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731B1 - 견부 확장 기구 - Google Patents

견부 확장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731B1
KR101849731B1 KR1020160113824A KR20160113824A KR101849731B1 KR 101849731 B1 KR101849731 B1 KR 101849731B1 KR 1020160113824 A KR1020160113824 A KR 1020160113824A KR 20160113824 A KR20160113824 A KR 20160113824A KR 101849731 B1 KR101849731 B1 KR 10184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rod
patient
shoulder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906A (ko
Inventor
조웅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6011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7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부 확장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발이 지지되는 발 지지대; 상기 발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 지지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견인 스트랩; 및 한 쌍의 상기 견인 스트랩의 자유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손이 파지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견부 확장 기구{SHOULDER STRAIN DEVICE}
본 발명은 견부 확장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경부(neck)를 전산화단층촬영(CT)시 어깨를 최대한 다리를 향해 움직이도록 하여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견부 확장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환자의 경부(neck)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라고 함) 검사시,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beam hardening effect)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매우 저하되어 작은 병변의 진단에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경부의 CT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인체의 조직에 고 에너지를 갖고 있는 방사선량이 과다하게 전달되는 경우, DNA 분자를 전리하여 DNA 손상시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나거나 세포가 사멸하여, DNA 손상으로 유발된 돌연변이는 유전적인 결함을 초래하기도 하고, 암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한편, 방사선 조사 시, 정상 조직에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최적화하여, 방사선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증가할 필요없이 경부의 CT 이미지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부의 CT 검사시 환자의 어깨를 아래로 움직이는 등의 환자의 자세를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CT 검사시 환자의 어깨를 물리적으로 최대한 다리쪽으로 당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견부 확장 기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40091호(발명의 명칭: 다기능 목 견인기구, 공고일: 2016.07.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CT 검사시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병변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견부 확장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발이 지지되는 발 지지대; 상기 발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 지지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견인 스트랩; 및 한 쌍의 상기 견인 스트랩의 자유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견부 확장 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 지지대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 및 상기 발 지지대를 향하는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견인봉; 상기 견인봉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견인봉을 CT 검사 테이블에 고정하는 고정구; 및 상기 견인봉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견부 확장 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환자의 발이 지지되는 발 지지대; 상기 발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 지지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호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견인봉을 각각 구비한 한 쌍의 견인봉 유니트; 및 상기 견인봉 유니트의 견인봉의 자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견부 확장 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한 쌍의 견인봉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끼움공 중 어느 하나의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견인봉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견인봉의 일단부의 외주에 결합된 슬리브; 및 일단부가 상기 슬리브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견인봉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견인봉의 외주에 압착하며, 상기 한 쌍의 견인봉을 고정하는 고정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T 검사시 환자의 어깨를 물리적으로 최대한 다리쪽으로 당김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병변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견부 확장 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의 도면,
도 4는 도 3의 견부 확장 기구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의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a)는 발 지지대(20), 견인 스트랩(30), 손잡이(65)를 포함한다.
발 지지대(20)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환자(1, 도 2 참조)의 발이 지지된다. 발 지지대(20)는 가죽, 섬유재,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발 지지대(20)의 양단부에는 발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23)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관통공(23)에는 후술할 클램프(33)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견인 스트랩(30)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정 길이의 밴드 형상을 가진다. 각 견인 스트랩(30)의 일단부는 발 지지대(20)를 사이에 두고 발 지지대(2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발 지지대(20)를 향하는 견인 스트랩(30)의 일단부에는 발 지지대(20)의 관통공(23)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클램프(3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33)로서 고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견인 스트랩(30)의 클램프(33)를 발 지지대(20)의 관통공(23)에 선택적으로 체결함으로써, 환자(1)의 키에 대응하며 발 지지대(20)와 손잡이(65) 사이의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65)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폐루프의 링 형상을 가진다. 각 손잡이(65)는 견인 스트랩(30)의 타단부 예컨대, 견인 스트랩(30)의 자유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65)는 환자(1)의 손이 파지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a)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띠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a)를 이용하여 CT 검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1)가 CT 검사 테이블(5)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1)의 팔이 펼쳐지면서 견인 스트랩(30)이 인장되도록, 환자(1)의 키에 맞추어 견인 스트랩(30)에 장착된 클램프(33)를 발 지지대(20)의 복수의 관통공(23) 중 어느 하나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환자(1)가 손잡이(65)를 파지한 상태에서 발 지지대(20)에 발을 지지함과 동시에, 발바닥으로 발 지지대(20)를 누름으로써, 환자(1)의 팔이 펼쳐지며 견인 스트랩(30)은 인장되고, 환자(1)의 어깨부위는 움츠러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리를 향해 움직이며 최대한 견인된다.
이 상태에서 환자(1)의 경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부를 CT 촬영함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통해 병변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a)는 견인 스트랩(30)이 발 지지대(20)의 관통공(23)에 클램프(33)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견인 스트랩(30)은 발 지지대(20)에 재봉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한 쌍의 견인봉(41,51), 고정구(60), 손잡이(65)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견인봉은 상이한 직경을 가지며, 길이 신장 또는 길이 축소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한 쌍의 견인봉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견인봉을 제1견인봉(41)이라 하고, 나머지 견인봉을 제2견인봉(51)이라고 한다.
제1견인봉(41)에는 제1견인봉(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끼움공(43)이 형성되고,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2견인봉(51)에는 제1견인봉(41)의 복수의 끼움공(43) 중 어느 하나의 끼움공(43)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견인봉(51)의 탄성돌기(53)를 제1견인봉(41)의 끼움공(43)에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견인봉(41,51)의 전체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견인봉(51)의 탄성돌기(53)가 제1견인봉(41)의 복수의 끼움공(43)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환자의 키에 대응하며 한 쌍의 견인봉(41,51)의 전체 길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고정구(60)는 제1견인봉(41)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보조 스트랩(63)에 마련되어, 한 쌍의 견인봉(41,51)을 CT 검사 테이블(5)에 마련된 결속구(7)에 체결된다. 이로써, 한 쌍의 견인봉(41,51)을 CT 검사 테이블(5)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구(60)로서 스냅 고리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구(60)는 스냅단추, 후크, 버클 등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손잡이(65)는 폐루프의 링 형상을 가진다. 손잡이(65)는 제2견인봉(51)의 자유단부에 마련되며, 환자의 손이 파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견인봉(41)에 연결된 보조 스트랩(63)에 고정구(60)가 마련되고 제2견인봉(51)에 손잡이(65)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견인봉에 손잡이가 마련되고, 제2견인봉에 고정구가 결합된 보조 스트랩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b)를 이용하여 CT 검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b)를 CT 검사 테이블(5)의 일측에 배치한다.
이 때, 고정구(60)를 CT 검사 테이블(5)에 마련된 결속구(7)에 체결하여, 견부 확장 기구(10b)를 CT 검사 테이블(5)에 고정한다.
다음, 환자가 CT 검사 테이블(5)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팔이 펼쳐지면서 견부 확장 기구(10b)가 인장되도록, 환자의 키에 맞추어 제2견인봉(51)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53)를 제1견인봉(41)의 복수의 삽입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환자가 CT 검사 테이블(5)에 고정된 견부 확장 기구(10b)의 각 손잡이(65)를 파지함으로써, 환자의 팔이 펼쳐지며 견부 확장 기구(10b)는 인장되고, 환자의 어깨부위는 움츠러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최대한 견인된다.
이 상태에서 환자의 경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부를 CT 촬영함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c)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는 달리, 환자의 발이 지지되는 발 지지대(20)와, 제1견인봉(41)과 제2견인봉(51)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견인봉 유니트(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견인봉 유니트(40)는 발 지지대(20)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대향 배치된다.
또한, 각 견인봉 유니트(40)의 제2견인봉(51)은 보조 스트랩(63)에 의해 발 지지대(20)의 양단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환자가 CT 검사 테이블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팔이 펼쳐지면서 견부 확장 기구(10c)가 인장되도록, 환자의 키에 맞추어 제2견인봉(51)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53)를 제1견인봉(41)의 복수의 끼움공(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환자가 각 견인봉 유니트(40)의 손잡이(65)를 파지한 상태에서 발 지지대(20)에 발을 지지함과 동시에, 발바닥으로 발 지지대(20)를 누름으로써, 환자의 팔이 펼쳐지고, 환자의 어깨부위는 움츠러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리를 향해 움직이며 최대한 견인된다.
이 상태에서 환자의 경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부를 CT 촬영함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d)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는 달리, 한 쌍의 견인봉(41,51)의 조립 구조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d)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는 달리 탄성돌기 및 끼움공 대신에, 슬리브(71) 및 고정 노브(8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d)의 제1견인봉(41) 및 제2견인봉(51)은 상이한 직경을 가지며, 길이 신장 또는 길이 축소되도록 상호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제2견인봉(51)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견인봉(41)의 단부에는 후술할 슬리브(71)의 복수의 스토퍼(75)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45)이 제1견인봉(41)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71)는 원형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지며, 제1견인봉(41)과 제2견인봉(51)을 상호 연결한다. 제1견인봉(41)에 결합되는 슬리브(71)의 외주에 억지끼워맞춤결합된다. 제1견인봉(41)에 위치하는 슬리브(71)의 일단부 외주에는 고정 노브(81)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71)의 타단부의 내주에는 제2견인봉(51)을 그립 및 그립해제하는 복수의 스토퍼(75)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스토퍼(75)는 슬리브(71)의 내주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제1견인봉(41)의 복수의 결합홈(45)에 끼움 결합된다. 복수의 스토퍼(75)의 내경은 제2견인봉(51)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고정 노브(81)는 원형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진다. 고정 노브(81)의 일단부 내주에는 슬리브(71)의 수나사(73)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8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노브(81)의 타단부의 내주에는 제2견인봉(51)의 외주에 부분 밀착함과 동시에, 제2견인봉(51)을 향하는 제1견인봉(41)의 단부에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8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노브(8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부(87)가 마련된다. 고정 노브(81)의 테이퍼부(87)는 고정 노브(81)가 슬리브(71)에 나사 결합될 때, 슬리브(71)의 스토퍼(75)가 제2견인봉(51)의 외주에 압착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71)의 스토퍼(75)와 제2견인봉(51)의 외주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제2견인봉(51)은 슬리브(7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고정 노브(81)의 일단부가 슬리브(7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견인봉(41)의 걸림턱(85)에 걸림 유지됨과 동시에, 고정 노브(81)에 의해 슬리브(71)의 스토퍼(75)가 제2견인봉(51)의 외주에 압착하여, 제1견인봉(41)과 제2견인봉(51)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제1견인봉(41)과 제2견인봉(51)을 원하는 길이로 신장 또는 축소한 후, 고정 노브(81)로 고정함으로써, 환자의 키에 대응하며 견부 확장 기구(10d)를 원하는 길이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환자가 CT 검사 테이블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팔이 펼쳐지면서 견부 확장 기구(10d)가 인장되도록, 환자의 키에 맞추어 제1견인봉(41)과 제2견인봉(51)을 원하는 길이로 신장 또는 축소한 후, 고정 노브(81)로 고정한다.
그리고, 환자가 CT 검사 테이블에 고정된 견부 확장 기구(10d)의 손잡이(65)를 파지함으로써, 환자의 팔이 펼쳐지며 견부 확장 기구(10d)는 인장되고, 환자의 어깨부위는 움츠러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최대한 견인된다.
이 상태에서 환자의 경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부를 CT 촬영함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c)에서 각 견인봉 유니트(40)의 한 쌍의 견인봉(41,51) 대신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견부 확장 기구(10d)의 한 쌍의 견인봉(41,51)과, 슬리브(71)와 조작 노브(81)를 적용하여, 또 다른 실시예의 견부 확장 기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T 검사시 환자의 어깨를 물리적으로 최대한 다리쪽으로 당김으로써, 어깨부위에 발생하는 선속경화현상에 의한 음영 장애를 최소화하며, 화질이 향상된 경부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병변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a,10b,10c,10d : 견부 확장 기구 20 : 발 지지대
23 : 관통공 30 : 견인 스트랩
33 : 클램프 40 : 견인봉 유니트
41 : 제1견인봉 43 : 끼움공
51 : 제2견인봉 53 : 탄성돌기
60 : 고정구 65 : 손잡이
71 : 슬리브 81 : 고정 노브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결합홈이 형성된 제1견인봉;
    상기 제1견인봉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상기 제1견인봉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호 끼움 결합되는 제2견인봉;
    상기 제1견인봉과 상기 제2견인봉을 상호 연결하며,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내주에 상기 제1견인봉의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2견인봉을 그립 및 그립해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슬리브;
    내주에 상기 슬리브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와, 상기 제2견인봉의 외주에 부분 밀착하며 상기 제1견인봉의 단부에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 노브;
    상기 고정 노브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견인봉의 외주에 압착하도록 가압하는 테이퍼부;
    상기 제1견인봉 및 상기 제2견인봉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견인봉을 CT 검사 테이블에 고정하는 고정구; 및
    상기 제1견인봉 및 상기 제2견인봉 중 다른 하나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환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견부 확장 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13824A 2016-09-05 2016-09-05 견부 확장 기구 KR10184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24A KR101849731B1 (ko) 2016-09-05 2016-09-05 견부 확장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24A KR101849731B1 (ko) 2016-09-05 2016-09-05 견부 확장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06A KR20180026906A (ko) 2018-03-14
KR101849731B1 true KR101849731B1 (ko) 2018-04-17

Family

ID=6166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24A KR101849731B1 (ko) 2016-09-05 2016-09-05 견부 확장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7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92148Y (zh) * 2006-05-16 2007-04-25 武汉大学 放疗颈肩伸张器
US20090090370A1 (en) * 2007-10-05 2009-04-09 Bernstein Avi J Patient restraint system
JP2013525005A (ja) 2010-04-29 2013-06-20 デザイン エムディー エルエルシー. 放射線透過検査を行う患者の整位のための機器と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92148Y (zh) * 2006-05-16 2007-04-25 武汉大学 放疗颈肩伸张器
US20090090370A1 (en) * 2007-10-05 2009-04-09 Bernstein Avi J Patient restraint system
JP2013525005A (ja) 2010-04-29 2013-06-20 デザイン エムディー エルエルシー. 放射線透過検査を行う患者の整位のための機器と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06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858A (en) Immobilizing apparatus for performing medical and paramedical procedures
US62545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patient for radiation therapy
CA2726138C (en) Knee extension treatment apparatus
US5848449A (en) Slide lock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atient positioning mold
US7641604B2 (en) Exercise device
US8656917B2 (en) Limb support device
JP4656591B2 (ja) ペニス運動器具
US201801041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Patient Walking Therapy
US2796061A (en) Bed traction device
CA3007222A1 (en) Traction splints and methods of using traction splints
US20240082105A1 (en) Cpr chest compression device with releasable base member
US7309312B2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and method of use
US8641147B2 (en) Procedure chair with interchangeable headrests
US8573549B2 (en) Releasable bracket for a wheelchair
KR101849731B1 (ko) 견부 확장 기구
US10188572B2 (en) Stirrups devices
US4765005A (en) Support device
CN106075631B (zh) 脚部输液防拔器
US20060249551A1 (en) Hosiery remover and method of removing hosiery
EP1708610A1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CN211270896U (zh) 一种产科手术拉钩
CN219331691U (zh) 一种足踝背伸位固定装置
US20110166485A1 (en) Leg-lifting device
JP2015023907A (ja) 車椅子連結具
CN211325252U (zh) 一种胸外科手术拉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