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159B1 -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159B1
KR101848159B1 KR1020160127451A KR20160127451A KR101848159B1 KR 101848159 B1 KR101848159 B1 KR 101848159B1 KR 1020160127451 A KR1020160127451 A KR 1020160127451A KR 20160127451 A KR20160127451 A KR 20160127451A KR 101848159 B1 KR101848159 B1 KR 10184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ad
camera
light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영
이보연
Original Assignee
이한영
이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영, 이보연 filed Critical 이한영
Priority to KR102016012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1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 depress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depress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ation comprises: a fixed unit detachably fix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a lamp light source provided therein, and having a guide hole for exposing the camera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 pressurizing pad arranged in a lower part of the guide hole, and protruding from a back surface of the fixed unit to pressurize a tongue due to oral insertion; and an optical guide having an incident surface formed on a first surface facing the lamp light source, having an exit surface on a second surface facing a mouth, and having a light guide unit inducing lamp light incident to the incident surface formed between the incident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부에 장착된 가압패드를 이용해 혀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해 구강 내부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d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d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의료 진료시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확인하고자 의사들은 압설자를 이용해 혀를 눌러 주어 구강 내부에서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Generally, in medical practice, in order to check the oral condition of a patient, doctors use a tongue to press the tongue to secure a view in the oral cavity

이러한 압설자(壓舌子, tongue depressor)는 의사가 환자의 입 안이나 목구멍을 들여다볼 때 혀를 아래로 누르는 데 사용하는 의료 기구로서, '혀누르개'나 '설압자'로 불리기도 한다. Such a tongue depressor is a medical device used by a doctor to push his or her tongue down when looking into a patient's mouth or throat, sometimes called a tongue depressor or a tongue depressor.

이러한 압설자를 이용하여 검진할 수 있는 구강 내 질환들은 자가 진단이 불가능하므로 산간벽지 마을이나 오지마을에서는 힘들게 진료기관을 방문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Since oral diseases that can be examined by using these pressure ulcers can not be self-diagno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isit the medical institutions in mountain village and village.

또한, 구강 내 질환은 병원방문이 시급하지 않은 경증 질환이 대부분이고, 진료기관의 방문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구강 내 질환을 방치하는 경우에는, 초기 치료시기를 놓쳐 증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In addition, oral disease is a mild disease that is not urgently needed for a visit to the hospital, and when the oral disease is neglected because of difficulty in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initial treatment time is missed and the symptoms are worsened.

한편,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컴퓨터와 인터넷은 물론 관련 소프트웨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원격진료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컴퓨터와 관련 소프트웨어의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환자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Meanwhile, recently, a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using the Interne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However, such a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is required to have a computer and an Internet as well as related softwar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telemedicine services in areas where computers and the Internet are not available, and patients who are not skilled in manipulating computers and related software have difficulty in using telemedicine services.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2-0037023호 (2002.12.11)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037023 (2002.12.1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와 조명광원을 이용해 구강 내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혀를 눌러 구강 내 인후부의 상태가 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원격지의 의사에게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ideo image acquired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a doctor at a remote site so that the effect of the patient and the doctor being able to face each other in a remote place can be provid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와 조명광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안내홀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패드; 및 상기 조명광원과 마주하는 제1면에 입사면이 형성되고, 구강을 향하는 제2면에 출사면이 되며,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 사이에는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조명 광을 출사면으로 유도하는 도광부가 형성된 광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xing part detachably fix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having a guide hole exposing a camer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 pressing pad project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so as to be pressed into the tongue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th; And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for illumina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ce surface to the emission surface between the incidence surface and the emission surface, wherein the incidence surface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a light guide formed with a light guid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ght guid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출사면의 후방에 배치되어 난반사에 의한 측광을 정면광으로 제공하는 프리즘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ight guide includes a prism pattern disposed at the rear of the exit surface to provide metering by diffused reflection as front light.

또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조명 광을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ight guid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toward the exit surface.

또한, 상기 가압패드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패드의 후단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출사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sing pa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또한, 상기 가압패드는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sing pa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패드의 후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가압패드를 이용해 혀를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xing portion, a second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with the pressing pa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ngue is enga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ngue is pressed.

또한,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가압패드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레일홈과 레일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ail groove and a rail projectio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and the pressing pad fac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또한, 상기 가압패드의 상측면에는 요철형태의 눈금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ad is provided with graduations of irregularities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출사면 중 상기 가압패드의 상부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구강내부를 향해 조명 광을 출사하는 조명출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llumination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illumination light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pressing pad in the emitting surface.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조명출사부를 노출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for exposing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광가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light guide is received,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수용홈에 광가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마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cover closing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in a state that the light guid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또한, 상기 수용홈과 커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광반사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oating layer for light reflec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와 조명광원을 이용해 구강 내 영상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혀를 눌러 구강 내 인후부의 상태가 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원격지의 의사에게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ocess of acquiring an intraoral image using a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splay the state of the mouth in the oral cavity by pressing the tongue, A doctor for insta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hich can provide the same effect as when a patient and a doctor face each other directly in a remote place.

또한, 가압패드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압패드의 반복사용에 따른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prevent a secondary infection caused by repetitive use of a pressure pad by allowing a pressure pad to be easily exchang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명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이 조명출사부 및 가압패드로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광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light loss by effectively causing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guided to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and the pressure pad.

또한,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압패드가 고정부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prevent a pressure pad detachably assembled to a fix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a fixed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따른 가압패드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8; Fig.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고정부(110)와, 가압패드(120)와, 광가이드(130) 및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cludes a fixing part 110, a pressure pad 120, a light guide 130, and a cover 140.

상기 고정부(110)는 카메라(S1)와 조명광원(S2)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10)의 고정위치가 임의로 이동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S)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unit 110 is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having the camera S1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and,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coupling force to such an extent as to prevent the fixed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or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

이러한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된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부에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카메라(S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메라(S1)를 노출시키는 안내홀(111)이 카메라(S1)의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광가이드(130)가 수용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111)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수용홈(112)과 연통하는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3)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수용홈(112)과 연통하는 제1결합부(114)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14)는 가압패드(120)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가압패드(1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결합부(114)는 혀를 압박하는 힘이 작용하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가압패드(120)의 결합위치가 안내되도록 제1결합부(114)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normal mobile phone cas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ssembled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 guide hole 111 for exposing the camera S1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and the light guide 130 is received on th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a through hole 11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guide hole 111. In the lower region of the through hole 113, A first engaging portion 11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2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 is for coupling the pressing pad 120 in a detachable form and in order to prevent the pressing pad 12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4 is formed along a second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a force for pressing the tongue acts. Further,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4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ad 120 is guided.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110)는 휴대폰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부(110)에 연결되는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1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결합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the meantime, the fixing portion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mobile phone case. However,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10,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nother type of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movement.

아울러,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1) 역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1)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결합강도를 제공하면서도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4 and 121 are also slidably coupl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ourse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Various coupling methods that can easily be attached and detached while providing a coupling strength that can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4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can be applied.

상기 가압패드(12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납작한 막대 형태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패드(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1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121)가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요철형태의 눈금(122)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pressing pad 120 is made of a transparent rod-shaped transparent material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so as to press the tongue, and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art 114 And a scale 122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is arranged at an equal interval on the upp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14)는 일측이 개방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홈의 상단과 하단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21)는 상기 제1결합부(114)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1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2결합부(121)는 상기 제1결합부(114)에 슬라이딩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114)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걸림턱과 걸림돌기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압박하는 과정에서 제2결합부(121)가 제1결합부(114)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with one side opened, and the engaging jaw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roove, respectivel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may be receiv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 Accordingl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After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the engaging jaw and the engaging projec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

상기 광가이드(optical waveguide, 13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광원(S2)과 마주하는 제1면에 형성되는 입사면(131)과, 구강을 향하는 제2면에 형성되는 출사면(132)과, 상기 입사면(131)과 출사면(132) 사이에는 상기 입사면(131)으로 입사된 조명 광을 출사면(132)으로 유도하는 도광부와, 상기 출사면(132)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관통홀(113)을 통해 노출되는 볼록렌즈 형태의 조명출사부(132a)와, 난반사에 의한 측광(side light)을 상기 조명출사부(132a)를 향해 정면광(front light)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제2면상에서 상기 조명출사부(132a)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프리즘패턴(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패드(120)가 카메라(S1)의 하부영역에서 카메라(S1)의 주광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패드(120)의 후단부는 상기 광가이드(130)의 출사면 중 카메라(S1)의 광축(optical axis)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된다.The optical waveguide 1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n incident surface 131 formed on a first surface facing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and an exit surface 131 formed on a second surface facing the mouth A light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131 to the exit surface 132 between the incident surface 131 and the exit surface 132, A convex lens shaped illumination output part 132a which is provid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and a side light directed to the illumination output part 132a as front light so as to provide side light by irregular reflection And a prism pattern 135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s positioned on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130 so that the pressing pad 120 can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in a lower region of the camera S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under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과 카메라(S1)의 위치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모델 종류별로 상이하므로, 고정부(110)의 안내홀(111)과 광가이드(130)의 입사면(131) 위치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모델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광부는 입사면(131)과 출사면(13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입사면(131)으로 입사되는 조명 광을 출사면(132)을 향해 반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positions of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and the camera S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differ depending on the model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guide hole 111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light guide S2 1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The light guid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131 toward the exit surface 132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cident surface 131 and the exit surface 132 can do.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이 카메라(S1)의 측방에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따라, 광가이드(130)의 입사면(131)은 카메라(S1)의 일측에 위치하는 조명광원(S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도광부는 상기 입사면(131)으로 입사된 조명 광의 광 경로 상에 경사배치되어 조명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제1반사면(133)과, 상기 제1반사면(133)에 의해 반사된 조명 광을 출사면(132)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1반사면(133)의 하부에 경사배치되는 제2반사면(13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mera S1, for example. The incident surface 131 of the light guide 13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ng light source S2 located at one side of the camera S1 and the light guiding portion is illuminated by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131 A first reflecting surface 133 that is disposed obliquely on the light path of the light so as to reflect the illumination light downward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33 that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33 toward the exit surface 132 And a second reflecting surface 134 which is disposed obliquely below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33. [

상기 가압패드(120)의 제2결합부(121)가 고정부(110)의 제1결합부(114)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패드(120)의 후단부가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에 밀착되므로, 출사면(132)으로 반사된 조명 광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압패드(120)의 내부로 유도되고, 가압패드(120)의 내부로 유도된 조명 광은 가압패드(120)의 외표면을 통해 방출된다.
이때, 상기 가압패드(120)의 후단부는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 중 상기 카메라의 광축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밀착되므로, 상기 가압패드(120)는 카메라(S1)의 광축 하부영역에서 카메라(S1)의 광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외표면을 통해 조명광을 방출한다. 따라서, 카메라(S1)의 광축 하부영역에서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아래로 누른 상태로 인후부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패드로부터 방출된 조명광으로 인해 혀의 상태나 가압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s positioned on the outgo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13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ngaging part 121 of the pressing pad 12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art 114 of the fixing part 110. [ The illumination light reflected by the exit surface 132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press pad 12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illumination light guided into the inside of the press pad 120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press pad 120 ). ≪ / RTI >
Since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below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to emit illumination light through the outer surfa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video image of the throat by pressing the tongue downward by using the pressing pad 120 in the region below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and by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pressing pad, .

한편, 상기 가압패드(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14)와 나란한 방향으로 레일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에는 상기 레일홈(123)과 맞물리는 레일돌기(132b)가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1)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패드(120)의 레일홈(123)이 광가이드(130)의 레일돌기(132b)와 맞물리면서 광가이드(130)와 가압패드(120)의 광 전달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A rail groove 123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The rail groove 123 is formed in the exit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 123 ar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engag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rail groove 123 of the pressing pad 120 is engaged with the rail protrusion 132b of the light guide 130,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area of the light guide 130 and the pressing pad 120 increases.

상기 커버(140)는 상기 수용홈(112)에 광가이드(1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S)를 향해 개방된 수용홈(112)의 개구를 마감하는 것으로, 입사면(13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조명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The cover 140 closes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2 opened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n a state that the light guide 13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a through hole for passing illumination light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아울러, 조명광원(S2)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광이 상기 도광부를 통해 출사면(132)으로 유도되는 과정에서 커버(140)나 고정부(110)에 흡수되어 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112)과 커버(140)의 내측면에는 광반사를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illumination efficiency of light absorbed by the cover 140 and the fixing unit 110 from being lowered during the process of guiding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to the exit surface 132 through the light guide unit, It is preferable that a coating layer for light refl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cover 140.

지금부터는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따른 가압패드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and FIG.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ressure pad is detached according to an extenso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동통신 단말기(S)의 후면부를 탄력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S)에 조립된다.4, the fixing unit 110 is formed as a cas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assemb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n a manner of elastically wrapping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고정부(110)가 이동통신 단말기(S)에 조립된 상태에서, 카메라(S1)는 고정부(110)의 안내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조립된 가압패드(120)는 카메라(S1)의 광축 하부영역에서 카메라(S1)의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패드(120)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혀를 눌러주면, 이동통신 단말기(S)의 카메라(S1)를 이용해 구강 내의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The camera S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111 of the fixing part 110 and the camera S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111 of the fixing part 110, The pressing pad 120 assembled on the outer side is in the form of extend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in the region below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S1.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tongue by inserting the pressing pad 120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image of the oral cavity can be obtained using the camera S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광은 광가이드(130)의 조명출사부(132a)를 통해 구강내부를 향해 조사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을 이용해 구강 내부를 밝게 비춰 밝은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s radi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mouth through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of the light guide 130, (S2) to brighten the inside of the mouth to obtain a bright image.

또한, 조명광원(S2)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광은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을 통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압패드(120)의 내부로도 유도되어 가압패드(120)가 밝게 빛나게 된다. 따라서,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누르는 과정에서 혀의 상태나 가압 위치 등이 영상이미지를 통해 쉽게 확인되도록 할 수 있고, 가압패드(1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요철형태의 눈금(122)은 가압패드(120)의 외측면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빛나게 되므로 가압패드(120)의 구강내 삽입 길이를 영상이미지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is also guided into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pad 12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the exit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so that the pressure pad 120 is brightly illuminated . Therefore, the state of the tongue, the pressing position, and the like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image image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and the scale 122 in the form of concave and convex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d 120,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ad 120, so that the insertion length of the pressing pad 120 in the oral cavity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a video image.

따라서, 통상의 원격진료시스템에 필요한 컴퓨터와 인터넷이 구비되지 않은 산간벽지 마을이나 오지마을에서도, 비교적 손쉽게 구강 내의 영상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동통신 단말기(S)를 이용해 원격지의 진료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원격진료가 가능하다.Therefore, it is relatively easy to take a video image in the oral cavity and transmit it to a remote medical institu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in a mountain village or village where no computer and Internet are required for a normal telemedicine system Telemedicine is possible.

한편, 상기 광가이드(130)는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으로부터 제공되는 조명 광을 이용해 구강 내부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서, 입사면(131)은 이동통신 단말기(S)의 조명광원(S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출사면(132)은 카메라(S1)의 하부영역에서 구강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입사면(131)으로 입사되는 조명 광은 도광판의 제1반사면(133)과 제2반사면(134)을 통해 출사면(132) 측으로 유도된다.The light guide 130 illuminates the interior of the oral cavity using illumination light provid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S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 And the exit surface 132 is disposed facing the mouth in the lower region of the camera S1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131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133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second reflecting surface 134.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에 형성된 조명출사부(132a)는 고정부(110)의 관통홀(113)을 통해 노출되고, 출사면(132)으로 제공된 조명 광을 구강 내부를 향해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출사부(132a)의 후방에 배치된 삼각요철 형태의 프리즘패턴(135)은 광가이드(130) 내부에서 난반사되는 측광을 상기 조명출사부(132a)를 향해 반사시키며, 이 과정에서 측광은 조명출사부(132a)를 향하는 정면광으로 변환되어 조명출사부(132a)를 향해 제공되므로, 조명출사부(132a)를 통해 방출되는 조명 광의 밝기를 더욱 밝게 할 수 있다. 5,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formed on the exit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3 of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exit surface 132 ) Is irradi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e triangular prism pattern 135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llumination output part 132a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guide 130 toward the illumination output part 132a, Since the light metering is converted into the front light directed toward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and provided toward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hrough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132a can be further brighter.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패드(120)가 고정부(11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가압패드(120)의 후단부가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출사면(132)으로 유도된 조명 광은 가압패드(120)의 내부를 향해 조사되므로, 가압패드(120)의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6, when the pressing pad 120 is assembled to the fixing portion 110,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it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And the illumination light guided to the exit surface 132 is irradi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press pad 12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 pad 120 can be brighter overall.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에 결합된 가압패드(1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패드(120)의 제2결합부(121)가 고정부(110)의 제1결합부(114)로부터 분리되므로, 고정부(110)로부터 가압패드(12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7, when the pressing pad 120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of the pressing pad 1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 pressing pad 12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xing portion 110 because the pressing portion 1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

이어, 새로운 가압패드(120)를 고정부(110)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패드(120)의 제2결합부(121)를 고정부(110)의 제1결합부(114)에 밀어넣으면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1)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가압패드(120)의 재사용으로 인한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패드(12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When the new pressing pad 120 is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0,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1 of the pressing pad 120 is pushed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114 of the fixing portion 110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ressing pad 120 can be easily replaced to prevent secondary infection due to the reuse of the pressing pad 12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ressure transmitt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er for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고정부(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114')가 가압패드(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가압패드(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14')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121')가 가압패드(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8 and 9,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part 11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pad 120 And a second engaging part 121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art 114' is extended and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ressing pad 120 at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12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ince the remaining structures except for the first engaging part 114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21'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2결합부(121')의 연장 길이는, 제2결합부(121')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결합부(114')와의 결합부위를 통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부에 결합된 가압패드(120)를 이용해 혀를 가압하여 구강 내부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가압패드(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2결합부(121')가 파손되거나 제2결합부(121')가 제1결합부(114')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xtended length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21 'is a length that is long enough to allow the load acting o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21' to be sufficiently supported through the engagement portion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4 ' . 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diagnos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by pressing the tongue using the pressing pad 120 coupled to the fixing par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pad 120 may damage the second fitting part 1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ing portion 121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121')는 제1결합부(11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압패드(120)를 쉽고 빠르게 탈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plug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the pressing pad 120 can be easily and quickly removed .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부(110)에는 제1결합부(114')로 삽입된 제2결합부(12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결합부(121')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고정해제할 수 있는 조작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11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ixing means capable of selectively fixing the fixing means and an operation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fixing means.

상기 제2결합부(121')는 가압패드(120)와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가압패드(120)와 일체로 구성되고, 제1결합부(114')로 삽입된 상태에서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에 밀착되므로, 출사면(132)으로 반사된 조명 광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압패드(120)의 내부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패드(120)의 제2결합부(121')와 상기 광가이드(130)의 출사면(132)은 광 전달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upling part 12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he pressing pad 12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ing pad 120. The second coupling part 1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part 114 ' The illumination light reflected by the exit surface 132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press pad 12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t this tim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of the pressing pad 120 and the emitting surface 132 of the light guide 130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to increase the light transmitting area.

또한, 상기 제2결합부(121')는 하중이 인가되는 방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2결합부(12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결합부(12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12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may protrude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 'in order to increase rigid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applied. And a reinforcing rib 121a.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이동통신 단말기, S1:카메라, S2:조명광원,
110:고정부, 111:안내홀, 112:수용홈,
113:관통홀, 114:제1결합부, 120:가압패드,
121:제2결합부, 122:눈금, 123:레일홈,
130:광가이드, 131:입사면, 132:출사면,
132a:조명출사부, 132b:레일돌기, 133:제1반사면,
134:제2반사면, 134:프리즘패턴, 140:커버
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 camera, S2: illumination light source,
110: fixing portion, 111: guide hole, 112: receiving groove,
113: through hole, 114: first coupling portion, 120: pressure pad,
121: second coupling portion, 122: scale, 123: rail groove,
130: light guide, 131: incident surface, 132: exit surface,
132a: illumination light emitting portion, 132b: rail projection, 133: first reflection surface,
134: second reflection surface, 134: prism pattern, 140: cover

Claims (13)

카메라와 조명광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메라를 노출시키는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안내홀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강 내에 삽입되어 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패드; 및
상기 조명광원과 마주하는 제1면에 입사면이 형성되고, 구강을 향하는 제2면에 출사면이 되며, 상기 입사면과 출사면 사이에는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조명 광을 출사면으로 유도하는 도광부가 형성된 광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패드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패드의 후단부는 상기 광가이드의 출사면 중 상기 카메라의 광축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밀착되며,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조명 광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압패드의 내부로 유도되어 가압패드의 외표면을 통해 방출되고,
상기 출사면 중 상기 가압패드의 상부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카메라의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강내부를 향해 조명 광을 출사하는 조명출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A fixing unit detachably fix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having a guide hole for exposing the camer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 pressing pad which is disposed under the guide hole and protrude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par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mouth and press the tongue; And
An illumination surface is formed on a first surface facing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is formed as an exit surface on a second surface facing the oral cavity and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entrance surface is guided to the exit surface between the entra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And a light guide formed with a light guide portion,
Wherein the pressing pa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ad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below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in an outgoing plane of the light guide,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pa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pad,
Wherein an illumination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illumination light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gion of the pressing pad in the emission 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상기 출사면의 후방에 배치되어 난반사에 의한 측광(side light)을 정면광으로 제공하는 프리즘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guide includes a prism pattern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exit surface to provide side light as front light by irregular refl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조명 광을 상기 출사면을 향해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guid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reflecting surface for reflecting the illumination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toward the exit surfa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드는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a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패드의 후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가압패드를 이용해 혀를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6.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pressing pad,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with the tongue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와 상기 가압패드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레일홈과 레일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ail groove and a rail projectio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ight guide and the pressing pad fac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For examp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드의 상측면에는 요철형태의 눈금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cale of a concavo-convex shape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조명출사부를 노출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exposing the illumination outpu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부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광가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light guid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xing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광가이드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의 개구를 마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over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with the light guid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과 커버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광반사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coating layer for light reflec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KR1020160127451A 2016-10-04 2016-10-04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KR101848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51A KR101848159B1 (en) 2016-10-04 2016-10-04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51A KR101848159B1 (en) 2016-10-04 2016-10-04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159B1 true KR101848159B1 (en) 2018-04-11

Family

ID=6197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451A KR101848159B1 (en) 2016-10-04 2016-10-04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1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7382A (en) * 2019-09-26 2021-03-31 Onaria Tech Ltd Mouthpiece and attach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923A (en) * 2007-12-27 2009-07-16 Koichi Tsunoda Oral cavity insertion instrument and pharyngoscope apparatus
CN204410769U (en) * 2014-11-26 2015-06-24 南京春辉科技实业有限公司 A kind of fibre opic endoscope supporting with mobile phone
KR101541186B1 (en) * 2014-09-18 2015-08-03 주식회사 디자인삼십육점오 A endoscope for a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923A (en) * 2007-12-27 2009-07-16 Koichi Tsunoda Oral cavity insertion instrument and pharyngoscope apparatus
KR101541186B1 (en) * 2014-09-18 2015-08-03 주식회사 디자인삼십육점오 A endoscope for a mobile phone
CN204410769U (en) * 2014-11-26 2015-06-24 南京春辉科技实业有限公司 A kind of fibre opic endoscope supporting with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7382A (en) * 2019-09-26 2021-03-31 Onaria Tech Ltd Mouthpiece and attachment
GB2587382B (en) * 2019-09-26 2021-12-22 Onaria Tech Ltd Mouthpiece and attach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567B2 (en) Body cavity illumination system
US20140132932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of anterior part of iris and medical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US6181369B1 (en) Videoscope for dental or other use
ATE450188T1 (en) MINIATURE ENDOSCOPE WITH IMAGING FIBER SYSTEM
JPWO2013011778A1 (en) probe
KR20090071464A (en) Oral cavity insertion instrument and pharyngoscope apparatus
KR101848159B1 (en)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JP2019508673A (en) Inspection device for body fluid analysis using illumination light
KR101541186B1 (en) A endoscope for a mobile phone
JP6017477B2 (en) Light source device for endoscope system
EP3466318B1 (en) Dental caries diagnosis device with a head portion defining a tooth accommodation space
JP4701990B2 (en) Camera lighting system and stage device that can be equipped with a remote lighting device
WO2018010849A1 (en) Optical attachmen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64581Y1 (en) Skin Diagnostic Decvice
KR20170071277A (en) The test device for Body fluid analysis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devcie and transmitted light
KR20110085514A (en) Mouth camera device for combining with mouth prop and mouth prop comprising it
KR101785891B1 (en)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KR101528610B1 (en) Lighting Device using optical fiber for diagnosing dental caries and fluorosis
KR101804094B1 (en) Wireless Medical Diagnosis Apparatus for Otorhinolaryngology
KR200161224Y1 (en) Computer apparatus for eyeball photography
US20150296109A1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US7577344B2 (en) Light-shielding device for oral photography
KR100719962B1 (en) Device for guiding camera flash light
KR200269577Y1 (en) dental scope
KR20180066506A (en) Portable endosco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