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92B1 -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 - Google Patents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92B1
KR101849692B1 KR1020160102126A KR20160102126A KR101849692B1 KR 101849692 B1 KR101849692 B1 KR 101849692B1 KR 1020160102126 A KR1020160102126 A KR 1020160102126A KR 20160102126 A KR20160102126 A KR 20160102126A KR 101849692 B1 KR101849692 B1 KR 10184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tank
temperature
dilution
dilu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0260A (en
Inventor
채득병
Original Assignee
채득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득병 filed Critical 채득병
Publication of KR2017002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4Temperature sensors near the indoo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는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온도센서; 상기 공급 관로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 저장되고, 최상 수위층 선상 위치에 유입관이 마련된 제1희석조; 상기 제1희석조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희석조의 최상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월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1희석조와 연결되는 제2희석조; 상기 제2희석조에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의 최상 수위층 선상에서 냉각수가 월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2희석조와 연결되는 제3희석조; 상기 제3희석조에 유입된 냉각수가 하측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3희석조와 연결되는 제4희석조; 및 상기 제4희석조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통해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 저장 수조에 공급되는 냉각수를 여러 개로 분할된 제1 내지 제4희석조를 통해 단계적으로 월류시켜서 체류시키고, 제1 및 제3희석조의 냉각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순환펌프를 통하여 강제 순환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최종 냉각수 온도를 ±0.05℃ 내지 0.1℃ 내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using an overflow multi-stage dilution method, comprising: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a supply pipe connected to a heat exchanger and selectively controlling a supply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flowing from a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 first dilution tank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to receive and store the cooling water, and having an inlet pipe at a position on the highest level stratum; A second diluting tank connect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diluting tank is stored at a lower level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first diluting tank; A third dilution tank connected to the second dilution tank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ing over the uppermost level stratum of the first dilution tank is stored over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dilution tank; A fourth dilution tank connected to the third dilution tank so that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dilution tank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And a main pump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and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ccording to this,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 storing tank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 heat exchanger is stagewise flowed through the divided first to fourth dilution tanks, and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and third dilution tanks is selectively The temperature of the final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占 0.05 占 폚 to 0.1 占 폚.

Figure R1020160102126
Figure R1020160102126

Description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 및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a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ing the multi-stage dilution method,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영역을 순환하는 냉각수 온도를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하여 냉각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 및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using an overflowing multi-stage dilution system which is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by using a multi-stage dilution method of overflow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circulating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a cooling or heating load region, Temperature precision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실험실이나 프린트 기판을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는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Generally, it is essential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in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applied to manufacture a laboratory or printed circuit board.

일반적으로 냉각수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냉각수를 수조에 저장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설정 온도 이하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킨 후 메인펌프를 통해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하였다.Generally, as a constitution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he cooling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set temperature or le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and then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main pump.

하지만 종래에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수조가 대량의 냉각수를 저장하는 단일 수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냉각수 저장온도가 열교환기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에 의해 온도 편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water tank for storing cooling water is composed of a single water tank for storing a large amount of cooling water, it takes a long tim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tored therein to the set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이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0.05℃ 내지 0.1℃의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o a temperature of 占 .05 占 폚 to 0.1 占 폚.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9036호Korean Patent No. 10-075903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7788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778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를 통해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 저장수조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여러개로 분할된 복수의 희석조를 통해 냉각수를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으로서 단계적으로 월류시켜 체류시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최종 냉각수 온도를 ±0.05℃ 내지 0.1℃ 내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 및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과 관련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water storage tank,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and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ion control system using the overflowing multi-stage dilution system in which the final cooling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within ± 0.05 ° C to 0.1 ° C, Control method.

본 발명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교환기와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영역을 순환하며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통상의 냉각수 온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 온도를 감지 후,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여 냉각수를 설정 온도로 가변시키는 제1온도센서;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 저장되고, 수조본체의 내부 한쪽에 'T'형으로 제1격벽과 제2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격벽의 상단은 유입구의 위치와 동일하며, 상기 제1격벽의 상단은 상기 제2격벽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상기 제1격벽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희석조; 상기 제1희석조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격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희석조;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격벽과 나란하게 간격을 유지하며 상단이 상기 제2격벽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고 표면 중심부에서 하부까지 복수의 월류공이 관통 형성된 제3격벽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2격벽을 향하는 상기 제3격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희석조; 상기 제3희석조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3격벽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4희석조; 및 상기 제4희석조의 하부에 배출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using the overflowing multistage dil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ventional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cooling or heating load region and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to change the cooling water to a set temperature after detecting a cooling water supply temperature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are provided in a 'T' shape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body,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inlet, A first diluting tank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first partition toward the inle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being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A second diluter located outside the first partition to face the first diluter; A third partition wall having an upper end formed to be higher than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artition in parallel to the second parti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n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to a lower portion, A third diluting tank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hird partition wall facing the two partition walls; A fourth diluting tank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tition to face the third dilution tank; And a main pump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through a discharge pipe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희석조와 제3희석조의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pump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on tank and the third dilution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4희석조의 냉각수 온도를 체크하여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2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ourth dilution tank and f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o the outside.

본 발명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공급 관로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로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여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공급관로로 공급하는 단계;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수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제1희석조에 공급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희석조의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상층의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의 최상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상기 제2희석조로 월류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희석조에 유입된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상층의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의 최상 수위층 선상에서 상기 제3희석조로 월류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3희석조에 유입된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제4희석조의 하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4희석조의 하부로 연결된 메인펌프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method using the overflowing multistage dilu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is controll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provided on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cooling pip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supply pipe; Supplying cooling wate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a set temperature to the first dilution tank through the inflow pipe and storing the same;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of the upper layer in the second dilution tank at a level low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first dilution tank while keeping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on tank for a predetermined time; Storing the cooling water in the upper layer on the uppermost level stratum of the first dilution tank and overflowing the third cooling water in the third dilution tank while staying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dilution tank for a predetermined time; Storing the cool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dilution tank so as to flow into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dilution tank while staying therei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main pump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희석조와 제3희석조의 냉각수는 상기 순환펌프를 통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on tank and the third dilution tank may be forcedly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4희석조 내부에 설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제4희석조의 냉각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externally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ourth dilution tank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fourth dilution tank.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통해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 저장 수조에 공급되는 냉각수를 여러 개로 분할된 제1 내지 제4희석조를 통해 단계적으로 월류시켜서 체류시키고, 제1 및 제3희석조의 냉각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순환펌프를 통하여 강제 순환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최종 냉각수 온도를 ±0.05℃ 내지 0.1℃ 내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 storing tank at a set temperature or lower through a heat exchanger is gradually overflowed through the divided first to fourth diluting baths, and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and third diluting baths The temperature of the final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within ± 0.05 ° C to 0.1 ° C by the forced circulation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도 1 은 본 발명의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 및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을 나타낸 계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각수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ystematic diagram show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and a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method using an overflowing multistage dilu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oling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using the overflow multi-step dilu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1 to 3, the system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using the overflow multi-step dil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열교환기(40), 제1온도센서(S1) 및 냉각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희석조(51,52,53,54)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cooling water, comprising a compressor 10, a condenser 20, an expansion valve 30, a heat exchanger 40, a first temperature sensor S1 and a plurality of dilution chambers 51, 53, 54).

상기 압축기(10)는 열교환기(40)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열교환기(40)와 연결된 냉방 부하측(예;실험실)에서 공급되는 열교환수와 열교환 된 기상(氣像)의 냉매를 압축시킨다.The compressor 1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through a pipe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heat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 water supplied from a cooling load side (e.g., a laboratory)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상기 응축기(20)는 압축기(1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0)에서 냉각된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ndenser 2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0 and serves to heat the refrigerant cooled in the compressor 10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to condense the refrigerant.

상기 팽창밸브(30)는 냉매를 임시 저장하도록 응축기(20)와 연결되는 수액기(리시버탱크;21) 후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증발기에 보내기 전에 저압으로 감압하고 냉매 유량을 조절한다.The expansion valve 30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a receiver (receiver tank) 21 connected to the condenser 20 to temporarily store the refrigerant. The expansion valve 30 reduc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to a low pressure and controls the refrigerant flow rate before sending the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이때, 팽창밸브(30)와 수액기(21) 사이에는 필터드라이버(22)가 연결되어 냉매 속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냉매 속 수분으로 인해 팽창밸브(30)와 응축기(20)의 모세관 내부에 동결되어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a filter driver 22 is connected between the expansion valve 30 and the receiver 21 to absorb the refrigerant water, so that the refrigerant is frozen in the capillary of the expansion valve 30 and the condenser 20 Do not disturb the flow of refrigerant.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팽창밸브(30)에서 감압된 냉매를 공급받아 냉방 또는 난방 부하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를 설정 온도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eat exchanger (40) serves to vary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to the set temperature by receiving the refrigerant depressurized by the expansion valve (30).

또한, 상기 팽창밸브(30)와 열교환기(40)의 냉매 공급 배관과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연결하는 냉매 회수 배관 사이에는 핫가스 바이패스 조절용 밸브(23)가 설치되어 냉매의 응축구간과 압축구간 사이의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 hot gas bypass control valve 23 is provided between the refrigerant supply pipe of the expansion valve 30 and the refrigerant supply pipe of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refrigerant return pipe connecting the compressor 10 and the condenser 20, And to control the load between the condensing section and the compression section.

상기 열교환기(40)와 후술된 수조본체(55)와 연결되는 공급관로(P1)에는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열교환기(40)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온도센서(S1)가 구비됨으로써 냉각수를 설정 온도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supply pipe path P1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water tank main body 55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40 for sensing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is provided to vary the cooling water to the set temperature.

이러한 기본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영역을 순환하는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통상의 냉각수 온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is basic configuration is a conventional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circulating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a cooling or heating load region,

제1온도센서(S1)와 순환되는 냉각수를 수용하여 체류시키면서 월류 방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희석조(51,52,53,54)를 포함하고, 맨 마지막의 희석조와 연결되는 메인펌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first temperature sensor S1 and a plurality of dilution vessels 51, 52, 53, and 54 for moving the circulating cooling water while staying therein and moving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S1 and S2, ).

제1온도센서(S1)는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공급관로(P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공급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여 냉각수를 설정 온도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is installed in a supply pipe P1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detects the supply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to change the cooling water to the set temperature .

그리고, 다수의 희석조(51,52,53,54)는 각각의 개별 수조로 구성되어 냉각수가 높이 차이에 의해 그 다음의 희석조로 월류되어 순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lution vessels 51, 52, 53 and 54 may be constituted by individual water tanks, and the cooling water may be circulated in the next dilution tank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circulated.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큰 수조본체(55) 내부에 복수의 격벽(56,57,58)으로 구획하여 냉각수를 복수의 희석조(51,52,53,54)에 순차적으로 월류시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냉각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a large water tank body 55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s 56, 57 and 58 to supply cooling water to a plurality of dilution vessels 51, 52, And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is precisely contro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oling water is circulated continuously in sequence.

예컨대, 열교환기(40)를 통해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 수조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으로서 단계적으로 월류시켜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최종 냉각수 온도를 ±0.05℃ 내지 0.1℃ 내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For example,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cooling water tank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 is gradually overflowed as the overflowing multi-step dilution system so that the final cooling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falls within a range of 占 0 占 폚 to 0.1 占 폚 And is precisely controlled and supplied.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대형 수조 내부를 구획하여 복수의 희석조에 적용한 구성을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rior of one large water tan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lution vessel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수조본체(55)는 직육면체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최상위 수위에 열교환기(4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 유입구(55b)가 형성된 구성이다. 바람직하기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조본체(55) 외면 전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 온도에 의한 냉각수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water tank main body 55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cooling water inlet 55b supplied from the heat exchanger 40 at the highest water level. Preferably,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to minimiz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water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상기 수조본체(5) 내부에는 상기 공급관로(P1)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 저장되고, 최상 수위층 선상 위치에 유입구(55b)가 마련된 제1희석조(51)가 구비된다.In the water tank 5, a first dilution tank 51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P1 to receive and store cooling water, and has an inlet 55b at the uppermost level.

그리고, 상기 제1희석조(51)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희석조(51)의 최상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월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1희석조(51)와 연결되는 제2희석조(52)가 마련되며, 상기 제2희석조(52)에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51)의 최상 수위층 선상에서 냉각수가 월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2희석조(52)와 연결되는 제3희석조(53)가 마련되고, 상기 제3희석조(53)에 유입된 냉각수가 하측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제3희석조(53)와 연결되는 제4희석조(54)가 마련되며, 상기 제4희석조(54)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펌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diluting tank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is stored over the lower level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diluting tank 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luting tank 52 so that the cooling water is stored over the highest level stratum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 third dilution tank 53 is provided and a fourth dilution tank 54 is connected to the third dilution tank 53 so that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third dilution tank 53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And a main pump 7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희석조(51) 내지 제4희석조(5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iluting tank (51) to the fourth diluting tank (54) may be constructed as follow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본체(55) 일측 영역은 'T' 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1격벽(56) 및 제2격벽(57)에 의해 상기 수조본체(55) 내부 공간 일측은 제1희석조(51)와 제2희석조(52)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ne side region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is surrounded by the first partition 56 and the second partition 57, which are installed at intersecting 'T' The first dilution tank (51) and the second dilution tank (52)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ace.

이때, 상기 제1격벽(56)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55b) 위치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제2격벽(57)의 높이는 상기 제1격벽(56)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55b) 쪽이 상기 열교환기(40)로부터 공급관로(P1)를 통해 설정 온도 이하의 온도가 유지되게 냉각수가 공급되어 체류하는 상기 제1희석조(51)가 마련된다.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56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inlet 55b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57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56 so that the inlet 55b ) Is provided with the first diluting tank (51) in which cooling water is supplied and stays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below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 and the supply pipe path (P1).

그리고, 상기 제2희석조(52)는 상기 제1희석조(51)와 인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희석조(51)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희석조(51)에 채워진 후 상기 제1격벽(56)을 넘어 월류되어 체류하는 공간이 된다.The second diluting tank 52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is filled in the first diluting tank 51, Becomes a space overflowing over the first partition 56 and staying therein.

또한, 상기 수조본체(55) 중앙에는 상기 제2격벽(57)과 나란하게 간격을 유지하여 위치되는 상기 제3격벽(58)에 의해 상기 제1희석조(51) 및 제2희석조(52)와 병렬로 배열되는 상기 제3희석조(53)가 마련된다. The first dilution tank 51 and the second dilution tank 52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by the third partition wall 58 spaced in parallel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57, The third dilution tank 53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lution tank 53.

상기 제3희석조(53)는 상기 제1희석조(51)의 상층의 냉각수와 상기 제2희석조(52)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3격벽(58)을 넘어 월류되어 체류하게 된다.The cooling wat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ilution tank 51 and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second dilution tank 52 flow over the third partition wall 58 and stay in the third dilution tank 53.

또한, 상기 제3희석조(53) 일측에는 상기 제3격벽(58)을 기준으로 인접되게 배열되고, 상기 제3격벽(58) 중간에서 하부까지 다수 형성된 월류공(59)을 통해 상기 제3희석조(53)에 월류되어 체류하는 냉각수를 하측으로 유입시켜 체류하게 하게 하는 상부가 폐쇄된 제4희석조(54)가 마련된다.The third dilutation tank 53 is disposed adjacently to the third dilutation tank 53 with respect to the third partition 58 so that the third dilutation tank 53 can be divided into the third dilutation tank 53, And a fourth dilution tank 54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closed, which allows the cooling water flowing over the dilution tank 53 to flow and stay therein downward,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4희석조(54)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관(55a)과 접속되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설정 온도로 유지된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펌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main pump 70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55a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to supply cooling water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월류형 냉각수 순환부재(50)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40)를 통해 설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제1희석조(51)에 먼저 공급된다.According to the flow-through type cooling water circulating member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ooling water cooled to a set temperature or le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 is first supplied to the first dilution tank 51 through the inlet.

그리고, 제1희석조(51)에 채워진 냉각수는 제1격벽(56)을 넘어 제2희석조(52)에 월류되어 채워지게 된다.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first dilution tank (51) flows over the first dilution tank (52) beyond the first partition (56).

냉각수가 제1희석조(51) 및 제2희석조(52)에 채워지고 제2격벽(57)의 상단까지 채워진 후에는 제3희석조(53)로 월류되어 채워진다.After the cooling water is filled in the first dilution tank 51 and the second dilution tank 52 and fill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57, the cooling water is filled and filled in the third dilution tank 53.

이때 제3희석조(53)에 채워지는 냉각수는 월류공(59)을 통해 제4희석조(54)에도 함께 채워지기 시작하며, 제4희석조(54)는 상부가 폐쇄된 형태이므로 냉각수는 유입구 선상까지 전체적으로 채워진 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third dilution tank 53 starts to be filled in the fourth dilution tank 54 through the throughflow hole 59. Since the fourth dilution tank 54 has a closed top shape, So that the temperature is constantly maintained after being completely filled up to the inlet line.

이 상태에서 냉각수는 제1희석조(51)와 제2희석조(52), 제3희석조(53) 및 제4희석조(54)를 월류하여 순차적으로 체류하게 됨으로써 설정 온도 이하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까지 급변하지 않으면서 수조본체(55)에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cooling water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the second diluting tank 52, the third diluting tank 53, and the fourth diluting tank 54 so as to be sequentially supplie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stored in the water tub main body 55 without rapidly changing to the set temperature.

만약 수조본체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단일 수조본체의 구성이라면 설정온도 이하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단일 수조본체 내부에서 대류 작용에 의해 이미 저장되어 있던 냉각수와 희석되므로 메인펌프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설정 온도와 편차가 심하게 되므로 냉각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If the water tank body is composed of a single water tank body, the cooling water supplied below the set temperature is diluted with the cooling water already stored by the convection action inside the single water tank body, so that the set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to the main pump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하지만 본 발명은 각각의 희석조(51,52,53,54)에 순차적으로 월류되어 체류하는 냉각수는 각각의 희석조(51,52,53,54) 공간 내에서 대류 작용에 의해 순환되어 온도를 유지하다가 각각의 희석조(51,52,53,54) 상층의 냉각수부터 상기 제1격벽(56) 내지 제3격벽(58)을 넘어 다음의 희석조로 월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that sequentially flows over the diluting baths 51, 52, 53 and 54 is circulated by the convection action in the respective diluting baths 51, 52, 53 and 54, And then flows from the cooling water in the upper layer of each dilution tank 51, 52, 53 and 54 to the next dilution tank beyond the first partition 56 to the third partition 58.

따라서, 각각의 희석조(51,52,53,54)에 체류된 냉각수는 각각의 희석조에 체류되는 과정에서 볼 때 대류 작용에 의해 상층의 냉각수 온도가 하층의 냉각수의 온도보다 미세한 차이로 온도가 약간 높게 유지는데, 이때 유입구(55b)를 통해 설정온도 이하로 냉각수가 제1희석조(51)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새로 유입된 냉각수는 각 희석조에 체류하고 있는 냉각수보다 차가우므로 각각의 희석조(51,52,53,54)의 하측에 체류하면서 대류 작용에 의해 순환되고, 설정온도 이상으로 점차적으로 설정 온도로 상승되려는 상층의 냉각수는 제1격벽(56)을 통해 제2희석조(52)로 월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staying in each of the dilution vessels 51, 52, 53 and 54 is cooled by the convection action in the process of staying in each dilution tank,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the upper layer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n the lower layer. If cool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 inlet 55b at this time, the newly introduced cooling water is colder than the cooling water staying in each diluting tank, The cooling water of the upper layer which is to be circulated by the convection action while staying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lution tank 52 (51, 52, 53, 54) and is gradually raised to the set temperature above the set temperature, ).

이러한 월류 작용은 제1희석조(51) 내지 제3희석조(53) 까지는 제1격벽(56) 내지 제2격벽(57)을 넘어가면서 서서히 설정 온도를 향해 상승되면서 월류하게 된다.This overflow action gradually rises from the first dilution tank 51 to the third dilution tank 53 while gradually exceeding the first and second diaphragms 56 to 57,

또한, 제4희석조(54)로 넘어가는 단계에서는 제3격벽(58)의 상측으로 월류되지 않고 제3격벽(58)의 중간부터 하측까지 형성된 다수의 월류공(59)을 통하여 제4희석조(54)로 하측 방향으로 냉각수가 밀려들어 가듯이 월류하게 되고 냉각수가 급격한 이동이 제한되면서 월류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passing to the fourth dilution tank 54, the fourth dilu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59 formed from the middle to the bottom of the third partition 58 without overflowing to the upper side of the third partition 58, As the coolant is pushed downward in the tank 54, the coolant is overflowed, and the coolant is swirled while abrupt movement is restricted.

따라서, 메인펌프(70)와 연결된 수조본체(55)의 배출관(55a)은 제4희석조(54)의 하측에 인접해 있으므로 상기 제1희석조(51) 내지 제3희석조(53)를 거쳐 제4희석조(54)의 하부로 월류되는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항시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discharge pipe 55a of the water tank body 55 connected to the main pump 70 is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the first dilution tank 51 to the third dilution tank 53 The cooling water flowing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at all times.

결국, 제4희석조(54)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유지한 냉각수는 메인펌프(70)와 연결된 배출관(55b) 통해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냉각수가 공급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oling water that maintains the set temperature stored in the fourth dilution tank 54 is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55b connected to the main pump 70 while the cooling water is maintained, And can be stably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정밀한 냉각수 온도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1희석조(51)와 제3희석조(53)의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pump 80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third diluting tank 53 for maintaining a more precis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 순환을 위한 입력포트(60)는 상기 제1희석조(51)의 중간부 또는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출력포트(61)는 상기 제3희석조(53)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펌프(80)의 배출관(82)은 상기 입력포트에 접속되고, 순환펌프(80)의 흡입관(81)은 상기 출력포트(61)에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ort 60 for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can be located at the middle or upper end of the first dilutation tank 51 and the outlet port 61 can b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dilutation tank 53 The discharge pipe 82 of the circulation pump 8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port and the suction pipe 81 of the circulation pump 8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61 .

즉, 제1희석조(51)에 냉각수는 유입구(55b)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고, 제3희석조(53)에 체류하고 있는 냉각수는 제2희석조(52)를 거쳐 월류되는 과정에서 설정온도와 가까지는 온도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cool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inlet 55b in the first dilution tank 51, the cooling water is kept below the set temperature, and the cooling water staying in the third dilution tank 53 flows through the second dilution tank 52 The temperature is kept close to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overflow.

이때, 상기 제3희석조(53)의 냉각수를 순환펌프(80)를 통하여 강제로 제1희석조(51)에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냉각수가 자연적으로 월류되는 작용에 비해 월류 순환 사이클을 보다 활성화 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3희석조(53)에 체류하고 있는 냉각수의 설정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제어하여 자연적인 월류 작용에 의한 냉각수 온도 유지 방법 보다 정밀한 냉각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of the third dilution tank (53)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tion tank (51)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80) for circulation, so that the circulation cycle is more activated than the natural cooling water So that the set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taying in the third dilution tank 53 is controlled to rise sharply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han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by the natural overflow action.

상기 제4희석조(54) 내부 바닥에는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체크하여 외부의 설정온도표시창에 표시하는 제2온도센서(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S2) for checking the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nd display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on an external set temperature display window on the inner bottom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상기 제4희석조(54)의 배출관(55a)은 상기 월류공(59)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펌프(70)의 흡입관(81)이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55a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9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81 of the main pump 7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격벽(57) 및 제3격벽(58) 하단 양측 모서리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냉각수 이동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냉각수의 월류 작용시 균일한 월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oling water passage (not shown) is formed at both lower corners of the second partition 57 and the third partition 58 so as to uniformly flow over the cooling water. Lt; / RTI >

상기 냉각수 이동통로는 제2격벽(57)을 기준으로 제1희석조(51) 및 제2희석조(52)의 냉각수가 제3희석조(53) 쪽으로 하측의 냉각수 일부가 지나들도록 함으로써 제2격벽(57) 상측으로 월류되는 냉각수의 흐름에 대응하여 냉각수가 유동되게 함으로써 균일한 월류 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cooling water of the second diluting tank 52 passes through a part of the lower cooling water toward the third diluting tank 53 on the basis of the second partition 57, The cooling water flows in correspondence with the flow of the cooling water overflowed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57, thereby allowing the uniform overflow action to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상기 제1희석조(51) 및 제4희석조(54) 측벽 하부에는 수조본체(55)의 내부 청소 및 관리를 위하여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드레인포트(63) 및 제2드레인포트(6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냉각수 이동통로를 통하여 제3희석조의 바닥에 잔류하게 되는 냉각수 또는 세척수가 제1드레인포트(63) 및 제2드레인포트(64)를 통하여 완전히 배출된다.A first drain port 63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and a second drain port 63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are provided under the sidewalls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fourth diluting tank 54 for cleaning and manag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55, (64)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is time, cooling water or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of the third dilution tank through the cooling water transfer passage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port 63 and the second drain port 64.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제1온도센서(S1)와 제2온도센서(S2)에서 얻어지는 냉각수 온도를 비교한 후 메인펌프(70)의 냉각수의 공급속도를 제어하고, 순환펌프(8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냉각수 정밀온도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obtain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S2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hen, the supply speed of the cooling water of the main pump 70 is controlled, And a cooling wate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water.

즉, 냉각수 정밀온도제어부에 의하면 열교환기(40)에서 설정온도 이하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값과 제4희석조(54)에 체류되는 설정온도 값에 근접한 냉각수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 편차 정도에 따라 상기 제1희석조(51)와 제3희석조(53)의 냉각수에 대해 순환펌프(8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제4희석조(54)의 냉각수의 설정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oling water precise temperature control sectio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value supplied to the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in the heat exchanger 40 is compared wit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close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staying in the fourth dilution tank 54,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set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circulation pump 80 with respect to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on tank 51 and the third dilution tank 53.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온도센서를 상기 제1희석조(51), 제2희석조(52) 및 제3희석조(53)에 각각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제1온도세선 및 제2온도센서(S2)의 냉각수 온도 값과의 편차를 비교한 후 각각의 희석조에서 감지되는 냉각수 온도 값과 비교하여 냉각수의 월류 흐름 속도를 순환펌프(80)의 작동하는 시간 또는 작동 시간 간격을 변화시켜 원하는 냉각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specifically in the drawing, temperature sensors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irst diluting tank 51, the second diluting tank 52 and the third diluting tank 53,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temperature fine line and the second temperature The deviation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value of the sensor S2 wit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value of the sensor S2 is compared wit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value sensed in each dilution tank so that the overflowing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is changed by changing the operating time or operating time interval of the circulation pump 8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한편, 본 발명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using the overflowing multi-step dilu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공급 관로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S1)로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여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공급관로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is controll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S1)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is maintained at the set temperature, .

다음으로,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수가 상기 유입구(55b)을 통해 제1희석조(51)에 공급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Next, cooling wate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ting tank (51) through the inlet (55b) and stored.

다음으로 상기 제1희석조(51)의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상층의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51)의 최상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상기 제2희석조(52)로 월류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Next,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is re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ooling water of the upper layer is overflowed to the second diluting tank (52) at a level low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

또한, 상기 제2희석조(52)에 유입된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상층의 냉각수를 상기 제1희석조(51)의 최상 수위층 선상에서 상기 제3희석조(53)로 월류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dilution tank 52 is re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ooling water in the upper layer is stored over the uppermost level stratum of the first dilution tank 51 by the third dilution tank 53 .

그리고, 상기 제3희석조(53)에 유입된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키면서 제4희석조(54)의 하측으로 유입되게 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third dilution tank (53) is allowed to flow into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while staying therei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stored.

보다 정밀한 냉각수 온도 제어를 위한 단계로서 상기 제4희석조(54)의 하부로 연결된 메인펌프(70)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희석조(51)와 제2희석조(52)의 냉각수는 상기 순환펌프(80)를 통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main pump 7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as a step for more precise control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51 and the second diluting tank 52 may be forcedly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ng pump 80.

또한, 상기 제4희석조(54)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제2온도센서(S2)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제4희석조(54)의 냉각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S2)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fourth dilution tank (54)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압축기 20: 응축기
21: 수액기(리시버탱크) 22: 필터드라이버
30: 팽창밸브 40: 열교환기
50: 월류형 냉각수 순환부재 51: 제1희석조
52: 제2희석조 53: 제3희석조
54: 제4희석조 55: 수조본체
56: 제1격벽 57: 제2격벽
58: 제3격벽 59: 월류공
60: 입력포트 61: 출력포트
63: 제1드레인포트 64: 제2드레인포트
70: 메인펌프 71: 흡입관
80: 순환펌프 81: 흡입관
82: 배출관
S1: 제1온도센서 S2: 제2온도센서
10: compressor 20: condenser
21: receiver (receiver tank) 22: filter driver
30: expansion valve 40: heat exchanger
50: overflow type cooling water circulation member 51: first dilution tank
52: second diluting tank 53: third diluting tank
54: fourth dilution tank 55: water tank main body
56: first partition 57: second partition
58: third partition wall 59:
60: input port 61: output port
63: first drain port 64: second drain port
70: main pump 71: suction pipe
80: circulation pump 81: suction pipe
82: discharge pipe
S1: first temperature sensor S2: second temperature sensor

Claims (6)

열교환기와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영역을 순환하며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는 통상의 냉각수 온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 온도를 감지 후,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여 냉각수를 설정 온도로 가변시키는 제1온도센서;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 저장되고,
수조본체의 내부 한쪽에 'T'형으로 제1격벽과 제2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격벽의 상단은 유입구의 위치와 동일하며, 상기 제1격벽의 상단은 상기 제2격벽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상기 유입구를 향하는 상기 제1격벽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희석조;
상기 제1희석조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1격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희석조;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격벽과 나란하게 간격을 유지하며 상단이 상기 제2격벽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고 표면 중심부에서 하부까지 복수의 월류공이 관통 형성된 제3격벽이 설치되면서 상기 제2격벽을 향하는 상기 제3격벽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희석조;
상기 제3희석조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3격벽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4희석조; 및
상기 제4희석조의 하부에 배출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냉방 또는 난방부하 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3희석조와 상기 제1희석조가 흡입관과 배출관에 의해 순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3희석조의 냉각수와 상기 제1희석조의 냉각수가 강제적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제4희석조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를 체크하여 외부의 설정온도표시창에 표시하도록 제2온도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
1. A conventional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circulating a heat exchanger and a cooling or heating load region and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to change the cooling water to a set temperature after detecting a cooling water supply temperature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e cool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A first diluting tank formed inside the first partition toward the inlet while being formed at a lower level;
A second diluter located outside the first partition to face the first diluter;
A third partition wall having an upper end formed to be higher than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artition in parallel to the second parti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n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to a lower portion, A third diluting tank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hird partition wall facing the two partition walls;
A fourth diluting tank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artition to face the third dilution tank; And
And a main pump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through a discharge pipe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e third dilution tank and the first dilution tank ar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by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cooling water of the third dilution tank and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on tank are forcedly circulated, 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to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heating load side and to display it on an external set temperature display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따른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공급관로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로 상기 열교환기 가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공급관로로 공급시키는 단계;
설정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상기 냉각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1희석조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제1희석조의 상기 냉각수가 일정 시간 체류되면서 상기 제2희석조로 월류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제2희석조에 유입된 상기 냉각수를 일정 시간 체류되면서 상기 제3희석조로 월류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제3희석조에 유입된 상기 냉각수가 일정 시간 체류되면서 상기 제3희석조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월류공을 통해 상기 제4희석조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제4희석조의 하부로 연결된 메인펌프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 측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
A method for accurately controlling cooling water temperature us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preci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from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by a firs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supply pipe;
The cooling water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first dilution tank through the inlet and is stored;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is stored and stored in the second diluting tank while staying therein for a predetermined time;
Storing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dilution tank while being flown with the third dilution tank while staying therein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third dilution tank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dilution tank through the through-hole located below the third dilution tank while being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red;
And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through the main pump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dilution tan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희석조와 상기 제3희석조의 냉각수를 상기 순환펌프를 통해 강제 순환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cibly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of the first diluting tank and the third diluting tank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희석조 내부에 설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냉방 또는 난방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제4희석조의 냉각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잉 다단계 희석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온도 정밀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f the fourth dilution tank supplied to the cooling or heating load side via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fourth dilution tank as an external, A Method for Precise Control of Coolant Temperature Using.

KR1020160102126A 2015-08-12 2016-08-11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 KR1018496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3886 2015-08-12
KR1020150113886 2015-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60A KR20170020260A (en) 2017-02-22
KR101849692B1 true KR101849692B1 (en) 2018-04-18

Family

ID=5831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26A KR101849692B1 (en) 2015-08-12 2016-08-11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32B1 (en) * 1996-10-07 1999-06-15 이상운 Water-cooled heat circulation cooling system
KR100759036B1 (en) 2006-04-10 2007-09-17 한국식품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ow-temperature cooling water
KR200453569Y1 (en) 2008-11-14 2011-05-1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a water-trap of boiler
JP7021376B2 (en) * 2021-01-06 2022-02-16 Kddi株式会社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788Y1 (en) 2004-10-13 2005-03-10 홍성화 Refrigerator for drinking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32B1 (en) * 1996-10-07 1999-06-15 이상운 Water-cooled heat circulation cooling system
KR100759036B1 (en) 2006-04-10 2007-09-17 한국식품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ow-temperature cooling water
KR200453569Y1 (en) 2008-11-14 2011-05-1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a water-trap of boiler
JP7021376B2 (en) * 2021-01-06 2022-02-16 Kddi株式会社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60A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9870B2 (en) Heat exchanger
CN105008825B (en) Air cooled chiller with heat recovery
CN102016458B (en)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nt amount determining method
JP6359102B2 (e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JP2019507862A (en) Heat exchanger
CN107110516B (en) Air-conditioning heat pump system and evaporative cooling system
JP2015518132A (en) Heat exchanger
US20150300716A1 (en) Ice maker
KR101849692B1 (en) Cooling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recisely and precisely control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thod using an overflow-type multi-stage dilution
KR102201746B1 (en) Economizer comprising condenser and turbo chiller comprising the same
US2247107A (en) Refrigerant evaporator
CN105841374A (en) Cooling system
KR101859944B1 (en) Precisely coolant temperature controllable cooling system
KR101343462B1 (en) Ice-making and cooling system
JPH102652A (en) Cooling device provided with water tank
KR1012015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epping valve of kimchi refrigerator
KR102018610B1 (en) Control method of air dryer
EP3367021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206626853U (en) Heat pump type heating device
KR101511838B1 (en) Fluid­fluid heat exchager and heat exchange method using it
CN105737436A (en) Water chilling unit integrating air cooling and compression refrigeration and control method
JP2014145554A (en) Air conditioner and accumulator
CN204115532U (en) A kind of vertical type evaporator
CN106482232A (en) Window air conditioner
JP2017146042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