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160B1 -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160B1
KR101847160B1 KR1020120055573A KR20120055573A KR101847160B1 KR 101847160 B1 KR101847160 B1 KR 101847160B1 KR 1020120055573 A KR1020120055573 A KR 1020120055573A KR 20120055573 A KR20120055573 A KR 20120055573A KR 101847160 B1 KR101847160 B1 KR 10184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call
csfb
servic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772A (ko
Inventor
전승일
조진만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5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에서 정의하는 4G 차세대 핵심망(EPS: Evolved Packet System)에서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서, (a) 통신 시스템의 교환 노드에서,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b) 교환 노드에서,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CSFB service for improving voice call success rate}
본 발명은 진화된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GPP에서 정의하는 4G 차세대 핵심망(EPS: Evolved Packet System)에서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차세대 핵심망(EPS)은 LTE(Long Term Evolution), HSPA(High-Speed Packet Access)/HSPA+ 는 물론 non-3GPP 네트워크까지 포함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All-IP 기반 시스템이다.
3GPP EPS 시스템에서의 CS Fallback 이란, LTE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셀 영역 내에서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이 CS(Circuit Switched) 영역의 네트워크 자원, 즉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MSC 서버를 이용하여 CS 서비스(예를 들면, 음성 서비스는 물론 영상 서비스, SMS, LCS(Location Services),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CSFB 기능은 EPS 네트워크를 통해서 CS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이용하게 된다. 참고로 EPS는 AIPN(All IP Network) 형태의 네트워크로 음성이나 SMS와 같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IMS 네트워크와의 연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IPS 네트워크에서 IMS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거나 IMS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CSFB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CSFB 기능은 네트워크는 물론 UE에서도 지원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CSFB 기능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3114호에는 LTE가 혼합된 이종망에서 CSFB 방식에 따라 LTE 망을 취득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3G와 LTE 서비스 이용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LTE로의 망 진화 과정중 데이터 기반의 음성 서비스(IMS, mVoIP)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형태로 데이터는 LTE, 음성은 기존의 3G망을 이용하는 CSFB 기술이 표준화되어 초기 LTE 상용화 구축 사업자들에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LTE와 3G의 구축 범위가 다르고 이종 망간 천이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싱글 모드 단말의 경우 LTE 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와 3G 망에서의 음성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말에서 발신 시도와 동시에 착신호가 수신될 경우 충돌 현상으로 인해 착신호 성공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증가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화에 따라 아이들 상태에서도 수시로 데이터 호의 발착신이 이루어지며, 특히 데이터 발신호와 음성 착신호의 충돌시 음성 착신호 실패에 따른 음성 서비스의 품질 저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 저하 보다 문제가 큰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싱글 모드 단말에 CSFB 기능 제공시, 데이터 호 발신과 음성 호 착신이 충돌하여 음성 호 착신이 실패하는 현상을 개선하여, 음성 착신호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은,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서, (a) 통신 시스템의 교환 노드에서,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b) 교환 노드에서,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장치로서, 코어망의 노드 또는 이동통신 단말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페이징 처리모듈; 다른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신호 및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 및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페이징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통신 시스템의 교환 노드에서,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절차와, 교환 노드에서,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와,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절차 및 교환 노드는, 상기 착신측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 망에 접속중인 단말에 3G 망으로부터 음성 착신호에 따른 CSFB을 위한 페이징 처리시,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 여부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재송신 처리하여 데이터 호 발신에 따라 음성 호 착신이 실패하는 현상을 개선하여 음성 착신호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절차를 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별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구현되는 통신 시스템은 LTE 망과 3G 망이 혼합된 네트워크이며, 이동통신 단말(30)은 LTE 망과 3G 망에 모두 접속 가능한 싱글 모드 단말이고, 해당 통신 시스템 및 단말(30)은 CSFB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3G 망은 MSC(10),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12) SGSN(11), 기지국(Node B: 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LTE 망은 MME(20), 기지국(e Node B: 21) 등을 포함한다. 상기 MME(20)와 상기 MSC(10)는 SGs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30)은 싱글 모드 단말 즉, 동시에 두 종류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없고, 하나의 통신망에만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30) 및 상기 통신 시스템은 CSFB 기능을 제공하고 지원한다. CSFB 기능은 회선 교환망 폴백(Circuit Switched Fall Back) 기능으로, 싱글 모드 단말이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다가 또는 LTE 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음성 착신호 또는 3G 서비스 호가 발생할 경우 LTE 망에서 3G 망으로 접속을 변경하는 처리기능이다.
이와 같은, CSFB 기능 처리의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면, LTE 망에 접속중인 이동통신 단말(30)에 3G 망으로 음성 착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3G 망의 MSC(10)는 LTE 망의 MME(20)로 음성 착신을 알리는 페이징을 수행하게 된다. MME(20)는 해당 단말이 싱글 모드 단말이므로 CSFB 처리를 위해, MSC(10)로 CSFB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CSFB 처리에 따라 3G 망으로 제어권을 넘긴 후, 착신 이동통신 단말에 음성 착신에 따른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30)은 페이징을 수신하여 음성 착신을 확인하고, CSFB된 3G 망으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착신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LTE 망에 접속중인 이동통신 단말(30)에서 데이터 호를 발신하게 되면, 기존에는 페이징 수신과 데이터 호 발신이 충돌하여 단말에서는 페이징 수신을 무시하고 데이터 호 발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음성 착신호에 대한 호 성공율이 하락하여 음성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음성 착신호에 대한 호 성공율을 높이도록 하는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SFB 서비스 처리 장치(100)는, 페이징 처리 모듈(110), 메시지 수신 모듈(120), 페이징 제어 모듈(130), CSFB 처리 모듈(140)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SFB 서비스 처리 장치(100)는 LTE 망에 구비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CSFB 서비스 처리 장치(100)는 LTE 망의 MME(20)에 구비되어, 호 처리시나 CSFB 서비스 처리시에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페이징 처리 모듈(110)은 착신 호가 발생한 경우 착신을 알리는 페이징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페이징 처리 모듈(110)은 3G 망의 MSC(10)로부터 음성 착신호 발생에 따른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LTE 망에 접속 중이거나 LTE 망에 데이터 통신 중인 이동통신 단말(30)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
메시지 수신 모듈(120)은 다른 노드 또는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의 신호나 메시지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수신 모듈(120)은 3G 망의 MSC(10)로부터 음성 착신호 발생에 따른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의 데이터 발신 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수신 모듈(120)은 LTE 망에서의 데이터 착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 수신 모듈(120)에서 3G 망의 MSC(10)로부터 수신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는, 이종 망 간의 교환 노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SGs 인터페이스에 따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
상기 페이징 제어 모듈(130)은 음성 착신호에 따른 페이징 요청에 따라 페이징 처리시, 이동통신 단말(30)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호 발신 시에는 상기 페이징 처리 모듈(110)을 통해 한번 더 페이징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30)로 재전송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페이징 제어 모듈(130)은, 먼저 상기 메시지 수신 모듈(120)에서 3G 망의 MSC(10)로부터 3G 망으로의 음성 착신호 발생에 따른 페이징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LTE 망에 접속 중이거나 LTE 망에서 데이터 통신중인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에 페이징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의 데이터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에서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페이징 제어 모듈(130)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로 상기 페이징 요청 신호에 따른 페이징 신호를 다시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LTE 망의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 호는, 이동통신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통해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로 페이징 신호를 다시 재전송 처리할 경우에는, 착신측 단말(30)로 CS Service Notification 메시지를 재송신하여 다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페이징 제어 모듈(130)을 통해서, 음성 착신호에 따른 페이징 수행시, 착신측 단말에서 동시에 데이터 호가 발신될 경우, 기존에 음성 착신에 따른 페이징 신호가 단말측에서 무시되고 데이터 발신을 우선 처리하여, 음성 호 착신이 실패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페이징 제어 모듈(130)에서 음성 호 착신에 따른 착신측 단말로의 페이징 수행시, 착신측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호 발신이 확인될 경우, 다시 한번 해당 착신 단말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데이터 호 발생과 페이징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른 충돌 현상으로 음성 착신호의 페이징이 무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페이징 제어 모듈(130)에서 착신측 단말의 데이터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별도의 페이징 신호 재송신 절차를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CSFB 처리 모듈(140)은, CSFB 처리 기능에 따라 CSFB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고 착신 호의 착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3G망의 MSC(10)로부터 CSFB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CSFB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이렇게, CSFB 처리되어 3G 망으로 제어권이 넘어간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은 페이징 신호에 따른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3G 망의 MSC(10)측으로 전송하여 최종 음성호 착신 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번 실시예는 LTE 망의 MME(2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 절차를 설명하며, LTE 망에 접속되거나 LTE 망에서 데이터 통신 중인 이동통신 단말에 3G 망으로부터 음성 착신호에 따른 페이징 처리를 진행하는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3G 망에서 발생한 LTE 망의 이동통신 단말(30)에 대한 음성호 착신 요청에 따른 페이징 요청 신호를 교환 노드(MME)에서 수신한다.(S10)
교환 노드는, LTE 망에 데이터 접속중인 이동통신 단말(30)로 음성 착신에 따른 CSFB 처리를 위해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S20)
이와 함께, 교환 노드는 LTE 망에 데이터 접속중인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30)에 데이터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에는, 페이징 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해당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S30)
데이터 호 발신 여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호 발신 이루어진 경우에는 페이징과 데이터 발신호가 충돌한 상태로 판단하고,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충돌없이 정상 상태로 판단한다.(S40)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LTE 망의 착신측 단말(30)로 상기 페이징 요청에 따른 페이징 신호를 다시 재송신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즉, 착신측 단말(30)에서 페이징 처리와 함께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졌으므로 충돌 현상으로 인한 음성호 착신이 실패하게 되므로, 데이터 호 발신 처리가 진행된 후 음성호 착신을 처리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페이징 신호를 단말 측으로 재송신하게 된다.(S50)
반면, 데이터 호 발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거나 상기 단계 S50의 절차인 페이징 신호 재송신 처리를 수행한 후에는, 별도의 처리 없이 CSFB 서비스 처리를 진행하고, 3G 망으로 CSFB 처리된 단말의 음성호 착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S60)
이러한 절차를 통해, LTE 망에 접속중인 단말에서 데이터 호 발신과 동시에 3G 망으로부터의 음성 착신호 발생에 따른 CSFB 처리와 함께 단말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면, 충돌 현상으로 인해 최초 페이징 신호가 무시되더라도, 데이터 발신호 처리 후 다시 한번 페이징 신호가 재송신되어, 정상적인 음성호 착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비해 음성호의 착신 성공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절차를 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별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LTE 망에 접속중인 단말(UE#1)에 음성 착신호가 발생에 따른 착신 처리 절차와, 단말(UE#1)에서 음성 착신 시도와 동시에 데이터 호가 발신될 경우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3G 망의 MSC에서는 LTE 망에 접속중인 단말(UE#1)에 대한 음성 착신 요청을 수신한다. 즉, CSFB 서비스에 따라 3G 망을 통해 음성 착신호가 발생하면, LTE 망에 접속한 단말로 CSFB 서비스를 통한 음성호를 착신시키기 위한 절차가 진행된다.(S1)
MSC에서 음성 착신이 요청되면, LTE 망의 MME로 해당 단말(UE#1)에 대한 페이징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에는, SGs 인터페이스에 따른 프로토콜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S2)
MME는 페이징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단말(UE#1)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3) 아울러, MME는 CSFB 서비스 처리를 위해 MSC로 CSFB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미도시)
착신측 단말(UE#1)에서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 데이터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3G 망을 통해 음성 착신호가 발생하여, LTE 망의 착신측 단말(UE#1)로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는 중에, 착신측 단말(UE#1)에서 동시에 데이터 호를 발신하여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S3')
이와 같이, 페이징과 데이터 호 발신이 충돌하게 되면, 단말에서는 페이징을 무시하고 데이터 호 발신 처리를 강행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4)
단말은 데이터 호 발신 처리 강행에 따라, MME로 데이터 호 발신을 요청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Service Request for Data Service' 메시지를 MME로 전송하여 데이터 호 발신을 요청하게 된다.(S5)
MME에서는 착신측 단말(UE#1)로 페이징을 수행함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하였으므로, 착신측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을 확인하게 된다.(S6)
MME는 페이징 수행과 동시에 착신측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발신 상태를 확인하였으므로, 착신측 단말(UE#1) 다시 한번 페이징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에 단말로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 메시지는 'CS Paging Notification' 메시지를 예로 들 수 있다.(S7)
단말에서는 데이터 호 발신 처리 후, 다시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CSFB 처리를 수행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단말에서는 데이터 호 발신에 따른 충돌로 페이징 무시 절차를 진행한 이후이므로, 충돌 현상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후의 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하게 된다.(S8)
단말은, 페이징 수신 후에 CSFB 처리를 진행하고,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음성호 착신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S9)
이러한 처리 절차를 통해, 데이터 호 발신과 음성호 착신에 따른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돌 현상이 제거된 후 추가적인 페이징 신호를 재전송하여, 다시금 정상적은 음성호 착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음성호 착신 성공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페이징 처리 모듈 120 : 메시지 수신 모듈
130 : 페이징 제어 모듈 140 : CSFB 처리 모듈

Claims (11)

  1.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음성 착신호 성공률을 높이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방법으로서,
    (a) 통신 시스템의 교환 노드에서,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제1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b) 교환 노드에서, 제1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제2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d) 교환 노드는, 상기 착신측 단말에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요청된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후에,
    (e)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지 않았을 경우, 착신측 단말에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요청된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FB 서비스 처리는,
    LTE 망과 3G 망 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노드는, MSC 또는 MM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통해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착신측 단말로 CS Service Notification 메시지를 재송신하여 제2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8.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음성 착신호 성공률을 높이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 장치로서,
    코어망의 노드 또는 이동통신 단말로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페이징 처리모듈;
    다른 노드 및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신호 및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모듈; 및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제1 페이징을 수행하고, 제1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제2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페이징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는 CSFB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제어 모듈은,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CSFB 처리 모듈을 통해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장치.
  11. LTE 네트워크 환경에서 회선 교환망 서비스를 구분하여 음성 착신호 성공률을 높이는 CSFB(Circuit Switch Fall Back)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통신 시스템의 교환 노드에서, 음성 착신호에 따라 착신측 단말로 제1 페이징을 수행하는 절차와,
    교환 노드에서, 제1 페이징 처리 수행과 함께, 착신측 단말로부터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와,
    교환 노드는, 데이터 발신 호가 요청되었을 경우, 착신측 단말로 다시 제2 페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절차 및
    교환 노드는, 상기 착신측 단말로부터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CSFB 서비스 처리를 완료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55573A 2012-05-24 2012-05-24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4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73A KR101847160B1 (ko) 2012-05-24 2012-05-24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73A KR101847160B1 (ko) 2012-05-24 2012-05-24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772A KR20130131772A (ko) 2013-12-04
KR101847160B1 true KR101847160B1 (ko) 2018-04-09

Family

ID=4998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573A KR101847160B1 (ko) 2012-05-24 2012-05-24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079A (ja) * 2008-12-24 2010-07-0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079A (ja) * 2008-12-24 2010-07-0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772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571B2 (en) Paging for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in long term evolution (LTE) connected mode
JP6587016B2 (ja) 移動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制御方法
US11716703B2 (en) Paging method and paging device
EP2823668B1 (en) Circuit switch fallback (csfb) during prepaging
JP2013507051A (ja) 回線交換フォールバック呼配送でのlte−to−1xrtt境界セル・クロス・ページングを減らす装置および方法
EP2874440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me,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mme
CN114915614B (zh) 一种恢复ims业务的方法及装置
WO2013034091A1 (zh) 一种sms业务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412859B (zh) 一种自动重发短信的方法及终端
JP5732467B2 (ja) 移動側着信手続きの制御方法、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ノー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9609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方法
KR20020011407A (ko) 예비 호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오류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5384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local switch of the local call
CN103444229A (zh) 处理从cs接入网络到ps接入网络的呼叫转移
US8868114B2 (en) Network entity for mobile communications
KR101847160B1 (ko) 음성 착신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89658A (ko) 터널 방향전환 방법 및 상호연동 기능 엔티티
CN102365845B (zh) 本地路由实现方法及系统、网络设备
CN101790140A (zh) 业务请求的发起和处理的方法和设备
US20130070684A1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1x messages
KR101488883B1 (ko) 호 성공율 향상을 위한 csfb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51419B1 (ko) 네트워크 천이 방법, 이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및 이동 단말
WO2019206248A1 (zh) 一种电路交换回退方法及装置
KR20100043809A (ko) 멀티 페이징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단말기 및 시스템
KR101487483B1 (ko) 음성 호 연결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