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611B1 -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11B1
KR101850611B1 KR1020160108468A KR20160108468A KR101850611B1 KR 101850611 B1 KR101850611 B1 KR 101850611B1 KR 1020160108468 A KR1020160108468 A KR 1020160108468A KR 20160108468 A KR20160108468 A KR 20160108468A KR 101850611 B1 KR101850611 B1 KR 101850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sound
adapter
chamber
sound generator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334A (ko
Inventor
김도형
권상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0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1/00Tes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58Electric firing mechanisms
    • F41A19/59Electromechanical firing mechanisms, i.e. the mechanical striker element being propelled or released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포의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실에 장전되어 포의 격발시 격발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면 경고음이 울림으로써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전차포의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약의 약협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의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를 포의 약실에 장전하여, 경고음을 통해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탄약의 정상 장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를 포의 약실에 장전하여, 경고음을 통해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폐쇄기의 여, 닫음 기능의 정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ANNON FIRING INSPECTION}
본 발명은 전차포의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실에 장전되어 포의 격발시 격발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면 경고음이 울림으로써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전차포의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식 뇌관을 사용하는 전차 탄약체계는 격발장비에서 뇌관으로 공급된 점화전원이 점화제를 점화시켜 추진제의 연소로 이어지고, 이 때 발생하는 높은 가스 압력으로 인하여 탄이 발사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하지만 격발장비의 오류, 격발케이블과 포미 격발라인의 손상, 공이 접점 문제로 인하여 뇌관에 적절한 점화전원이 공급되지 못한다면 탄의 지발 혹은 불발이 발생되어 탄, 추진제, 약협, 뇌관결합체 등의 탄약체계 시험평가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사격 시 격발 불량이 발생한다면 탄의 재격발을 위한 안전 대기시간 소요, 탄약 EOD처리로 인하여 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료의 온도 재처리를 할 수도 있으므로 사격 전 격발 점검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기존의 격발 점검 방법은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격발장비에서 출력하는 점화전원을 측정하고, 격발케이블·포미 격발라인·공이의 도통 시험을 하였으나 점검 자체가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15049호 (2004.01.1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고음 발생 유무로 정상 격발 상태를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는 전차포의 약실에 장전되는 약협 어댑터(100); 브라켓(500)에 의해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협 어댑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고음 발생기(200);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 연결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음극 단자 연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구리, 아연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절연체(400)로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400)는 베이클라이트인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는 장전시 공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음압레벨이 85dB 이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링 단자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링 단자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00)은 절연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 방법은 포미의 격발라인에 격발 케이블을 통해 격발장치가 연결되는 단계(S100); 포미의 약실 폐쇄기가 개방되는 단계(S200); 상기 약실에 격발 점검장치가 장전되는 단계(S300); 상기 약실 폐쇄기가 폐쇄되는 단계(S400); 상기 격발장치를 통해 상기 격발 점검장치에 격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S500); 상기 격발 점검장치의 경고음 발생 여부 확인하는 단계(S600); 상기 경고음 발생시 정상 격발 상태 판단하는 단계(S700); 상기 정상 격발 상태 판단하면, 폐쇄기가 개방되는 단계(S800); 상기 경고음 미 발생시 이상 상태 판단하여 수리하는 단계(S9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실 폐쇄기가 폐쇄됨으로써, 공이가 상기 격발 점검장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를 포의 약실에 장전하여 격발시 격발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면 경고음이 울림으로써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약의 약협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의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를 포의 약실에 장전하여, 경고음을 통해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탄약의 정상 장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를 포의 약실에 장전하여, 경고음을 통해 정상 격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폐쇄기의 여, 닫음 기능의 정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용 격발 점검 장치는 실제 탄약과 동일하게 약실에 장착하기 위해 실제 포탄의 약협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약협 어댑터(100), 전원이 인가된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 발생기(200),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단자 연결부(300) 및 단락 방지를 위한 절연체(400)로 구성되며, 상기 약협 어댑터(100)은 상기 경고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음극 단자 연결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실제 탄약 대신 약실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실제 탄약의 약협 베이스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점화는 되지 않으므로, 뇌관 대신 양극 단자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약협 어댑터(100)의 타측 중앙부에 양극 단자 연결부(300)가 형성되며, 실제 탄약의 약협 베이스와 동일하게 구리와 아연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몸체가 음극이 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몸체가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의 주위를 절연체(400)로 구성하여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몸체와 격리 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절연체(400)는 페놀계 합성수지인 베이클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브라켓(500)을 통해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몸체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의 소리 방출구가 사이 약협 어댑터(10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고, 전극 단자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500)은 절연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 및 상기 약협 어댑터(100)상의 음극 단자 연결부 (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형 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각각의 단자와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약협 어댑터(100)에는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의 음극 단자(220)와 상기 링형 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로 연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이 가능한 음극 단자 연결부(110)를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약협 어댑터(100)와 절연체(400)로 격리된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 역시 상기 링형 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의 양극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의 음극 단자(220)는 상기 링형 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음극 단자 연결부(110)에 연결되며, 체결용 볼트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의 고장시 상기 볼트를 해제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가 약실에 장전이 되고, 약실 폐쇄기가 폐쇄되면, 상기 폐쇄기에 포함된 공이가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접촉된다. 따라서, 정상 격발 상태에서는 격발장치에 의해 점화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약협 어댑터(100)에 장착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상기 경고음은 음압레벨 85dB 이상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방법은 격발 케이블을 통해 격발장치를 포미의 격발라인에 연결하는 단계(S100)부터 시작된다. 이때 전기식 뇌관을 사용하는 전차포탄은 전기 스파크에 의해 우발적으로 점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차포와 상기 격발장치는 항상 접지되어야 한다. 또한, 음극인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상기 약실에 접촉되므로, 상기 전차포와 함께 접지가 이루어 진다.
포미의 약실 폐쇄기가 개방되면(S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점검장치가 약실 내부에 장전된다(S300). 이후 상기 약실 폐쇄기가 폐쇄됨으로써(S400), 폐쇄기의 공이가 상기 격발 점검장치의 양극 단자 연결부(300)에 접촉된다. 상기 절차들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격발장치에 의해 격발 전원이 인가되면, 정상 격발 상태인 경우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 및 음극 단자 연결부(110)와 링형 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에 의해 음압레벨 85d B 이상의 경고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경고음 발생여부를 확인함으로써(S600) 전차포의 정상 격발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S700) 정상 격발 상태인 경우 폐쇄기가 개방되고(S800), 상기 전차포 격발점검장치가 제거됨으로써 점검이 종료된다.
또한, 상기 격발장치에 의해 격발 전원이 인가되었음에도, 상기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이상 상태이므로 정비후 상기 단계를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여 전차포의 격발 점검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는 실제 포탄 대신 약실에 장전되고 폐쇄기가 폐쇄됨으로써 진행되는 것이므로, 상기 경고음을 확인함으로써, 격발 점검뿐만 아니라 탄약의 장전 상태 및 상기 폐쇄기의 여, 닫음 기능의 정상 상태역시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포탄의 약협 베이스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직경을 달리하여 제조함으로써 기 전력화된 120mm의 K2 전차포 및 K1A1전차포와 105mm의 K1 전차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실제 탄약보다 가벼운 5Kg 이하로 형성되므로 휴대가 간편하다. 따라서, 별다른 운용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총포, 탄약 시험장과 전차 운용부대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10분 이상 소요되는 격발 점검을 30초 이내로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 약협 어댑터
110 : 음극 단자 연결부
200 : 경고음 발생기
210 : 경고음 발생기 양극 단자
220 : 경고음 발생기 음극 단자
300 : 양극 단자 연결부
400 : 절연체
500 : 브라켓

Claims (13)

  1. 전차포의 약실에 장전되는 약협 어댑터(100);
    브라켓(500)에 의해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협 어댑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고음 발생기(200);
    상기 약협 어댑터(10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 연결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음극 단자 연결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구리, 아연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절연체(400)로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400)는 베이클라이트인 것을 포함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는 장전시 공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음압레벨이 85dB 이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와 상기 약협 어댑터(100)는 링 단자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연결부(300)와 상기 경고음 발생기(200)는 링 단자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0)은 절연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12. 포미의 격발라인에 격발 케이블을 통해 격발장치가 연결되는 단계(S100);
    포미의 약실 폐쇄기가 개방되는 단계(S200);
    상기 약실에 격발 점검장치가 장전되는 단계(S300);
    상기 약실 폐쇄기가 폐쇄되는 단계(S400);
    상기 격발장치를 통해 상기 격발 점검장치에 격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S500);
    상기 격발 점검장치의 경고음 발생 여부 확인하는 단계(S600);
    상기 경고음 발생시 정상 격발 상태 판단하는 단계(S700);
    상기 정상 격발 상태 판단하면, 폐쇄기가 개방되는 단계(S800);
    상기 경고음 미 발생시 이상 상태 판단하여 수리하는 단계(S900); 를 포함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폐쇄기가 폐쇄됨으로써, 공이가 상기 격발 점검장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포 격발 점검 방법.
KR1020160108468A 2016-08-25 2016-08-25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KR10185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68A KR101850611B1 (ko) 2016-08-25 2016-08-25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468A KR101850611B1 (ko) 2016-08-25 2016-08-25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34A KR20180023334A (ko) 2018-03-07
KR101850611B1 true KR101850611B1 (ko) 2018-04-19

Family

ID=6168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468A KR101850611B1 (ko) 2016-08-25 2016-08-25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622B1 (ko) * 2019-06-28 2020-12-15 대한민국 전차사격 점검 장치
KR102458097B1 (ko) * 2022-06-15 2022-10-21 김일천 자주포용 폐쇄기 시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794A (ja) * 1991-06-25 1994-05-27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点火装置の点検回路
KR100415049B1 (ko) *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794A (ja) * 1991-06-25 1994-05-27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点火装置の点検回路
KR100415049B1 (ko) *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포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34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611B1 (ko) 전차포 격발 점검장치 및 그 점검방법
CN113384835B (zh) 用于车辆的灭火装置
US20070137470A1 (en) Sequential discharge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blackpowder firearms
US20070107591A1 (en)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 Firearm
KR101917427B1 (ko) 유도탄용 꼬리날개 고정장치
JP2006528763A (ja) 速射型火器
AU2018293547B2 (en) Pyrotechnic system
CN109539900A (zh) 一种手投式模拟训练装置及操作方法
CN108489334B (zh) 一种高速弹丸发射装置
CA3120759C (en) Detonator construction
CN112657078A (zh) 一种智能破窗器
JP3977113B2 (ja) 発射音発生装置
CN219071917U (zh) 一种超声波感应消防弹
KR101519782B1 (ko) 회수 및 불발률 확인 기능이 구비된 시험용 자탄
JP2004028409A (ja) 時限起爆機構への信号伝達可能な可燃性薬包付き飛しょう体装置
CN101592463A (zh) 线控式起爆系统
CN111244339A (zh) 电池盖板及具有其的电池
RU2692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407573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18066953A (zh) 一种人工降雨防雹弹引信
KR100416004B1 (ko) 자탄용 전자식지연 자폭신관 장치
CN214435983U (zh) 一种车载电池箱灭火模块
CN203688670U (zh) 火箭弹电点火具电阻检测工装
US11774225B2 (en) Fuze for a projectile intended to be fired by a cannon
KR200496870Y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