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28B1 -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28B1
KR101849928B1 KR1020150165393A KR20150165393A KR101849928B1 KR 101849928 B1 KR101849928 B1 KR 101849928B1 KR 1020150165393 A KR1020150165393 A KR 1020150165393A KR 20150165393 A KR20150165393 A KR 20150165393A KR 101849928 B1 KR101849928 B1 KR 101849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water
gel particles
emulsion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787A (ko
Inventor
김용노
김영림
문세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사이즈에서 마이크로 사이즈 단위의 전분 젤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단한 옥수수변형전분 젤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고 수십 나노에서 수 마이크로 사이즈를 가진 수상 젤 입자를 에탄올 및 아세톤 용액을 이용해 침전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젤 입자를 가시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방법은,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은 옥수수변형전분을 이용하여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단단한 전분 젤을 포함하는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캡슐화'할 수 있는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 시 시간적, 경제적 감소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nano-micro starch gel particles by using W/O emulsion}
본 발명은 나노사이즈에서 마이크로 사이즈 단위의 전분 젤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단한 효소변형 전분 젤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고 수십 나노에서 수 마이크로 사이즈를 가진 수상 젤 입자를 에탄올 및 아세톤 용액을 이용해 침전시킨 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젤 입자를 가시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포내 기능성 물질의 흡수율 증가를 위한 나노-마이크로 입자 제조 및 캡슐화 공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나노입자는 엄청나게 작은 부피 때문에 가장 얇은 모세혈관을 통과할 수 있으며 식세포에 의해 급격하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혈액 내 체류시간이 연장되고 방출이 조절가능하다는 특성을 보여 약물전달 시스템에서의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약물전달 시스템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균질화(homogenization)와 침전(precipitation) 방법이 상호보완적인 과정을 통해 표면적을 늘리고 기능성 물질들을 캡슐화 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어져 왔다. 또한,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입자 제조법으로는 에멀젼/용매증발법, 역마이셀 법, 코아세르베이션/탈용매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져 왔다.
제약 산업에서 나노-마이크로 입자 제조에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젤라틴, 키토산, 한천(Agar), PLGA(Poly Lactic Glycolic Acid) 또는 PLA(Poly Lactic Acid) 등이 있다.
지금까지 사용된 고분자 젤 입자의 제조방법은 분무건조법(spray drying),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에멀젼법(Emulsion) 등에 의한 제조방법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상기 방법들은 최종 건조입자를 획득하기 위해 동결건조, 분무건조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 건조방법은 비교적 가격이 비싸 제조원가 상승이라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로 사용되는 젤라틴, 키토산 등은 돼지, 갑각류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알러지 반응이 유발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 사용된 전분 젤 입자는 고농도에서도 저점도를 나타내어 제조과정 중 핸들링이 용이하고 천연 전분에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상온에서 건조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여러 산업분야에서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6276호 (등록일자: 2010. 04. 28.)에는, 수용성 실크 피브로인 용액을 이용하여 실크 피브로인 나노 입자 및 형광 실크 피브로인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5992호 (등록일자: 2011. 12. 13.)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풀러렌-실리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3438호 (공개일자: 2015년. 02. 23.)에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액상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Studies on smart drug carryiing nano/micro system using polysaccharides 2014 Feb Master’thesis"에는, W1/O/W2 다중유화 방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PLGA 미세입자 내 전분을 포함시킨 후 티오트로피움의 방출을 감소시켜 약물 잔존시간을 연장했다는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Suspensions of vacuum-freeze dried starch nanoparticles: Influence of NaCl on their rheological properties 2013 May 15;(94). doi:10.1016/j.carbpol"에는, 가교 결합(cross-linked)된 전분입자를 사용하여 나노입자(nanoparticles)을 획득한 프로토콜이 기재되어 있다. "Preparation of starch-based nanoparticles through high-pressure homogenization and miniemulsion cross-linking:Influence of various process parameters on particle size and stability 2011 Feb 1;(83). doi:10.1016/j.carbpol"에는,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여 전분 나노입자(starch nanoparticles)을 제조하고 유화제 종류와 물/기름의 비율에 따른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캡슐화할 수 있으면서도 간단하게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옥수수전분 페이스트에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를 처리하여 옥수수변형전분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제조된 옥수수변형전분을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수득한 후, 건조시켜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수득된 건조 옥수수변형전분을 완충액에 현탁시킨 후, 오일 및 유화제를 첨가하여 균질화시킴으로써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C); 및 상기 단계 (C) 후, 오일 연속상에 존재하는 수상입자인 옥수수변형전분을 젤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냉각시키는 단계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옥수수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바람직하게 고형분 함량 1~10 wt.%의 옥수수전분 페이스트에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를 1~10 U/g의 농도로 처리한 후, 60~80℃에서 60~80시간 이상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옥수수전분 페이스트 5 wt.%에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를 5 U/g의 농도로 처리한 후, 70℃에서 72시간 이상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는 바람직하게 터머스 아쿠아티쿠스 (Thermus aquaticus)로부터 유래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바람직하게 옥수수변형전분에 92~98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5,000~7,000 rpm에서 10~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해낸 후, 이를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50~150 mesh 체에 내려 옥수수변형전분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옥수수변형전분에 95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6,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해낸 후, 이를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100 mesh 체에 내려 옥수수변형전분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바람직하게 pH 6.0~8.0인 1~10mM 나트륨 인산 완충제 (sodium phosphate buffer)에 옥수수변형전분을 10~30 중량% 농도로 현탁하여 수상부분을 제조하고, 이를 유화제가 5~10 중량%로 분산된 오일에 투입한 후, 10,000~18,000 rpm에서 1~3분 동안 균질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7.0인 5mM 나트륨 인산 완충제 (sodium phosphate buffer)에 옥수수변형전분을 20 중량% 농도로 현탁하여 수상부분을 제조하고 이를 유화제 (PGPR,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hydrophovic emulsifier)가 8 중량%로 분산된 오일에 투입한 후, 14,000 rpm에서 2분 동안 균질화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분 및 오일은 바람직하게 수상부분 : 오일의 비율이 3~5 : 7~3의 비율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6의 비율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C)와 (D)의 사이에, 상기 단계 (C)에서 제조한 에멀젼에 5,000~15,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냉각은 바람직하게 0~10℃에서 1~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에서 2시간 이상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바람직하게 유중 수적형 에멀젼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젤 입자를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를 수득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중 수적형 에멀젼 2~8 g에 유중 수적형 에멀젼 중량 대비 3~7배의 92~98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여 젤 입자를 침전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중 수적형 에멀젼 5 g에 유중 수적형 에멀젼 중량 대비 5배의 95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여 젤 입자를 침전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전분 젤 입자를 제조하면, 나노-마이크로 사이즈 입자의 젤 입자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 물질의 캡슐화가 용이한 전분 젤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방법은,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은 옥수수변형전분을 이용하여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단단한 전분 젤을 포함하는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캡슐화'할 수 있는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시 시간적, 경제적 감소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옥수수변형전분 젤 (MCS gel)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 (MCS 20 wo)'의 이미지이다.
도 2는 오일에 분산된 수상입자의 젤 형성 여부를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 (control wo)은 옥수수변형전분을 포함하지 않은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사용하였으며, MCS 20 wo는 수상부분의 중량대비 20%의 옥수수변형전분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이고, MCS gel은 중량대비 옥수수변형전분을 20% 포함한 옥수수변형전분 젤이다.
도 3은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한 '유중 수적형 젤 내부에서 분리,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이미지이다.
도 4는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성분을 X선 분광분석기(EDS)로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옥수수변형전분 제조 및 젤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W/O) 에멀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옥수수변형전분을 제조하고, 옥수수변형전분 젤을 포함하는 유중 수적형 (W/O) 에멀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내열성 균주인 아쿠아티쿠스(Thermus aquaticus)에서 직접 분리, 정제한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4-α-glucanotransferase)를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 (고형분 함량 5 wt. %)에 5 U/g 의 농도로 처리한 후 70℃의 수욕조에서 72시간 이상 반응시켜 최종 옥수수변형전분을 제조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95% 에탄올을 이용하여 전분을 침전시켰고, 6,000 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분리된 전분은 상온에서 건조시켜 100 mesh 체에 내린 후 사용하였다.
유중 수적형(W/O)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효소처리한 옥수수 변형전분을 중량대비 20 %의 농도로 5mM 나트륨 인산 완충제(sodium phosphate buffer (pH 7.0))에 분산, 가열시켜 총 수상부분의 중량대비 40 %의 농도로 제조한 후, 이를 중량대비 8 %의 농도로 PGPR(Polyglycerol polyricinoleate, hydrophobic emulsifier)을 분산시켜 놓은 중량대비 60 % 오일에 투입하고 실험실용 균질기(laboratory homogenizer) (T25 digital Ultra-Turrax, IKA)로 14,000 rpm에서 2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1차로 균질화된 에멀젼을 고압균질기(MN250A,PICOMAX, MICRONOX)에 10,000 psi의 압력을 가해 3번 통과시켜 오일 연속상에 존재하는 균일한 입자의 수상입자를 얻었다.
내부 수상부분에 포함된 효소변형전분 페이스트를 젤화시키기 위하여 고압균질기에 최종 통과시킨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냉장고 (0~10℃) 또는 4℃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이상 냉각시켜 옥수수변형전분 젤을 수상부분의 20%로 포함하는 안정한 에멀젼 (MCS 20 wo)을 제조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오일에 분산된 수상입자의 사이즈는 5 마이크로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옥수수변형전분 젤 (MCS gel)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 (MCS 20 wo)'의 이미지이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중 수적형(W/O) 에멀젼 (MCS 20 wo)에 있어서 수상입자의 젤화 여부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중 수적형(W/O) 에멀젼 (MCS 20 wo)의 수상입자의 젤화 여부를 비파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측정은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ENSOR27, Bruker)을 이용하였고, 측정 파장 범위는 4,000 ~ 900 cm-1, 스캔 횟수 20, 분해능(resolution) 4의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옥수수변형전분을 포함하지 않는 유중 수적형 에멀젼 (control wo)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1022 cm-1 파장부근에서 C-O-H 화합물의 피크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전분 젤의 무정형 부분에서 나타나는 피크로, 대조군인 control wo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 (MCS 20 wo)의 피크가 MCS gel과 거의 같은 범위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MCS 20 wo에서 내부 수상부분의 젤이 완벽히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오일에 분산된 수상입자의 젤 형성 여부를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 (control wo)은 옥수수변형전분을 포함하지 않은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사용하였으며, MCS 20 wo는 수상부분의 중량대비 20%의 옥수수변형전분을 포함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이고, MCS gel은 중량대비 옥수수변형전분을 20% 포함한 옥수수변형전분 젤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에멀젼으로부터 나노-마이크로 젤의 분리]
본 실시예에서는 유중 수적형 에멀젼으로부터 나노-마이크로 옥수수변형전분 젤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중 수적형 에멀젼 5 g을 700 rpm 이상으로 교반하면서 5배 분량의 95 % 에탄올을 소량씩 가하였다. 이때, 오일은 뭉쳐지고, 내부에 형성되었던 젤 입자들이 알콜에 의해 가라앉게 되며, 이를 약 5분 동안 교반 후 10겹의 거즈에 여과하고, 다시 한 번 5겹의 거즈에 여과함으로써 뭉친 오일이 제거된 깨끗한 알콜 부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알콜부분에 포함된 젤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1,000 rpm의 속도로 2분 동안 원심분리하였으며, 순수한 젤 입자를 회수하기 위하여 알콜 수세과정과 원심분리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였다.
분리된 알콜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전분 젤 입자에 3배 분량의 99 % 아세톤을 가하여 강하게 볼텍싱(vortexing)하고 2,000 rpm의 속도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아세톤을 제거하고 탈수하였다.
탈수는 상온에서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건조 시 입자들끼리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대한 얇게 펴서 건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를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를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각 젤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3 ㎛였으며, 구 형태의 하얀 돌기를 가진 입자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관찰한 '유중 수적형 젤 내부에서 분리,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이미지이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서 분리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성분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성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분 확인은 X선 분광분석기 (ED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는 C 및 O를 주성분으로 이루고 있는 탄수화물임을 확인하였다.
도 4는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 젤 입자의 성분을 X선 분광분석기(EDS)로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0)

  1. 에멀젼을 이용한 기능성 성분을 캡슐화할 수 있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옥수수전분 페이스트에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를 처리하여 옥수수변형전분을 제조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제조된 옥수수변형전분을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수득한 후, 건조시켜 건조된 옥수수변형전분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수득된 건조 옥수수변형전분을 완충액에 현탁시켜 수상부분을 제조한 후, 이를 유화제가 분산된 오일에 투입하여 균질화시킴으로써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 후, 상기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냉각시켜, 오일 연속상에 존재하는 수상입자인 옥수수변형전분을 젤화시키는 단계 (D); 및
    상기 단계 (D) 후, 상기 유중 수적형 에멀젼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젤 입자를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E)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유중 수적형 에멀젼 2~8 g에 유중 수적형 에멀젼 중량 대비 3~7배의 92~98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소량씩 가하여 젤 입자를 침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고형분 함량 1~10 wt.%의 옥수수전분 페이스트에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를 1~10 U/g의 농도로 처리한 후, 60~80℃에서 60~80시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α-글루카노트랜스퍼레이즈 (4-α-glucanotransferase)는,
    터머스 아쿠아티쿠스 (Thermus aquaticus)로부터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옥수수변형전분에 92~98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침전시키고, 5,000~7,000 rpm에서 10~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해 낸 후, 이를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50~150 mesh 체에 내려 옥수수변형전분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pH 6.0~8.0인 1~10mM 나트륨 인산 완충제 (sodium phosphate buffer)에 옥수수변형전분을 10~30 중량% 농도로 현탁하여 수상부분을 제조하고, 이를 유화제가 5~10 중량%로 분산된 오일에 투입한 후, 10,000~18,000 rpm에서 1~3분 동안 균질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분 및 오일은,
    수상부분 : 오일의 비율이 3~5 : 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C)와 (D)의 사이에, 상기 단계 (C)에서 제조한 에멀젼에 5,000~15,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균일한 크기를 갖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냉각은,
    0~10℃에서 1~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분 젤 입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65393A 2015-11-25 2015-11-25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KR10184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93A KR101849928B1 (ko) 2015-11-25 2015-11-25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93A KR101849928B1 (ko) 2015-11-25 2015-11-25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87A KR20170060787A (ko) 2017-06-02
KR101849928B1 true KR101849928B1 (ko) 2018-04-18

Family

ID=5922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93A KR101849928B1 (ko) 2015-11-25 2015-11-25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172A (ko) 2021-12-17 2023-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이용한 불포화 지방산 산패 안정성이 향상된 에멀젼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3173A (ko) 2021-12-17 2023-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즈 계열과 항산화 물질을 이용한 불포화 지방산의 안정성이 향상된 에멀젼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EP4056204A4 (en) * 2021-01-05 2023-07-05 Honest Medical China Co., Ltd. STARCH-BASED FLAKED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APPL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6177B (zh) * 2018-04-23 2020-11-06 江南大学 一种以纳米淀粉粒子为骨架的智能水凝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9928A1 (en) 2005-07-12 2010-02-04 Hendrik Jan De Vries Emuls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9928A1 (en) 2005-07-12 2010-02-04 Hendrik Jan De Vries Emulsifi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6204A4 (en) * 2021-01-05 2023-07-05 Honest Medical China Co., Ltd. STARCH-BASED FLAKED PARTICL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APPLICATION
KR20230093172A (ko) 2021-12-17 2023-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이용한 불포화 지방산 산패 안정성이 향상된 에멀젼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3173A (ko) 2021-12-17 2023-06-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즈 계열과 항산화 물질을 이용한 불포화 지방산의 안정성이 향상된 에멀젼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87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o et al. Phosphorylated zein as biodegradable and aqueous nanocarriers for pesticides with sustained-release and anti-UV properties
KR101849928B1 (ko) 유중 수적형 에멀젼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전분 젤 입자 제조 방법
US11331414B2 (en) Method for preparing inorganic nanoparticle-gelatin core-shell composite particles
DE60213789T2 (de) Mikrokapseln aus pflanzlichen proteinen
Lin et al. Corn protein hydrolysate as a novel nano-vehicle: Enhanced physicochemical stability and in vitro bioaccessibility of vitamin D3
Zhu et al. Nanogels fabricated by lysozyme and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for 5-fluorouracil controlled release
CN113614037A (zh) 植物基功能材料
Arantes et al. Influence of the drying route on the depolymerization and properties of chitosan
Mironov et al. Synthesis of polyampholyte microgels from colloidal salts of pectinic acid and their application as pH-responsive emulsifiers
JP4982178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封入系およびその適用
Montalbán et al. Biopolymeric nanoparticle synthesis in ionic liquids
Kaintura et al. Gelatin nanoparticles as a delivery system for proteins
Nasri et al. Sardinelle protein isolate as a novel material for oil microencapsulation: Novel alternative for fish by-products valorisation
Wong et al. Zein as a water insoluble excipient for spray dry encapsulation of hydrophilic bioactives
Badke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algae fatty acids or Aloe vera oil microcapsules
Mebarki et al. Microencapsulation of Thymus fontanesii extracts in pectin/casein: characterization, release behavior and storage stability
US11498042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icrogel building blocks from pollen
Gonçalves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ashew Gum–Gelatin Coacervates as a Food Ingredient
CN108042511B (zh) 含紫草素的微胶囊及制备方法和用途
EP3843708A2 (en) Biopolymer based carrier system
Distantina et al. Microencapsulation of rice bran oil by complex coacervation using chitosan–k-carrageenan: Influence of glutaraldehyde and tween 20
EP3040373B1 (en) Ionic gelation on solids
Izadi-NajafAbadi et al. Optimization of Emulsification and Microencapsulation of Balangu (Lallemantia royleana) Seed Oil by Surface Response Methodology
Iurea et al. Sub-micronic capsules based on gelatin and poly (maleic anhydride-alt-vinyl acetate) obtained by interfacial condensation with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s
KR20030079444A (ko) 수용성 키토산 다공성 비드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