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282B1 -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282B1
KR101848282B1 KR1020170006544A KR20170006544A KR101848282B1 KR 101848282 B1 KR101848282 B1 KR 101848282B1 KR 1020170006544 A KR1020170006544 A KR 1020170006544A KR 20170006544 A KR20170006544 A KR 20170006544A KR 101848282 B1 KR101848282 B1 KR 10184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terminal
call
threshold valu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5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기옥
Original Assignee
백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기옥 filed Critical 백기옥
Priority to KR102017000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2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56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RF communication part for supporting RF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peaker for outputting call voice; a microphone for inputting user′s voic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an inertial sensor for sensing movement; and a control part which switches into a communication mode with a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image and the movement and activates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when an incoming call event where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which is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through 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part.

Description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ll connection / termin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선행동작 없이도 통화를 연결 및 종료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connect and terminate a call without performing a preceding operation.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이나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pread and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have reached the stage of mobile convergence, which does not stay in the conventional inherent domain but covers other terminals. Typ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ching TV or searching the Internet in addition to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an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 역시,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벨이 울리면 메인 버튼을 누르거나 아이콘을 밀거나 흔드는 등의 여타 행위로 전화를 받아야 했다.In order to make a call connectio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had to receive a call when the bell rings, for example, by pressing the main button, pushing or shaking the icon, or the like.

그러나 이와 같이 전화 통화를 위해 메인버튼 조작, 아이콘 터치, 흔드는 행위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사전 행위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통화를 위한 다른 별도의 사전 행위없이 통화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However, since the main button operation, the icon touch operation, and the shak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for the telephone conversation, it is troublesome to make a call in adv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of making a call without any other prior action for the call.

한국공개특허 10-2006-003792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3792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통화를 연결 및 종료함에 있어서 사용자 불편없이 간편한 통화 연결/종료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call connection / termination means without user inconvenience in connecting and ending a call.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동통신망과 RF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RF통신부; 통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감지하는 관성 센서; 및 상기 단말기 RF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인 상대방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콜이 수신되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주변 영상과 상기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RF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peaker for outputting call voice; A microphone for inputting user's voic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An inertial sensor for sensing movement;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o a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eripheral image and the movement in a state where a call reception event is received in which an incoming call from another counterpart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speak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할 수 있다.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imag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brightness threshold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the call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activate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can do.

상기 휘도 임계값은, 휘도 제1임계값<제2휘도 임계값<제3휘도 임계값의 관계를 가지는 복수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휘도 제1임계값 이하에 있는 경우 제1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상기 휘도 제1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2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1음량보다 큰 제2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상기 휘도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3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2음량보다 큰 제3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luminance threshold value is a plurality of luminance threshold values having a relationship of a first threshold luminance value, a second luminance threshold value, and a third luminance threshold value, and wherein, in a state where the called call event is generated, When a luminance of a surrounding image is lower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of luminance, the apparatus switches to a call mode having a first volume, and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a second volum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ume when the luminance is below a second threshold value whil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and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When the luminance of the first luminance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of luminance and is within the third threshold of luminance, the third mode changes to a communication mode having a third volume that is larger than the second volu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를 스피커폰 통화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call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o the speakerphone call mode when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value in a state in which no motion is det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Can be characterized.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의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기기의 블루투스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기기를 이용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witch to a call mode using the earphone or the Bluetooth device when the wired connection of the earphone or the Bluetooth wireless connection of the Bluetooth device is establishe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구동 전력의 제공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전원 버튼; 및 볼륨을 조절받는 볼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눌리어진 상태에서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관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화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ower button for on / off switching of provision of driving power; And a volume button for adjusting a volume of the imag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image exceeds a preset brightness threshold, Mod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terminated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sensed by the inertial sensor exceeds a preset motion threshold value.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볼륨을 조절받는 볼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과 볼륨 버튼이 동시에 1회 눌리어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 전환을 거절할 수 있다.Wherein when the power button and the volume button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olum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ject the call mode switching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편리함 추구의 기본 욕구를 극대화 하며 위험한 작업이나 장소에서 수신을 위한 일체의 추가 동작 없이 바로 통화를 함으로써, 핸드폰을 한번 이라도 덜 주시하고 덜 조작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고 손에서 떨어트리는 등의 실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ing the basic desire for convenience and making calls immediately without any additional action for dangerous work or reception at the place, The tree can reliably prevent mistake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 통화 연결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빠른 움직임에 의한 통화 종료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 버튼과 볼륨 버튼의 눌리어짐에 의해 통화 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call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unterp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switching to a speakerphon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ll is terminated due to rapid mov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ll is rejected by depression of a power button and a volum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 통화 연결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빠른 움직임에 의한 통화 종료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 버튼과 볼륨 버튼의 눌리어짐에 의해 통화 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termination due to a fast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ll is rejected by depression of a power button and a volum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화 수신을 확인 후 여타 일체의 다른 행위가 없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귀에 대면 즉시(처음1회 한) 통화 모드로 전환되고 통화 종료 또한 통화 종료시에 기기의 측면 전원 버튼(170)을 누른 상태에서 귀로부터 이격시키면 즉시 종료되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이하, '상대방 단말기(200)'라 함)와 통화 모드로 전환됨에 있어서, 별도의 조작없이도 이동통신의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ar without any other action after confirming the reception of the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mmediately switch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e. If you keep it pressed away from your ear, you should end it immediately.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unterpart terminal 200) of a calling party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When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can be mad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참고로, 여기서 이동통신망(300)이라 함은,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300)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cludes a base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clud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 To support data communication.

또한 이하 설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라 함은,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피처폰, 스마트와치 등의 다양한 통신단말기가 모두 해당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fers to a terminal that makes a call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may be a varie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feature phone, and a smart watch.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RF통신부(110), 스피커(120), 마이크(130), 카메라(140), 관성 센서(16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전원 버튼(170), 볼륨 버튼(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110, a speaker 120, a microphone 130, a camera 140, an inertial sensor 160, and a controller 150 ). In addition, a power button 170 and a volume button 180 may be further included.

단말기 RF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300)과 RF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즉, 이동통신망(300)을 통하여 외부의 상대방 단말기(200)와 통화를 지원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110 is a module for support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That is, when performing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or 4G as a module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unterpart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an RF A transmitter (not shown),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and the like.

스피커(120)는 통화 음성이 출력되는 모듈이며,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모듈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통화를 할 때, 마이크(130)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상대방 단말기(200)로 제공되며, 스피커(120)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The speaker 120 is a module for outputting a voice call, and the microphone 130 is a module for inputting voice of a user. Accordingly,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a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130,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to the partner terminal 200 and can hear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speaker 120.

카메라(140)는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생성한다. 참고로, 카메라(140)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로 이루어져,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The camera 140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to generate a surrounding image. For reference, the camera 140 may include a lens assembly, a filter, a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module. The lens assembly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The focus distance of the lens can be shif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ocus motor MF. The filters include an optical low pass filter and an optical low pass filter. And may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An optical low-pass filter removes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f optical noise, while the Infra-Red cut filter blocks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is composed of an image pickup element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and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관성 센서(16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러한 관성 센서(160)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모두 해당될 수 있다.The inertial sensor 160 detects mov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inertial sensor 160 may be any sensor that can sense movement, such a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전원 버튼(17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말기 RF통신부(110), 스피커(120), 마이크(130), 카메라(140), 관성 센서(160), 제어부(150) 등의 각 구성부에 구동 전력의 제공은 온/오프 스위칭하는 버튼이다.The power button 170 is connected to the RF communication unit 110, the speaker 120, the microphone 130, the camera 140, the inertial sensor 160, and the controller 1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ing drive power to the part is a button for on / off switching.

볼륨 버튼(180)은,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사용자로부터 조절받을 수 있는 버튼이다.The volume button 180 is a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size of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0.

제어부(150)는, 단말기 RF통신부(110)를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인 상대방 단말기(200)로부터의 착신 콜이 수신되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주변 영상과 상기 움직임에 따라서 상대방 단말기(200)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마이크(130)와 스피커(120)를 활성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110 to receive the incoming call from the oth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event,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microphone 130 and the speaker 120 by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하드웨어적으로 MCU(Main Control Unit)과 같은 프로세스 처리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시에 어플리케이션(앱)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본 발명의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할 수 있다.For this,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 processing chip such as an MCU (Main Control Unit) in hardware, bu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application)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mplemented with a smart phone or the like can install, add or delete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as desired by the user,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 user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 termination function that does not require a preceding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a Google market, an Apple store, or the like.

제어부(150)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주변 영상과 움직임에 따라서 상대방 단말기(200)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switches to a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in accordance with the peripheral image and the mov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하나는, 착신벨이 울리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파지하여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 갖다 대는 순간(약 1cm~5cm),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제어부(150)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고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200)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이크(130)와 스피커(120)를 활성화한다.One is that when the incoming call r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mode at a moment (about 1 cm to 5 cm) when the user grasp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br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lose to the user's ear.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controller 150 to switch th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when motion is detected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So that the microphone 130 and the speaker 120 are activated.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움직여서 사용자 귀에 붙이게 되면, 카메라(140)로 입력되는 빛이 차단되어 주변 영상의 휘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에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의 귀에 갖다 대어졌다고 판단하고,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이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ved and attached to the user's ear, the light input to the camera 140 is blocked and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owered. Accordingly, if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value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brought into the user's ear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call mode.

나아가 본 발명은 측정되는 주변 영상의 휘도의 크기에 따라서 통화 모드의 통화 음량을 달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귀에 갖다 붙이면 귀에 의해 카메라(140)가 덮여져서 감지되는 주변 영상의 휘도가 낮아지며,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귀에서 멀리 할수록 카메라(140)에서 감지되는 주변 영상의 휘도가 높아진다.이렇게 이동통신단말기(100)가 귀에서 멀어질수록 통화 음량을 높이는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volume of the call mod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to be measured. When the user atta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ear, the brightness of the peripheral image sensed by covering the camera 140 with the ear is lowere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ved away from the ear, The brightn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reases.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ves away from the ear, the volume of the call increases.

이를 위해 휘도 임계값은, 휘도 제1임계값<제2휘도 임계값<제3휘도 임계값의 관계를 가지는 복수개를 가지도록 한다.To this end, the luminance threshold value has a plurality of luminance threshold values <second luminance threshold value <third luminance threshold value.

제어부(150)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주변 영상의 휘도가 휘도 제1임계값 이하에 있는 경우 제1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50 switches to the call mode having the first volume when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또한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주변 영상의 휘도가 휘도 제1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2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1음량보다 큰 제2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exceeds the first threshold of luminance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and the luminance is within the second threshold value or less and the second volume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ume, Mode.

또한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주변 영상의 휘도가 휘도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3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2음량보다 큰 제3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of luminance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and th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nd the third volume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ume, Mode.

한편, 통화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다른 두 번째 방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둔 채로, 사용자의 손을 움직여서 카메라(140)를 가리게 되면 스피커폰의 통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200)와의 통화 모드를 스피커폰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정지 상태(일정 거리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것-적당한 진동은 정지상태로 봄)에 있을 때 손으로 기기의 인식(물체 근접 감지 인식 포함) 부위에 덮어주면(반드시 접촉은 아님) 바로 스피커폰으로 전환되고 그 후 기존 기능 유지(이 기능의 선택은 사용자가 on/off할 수 있음)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mod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the call mode is to m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out moving and move the user's hand to cover the camera 140, Mode. For this, 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the luminance of the ima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value in a state in which no mo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all mode to the partner terminal 200 as a speakerphone call Mode. That is,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vered with a hand (including recognition of object proximity detection) with the h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stopped state (not moving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Not directly) to the speakerphone and then to keep the existing function (the selection of this function can be turned on / off by the user).

한편, 제어부(150)는, 통화 모드로 전환 시에, 이어폰의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기기의 블루투스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기기를 이용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의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기기의 블루투스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피커(120)가 활성화되지 않고 외부에 연결된 이어폰이나 블루투스기기를 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라 함은, 근거리 스마트폰, 이어폰, 노트북 등의 휴대 기기간의 사진, 음성 등을 정보를 전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o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150 can switch to a call mode using an earphone or a Bluetooth device when a wired connection of an earphone or a Bluetooth wireless connection of the Bluetooth device is established. Therefore, when the wired connection of the earphone or the Bluetooth wireless connection of the Bluetooth device is established, the speaker 120 is not activated and can make a call through the earphone or Bluetooth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Here, the term "bluetooth" refers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photographs and voice between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n earphone, and a notebook.

한편,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통화를 종료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통화 모드를 종료하는 두 가지 방식을 제안한다.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end a call upon user's request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and suggests two methods of terminating the call mode.

통화 모드를 종료시키는 첫 번째 방식은,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자 할 때 전원 버튼(170)을 누르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귀에서 멀리 떼는 경우, 통화 모드가 종료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전원 버튼(170)이 눌리어진 상태에서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종료시킨다. 통화시에 사용자의 귀에 가려져 카메라(140)로 입력되지 않던 빛이, 이동통신단말기(100)를 귀에서 멀리 하게 되면 카메라(140)로 많은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을 초과하게 되기 때문에, 이럴 경우, 사용자의 통화 종료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통화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이다.The first mode of terminating the call mode is to terminate the call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ved away from the ear while depressing the power button 170 when the user wishes to terminate the call. For this, the control unit 150 terminates the call mode when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image exceeds a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value in a state where the power button 170 is pressed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When the light that has not been input to the camera 140 due to the user's ears being touched at the time of talking moves away from the ea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way from the ear, much light enters the camera 140,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user's call end point and the call mode is terminated.

통화 모드를 종료시키는 다른 두 번째 방식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크게 흔드는 경우 통화 모드를 종료시킨다.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관성 센서(160)(자이로 센서, 가속도센서 등)를 이용하여 좌우로 흔드는 등의 모션이 발생될 때, 움직임의 정도가 크다면 통화 모드를 종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관성 센서(16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통화 모드를 종료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Another method for ending the call mode is to terminate the call mode when the user shak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When a motion such as rocking to the left or right is generated by using the inertial sensor 160 (gyro sensor,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f the degree of motion is large, the communication mode is terminated. For this, 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control to terminate the call mode when the magnitude of the motion sensed by the inertial sensor 160 exceeds a preset motion threshold value after switching to the talk mode.

한편, 다른 이동통신단말기(100)인 상대방 단말기(200)로부터의 착신 콜이 수신되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서 해당 전화를 안받고 거절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착신 거절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70)과 볼륨 버튼(180)이 동시에 1회 눌리어지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200)와의 통화 모드 전환을 거절한다. 따라서 이러한 통화 거절이 발생되면, 통화를 할 수 없다는 통화 불가 메시지 등이 상대방 단말기(200)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ncoming call event is received in which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which is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sometimes does not want to accept the call and declines the call. 5, when the power button 170 and the volume button 180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 Rejects the call mode switch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Accordingly, when such a call rejection occurs, a call disabled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can not be mad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20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assis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이동통신단말기 110:단말기 RF통신부
120:스피커 130:마이크
140:카메라 150:제어부
160:관성 센서 170:전원 버튼
180:볼륨 버튼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120: speaker 130: microphone
140: camera 150:
160: inertia sensor 170: power button
180: Volume button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망과 RF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RF통신부;
통화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움직임을 감지하는 관성 센서; 및
상기 단말기 RF통신부를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인 상대방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콜이 수신되는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주변 영상과 상기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하며,
상기 휘도 임계값은, 휘도 제1임계값<휘도 제2임계값<휘도 제3임계값의 관계를 가지는 복수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휘도 제1임계값 이하에 있는 경우 제1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상기 휘도 제1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2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1음량보다 큰 제2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후 상기 주변 영상의 휘도가 상기 휘도 제2임계값을 초과하면서 휘도 제3임계값 이하의 구간에 있는 경우 제2음량보다 큰 제3음량을 가지는 통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 이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를 스피커폰 통화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A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RF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peaker for outputting call voice;
A microphone for inputting user's voic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An inertial sensor for sensing movement; And
Wherein the terminal is switched to a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eripheral image and the motion of the called party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RF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speaker;
Lt; / RTI &gt;
Wherein,
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when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brightness level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the microphones and the speaker are activated by switch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brightness threshold value is a plurality of brightness first threshold values <second brightness threshold value <third brightness threshold value,
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a call mode having a first volume when the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of luminance after the motion is detected,
If a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exceeds a luminance first threshold value and a luminance value falls below a second threshold value after a motion is detected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Switches to the call mode,
If a luminance of the peripheral image exceeds a luminance second threshold value and a luminance is lower than a third threshold value after a motion is detected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Lt; / RTI &gt; switches to the call mode,
Wherein when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and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ima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value in a state in which no motion is detected, th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peakerphone conversation mo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ll connection / termination function that does not require a preceding oper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어폰의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기기의 블루투스 무선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기기를 이용한 통화 모드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switched to a call mode using the earphone or the Bluetooth device when the wired connection of the earphone or the Bluetooth wireless connection of the Bluetooth device is establish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구동 전력의 제공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전원 버튼; 및
볼륨을 조절받는 볼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눌리어진 상태에서 주변 영상의 휘도가 미리 설정된 휘도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통화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관성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움직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통화 모드를 종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4,
A power button for on / off switching of provision of driving power; And
And a volume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image after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or after the brightness of the peripheral image exceeds a preset brightness threshold or switch to the call mode And terminating the call mode when the size of the movement exceeds a preset motion threshold valu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볼륨을 조절받는 볼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신 콜 이벤트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과 볼륨 버튼이 동시에 1회 눌리어지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 모드 전환을 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동작 불필요한 통화 연결/종료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6,
And a volume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Wherein when the power button and the volume button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the incoming call even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jects the call mode switchin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rmination function.
KR1020170006544A 2017-01-13 2017-01-13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KR101848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544A KR101848282B1 (en) 2017-01-13 2017-01-13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544A KR101848282B1 (en) 2017-01-13 2017-01-13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282B1 true KR101848282B1 (en) 2018-05-28

Family

ID=6245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544A KR101848282B1 (en) 2017-01-13 2017-01-13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2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089A (en) * 2000-07-05 2002-01-25 Toshiba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833106B1 (en) * 2006-11-2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089A (en) * 2000-07-05 2002-01-25 Toshiba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833106B1 (en) * 2006-11-2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693B1 (e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US11653398B2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US9418525B2 (en) Monitoring system
CN105094732B (en) Screen display method and device
US9479354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JP2010154407A (en) Telephone communication device
CN113923612A (en) Call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64539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ling telephone number, fixed telephone and mobile terminal
US9692870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US8848016B2 (en) Videophone input apparatus utilizing video call control functions based on open and closed positions of cover part
KR101848282B1 (en) Mobile phone with call connection/end function
KR10146071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635378A (en) Call quality adjusting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20078978A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CN111800836B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5220684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nd lip reading processing program
CN109618062B (en) Voice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0177898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090061156A (en) Remote controller with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moving picture communication for changing mode by using sensor and a method thereof
JP5887543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1013663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 Input/Output Voice thereof
JP2016027500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monitoring camera system
JP2015126313A (en) Radio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249937Y1 (en) A voice-cognizable portable movie-telephone apparatus with an interrupt-generator
CN118102175A (en) Audi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