은 전송관리 서버부(100)가 관리하는 접속 이력의 예를 보인다.
표1. 접속단말의 IP를 기준으로 사용한 캐싱서버별 전송속도 저장
접속단말 평균전송속도 IP대역 IP대역
평균전송속도
사용
캐싱서버1
평균
전송속도
사용
캐싱서버2
평균
전송속도
사용
캐싱서버3
평균
전송속도
1.2.3.4 200kbps 1.2.3 100kbps 5.6.7.8 300kbps 5.6.7.9 200kbps 5.6.7.10 50kbps
10.2.3.5 200kbps 10.2.3 200kbps 5.6.7.11 300kpbs 5.6.7.9 150kpbs 5.6.7.10 100kbps
10.2.3.6 250kbps 10.2.3 200kbps 5..6.7.11 300kpbs 5..6.7.12 250kbps 5..6.7.13 250kpbs
표 1을 참조하면, 접속단말(1,2,3,4)의 이력 정보로서 평균 전송 속도, IP 대역(클래스), IP대역 평균 전송 속도, 사용캐싱서버들이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의 첫 번째 줄을 참조하면, 접속단말(1,2,3,4)은 IP주소(예, 1,2,3)를 기준으로 관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접속단말(1.2.3.4)은 B클래스로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IP대역(1,2,3)의 평균전송속도는 200kbps이고, 캐싱서버1 즉 5, 6, 7 그리고 8번의 캐싱서버들이 사용되었을 때는 평균 전송 속도는 300kbps이고, 캐싱서버2 즉, 5, 6, 7, 그리고 9번의 캐싱서버들이 사용되었을 때의 평균 전송 속도는 200kbps이다.
전송관리 서버부(100)는 표 1에 보이는 바의 단말의 접속 이력을 바탕으로 단말(300)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를 보이는 4(m=4의 경우)개의 캐싱서버들을 선택할 수 있다.
표 2는 전송관리 서버부(100)가 관리하는 접속 이력의 다른 예를 보인다.
표2. IP대역을 기준으로 사용한 캐싱서버별 전송속도 저장
IP
대역
IP대역
평균전송속도
전송효율이
가장 좋은
캐싱서버1
평균
전송속도
전송효율이
가장 좋은
캐싱서버2
평균
전송속도
전송효율이
가장 좋은
캐싱서버3
평균
전송속도
전송효율이
가장 좋은
캐싱서버4
평균
전송속도
1.2.3 100kbps 5.6.7.8 300kbps 5.6.7.9 250kbps 5.6.7.15 200kbps 5.6.7.16 200kbps
10.2.3 200kbps 5.6.7.8 300kpbs 5.6.7.11 300kpbs 5.6.7.13 250kbps 5.6.7.15 250kbps
표 1을 다시 참조하면, 접속단말 1,2,3,4의 이력 정보에는 캐싱서버 5,6,7,8과 캐싱서버 5,6,7,9와 캐싱서버 5,6,7,10이 사용되었으나, 캐싱서버 5,6,7,10은 해당 접속단말(1,2,3,4)의 평균전송속도인 200kbps보다 낮으며, 해당 IP대역의 평균전송속도보다 낮으므로, 다음 요청시에는 표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해당 IP대역 1,2,3에서 이미 선정된 캐싱서버를 제외하고 캐싱서버5,6,7,15를 선정하도록 한다.
이때에 캐싱서버5,6,7,8과 캐싱서버 5,6,7,9, 캐싱서버5,6,7,15 중에 서버 부하율이 일정이상 높은 경우에는 해당서버를 제외하고 캐싱서버5,6,7,16과 같은 다음 단계의 캐싱서버를 선정하도록 한다.
이력 정보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IP대역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참조하고, 해당 IP대역에 대한 데이터도 없을 경우에는 캐싱서버의 부하율을 기준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캐싱 서버부(2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원본 콘텐츠로부터 동기화된 콘텐츠를 보관하고 있으며, 캐싱 서버(200-1~200~n) 각각의 부하 상태를 지속적으로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100)에 전달하고, 전송관리 서버부(100)로부터 지정받은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단말(300)로 동시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단말(3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캐싱 서버(200-1~200-n) 각각의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이를 전송관리 서버부(100)에 전달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장치 40...원본콘텐츠 저장부
100...전송관리 서버부
110...전송관리부 120...접속 이력 저장부
200...캐싱 서버부
200-1~200-n...캐싱 서버 210...상태관리부
220...콘텐츠 전송부 230...캐싱콘텐츠 저장부
300...단말
310...단말상태관리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단말의 콘텐츠 전송 요청에 대하여, 전송관리 서버부가 과거의 접속 이력 및 전송 속도에 관한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n(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개의 캐싱 서버 중에서 단말에 대해 최적의 전송 속도가 예측되는 m(n>m,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 캐싱 서버들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에 의해 선정된 m개의 캐싱 서버들이 조각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로 보내는 과정;
    상기 전송관리 서버부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전송 속도 및 상기 캐싱 서버들 각각의 부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할당할 m개의 캐싱 서버들을 재선정하는 과정;
    전송 속도는 IP대역을 기반으로 관리되고,
    특정 하위 클래스가 공통으로 상위 클래스의 전송 속도의 평균과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보일 경우 해당 하위 클래스를 별도의 그룹으로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45994A 2017-04-10 2017-04-1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5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94A KR101850696B1 (ko) 2017-04-10 2017-04-1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94A KR101850696B1 (ko) 2017-04-10 2017-04-1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96B1 true KR101850696B1 (ko) 2018-04-23

Family

ID=6208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994A KR101850696B1 (ko) 2017-04-10 2017-04-1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9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3269A1 (ja) * 2003-02-13 2004-08-26 Fujitsu Limited 伝送システム,配信経路制御装置,負荷情報収集装置および配信経路制御方法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0715A (ko) * 2008-11-28 2010-06-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최적의 캐시조각 획득방식을 이용하는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JP2011109180A (ja) * 2009-11-12 2011-06-02 Oki Networks Co Ltd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配信サーバ、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13247475A (ja) * 2012-05-24 2013-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トリーミング配信システム、ストリーミング配信制御方法、ディスパッチ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9913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청크 단위로 콘텐트를 전달하는 콘텐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541B1 (ko) * 2013-12-18 2015-06-03 (주) 엔에프랩 콘텐츠 딜리버리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6046785A (ja) * 2014-08-27 2016-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ャッシュサーバ選択装置、分散キャッシュシステム、及びキャッシュサーバ選択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3269A1 (ja) * 2003-02-13 2004-08-26 Fujitsu Limited 伝送システム,配信経路制御装置,負荷情報収集装置および配信経路制御方法
KR20100058786A (ko) * 2008-11-25 2010-06-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0715A (ko) * 2008-11-28 2010-06-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최적의 캐시조각 획득방식을 이용하는 컨텐츠 분산 저장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JP2011109180A (ja) * 2009-11-12 2011-06-02 Oki Networks Co Ltd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配信サーバ、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2013247475A (ja) * 2012-05-24 2013-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トリーミング配信システム、ストリーミング配信制御方法、ディスパッチ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9913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청크 단위로 콘텐트를 전달하는 콘텐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541B1 (ko) * 2013-12-18 2015-06-03 (주) 엔에프랩 콘텐츠 딜리버리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6046785A (ja) * 2014-08-27 2016-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ャッシュサーバ選択装置、分散キャッシュシステム、及びキャッシュサーバ選択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649B2 (en) Network centric adaptive bit rate in an IP network
US20180027035A1 (en) Redi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70339241A1 (en) Handling long-tail cont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JP5800872B2 (ja) 相互接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レベルプライオリティ付け
US10033824B2 (en) Cache manifest for efficient peer assisted streaming
WO2011041983A1 (en) Method for media adaptation
US10567240B2 (en) Multimedia resource distribu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892341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N108668179B (zh) 媒体索引文件的传输方法及相关设备
CN107079013B (zh) 管理媒体流的并发流式传输
EP22520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electronic content
CN1777278A (zh) 支持异地存储方式的流媒体服务器的实现方法
KR101850696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다중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7645475B (zh) 异质网络中的文件资源分发系统与方法
JP5856795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9992300B2 (en) Method of adaptively deploying cache positioned at subscriber network, and system therefor
US20190320034A1 (en) Handling long-tail cont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KR101973724B1 (ko) 동영상 서비스 장치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2385447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0005791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cheduling contents
KR101615138B1 (ko) 웹앱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00059117A (ko) 컨텐츠 분산형 스트리밍 시스템, 캐시서버 및 컨텐츠 스트리밍 방법
CN113396597A (zh) 自适应比特率数据广播
WO20191205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bit rate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63282B1 (ko) 클러스터 구성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