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19B1 -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 Google Patents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19B1
KR101847719B1 KR1020160093952A KR20160093952A KR101847719B1 KR 101847719 B1 KR101847719 B1 KR 101847719B1 KR 1020160093952 A KR1020160093952 A KR 1020160093952A KR 20160093952 A KR20160093952 A KR 20160093952A KR 101847719 B1 KR101847719 B1 KR 10184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om
rod
val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523A (ko
Inventor
곽노원
이종천
Original Assignee
곽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노원 filed Critical 곽노원
Priority to KR102016009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5/00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 F25B2345/006Detail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s; Service stations therefor characterised by charging or discharg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센터 룸,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센터 룸에 설치되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센터 로드; 밸브포트의 차단 상태에서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설치 및 분리가 수행되고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 및 커넥팅 룸에 설치되고 센터 로드의 상승 시 커넥팅 룸에 삽입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를 락킹시키고 센터 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전방 측이 커넥팅 룸에 삽입되고, 락킹 유닛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고, 내부 공간이 커넥팅 룸과 연통되는 커넥팅 유로를 형성하고, 내주면 중간부위에 내경이 작게 형성된 안착시트부를 구비하는 커넥팅 튜브;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안착시트부에 탈착하며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밸브부; 및 일단이 커넥팅 튜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팅 튜브의 전방 측 둘레에 커넥팅 유로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이 구비되고 커넥팅 너트의 타단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조 기기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SEPARABLE VALVE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REMOVING RESIDUAL PRESSURE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분리가 용이한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흐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유체가 흐르는 배관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거나 남아있어 분리하는 경우 유체가 배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연결 배관을 분리하는 경우에 배관 내부에 남아있는 유체를 누출에 의한 실질적인 소모 손실없이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나 냉동장치 등의 경우 예컨대 열교환기들 사이의 연결배관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의 경우,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수리, 이사 등의 이유로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연결배관에서 분리하는 냉매 순환관 내의 냉매가 모두 유출될 수 있고, 다시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분리 또는 연결이 간편하지 않다.
에어컨, 냉동장치 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차단시켜 분리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차단하여 분리하거나 연결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793호(2010. 06. 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485호(2016. 05. 11. 공개)
하지만, 유체가 흐르던 배관에는 유체에 의한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있는데, 분리되는 배관의 양측을 모두 차단시켜 유체의 실질적인 소모 누출 없이 분리시키더라도 배관 분리 시 분리되는 일측이 잔존해 있던 잔압에 의해 튕켜져 나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분리 시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센터 룸,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센터 룸에 설치되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센터 로드; 밸브포트의 차단 상태에서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설치 및 분리가 수행되고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 및 커넥팅 룸에 설치되고 센터 로드의 상승 시 커넥팅 룸에 삽입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를 락킹시키고 센터 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전방 측이 커넥팅 룸에 삽입되고, 락킹 유닛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고, 내부 공간이 커넥팅 룸과 연통되는 커넥팅 유로를 형성하고, 내주면 중간부위에 내경이 작게 형성된 안착시트부를 구비하는 커넥팅 튜브;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안착시트부에 탈착하며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밸브부; 및 일단이 커넥팅 튜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팅 튜브의 전방 측 둘레에 커넥팅 유로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이 구비되고 커넥팅 너트의 타단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너트의 커넥팅 룸의 외곽 나사산으로부터 부분 풀림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가 잔압제거홀, 커넥팅 튜브와 커넥팅 룸의 사이의 간극 및 잔압제거홈을 따라 배출되며 커넥팅 유로 내의 잔압이 제거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튜브는 전방부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볼 안착홈을 더 구비하고, 락킹 유닛은 센터 로드의 상승 시 볼 안착홈에 밀착 고정되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에 대한 락킹을 수행하고 센터 로드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의 차단 시 볼 안착홈에 유동적으로 안착되어 락킹을 해제하는 다수의 락킹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잔압제거홀은 볼 안착홈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고, 잔압제거홀이 커넥팅 룸 내주면과 커넥팅 튜브의 외주면 간의 실링부위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커넥팅 유로가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는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포트개폐부 및 포트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로드안착부를 포함하고, 락킹 유닛은: 일단이 로드안착부에 안착되어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후퇴 및 전진하되 후퇴 시 커넥팅 유로가 개방되도록 타단부가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는 락킹부; 및 커넥팅 룸에 고정 설치되며 후방부 둘레에 락킹 볼이 유동적으로 안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볼 구멍을 구비하는 락킹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락킹부는 적어도 후방부위가 락킹 하우징에 삽입되어 후퇴 시 볼 구멍에 유동적으로 안착된 락킹 볼을 바깥쪽으로 밀어 볼 안착홈에 밀착 고정시키고 전진 시 락킹 볼에 대한 바깥쪽으로의 푸싱상태를 해제시켜 밀착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유닛은 락킹 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일단이 락킹 하우징 내부의 단턱에 지지되며 락킹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락킹부를 전진시키는 로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락킹부는: 일단이 로드안착부에 안착되어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후퇴 및 전진하는 락킹 로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전방부가 락킹 로드와 결합되고 중간부 외주면 직경보다 후방부 외주면 직경이 감소되고 락킹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락킹 로드의 후퇴 시 후퇴하고 센터로드의 하강 시 외주면 둘레에 설치된 로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락킹 로드를 전진시키는 락킹 튜브; 및 락킹 튜브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되 락킹 튜브의 후퇴 시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고 센터로드의 하강 시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도록 전진하는 커넥팅밸브부를 지지하는 커넥팅밸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락킹 튜브의 후퇴 시 직경이 큰 중간부 외주면이 락킹 볼을 바깥쪽으로 밀고, 락킹 튜브의 전진 시 직경이 작은 후방부 외주면에 의해 락킹 볼에 대한 푸싱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팅 룸의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된 커넥팅 실링링에 의해 커넥팅 튜브와의 결합 부위가 실링되고, 잔압제거홀은 락킹 시 커넥팅 실링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를 위한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커넥팅 실링링의 후방 측으로 배치되어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은 센터 룸과 경사지게 설치되고, 로드안착부는 포트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이고,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원뿔대 형상의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락킹부의 말단이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 상승하며 락킹부가 후퇴되고, 센터 로드는: 나선 회전에 따라 승강하도록 로드안착부의 상측의 몸체 둘레에 형성되되 센터 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부; 센터 로드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로드 환형홈; 센터 로드의 상부 말단면에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 홈; 및 로드 환형홈에 설치된 로드 실링링;을 더 포함하고, 포트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드된 원뿔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몸체는, 센터 룸의 오픈된 상부 말단을 막는 센터 캡 및 센터 룸의 하측에 또는 센터 룸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일측이 연결된 서비스 포트를 더 포함하고, 서비스 포트를 통해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유체가 충전 주입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커넥팅밸브부의 후방부 둘레에 설치되되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커넥팅밸브부를 전진시키는 밸브 스프링; 및 커넥팅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며 밸브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고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및 전진 시 커넥팅밸브부의 후방부를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 을 더 포함하고, 커넥팅밸브부는 후퇴 시 안착시트부에서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를 개방시키고 밸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 시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고,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를 위한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잔압제거홀 및 잔압제거홈을 통해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은 센터 룸과 경사지게 설치되고,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커넥팅 튜브의 후방 측에 나사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커넥팅밸브부는: 후방부가 후방 가이드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전방부가 락킹 유닛에 지지되고 후방부와 전방부 사이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 착석부를 구비하는 커넥팅밸브 몸체; 착석부 상에 형성되되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실링부를 착석부 상에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에 있어서, 연결 배관에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어느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가 설치되며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에 의한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배관 분리 시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배관 부품이나 사용자의 손상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잔압이 제거된 상태로 배관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 상태를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에서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에서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의 일부 구성들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락킹 유닛을 분해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를 분해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커넥팅 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가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로 설명되고 있는 경우 그러한 용어는 기준으로부터 정해지는 상대적 개념이고, 이때 기준은 본 명세서에서 직접 설명되거나 또는 직접 설명되지 않더라도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과 관련 구성의 관계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 상태를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에서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에서 유로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각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의 일부 구성들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센터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락킹 유닛을 분해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를 분해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커넥팅 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메인 몸체(10), 센터 로드(30),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및 락킹 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1, 2a 및/또는 2b는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고, 도 1, 2a 및/또는 2b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또는 다른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유체 배관 상에 설치되며,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으로 거의 손실없이 또는 실질적 최소의 손실로 유체 배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배관 분리 시, 즉 배관 연결된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 시, 연결 부위에 남아있는 소량의 유체의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기에서, 냉각기기를 이루어는 에어컨 본체와 방열기기를 이루는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배관에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연결 부위에 남은 소량의 냉매 유체의 잔압에 의해 배관 분리 시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져 나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에 따른 실시예로 메인 몸체(10), 센터 로드(30),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및 락킹 유닛(5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 후, 메인 몸체(10), 센터 로드(30), 락킹 유닛(50),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순으로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의 구체적 실시예들의 조합으로부터 다양한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메인 몸체(10), 센터 로드(30),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및 락킹 유닛(50)을 포함한다. 이때, 메인 몸체(10)는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을 구비한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 하부에 형성된다. 커넥팅 룸(13)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다. 센터 로드(30)는 센터 룸(11)에 설치된다.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가 개폐된다. 그리고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밸브포트(12)의 차단 상태에서 커넥팅 룸(13)으로 삽입 설치 및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가 수행된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룸(13)과 연통된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한다. 커넥팅 유로(70a)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내부에 형성되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삽입 설치 상태에서 커넥팅 룸(13)과 연통된다. 게다가, 락킹 유닛(50)은 커넥팅 룸(13)에 설치되고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 룸(13)에 삽입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를 락킹시키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커넥팅 룸(13)에 삽입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락킹을 해제한다.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커넥팅 튜브(71), 커넥팅밸브부(73) 및 커넥팅 너트(75)를 포함한다. 커넥팅 튜브(71)는 전방 측이 커넥팅 룸(13)에 삽입된다. 이때, 커넥팅 튜브(71)는 락킹 유닛(50)에 의해 락킹되고 락킹 해제된다. 커넥팅 튜브(71)의 내부 공간은 커넥팅 룸(13)과 연통되는 커넥팅 유로(70a)를 형성한다. 또한, 커넥팅 튜브(71)는 내주면 중간부위에 내경이 작게 형성된 안착시트부(713)를 구비한다. 커넥팅밸브부(73)는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안착시트부(713)에 탈착하며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한다. 그리고 커넥팅 너트(75)의 일단이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 체결 시 커넥팅 너트(75)의 타단은 커넥팅 룸(13)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13b)에 체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71a)과 잔압제거홈(75a)이 구비된다. 도 1, 2a, 2b, 3a, 3b, 3c 및/또는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71a)은 커넥팅 튜브(71)의 전방 측 둘레에 구비되고, 이때, 잔압제거홀(71a)은 커넥팅 튜브(71)의 전방부 둘레를 관통하여 커넥팅 튜브(71) 내부의 커넥팅 유로(70a)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 3a, 3b, 3c 및/또는 8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75a)은 커넥팅 너트(75)의 타단부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배관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 시 잔압제거홀(71a)과 잔압제거홈(75a)을 통한 잔여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위에 남아있는 소량의 유체의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3c를 참조하면, 커넥팅 룸(13)의 외곽 나사산으로부터 커넥팅 너트(75)의 부분 풀림 시 커넥팅 룸(13)으로부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의 부분 후퇴에 따라,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잔압제거홀(71a), 커넥팅 튜브(71)와 커넥팅 룸(13)의 사이의 간극 및 잔압제거홈(75a)을 따라 배출되며 커넥팅 유로(70a) 내의 잔압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메인 몸체(10)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면, 메인 몸체(10)는 기본적으로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을 구비한다. 예컨대, 메인 몸체(10)는 황동이나 기타 다른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의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2a, 2b 및/또는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는 서비스 포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포트(15)도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메인 몸체(10)는 밸브포트(12)에 연결된 배관연결구(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배관연결구(19)는 외부 배관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도 4와 같이, 배관연결구(19)이 구비되지 않은 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연결구(19)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외부 배관에 밸브포트(12)의 하부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센터 룸(11), 밸브포트(12) 및 커넥팅 룸(13)을 먼저 살펴보고, 서비스 포트(15)를 나중에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 몸체(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센터 룸(11)은 센터 로드(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센터 룸(11)의 하부에 밸브포트(12)가 연결되고,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커넥팅 룸(13)이 연결된다.
예컨대, 센터 룸(11)은 상부가 오픈되어 있다. 예컨대, 센터 룸(11)의 오픈된 상부는 후술되는 센터 캡(17)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컨대, 센터 룸(11)에 삽입 설치된 센터 로드(30)의 후방에서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센터 로드(30)를 나선 회전시키며 센터 로드(30)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센터 룸(11)의 상부에는 내벽을 따라 환형홈(11b)이 형성되고 환형홈(11b)에 삽입되는 스냅링(111)에 의해 센터 룸(11)에 삽입 설치된 센터 로드(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룸(11)의 상부는 말단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센터 캡(17)과 별도로 센터 룸(11)에 삽입 설치된 센터 로드(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센터 룸(11)의 내벽은 센터 로드(30)의 외주면 나사산(35)과 치합되는 나사산(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터 로드(30)는 나선 회전하며 센터 룸(11) 내에서 승강된다. 예컨대, 센터 로드(30)의 승강은 센터 로드(30)의 후방에 형성된 도구 홈(37)에 육각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삽입하여 센터 로드(30)를 나선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센터 룸(11)은 나사산(11a)이 형성된 부분보다 상부측의 직경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상부측 내면과 센터 로드(30) 간에 로드 실링링(39)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인 몸체(10)의 밸브포트(12)를 살펴본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 하부에 형성된다. 예컨대,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에 연결되며 센터 룸(11) 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밸브포트(12)는 후술되는 포트개폐부(31), 예컨대 포트개폐부(31)의 실링부(31a)가 안착되는 안착부(12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밸브포트(12)의 하부에는 예컨대 배관연결구(19) 또는 외부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연결홈(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관연결홈(12b)은 밸브포트(12) 보다 확관되며 경계에 단턱(112b)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에 삽입되는 센터 로드(30)의 포트개폐부(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포트개폐부(31)는 밸브포트(12)의 안착부(12a)에 안착되며 밸브포트(12)를 차단하고 상승에 따라 안착부(12a)로부터 떨어지며 밸브포트(12)를 개방할 수 있다. 밸브포트(12)는 센터 룸(11)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계속하여, 메인 몸체(10)의 커넥팅 룸(13)을 살펴본다.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다. 커넥팅 룸(13)의 일측은 개방되며, 개방구를 통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삽입 설치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커넥팅 룸(13)의 타측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되어 있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삽입 설치되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유로(70a)가 커넥팅 룸(13)과 센터 룸(11)을 통해 밸브포트(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룸(13)은 센터 룸(11)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 룸(13)과 센터 룸(11)이 이루는 각도는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락킹 유닛(50)의 락킹부(51)가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커넥팅 룸(13)이 센터 룸(11)과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센터 룸(11) 내의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된 락킹 유닛(50)의 락킹부(51)가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예컨대 커넥팅 룸(13)의 개방측 내측면에 링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홈(13a)에는 커넥팅 실링링(131)이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 실링링(131)은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예컨대 커넥팅 튜브(71)의 둘레와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사이(결합 부위)를 밀폐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실링링(131)의 삽입되는 링홈(13a)은 커넥팅 룸(13)의 개방측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커넥팅 룸(13)의 개방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3b)이 형성되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너트(75)에 의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커넥팅 룸(13)에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커넥팅 룸(13)의 개방구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으로 막을 수 있다. 보호캡으로 커넥팅 룸(13)의 개방구를 밀폐시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분리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개방구도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 2a, 2b 및/또는 4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를 살펴보면, 메인 몸체(10)는 센터 캡(17) 및/또는 서비스 포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캡(17)은 센터 룸(11)의 오픈된 상부 말단을 막는다. 이때, 센터 캡(17)은 센터 룸(11)의 개방 상부에 대한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센터 캡(17)을 제거하여 센터 룸(11)의 개방 상부를 통하여 센터 로드(30)의 도구 홈(37)에 도구를 삽입하여 센터로드(30)의 상승 및/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서비스 포트(15)는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연결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터 룸(11)과 연결되는 커넥팅 룸(13)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포트(15)는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센터 룸(11)의 하측 둘레에 또는 커넥팅 룸(13)의 연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포트(15)는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유체를 주입하거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2a, 2b 및/또는 4에서 서비스 포트(15)가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포트(15)가 구비되지 않은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4를 참조하면, 서비스 포트(15)는 서비스 캡(15a)로 막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포트(15)를 통한 유체의 주입 또는 빼기 시 서비스 캡(15a) 대신에 관통홀이 형성된 주입 캡이 체결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서비스 포트(15)를 개폐하는 서비스 로드(15b)가 구비될 수 있다. 서비스 로드(15b)는 서비스 포트(15)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예컨대, 서비스 로드(15b)는 둘레에 밀폐링이 구비되며, 서비스 포트(15)에 형성된 내부공간에서 서비스 로드(15b)의 전후진에 따라 서비스 포트(15)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포트(15)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또는 서비스 포트(15)를 통해 커넥팅 룸(13)의 연결측 또는 센터 룸(11)으로 유체가 충전 주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는 도 1, 2a 및 2b에 도시된 배관연결구(19)를 구비하지 않고, 밸브포트(12)의 하부에 외부 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메인 몸체(10)는 배관연결구(1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배관연결구(19)는 밸브포트(12)에 연결되며, 외부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관연결구(19)는 예컨대 공조기기의 에어컨 본체(냉각기기) 또는 에어컨 실외기(방열기기) 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몸체(10)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8)는 예컨대 날개형상으로 메인몸체(10)의 둘레에서 돌출될 수 있고,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홀을 구비할 수 있다.
센터 로드(30)
다음으로,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센터 로드(30)를 살펴본다. 센터 로드(30)는 센터 룸(11)에 설치되며, 승강에 따라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이때, 도 2b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상승은 밸브포트(12)와 커넥팅 유로(70a)의 개방을 통해 분리형 밸브장치에 연결된 배관 상의 유로를 형성시키는 동작이고, 도 2a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하강은 밸브포트(12)와 커넥팅 유로(70a)의 차단을 통해 배관 상의 유로를 차단시키는 동작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12)의 차단 시에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분리를 통한 연결 배관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센터 로드(30)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12)의 차단 시에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 설치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는 포트개폐부(31)와 로드안착부(3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는 나사산부(35), 로드 환형홈(36), 도구 홈(37) 및 로드 실링링(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트개폐부(31)와 로드안착부(33)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포트개폐부(31)는 센터 룸(11)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12)를 개폐한다. 예컨대, 도 2a를 참조하면, 센터 룸(11) 내에서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에 따라 포트개폐부(31)는 밸브포트(12)를 차단하고, 도 2b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포트개폐부(31)는 밸브포트(12)를 개방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포트개폐부(31)는 도 1, 2a, 2b, 및/또는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돌출된 돌부(31c), 돌부(31c) 주위의 홈에 설치된 실링부(31a) 및 실링부(31a)를 커버하는 커버부(3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포트개폐부(31)는 커버부(31b) 없이 실링부(31a)가 오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돌부 주위에 형성된 홈에 오링 형상의 실링부(31a)가 설치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때, 센터로드(30)의 하강 및 상승에 따라, 포트개폐부(31)의 실링부(31a)가 밸브포트(12), 예컨대 밸브포트(12)의 안착부(12a)에 안착되고 탈착되며 밸브포트(12)를 차단하고 개방시킨다.
계속하여,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여 센터 로드(30)의 로드안착부(33)를 살펴본다. 로드안착부(33)는 포트개폐부(31)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때, 로드안착부(33)는 포트개폐부(31)의 상측에서 센터 로드(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로드안착부(33)에는 커넥팅 룸(13)에 삽입 설치된 락킹 유닛(50)의 락킹부(51)가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된 락킹부(51)가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후퇴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에 전진하며 로드안착부(33)의 내측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1, 2a 및/또는 2b에서 락킹부(51)는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되는 락킹 유닛(50)의 일측부가 된다.
예컨대, 도 2a에서, 센터 룸(11) 내에서 센터 로드(30)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12)의 차단 시, 락킹 유닛(50)의 일측부가, 예컨대 락킹부(51)의 말단이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되며 전진하고,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밸브부(73)는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게 된다. 예컨대,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락킹 유닛(50)의 일측부는 탄성력을 전달받아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되며 전진할 수 있다. 도 2b에서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른 밸브포트(12)의 개방 시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된 락킹 유닛(50)의 일측부는 후퇴하고 락킹 유닛(50)의 타측부에, 예컨대 락킹부(51)의 후단에 지지 또는 결합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밸브부(73)가 후퇴하며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의 로드안착부(33)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즉, 로드안착부(33)는 원뿔대 구조로, 포트개폐부(31)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원뿔대 곡면(33, 33a)에 안착되어 있는 락킹부(51)의 말단이 원뿔대 곡면(33, 33a)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락킹부(51)가 후퇴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락킹부(51)의 후퇴 시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된다.
도 1, 2a, 2b, 4, 5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로드안착부(33)는 포트개폐부(31)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 홈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로드안착부(33)는 포트개폐부(31) 방향의 제1 곡면(33a)과 제1 곡면(33a)과 마주하는 제2 곡면(3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곡면(33a)은 로드안착부(33)의 원뿔대 곡면에 대응한다.
또한, 도 1, 2a, 2b 및/또는 5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센터 로드(30)는 나사산부(35), 로드 환형홈(36), 도구 홈(37) 및 로드 실링링(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부(35)는 로드안착부(33)의 상측의 둘레에 형성된다. 이때, 센터 룸(11)의 내주면에 나사산(1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터 로드(30)의 나사산부(35)는 센터 룸(11) 내주면의 나사산(11a)과 치합하고, 나사산부(35)에 의한 나선 회전에 따라 센터 로드(30)가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로드 환형홈(36)은 센터 로드(3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 환형홈(36)은 나사산부(35)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로드 환형홈(36)에는 로드 실링링(39)이 설치되어 센터 로드(30)와 센터 룸(1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로드 환형홈(36)이 형성된 센터 로드(30)의 상부 직경은 나사산부(35)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센터 룸(11)의 상부측 직경이 하부측 직경보다 크고, 로드 환형홈(36)에 설치된 로드 실링링(39)은 센터 룸(11)의 상부측 내벽과의 사이를 밀폐시킨다.
게다가, 도구 홈(37)이 센터 로드(30)의 상부 말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구 홈(37)은 센터 로드(30)의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이때, 센터 룸(11)의 오픈된 상부측(후방)을 통해 센터 로드(30)의 도구 홈(37)에 육각 렌치 또는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삽입하여 센터 로드(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센터 로드(30)의 회전 시 나선 회전에 의해 센터 로드(30)가 승강될 수 있다. 예컨대, 도구 홈(37)에 도구를 삽입하여 센터 로드(30)를 최대로 하강시켜야 락킹 유닛(50)에 의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락킹이 해제될 수 있고,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도 1과 같이 분리될 수 있다.
락킹 유닛(50)
다음으로,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락킹 유닛(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락킹 유닛(50)은 커넥팅 룸(13)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 2b를 참조하면, 락킹 유닛(50)은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 룸(13) 내에서 후퇴하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를 락킹시키고, 도 2a를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12)의 차단 시 커넥팅 룸(13) 내에서 전진하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락킹을 해제시킨다.
이때, 락킹 유닛(50)은 일측부가 센터 로드(30)의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된다. 락킹 유닛(50)는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라 일측부가 후퇴하며 락킹 유닛(50)의 타측부에 지지 또는 결합되는 커넥팅밸브부(73)를 후퇴시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 내의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서, 락킹 유닛(50)은 다수의 락킹 볼(55)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유닛(50)은 락킹부(51) 및 락킹 하우징(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유닛(50)은 로드 스프링(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락킹 볼(55)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락킹부(51), 락킹 하우징(53), 로드 스프링(57) 순으로 살펴볼 것이다.
도 1, 2a, 2b, 3a, 3b, 3c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락킹 볼(55)을 살펴본다. 예컨대, 도 2b를 참조하면, 락킹 볼(55)은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볼 안착홈(711)에 밀착 고정되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에 대한 락킹을 수행한다. 즉, 락킹 볼(55)은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의한 락킹 유닛(50) 일측부의 커넥팅 룸(13)의 개방측 방향으로의 후퇴에 따라 커넥팅 튜브(71)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볼 안착홈(711)에 밀착되게 안착되며 락킹을 수행한다. 또한, 도 2a, 3a, 3b 및/또는 3c를 참조하면, 락킹 볼(55)은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볼 안착홈(711)에 유동적으로 안착되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에 대한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락킹 볼(55)은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락킹 유닛(50) 일측부의 로드안착부(33) 방향으로의 전진에 따라 볼 안착홈(711)에 유동적으로 안착되며 락킹을 해제한다. 도 3a 내지 3c는 커넥팅 너트(75)의 풀림정도의 상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락킹부(51)의 락킹 튜브(513) 후방부 위치, 즉 외주면 직경이 감소된 후방부 부위가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에 안착된 락킹 볼(55)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가 락킹 볼(55)에 의한 락킹 상태가 해제된 것을 나타낸다. 도 3a는 경우 커넥팅 너트(75)가 아직 풀리지 않은 상태로 밀폐가 이루어지는 상태이고, 도 3b는 커넥팅 너트(75)가 부분적으로 풀려 커넥팅 튜브(71)가 일부 후퇴하고 있으나 여전히 커넥팅 룸(13)의 내주면과 커넥팅 튜브(71) 외주면 사이에 밀폐가 이루어지는 상태이고, 도 3c는 커넥팅 너트(75)가 충분히 풀려 커넥팅 튜브(71)가 커넥팅 룸(13) 내에서 충분히 후퇴함으로써 커넥팅 튜브(71)의 잔압제거홀(71a)이 커넥팅 룸(13) 내주면에 설치된 커넥팅 실링링(131) 위치보다 후방으로 후퇴하여 커넥팅 룸(13) 내의 유체가 잔압제거홀(71a)과 잔압제거홈(75a)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센터 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락킹 볼(55)의 락킹 해제에 따라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
예컨대, 락킹 볼(55)은 스테인리스나 강철 등의 강도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락킹부(51) 및 락킹 하우징(53)을 살펴본다. 락킹부(51)는 일단 혹은 말단이 센터로드(30)의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되고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룸(13)에서 개방측으로 후퇴 및 로드안착부 방향으로 전진한다. 락킹부(51)의 후퇴 시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되도록 락킹부(51)의 타단부 혹은 후단이 커넥팅밸브부(73)를 후퇴시킨다. 즉,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된 락킹부(51)가 센터 로드(30)에 의해 커넥팅 룸(13)에서 개방측으로 후퇴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락킹부(51)는 탄성력을 전달받아 로드안착부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때, 락킹부(51)는 적어도 후방부위가 락킹 하우징(53)에 삽입된다. 예컨대,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락킹부(51)는 후퇴 시 후술되는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을 관통하며 유동적으로 안착된 락킹 볼(55)을 바깥쪽으로 밀어 볼 안착홈(711)에 밀착 고정시키고, 도 3c를 참조하면, 전진 시 락킹 볼(55)에 대한 바깥쪽으로의 푸싱상태를 해제시켜 밀착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락킹부(51)는 락킹 로드(511), 락킹 튜브(513) 및 커넥팅밸브 지지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 로드(511)는 일단, 즉 전방부(511a)가 로드안착부(33)에 안착되어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후퇴 및 전진한다. 예컨대, 이때, 락킹 로드(511)의 후방부(511b)는 락킹 튜브(5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락킹 로드(511)의 후방부(511b)는 다수 갈래로 갈라져 락킹 튜브(513)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 튜브(513)는 후술되는 락킹 하우징(53) 내에 삽입되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다. 락킹 튜브(513)의 전방부는 락킹 로드(511)와 결합된다. 락킹 튜브(513)는 락킹 하우징(53)의 내부에 삽입되어 락킹 로드(511)의 후퇴 시 후퇴하고, 센터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 전진하며 락킹 로드(511)를 전진시킨다. 예컨대, 락킹 튜브(513)는 락킹 하우징(53)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방부가 락킹 로드(51)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개로 갈라진 락킹 로드(511)의 후방부(511b)가 락킹 튜브(513)의 전방부의 내주면 나사산(513a)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센터로드(30)의 하강 시, 락킹 튜브(513)는 외주면 둘레에 설치된 후술되는 로드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전진하며 락킹 로드(511)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락킹 튜브(513)는 로드 스프링(57)의 탄성력과 후술되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밸브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력을 전달받아 전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술되는 로드 스프링(57)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락킹 튜브(513)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밸브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력을 전달받아 전진할 수도 있다.
또한, 락킹 튜브(513)는 중간부 외주면 직경보다 후방부 외주면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중간부와 후방부의 외주면 직경의 차이에 따라, 락킹 로드(511)의 후퇴에 따른 락킹 튜브(513)의 후퇴 시 후방부(513b)보다 직경이 큰 락킹 튜브(513)의 중간부 외주면이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을 관통하며 유동적으로 안착된 락킹 볼(55)을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바깥쪽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락킹 볼(55)이 후술되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의 전방부에 형성된 볼 안착홈(711)에 밀착되게 안착된다. 락킹 볼(55)이 볼 안착홈(711)에 밀착되며 고정됨에 따라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가 락킹 하우징(53)과 락킹된다. 또한, 락킹 튜브(513)의 후방부(513b)의 외주면 직경이 전방부보다 감소되어 있으므로, 탄성력에 의한 락킹 튜브(513)의 전진 시 직경이 작은 락킹 튜브(513)의 후방부(513b) 외주면에 의해 락킹 볼(55)의 밀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락킹 볼(55)이 볼 안착홈(711)에서 유동적으로 안착되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의 락킹 하우징(53)과의 락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에서, 락킹 튜브(513)의 후퇴 시 직경이 큰 중간부 외주면이 락킹 볼(55)을 바깥쪽으로 밀고, 락킹 튜브(513)의 전진 시 직경이 작은 후방부 외주면에 의해 락킹 볼(55)에 대한 푸싱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계속하여, 커넥팅밸브 지지부(515)를 살펴본다. 커넥팅밸브 지지부(515)는 락킹 튜브(513)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커넥팅밸브 지지부(515)는 락킹 튜브(513)의 후퇴 시 후술되는 커넥팅밸브부(73)를 후퇴시키고 센터로드(30)의 하강 시 전진하는 커넥팅밸브부(73)를 지지한다. 센터로드(30)의 하강에 따른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은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하게 된다. 예컨대,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에 홈에 형성되어 전진하는 커넥팅밸브부(73)의 전방부(731a)를 홈에서 지지하고,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에 따라 커넥팅밸브 지지부(515)가 전진할 수 있다. 이때, 센터로드(30)의 하강 시 밸브 스프링(74)에 의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력은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에 의해 락킹 튜브(513)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밸브 지지부(515)는 홈이 형성된 중심에서 예컨대 방사상으로 돌기들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의 홈은 상하로 관통될 수도 있고, 이때, 관통된 홈은 커넥팅밸브부(73)의 전방부(731a)를 관통시키지 않거나 또는 커넥팅밸브부(73)의 전방부(731a)만 관통시키되 커넥팅밸브부(73)의 단턱에 걸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락킹 하우징(53)을 살펴본다. 락킹 하우징(53)은 커넥팅 룸(13)에 고정 설치된다. 락킹 하우징(53) 내부에는 락킹 튜브(513)가 삽입된다. 이때, 락킹 튜브(513)는 락킹 하우징(5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락킹 하우징(53)은 후방부 둘레에 내부로 관통된 다수의 볼 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락킹 볼(55)은 관통된 볼 구멍(53a)에 유동적으로 안착된다. 예컨대,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은 유동적으로 안착되는 락킹 볼(55)을 관통시키며 락킹 하우징(53)의 바깥측과 내부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예컨대, 락킹 하우징(53)은 중간부위 둘레에 돌출부(53b)가 형성되고, 돌출부(53b)의 전방 측은 커넥팅 룸(13)에 고정되고, 돌출부(53b)의 후방 측 둘레에는 다수의 볼 구멍(53a)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볼 구멍(53a)의 직경은 락킹 볼(55)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 볼 구멍(53a)의 바깥쪽 직경은 락킹 볼(55)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그리고 볼 구멍(53a)의 내측 직경, 즉 내주면 측 직경은 락킹 볼(55)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에 배치된 락킹 볼(55)은 락킹 하우징(53)에 삽입된 락킹부(51)의 후퇴 시 락킹부(51)의 적어도 후방부위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며 볼 안착홈(711)에 밀착 고정될 수 있고, 락킹부(51)의 전진 시 바깥쪽으로의 푸싱상태가 해제되며 밀착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락킹 하우징(53)은 전방부 외주면에 나사산(53c)이 형성되어 커넥팅 룸(13)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3c)에 체결되며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락킹 하우징(53)은 외주면 중간부위에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락킹 하우징(53)의 외주면 돌출부가 커넥팅 룸(13)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 룸(13)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은 락킹 하우징(53)이 커넥팅 룸(13)에 고정 결합되는 최대 범위를 제한한다. 커넥팅 룸(13)의 내주면 단턱은 커넥팅 룸(13)의 개방구 측보다 중간부위의 내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도 1, 2a, 2b, 3a, 3b, 3c 및/또는 6을 참조하면, 락킹 유닛(50)은 로드 스프링(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스프링(57)은 락킹 하우징(53) 내에 설치된다. 로드 스프링(57)의 일단은 락킹 하우징(53) 내부의 단턱에 지지된다. 이때, 로드 스프링(57)은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른 락킹부(51)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락킹부(51)를 전진시킨다. 로드 스프링(57)은 락킹부(51)의 외주면, 예컨대 락킹 튜브(513)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드 스프링(57)의 타단은 락킹 튜브(513)의 외주면 단턱에 지지되고, 로드 스프링(57)은 락킹 튜브(513)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락킹 튜브(513)를 전진시킬 수 있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 (70)
다음으로, 도 1, 2a, 2b, 4 및/또는 7을 참조하여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2a, 2b, 4 및/또는 7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밸브포트(12)의 차단 상태에서 커넥팅 룸(13)으로 삽입 설치 및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가 수행된다. 또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한다. 즉,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의한 밸브포트(12)의 개폐에 따라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커넥팅 룸(13)과 연결되는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한다.
예컨대,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센터 로드(30)의 포트개폐부(31)에 의한 밸브포트(12) 차단 시 커넥팅 룸(13)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고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전방부, 예컨대 커넥팅 튜브(71)의 전방 측이 커넥팅 룸(13)의 개방측에, 예컨대, 락킹 유닛(50)의 후방부 둘레와 커넥팅 룸(13) 내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삽입 부위, 예컨대 후술되는 커넥팅 튜브(71)의 전방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볼 안착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로드(3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커넥팅 룸(13)에 삽입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삽입 부위가 락킹 유닛(50)에 의해 커넥팅 룸(13)에서 락킹 및 락킹 해제될 수 있다. 즉,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 룸(13)에 락킹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예컨대 센터 로드(30)의 하강에 따른 밸브포트(12)의 차단 시 락킹이 해제된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락킹은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와 커넥팅 룸(13)에 고정 설치된 락킹 유닛(50) 간에 이루어진다. 예컨대,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볼 안착홈(711)에 안착되는 락킹 유닛(50)의 락킹 볼(55)에 의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락킹되거나 락킹 해제될 수 있다.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분리를 위한 커넥팅 룸(13)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잔압제거홀(71a) 및 잔압제거홈(75a)을 통해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배출되며 커넥팅 유로(70a) 내 잔압이 제거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커넥팅 튜브(71), 커넥팅밸브부(73) 및 커넥팅 너트(75)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밸브 스프링(74) 및 후방 가이드(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여 커넥팅 튜브(71), 커넥팅밸브부(73) 및 커넥팅 너트(75)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밸브 스프링(74) 및 후방 가이드(76)를 살펴볼 것이다.
커넥팅 튜브(71)는 전방 측이 커넥팅 룸(13)에 삽입되어 있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룸(13)으로 삽입 설치 시 커넥팅 튜브(71)가 커넥팅 룸(13)으로 삽입된다. 커넥팅 룸(13)에서 커넥팅 튜브(71)의 락킹은 락킹 유닛(50)에 의해 수행되고, 커넥팅 튜브(71)의 락킹 해제도 락킹 유닛(50)에 의해 수행된다. 커넥팅 룸(13)에 삽입된 커넥팅 튜브(71)의 내부 공간은 커넥팅 룸(13)과 연통되는 커넥팅 유로(70a)를 형성한다. 또한, 커넥팅 튜브(71)는 내주면 중간부위에 내경이 작게 형성된 안착시트부(713)를 구비한다. 안착시트부(713)에 후술되는 커넥팅밸브부(73)가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가 차단되고 안착시트부(713)로부터 커넥팅밸브부(73)가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된다.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후술되는 커넥팅 너트(75)의 일단이 끼워진다. 예컨대, 커넥팅 튜브(71)의 둘레 중간부위에 걸림턱(715)이 형성되고, 커넥팅 너트(75)의 일단은 걸림턱(715)의 후방의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걸림턱(715)은 커넥팅 튜브(71)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을 제한한다. 게다가, 걸림턱(715)은 커넥팅 너트(75)의 커넥팅 룸(13) 외주면 과의 체결범위를 한정한다.
한편, 도 1, 2a, 2b, 3a, 3b, 3c 및/또는 7을 참조하면, 커넥팅 룸(13)에 삽입되는 커넥팅 튜브(71)의 전방 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71a)이 구비된다. 이때, 잔압제거홀(71a)은 커넥팅 튜브(71)의 전방부 둘레를 관통하여 커넥팅 튜브(71) 내부의 커넥팅 유로(70a)와 연통된다.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면, 커넥팅 튜브(71)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71a)이 구비됨으로써, 센터로드(30)의 최대 하강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를 분리하는 경우 후술되는 커넥팅 너트(75)의 완전 풀림 전에 잔압제거홀(71a)을 통한 잔여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잔압제거홀(71a)은 후술되는 볼 안착홈(7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잔압제거홀(71a)은 후술되는 볼 안착홈(711)이 아닌 다른 부분을 관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커넥팅 튜브(71)의 전방 측이 커넥팅 룸(13)에 삽입되는 경우, 커넥팅 룸(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3a)에 설치된 커넥팅 실링링(131)에 의해 커넥팅 튜브(71)와 커넥팅 룸(13) 내주면 사이의 결합 부위가 실링된다.
하나의 예에서, 도 1,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커넥팅 튜브(71) 내주면 중간부위에 형성된 안착시트부(713)는 내경이 작아진 내측 돌출면의 커넥팅 튜브(71) 후방 방향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돌출없이 단순히 내측 돌출면의 커넥팅 튜브(71) 후방 방향 표면일 수 있다.
도 1, 2a, 2b, 3a, 3b 및/또는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튜브(71)는 전방부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볼 안착홈(711)을 더 구비한다. 커넥팅 튜브(71)의 볼 안착홈(711)은 락킹 볼(55)이 유동적으로 안착되는 곳이다. 이때, 센터 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 룸(13)에 삽입되는 커넥팅 튜브(71)의 전방부의 내측면 볼 안착홈(711)에 락킹 볼(55)이 밀착되게 안착되며 락킹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예컨대 최대 하강에 따라 볼 안착홈(711)에 락킹 볼(55)이 유동적으로 안착되며 락킹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을 관통하며 볼 구멍(53a)에 유동적으로 안착된 락킹 볼(55)이 락킹 하우징(5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락킹부(51), 예컨대 락킹 튜브(513)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며 커넥팅 튜브(71)의 볼 안착홈(711)에 밀착되게 안착될 수 있다. 볼 안착홈(711)에 락킹 볼(55)이 밀착되게 안착되면 커넥팅 튜브(71)가 락킹 볼(55)에 의해 고정되므로 커넥팅 어셈블리(70)가 커넥팅 룸(13)에서 락킹 유닛(50)과 락킹된다. 또한, 락킹 하우징(53) 내의 락킹부(51), 예컨대 락킹 튜브(513)에 의해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을 관통한 락킹 볼(55)에 대한 밀림상태(푸싱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락킹 볼(55)이 볼 안착홈(711)에 유동되게 안착되어 있어 락킹이 해제된다.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튜브(71)가 후퇴하면 커넥팅 튜브(71)의 볼 안착홈(711) 주위의 내주면에 의해 락킹 볼(55)이 락킹 하우징(53) 내부로 밀리며 커넥팅 어셈블리(70)가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2b, 3a, 3b, 3c 및/또는 7을 참조하면, 볼 안착홈(71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압제거홀(7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압제거홀(71a)이 볼 안착홈(711)을 관통하며 커넥팅 튜브(71)의 바깥쪽과 커넥팅 튜브(71)의 내부 공간이 이루는 커넥팅 유로(70a)를 연통시킨다.
도 3a, 3b 및 3c를 참조하여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튜브(71)의 분리 과정 및 잔압제거 과정을 살펴본다. 도 3a는 센터로드(30)의 최대 하강에 따라 커넥팅 어셈블리(70)가 락킹 해제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커넥팅 튜브(71)의 볼 안착홈(711)에 이전에 밀착되어 있던 락킹 볼(55)이 밀착상태가 해제되고 유동적 상태로 안착되어 있다. 예컨대, 락킹 하우징(53)의 볼 구멍(53a)을 관통하는 락킹 볼(55)이 락킹 하우징(53)의 바깥쪽에서는 커넥팅 튜브(71)의 볼 안착홈(711)에 유동적으로 자리잡고 락킹 하우징(53)의 내부에서는 락킹 튜브(513)의 후방부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고 유동적인 상태로 있다. 이때, 커넥팅 튜브(71)에 형성된 잔압제거홀(71a)이 커넥팅 실링링(131)에 의한 커넥팅 룸(13) 내주면과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 간의 실링부위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커넥팅 유로(70a)는 외부와 밀폐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75)의 부분 풀림 초기 상태에서, 커넥팅 튜브(71)가 후방으로 일부 후퇴되고 있으나 락킹볼(55)은 락킹 하우징(53) 내부로 일부 밀리며 유동적인 상태로 있다. 이때도 도 3a와 마찬가지로 잔압제거홀(71a)의 위치는 커넥팅 룸(13) 내주면과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 간의 실링부위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커넥팅 유로(70a)는 외부와 밀폐되고 있다. 계속하여, 도 3c를 참조하면, 커넥팅 튜브(71)가 계속 후퇴하며 볼 안착홈(711) 주위의 내주면이 락킹 볼(55)을 락킹 하우징(53) 내부 방향으로 밀며 락킹 튜브(513)의 후방부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커넥팅 튜브(71)는 계속해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잔압제거홀(71a)의 위치는 커넥팅 룸(13) 내주면과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 간의 실링부위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잔압제거홀(71a)을 통해 커넥팅 유로(70a)의 밀폐가 해제된다. 게다가, 커넥팅 너트(75)의 계속적인 부분 풀림에 따라 커넥팅 너트(75)의 내주면에 형성된 잔압제거홈(75a)을 통해 외부와 연통됨으로써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잔압제거홀(71a) 및 잔압제거홈(75a)을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며 커넥팅 유로(70a) 내의 잔압이 제거될 수 있다. 즉, 락킹 해제 상태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분리를 위한 커넥팅 룸(13)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잔압제거홀(71a) 및 잔압제거홈(75a)을 통해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배출되며 커넥팅 유로(70a) 내 잔압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여 커넥팅밸브부(73)를 살펴본다. 커넥팅밸브부(73)는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룸(13)과 연결되는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한다. 예컨대, 커넥팅밸브부(73)는 센터 로드(30)의 승강에 따라 안착시트부(713)에 탈착하며 커넥팅 유로(70a)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 2a 및/또는 2b에서, 커넥팅밸브부(73)는 센터 로드(30)의 상승에 따른 락킹부(51)의 후퇴 시 커넥팅 튜브(71)의 안착시트부(713)에서 떨어지며 커넥팅 유로(70a)를 개방시키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에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안착시트부(713)에 안착되며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커넥팅밸브부(73)는 후술되는 밸브 스프링(74)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전진하며 안착시트부(713)에 안착되어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한다.
예컨대,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밸브부(73)는 커넥팅밸브 몸체(731), 실링부(733) 및 커버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밸브 몸체(731)는 후방부(731c)가 후술되는 후방 가이드(76)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전방부(731a)가 락킹 유닛(50)에 지지된다. 후방부(731c)와 전방부(731a) 사이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 착석부(731b)를 구비한다. 예컨대, 커넥팅밸브 몸체(731)는 전방부(731a)는 락킹 유닛(50)의 후단에, 예컨대 락킹부(51)의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에,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의 홈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팅밸브부(73)의 후방은 후방 가이드(76)에 의해 안내되며 전방은 커넥팅밸브 지지부(515)의 홈에 지지되며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733)는 착석부(731b) 상에 형성되고 안착시트부(713)에 안착되며 안착시트부(713)를 밀폐시킨다. 예컨대, 실링부(733)는 착석부(731b)의 커넥팅 룸 방향의 표면 상에 또는 표면에 형성된 홈 상에 환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밸브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한 커넥팅밸브부(73)의 전진 시, 실링부(733)가 안착시트부(713)에 안착되고 밀착시켜 커넥팅 유로(70a)를 차단시킨다. 반대로, 센터로드(30)의 상승 시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에 따라 실링부(733)가 안착시트부(713)에 떨어지면 커넥팅 유로(70a)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커버부(735)는 실링부(733)를 착석부(731b) 상에 고정시킨다. 커버부(735)는 실링부(733) 전방측, 즉 커넥팅 룸 방향 측 커넥팅밸브 몸체(731) 둘레에 형성되며 실링부(733)의 일부를 커버하며 실링부(733)를 착석부(731b) 상에 고정시키고, 안착시트부(71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733)의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1, 2a, 2b, 3a, 3b, 3c, 7 및/또는 8을 참조하여 커넥팅 너트(75)를 살펴본다. 커넥팅 너트(75)는 일단이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커넥팅 너트(75)의 타단은 커넥팅 룸(13)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13b)에 체결된다.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끼워진 커넥팅 너트(75)의 일단은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넥팅 너트(75)의 타단 측 너트부위가 커넥팅 룸(13)의 외주면 나사산(13b)에 너트 체결된다.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룸(13)으로의 분리 시 커넥팅 너트(75)의 타단의 커넥팅 룸(13)의 외주면으로부터 너트 체결이 풀리고 커넥팅 튜브(71)를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75a)이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75a)은 커넥팅 너트(75)의 타단부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 시 잔압제거홀(71a)과 잔압제거홈(75a)을 통한 잔여 유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 부위에 남아있는 소량의 유체의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75)의 타단의 커넥팅 룸(13)의 외주면으로부터 부분 풀림 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의 커넥팅 튜브(71)를 커넥팅 룸(13)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빼냄(부분 후퇴)에 따라 커넥팅 튜브(71) 둘레에 형성된 잔압제거홀(71a)을 통해 빠져나온 유체가 커넥팅 너트(75)의 내주면에 형성된 잔압제거홈(75a)을 통해 빠져나감으로써 커넥팅 유로(70a) 내의 잔압이 제거된다. 즉, 커넥팅 튜브(71)의 커넥팅 룸(13)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가 잔압제거홀(71a), 커넥팅 튜브(71)와 커넥팅 룸(13)의 사이의 간극 및 잔압제거홈(75a)을 따라 배출되며 커넥팅 유로(70a) 내의 잔압이 제거될 수 있다. 도 3c에서, 커넥팅 유로(70a) 내의 유체는 붉은색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배출된다.
예컨대, 도 1, 2a, 2b, 3a, 3b, 3c, 7 및/또는 8을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75)는 커넥팅 튜브(7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일단 부위(75b)의 내경이 작고 커넥팅 룸(13)의 외주면에 너트 체결되는 타단 측의 내경이 클 수 있다.
예컨대, 커넥팅 너트(75)의 체결 시, 커넥팅 너트(75)의 진행을 차단하는 걸림턱(715)이 커넥팅 튜브(71)의 중간부위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715)은 커넥팅 튜브(71)의 커넥팅 룸(13)으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 1, 2a, 2b 및/또는 7을 참조하면,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밸브 스프링(74) 및 후방 가이드(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74)은 커넥팅 튜브(71) 내에서 커넥팅밸브부(73)의 후방부(731c) 둘레에 설치된다. 밸브 스프링(74)은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시 압축되고 센터 로드(30)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커넥팅밸브부(73)를 전진시킨다. 예컨대, 밸브 스프링(74)의 일단은 후방 가이드(76)에 지지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넥팅 튜브(71) 내의 후방 단턱에 지지되고, 밸브 스프링(74)의 타단은 커넥팅밸브부(73)의 착석부(731b)의 배면(후방면) 또는 배면(후방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방 가이드(76)는 커넥팅 튜브(71)의 내측, 예컨대 후방부 내측에 고정되며, 커넥팅밸브부(73)의 후퇴 및 전진 시 커넥팅밸브부(73)의 후방부(731c)를 가이드한다. 즉, 커넥팅밸브부(73)는 커넥팅 튜브(71) 내에서 후퇴 및 전진 시 후방 가이드(76)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요동없이 커넥팅 유로(70a)에 대한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후방 가이드(76)는 밸브 시트(73)의 후방부(731c)가 관통하는 안내홀이 구비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76)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안내홀(76a)의 둘레에서 방사상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때, 다수의 돌출부가 커넥팅 튜브(71)의 후방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 2a, 2b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는 커넥터(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77)는 커넥팅 튜브(71)의 후방 측, 예컨대 후방부 내측면(71c)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77)의 전단은 커넥팅 튜브(71) 후방부에 설치된 후방 가이드(76)의 후방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커넥터(77)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70)를 외부 배관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커넥터(77)는 예컨대 니플 또는 유니언 등의 양측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77)와 커넥팅 튜브(71)의 체결 부위에 실링을 위한 커넥터 실링링(77b)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 실링링(77b)은 커넥터(77)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77a)에 설치되어, 커넥터(77)와 커넥팅 튜브(71)의 체결 시 체결부위의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공조 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 기기를 살펴본다. 공조 기기는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이다. 예컨대, 제1 열교환장치인 본체와 제2 열교환장치인 응측기(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된 에어컨일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전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하나의 실시예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에 의해 연결 배관이 분리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 배관으로 연결되고 연결배관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 사이의 연결 배관에 남아있는 소량의 유체의 잔압에 의해 분리되는 일측이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추후 재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설치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는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를 참조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메인 몸체 11: 센터 룸
12: 밸브포트 13: 커넥팅 룸
15: 서비스 포트 30: 센터 로드
31: 포트개폐부 33: 로드안착부
35: 나사산부 50: 락킹 유닛
51: 락킹부 511: 락킹 로드
513: 락킹 튜브 515: 커넥팅밸브 지지부
53: 락킹 하우징 55: 락킹 볼
57: 로드 스프링 70: 커넥팅 밸브어셈블리
70a: 커넥팅 유로 71: 커넥팅 튜브
71a: 잔압제거홀 711: 볼 안착홈
73: 커넥팅밸브부 74: 밸브 스프링
75: 커넥팅 너트 75a: 잔압제거홈
76: 후방 가이드 77: 커넥터

Claims (9)

  1. 센터 룸, 상기 센터 룸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 및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상기 센터 룸의 하측 둘레에 연결된 커넥팅 룸을 구비하는 메인 몸체; 상기 센터 룸에 설치되되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센터 로드; 상기 밸브포트의 차단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룸으로의 삽입 설치 및 분리가 수행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 밸브어셈블리; 및 상기 커넥팅 룸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 시 상기 커넥팅 룸에 삽입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를 락킹시키고 상기 센터 로드의 하강 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락킹을 해제시키는 락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전방 측이 상기 커넥팅 룸에 삽입되고, 상기 락킹 유닛에 의해 락킹 및 락킹 해제되고, 내부 공간이 상기 커넥팅 룸과 연통되는 상기 커넥팅 유로를 형성하고, 내주면 중간부위에 내경이 작게 형성된 안착시트부를 구비하는 커넥팅 튜브; 상기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안착시트부에 탈착하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개폐하는 커넥팅밸브부; 및 일단이 상기 커넥팅 튜브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팅 룸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튜브의 전방 측 둘레에 상기 커넥팅 유로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팅 너트의 타단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너트의 상기 커넥팅 룸의 외곽 나사산으로부터 부분 풀림 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상기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상기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가 상기 잔압제거홀, 상기 커넥팅 튜브와 상기 커넥팅 룸의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잔압제거홈을 따라 배출되며 상기 커넥팅 유로 내의 잔압이 제거되고,
    상기 커넥팅 튜브는 전방부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볼 안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 시 상기 볼 안착홈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에 대한 락킹을 수행하고 상기 센터 로드의 하강에 따른 상기 밸브포트의 차단 시 상기 볼 안착홈에 유동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락킹을 해제하는 다수의 락킹 볼을 포함하고,
    상기 잔압제거홀은 상기 볼 안착홈을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잔압제거홀이 상기 커넥팅 룸 내주면과 상기 커넥팅 튜브의 외주면 간의 실링부위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팅 유로가 외부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센터 로드는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포트를 개폐하는 포트개폐부 및 상기 포트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로드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유닛은: 일단이 상기 로드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후퇴 및 전진하되 후퇴 시 상기 커넥팅 유로가 개방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는 락킹부; 및 상기 커넥팅 룸에 고정 설치되며 후방부 둘레에 상기 락킹 볼이 유동적으로 안착되게 관통되는 다수의 볼 구멍을 구비하는 락킹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적어도 후방부위가 상기 락킹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후퇴 시 상기 볼 구멍에 유동적으로 안착된 상기 락킹 볼을 바깥쪽으로 밀어 상기 볼 안착홈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전진 시 상기 락킹 볼에 대한 바깥쪽으로의 푸싱상태를 해제시켜 밀착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락킹 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락킹 하우징 내부의 단턱에 지지되며 상기 락킹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킹부를 전진시키는 로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일단이 상기 로드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센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후퇴 및 전진하는 락킹 로드;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전방부가 상기 락킹 로드와 결합되고 중간부 외주면 직경보다 후방부 외주면 직경이 감소되고 상기 락킹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락킹 로드의 후퇴 시 후퇴하고 상기 센터로드의 하강 시 외주면 둘레에 설치된 상기 로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상기 락킹 로드를 전진시키는 락킹 튜브; 및 상기 락킹 튜브의 후방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락킹 튜브의 후퇴 시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후퇴시키고 상기 센터로드의 하강 시 상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도록 전진하는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지지하는 커넥팅밸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튜브의 후퇴 시 직경이 큰 중간부 외주면이 상기 락킹 볼을 바깥쪽으로 밀고, 상기 락킹 튜브의 전진 시 직경이 작은 후방부 외주면에 의해 상기 락킹 볼에 대한 푸싱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커넥팅 룸의 내측면에 형성된 링홈에 설치된 커넥팅 실링링에 의해 상기 커넥팅 튜브와의 결합 부위가 실링되고,
    상기 잔압제거홀은 상기 락킹 시 상기 커넥팅 실링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를 위한 상기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상기 커넥팅 실링링의 후방 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서,
    상기 커넥팅 룸은 상기 센터 룸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로드안착부는 상기 포트개폐부의 상측에서 둘레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이고,
    상기 센터 로드의 상승에 따라, 상기 원뿔대 형상의 곡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락킹부의 말단이 상기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 상승하며 상기 락킹부가 후퇴되고,
    상기 센터 로드는: 나선 회전에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로드안착부의 상측의 몸체 둘레에 형성되되 상기 센터 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부; 상기 센터 로드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로드 환형홈; 상기 센터 로드의 상부 말단면에 나선 회전을 위한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 홈; 및 상기 로드 환형홈에 설치된 로드 실링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트개폐부는 승강에 따라 상기 밸브포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반구형 또는 하측으로 테이퍼드된 원뿔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센터 룸의 오픈된 상부 말단을 막는 센터 캡 및 상기 센터 룸의 하측에 또는 상기 센터 룸과 연결되는 상기 커넥팅 룸의 연결측에 일측이 연결된 서비스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포트를 통해 유체의 압력이 측정되거나 유체가 충전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7. 청구항 1, 4,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방부 둘레에 설치되되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시 압축되고 상기 센터 로드의 하강 시 탄성력으로 상기 커넥팅밸브부를 전진시키는 밸브 스프링; 및 상기 커넥팅 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밸브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퇴 및 전진 시 상기 커넥팅밸브부의 후방부를 가이드하는 후방 가이드;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밸브부는 후퇴 시 상기 안착시트부에서 떨어지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밸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전진 시 상기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상기 커넥팅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락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의 분리를 위한 상기 커넥팅 룸으로부터의 부분 후퇴에 따라 상기 잔압제거홀 및 상기 잔압제거홈을 통해 상기 커넥팅 유로 내의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커넥팅 룸은 상기 센터 룸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팅 튜브의 후방 측에 나사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밸브부는: 후방부가 상기 후방 가이드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전방부가 상기 락킹 유닛에 지지되고 후방부와 전방부 사이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된 착석부를 구비하는 커넥팅밸브 몸체; 상기 착석부 상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시트부에 안착되며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를 상기 착석부 상에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9.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에 청구항 1, 4,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의 분리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기.
KR1020160093952A 2016-07-25 2016-07-25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84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52A KR101847719B1 (ko) 2016-07-25 2016-07-25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52A KR101847719B1 (ko) 2016-07-25 2016-07-25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23A KR20180011523A (ko) 2018-02-02
KR101847719B1 true KR101847719B1 (ko) 2018-04-11

Family

ID=6122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52A KR101847719B1 (ko) 2016-07-25 2016-07-25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14U (ko)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설비 잔압 확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426B2 (ja) 1994-09-09 1997-12-24 和男 矢野 開閉弁付きプラグイン接続型管継手装置
KR200275050Y1 (ko) 2002-02-21 2002-05-09 김종진 커플러 조립체
JP2003343799A (ja) 2002-05-29 2003-12-03 Tokico Ltd 燃料充填カプラ
JP2015503064A (ja) 2011-10-19 2015-01-29 チャールズ クーリー,ロバート 加圧閉塞機構およびブリードダウン捕獲機構を有するグリース送出用受け具およびノズ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426B2 (ja) 1994-09-09 1997-12-24 和男 矢野 開閉弁付きプラグイン接続型管継手装置
KR200275050Y1 (ko) 2002-02-21 2002-05-09 김종진 커플러 조립체
JP2003343799A (ja) 2002-05-29 2003-12-03 Tokico Ltd 燃料充填カプラ
JP2015503064A (ja) 2011-10-19 2015-01-29 チャールズ クーリー,ロバート 加圧閉塞機構およびブリードダウン捕獲機構を有するグリース送出用受け具およびノズ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14U (ko)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설비 잔압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23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295A (en) High flow valved fitting
EP3397890B1 (en) Device for sealing pipelines
BR112015007051B1 (pt) Válvula e método de operação de válvula
KR101847719B1 (ko) 잔압제거 기능 갖는 분리형 밸브장치 및 공조 기기
CN105593586B (zh) 用于调节流体流动的控制阀
JP2005516174A (ja) 冷凍システム用サービスカップリング
US6354100B1 (en) Air conditioner charge valve
US6899317B2 (en) Combined test and bleed valve fitting
KR100940973B1 (ko) 듀얼 기능 서비스 커플링
KR101750104B1 (ko) 배관용 분리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A2594293A1 (en) Sanitary drain valve
US6837256B2 (en) Filler tube mounted fuel tank refueling valve
US20080057150A1 (en) Composite production by resin transfer molding
US10883337B2 (en) Drain-back valve and method
US20120180471A1 (en) Compressed gas operated instrument, in particular a surgical instrument
KR101903488B1 (ko) 공조배관 분리용 밸브 장치 및 공조 설비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WO2016116827A1 (en) Quick connect coupling
WO2011055371A1 (en) Easily mountable needle valve
KR101688692B1 (ko) 분리형 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N215487811U (zh) 一种自动最小流量阀
JP7164321B2 (ja) 空気弁
US20080178941A1 (en) System disconnector
JP3873254B2 (ja) 水圧・ブローイングアウト共用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試験方法
CN216742861U (zh) 可改变长度的防冻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