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065B1 -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65B1
KR101847065B1 KR1020170172404A KR20170172404A KR101847065B1 KR 101847065 B1 KR101847065 B1 KR 101847065B1 KR 1020170172404 A KR1020170172404 A KR 1020170172404A KR 20170172404 A KR20170172404 A KR 20170172404A KR 101847065 B1 KR101847065 B1 KR 10184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ntroller
fixed
loa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세찬
Original Assignee
김앤영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앤영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김앤영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17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수집된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키고 외부에 표출케 하여 부하 제어를 원활하게 하면서 이와 함께 배전선로 상에서 발생되는 단선 등 고장지점을 신속히 확인하고 고장지점을 신속히 복구시켜 원활한 전력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악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함체 시건성을 강화시킨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Separation control system for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수집된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키고 외부에 표출케 하여 부하 제어를 원활하게 하면서 이와 함께 배전선로 상에서 발생되는 단선 등 고장지점을 신속히 확인하고 고장지점을 신속히 복구시켜 원활한 전력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악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함체 시건성을 강화시킨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PMS:Power Management System)은 대단위 주거단지, 공장, 공단, 건물에서 전력제어를 자동으로 프로그램화시키고 자동 계측을 통해 전력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전력 수요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주로 전기 수배전설비를 제어, 유지 및 관리하며, 소방, 통신, 기타 공조 설비를 종합적으로 중앙 감시할 수 있음으로 각종 설비의 연동, 기동, 정지에 관련된 모든 전력제어를 일괄해 처리하고 있다.
현재, 전기 에너지 소모는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새로운 전력 전송 및 전력 분배 네트워크 그리고/또는 에너지 생성 능력에 투자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는 이산화탄소 방출 형태의 환경상에 증가한 부하를 포함하는 인자들 또는 급변하는 에너지 시장들에 투자를 하지 않으려는 것에 기인한다 하겠다.
종래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전력선로 또는 자동화 개폐기를 유지보수하거나 교체 작업을 통해 복구완료시 재공급되는 전력 공급상태를 사실상 확인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상태를 파악하는데에도 오랜 시간이 걸렸다.
또한, 종래 부하제어 시스템은 불안정한 전력수급상황에서 신속/정확한 부하제어 처리를 요함에도 불구하고 정보제공 범위의 협소, 긴급한 상황에서의 운영자(혹은 관리자)의 경험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사유로 정전피해로 인한 파급 영향 및 상황 판단을 쉽게 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배전계통도는 회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부하제어에 따른 정전 피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위치 파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한 등록특허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에서는 부하제어를 위한 시스템만 존재할 뿐 배전선로의 특정지점에서 이상이 생겼을 때 이를 신속히 대처하여 복구할 수 있는 수단은 부재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61396호(2017.07.19.)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수집된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키고 외부에 표출케 하여 부하 제어를 원활하게 하면서 이와 함께 배전선로 상에서 발생되는 단선 등 고장지점을 신속히 확인하고 고장지점을 신속히 복구시켜 원활한 전력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악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함체 시건성을 강화시킨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객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정렬되는 고객정보와, 복수의 배전선로 및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정보와, 각 고객유형에 부여된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 및 변전소 내 각 배전선로에 대한 제어방법을 포함하는 긴급 부하제어 규칙정보와,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의 개폐상태 정보,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00); 상기 배전계통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배전선로 및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가 연동되도록 배전 계통망을 생성하며, 상기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 및 상기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전 계통망 상의 각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의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및 부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및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배전 계통망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를 전력 수급 불안정시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하는 배전계통 관리부(200); 상기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를 리스트화시켜 표출하는 통신 단말기(300);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하는 원격검침 연계부(400); 및 배전자동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의 개폐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하는 DAS 연계부(500)를 포함하는 부하컨트롤유닛(1000)을 구비한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300)를 탑재한 단선된 배전선(L)을 복구하도록 복구차량(RU)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DAS 연계부(500)로부터 수신한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복구차량(RU)은 컨트롤러가 탑재된 운전실(20)을 갖춘 이동차본체(10), 상기 이동차본체(1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메인실린더(66), 상기 메인실린더(66)를 힌지 고정하도록 이동차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된 제1브라켓(62), 상기 제1브라켓(6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브라켓(64), 상기 제2브라켓(64)에 힌지고정되고 일부에는 상기 메인실린더(66)가 연결되어 접었다 펼 수 있는 파지대(50), 상기 파지대(50)에 고정된 사각고정통(70), 상기 사각고정통(70)에 끼워지고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높이조절실린더(72)에 의해 승하강되는 슬라이딩바(80), 상기 슬라이딩바(80) 한 쌍이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커팅실린더(82), 상기 커팅실린더(82)의 커팅로드(84)에 고정된 커팅모터(86), 상기 커팅모터(86)의 회전축에 고정된 원형상의 회전커터(88), 상기 커팅실린더(82)와 대향하는 슬라이딩바(80) 상에 고정된 클램프실린더(92), 상기 클램프실린더(92)의 클램프로드(94) 상에 고정되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위형 클램프(96), 상기 가위형 클램프(96)의 내주면에 인서트 성형된 금속 도전체(MT), 상기 금속 도전체(MT)의 길이 일부에 매립된 히터(HT), 상기 사각고정통(70)을 가로질러 설치된 스위칭대(SP) 상에 설치되어 한 쌍의 가위형 클램프(96)간 통전 상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SW)를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승강, 회전, 발열 제어되며;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은 케이스인 함체(200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000)의 도어(2100)가 설치되는 상측프레임(FRM)에는 이중시건유닛(2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상기 도어(2100)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DRF)의 상측에 유닛컨트롤러(2210)가 매립 설치되고,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인 시건판(2220)을 포함하며, 상기 시건판(2220)의 일단은 부싱(2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부싱(2230)에는 회전축(22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2240)은 상기 함체(2000)의 상측프레임(FRM)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블럭(2250)의 회전안내링(2252)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240)의 일단에는 종동기어(2260)가 고정되며, 상기 종동기어(2260)에는 구동기어(2270)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2270)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구동모터(22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DRF)의 도어(2100) 안착면에는 도어(2100)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리미트스위치(LMT)를 더 설치되고;
상기 도어(2100)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DRF)에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와 간격을 두고 작업자의 ID 카드 정보를 읽어 허가자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ID카드 리더기(2300)가 설치되며, 상기 ID카드 리더기(2300)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시건판(2220)은 내구성과 경량화를 증대시키도록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되며;
상기 상측프레임(FRM)에는 유닛컨트롤러(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받는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삽탈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동기어(2270)의 일측면에는 삽탈홈(GOV)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삽탈홈(GOV)의 내경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STP)가 돌출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끼워졌을 때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의 운용계획에 따라 운용 제어되는 드론(3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드론(3000)이 촬영한 영상이미지는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로 실시간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론(3000)은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와의 통신을 위해 드론제어기(3100)를 탑재하며, 상기 드론제어기(3100)에는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 하고만 통신할 수 있도록 특정코딩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드론통신기(3112) 및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촬상용 장치인 카메라(3114) 및 상기 드론제어기(3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취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16)가 연결되고;
상기 드론(3000)은 원반형태의 드론몸체(32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3200)의 하면에는 축전지박스(3300)가 고정되고, 상기 축전지박스(3300)의 하면 중심에는 카메라(3114)가 장착되며, 상기 축전지박스(3300)의 내부에는 제1,2축전지(DC1,DC2)가 듀얼로 탑재되고, 상기 제1,2축전지(DC1,DC2) 사이에는 드론제어기(3100)가 탑재되어 이에 실장된 전압레벨검출기의 검출값에 따라 두 개의 축전지중 사용할 축전지가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며, 상기 드론몸체(3200)의 상면에는 부력홈(3500)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부력홈(3500)은 드론커버(3600)로 밀페되며, 상기 드론커버(3600)의 표면에는 태양전지판(3400)이 부착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는 축전지에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홈(3500)의 양측에는 가스챔버(370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챔버(3700)에는 헬륨가스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수집된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키고 외부에 표출케 하여 부하 제어를 원활하게 하면서 이와 함께 배전선로 상에서 발생되는 단선 등 고장지점을 신속히 확인하고 고장지점을 신속히 복구시켜 원활한 전력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악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함체 시건성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하컨트롤유닛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하컨트롤유닛의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복구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4는도 3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복구유닛의 사용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도어 이중락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도어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에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부분만 발췌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드론 운영에 필요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하는 드론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은 부하컨트롤유닛(1000)과,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으로부터 배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은 메인서버(미도시)가 구비된 원격지 제어실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 단말기(300)는 대화면을 갖는 태블릿PC로서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은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자동화 개폐기의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켜 외부로 표출케 하는 수단으로, 데이터베이스부(100), 배전계통 관리부(200), 원격검침 연계부(400), DAS(Data acquisition system) 연계부(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하컨트롤유닛(1000)의 구성 중 먼저, 데이터베이스부(100)는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고객정보 입수한 후 고객정보를 3가지 유형으로 내부 정렬 및 리스트화 한다.
고객정보에 대한 3가지 유형은 일반주거지역, 상공업지역 및 특수선정지역으로 분류된다.
일반주거지역에 속하는 고객유형으로는 일반주택, 빌라, 아파트, 자영업용 상가 또는 소규모 중소 상가 등이 있으며, 상공업지역에 속하는 고객유형으로는 경공업단지, 상업단지, 중공업단지, 생산공장, 주상복합건물 등이 있고, 특수선정지역에 속하는 고객유형으로는 핵심산업 시설, 관공서, 군부대, 통신업체, 언론사, 금융기관(은행, 증권사), 종합병원, 대학교 또는 기업체 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00)가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 고객정보를 저장할 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 각각의 고객유형들은 배전 설비 관리자 혹은 배전설비 운영자로부터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와 기준 부하값[kw]를 부여받아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00)는 다수의 배전선로 및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는 배전 설비 관리자 혹은 배전설비 운영자로부터 제공받는다.
부하제어 규칙정보는 각각의 고객유형들마다 배전 설비 관리자 혹은 배전설비 운영자에 의해 부여된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가 입력되고, 각각의 변전소마다 기준 부하값[kw]이 입력되어 있다.
또한, 배전 설비 관리자 혹은 배전 설비 운영자에 의해 변전소내 각각의 선로에 대한 제어방법에 대해 입력되어 있다.
이때, 배전선로에 대한 제어방법으로는 선로 전체를 제어할 것인지 아니면 선로 아래에 설치된 자동화 계폐기를 제어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말한다.
일예로, 대정전 발생으로 인해 만약 해당 배전선로(고객유형으로부터 인지되는 고객정보 상에 기록된 주소지에 개설된 선로)상 혹은 자동화 개폐기별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의 합이 낮은 순으로 정렬하고, 정전피해 영향도가 가장 적은 선로 혹은 자동화 개폐기의 순으로 부하값을 합하여 해당 변전소의 기준 부하값보다 같거나 커지는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해당 배전선로 혹은 자동화 개폐기를 부하제어 대상으로 결정할지 여부를 규정해 둔 정보라 하겠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혹은 온/오프 상태)를 하기 기재될 DAS 연계부(50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며, 동일한 정보는 배전계통 관리부(200)에서 관리 제어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원격 검침수단이 상기 해당 배전선로의 부하값을 검침함에 따라 자동 생성된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하기 기재될 원격검침 연계부(400)를 통해 전달받는다.
이어서,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원격검침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로서, 배전계통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가 일종에 거미줄처럼 서로 연관되게끔 도시한 배전 계통망을 설계하며, 배전 계통망을 2차원 맵(Map) 또는 3차원 맵(Map)으로 구현시킨다.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배전 계통망 상에 개설된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대상으로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부하량 계산을 실시함을 통해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 및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한다.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는 각각의 고객유형들마다 부여된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와 그리고 이전의 정전피해 사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수치화시킨 결과치이며, 부하량은 해당 배전선로가 외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수요전력을 제공받을 시, 공급된 수요전력을 원격 검침하여 실제 측정한 전력량 값이며, 이 값이 없을 때는 해당 배전선로의 년/월/일 단위로 실제 소모한 전력의 평균값이다.
즉,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와 부하량을 근거로 삼아 배전 계통망 상에 개설된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대상으로 정전피해 영향이 가장 낮은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 및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한다.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하는 선정 기준으로는 먼저 제어방법이 개폐기인 선로들을 대상으로 배전선로에 설정한 배전선로 부하제어 목표치와 자동화 개폐기의 부하량 정보를 비교하여 개폐기의 부하량 정보가 목표치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 해당하는 개폐기를 선로별로 추출한다.
전체 선로를 영향도순으로 정렬해야 하는데, 제어방법이 개폐기인 경우는 상기에서 선택된 개폐기의 영향도를 적용한다. 정전피해 영향도 점수가 낮은 선로부터 부하량 차례대로 합산하여, 변전소 전체 부하제어 목표치(kW)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선로나 개폐기를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하게 된다 할 것이다.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될 가장 큰 요인은 선택된 배전선로와 자동화 개폐기에 포함된 부하고객의 정전피해 영향이 가장 낮을 때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또한,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부하량 계산을 실시함을 통해 자동 생성된 부하제어 대상 사전 정전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식 중 하나로 통신 단말기(300)에 통지해 준다.
여기서, 부하제어 대상 사전 정전정보는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된 상기 해당 배전선로와 해당 자동화 개폐기의 좌표값 및 설비위치가 기록되어 있으며, 보수공사 혹은 교체작업 상황 발생시 수요전력을 미리 차단시켜야 하는 연유로 인해 사전에 전력차단 시기(구체적인 날짜와 시간)를 미리 알려주기 위한 정보임에 유의한다.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부하제어 대상 사전 정전정보 및 개폐상태 정보를 참조해 부하제어 스케줄 정보를 생성시킴에 따라, 부하제어 스케줄 정보에 기록된부하제어 안(案) 대로 배전 계통망 상에 개설된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거나 정상 공급토록 지시한다.
부하제어 스케줄 정보는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된 상기 해당 배전선로와 해당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보수공사할 시기, 보수공사가 어려울 경우엔 교체작업할 시기 및 개보수 완료 후 수요전력을 재공급할 시기를 자세히 기록한 정보로, 부하제어 대상으로 삼아야 할 해당 배전선로와 해당 자동화 개폐기가 다수개일 경우 보수공사 일정, 교체작업 일정 및 수요전력 재공급 일정을 자동으로 스케줄링해 주는 정보이다.
또한, 통신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데이터베이스(100)부에 접근해 부하제어 규칙정보 및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한 후, 부하제어 규칙정보 및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참조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된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 및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를 부하제어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최종 결정된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켜 외부 표출케 한다.
여기서, 일예로 설명 상에 기술한 해당 배전선로와 해당 자동화 개폐기는 배전계통 관리부(200)에 의해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될 시에 각각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와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로 설정 변경함에 유의한다.
통신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배전계통 관리부(200)로부터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배전계통 관리부(200)에 의한 전력 제어로 자동 생성된 정전파급 상태정보를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 상에 대입시켜 외부 표출되게끔 한다.
그리고, 정전파급 상태정보는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와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의 보수공사 또는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그 주변에 있는 정상 배전선로와 정상 자동화 개폐기도 본의 아니게 정전시켜야 할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이에 따른 주변의 정상 배전선로와 정상 자동화 개폐기에 공급되는 수요전력을 차단시킨다는 사항을 문자, 그래프, 그림, 동영상 형태로 자세히 열거해 보여주는 정보이다.
원격검침 연계부(400)는 다수의 배전선로 중 고객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주소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상의 부하값이 기연결된 원격 검침수단(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에 의해 원격으로 검침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원격 검침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한다.
DAS 연계부(500)는 기연결된 배전자동화 수단(DAS:Distributive on Automation System)으로부터 자동 인지되는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한다. 이때, 개폐상태 정보는 자동화 개폐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 정보로서 이를 테면 단선 등에 의한 정전발생시 개방된 상태이고, 정상적으로 통전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러한 자동화 개폐기는 통상 배전 자동화용 부하개폐기(S-Load Break Switch)라고 보면 되는데, 보통 전력계통에서 정전발생시 원방 또는 수동조작으로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타 건전계통으로부터 정전구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배전선로 상의 부하제어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전력수급 불안정시 대정전(Total Black Out)을 방지코자 지역별 배전선로를 대상으로 부하제어를 실시함에 있어,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켜 외부 표출케 하는 제어 방법이다.
데이터베이스부(100)는 고객정보, 배전계통 정보, 부하제어 규칙정보, 개폐상태 정보 또는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저장한다(S10).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배전계통 정보로부터 인지되는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가 서로 연동되도록 배전 계통망을 설계한 후 배전 계통망을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으로 구현시킨다(S20,S30).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배전 계통망 상에 개설된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대상으로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부하량 계산을 실시하여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 및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한다(S40, S50).
통신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해 부하제어 규칙정보 및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원격으로 수신한다(S60, S70).
통신 단말기(300)는 수신된 부하제어 규칙정보 및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참조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선정된 부하제어 대상용 선로 및 부하제어 대상용 개폐기를 부하제어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결정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최종 결정된 부하제어 대상을 리스트화시켜 외부 표출케 한다(S80, S90, S100).
원격검침 연계부(400)는 다수의 배전선로 중 고객정보로부터 파악되는 주소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상의 부하값이 기연결된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원격으로 검침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원격 검침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한다(S110, S120).
DAS 연계부(500)는 기연결된 배전자동화 수단으로부터 자동 인지되는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한다(S130).
또한,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부하량 계산을 실시하여 자동 생성된 부하제어 대상 사전 정전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방식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식 중 하나로 통신 단말기(300)에 통지해준다.
또한, 배전계통 관리부(200)는 부하제어 대상 사전 정전정보 및 개폐상태 정보를 참조해 부하제어 스케줄 정보를 생성시키며, 부하제어 스케줄 정보에 기록된 부하제어 안(案) 대로 배전 계통망 상에 개설된 다수의 배전선로와 다수의 자동화 개폐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거나 정상 공급토록 지시한다.
통신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배전계통 관리부(200)로부터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배전계통 관리부(200)에 의한 전력 제어로 자동 생성된 정전파급 상태정보를 2차원 맵 또는 3차원 맵 상에 대입시켜 외부 표출되게끔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정전발생시 손상된 배전선로 지점으로 이동하여 복구할 수 있는 복구차량(RU)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정전발생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낙뢰, 강풍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상 배전선이 단선된 경우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복구차량(RU)은 배전선중 일부가 단선되었을 때 이를 신속히 복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고장지점은 상기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를 통해 고장난 지점의 자동화 개폐기 위치(번호가 할당되어 있음)를 확인하고 해당 지점으로 신속히 이동한 후 주변 배전선로를 점검하여 확인하는 방식으로 복구가 진행되며, 관련 정보는 복구차량(RU)에 탑승한 작업자가 통신 단말기(300)를 휴대하고, 이 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구가 진행된다.
물론, 통신 단말기(300)는 복구차량(RU)에 탑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구차량(RU)은 도 3에 도시된 이동차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차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이동가능한 차(car)로서, 이동차본체(10)의 앞쪽 상면에는 운전실(2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운전실(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제어기)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후술되는 각종 유압회로 및 모터, 실린더, 히터, 스위치 등의 동작이 제어된다.
다만, 상기 컨트롤러는 각종 산업기계에서 제어기로 대부분 사용되는 PLC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동차본체(10)의 상면 일부에는 유압탱크(30)가 구비되어 유압관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잘 알려진 굴착기와 유사한 개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공지된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동차본체(10)는 하면 양측에 차륜(40)이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차본체(10)의 뒷쪽, 다시 말해 운전실(20) 반대쪽에는 한 쌍의 파지대(50)가 구비된다.
상기 파지대(50)는 대략 'H' 형상으로 형성되며, 'H' 형상에서 선측부(52) 하단은 제1,2브라켓(62,64) 상에 링크되고, 선측부(52) 상단은 메인실린더로드(68)와 결속되며, 후측부(54)에는 사각고정통(70)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2브라켓(62,64)은 상기 이동차본체(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돌출 고정되며, 상기 파지대(50)의 선측부(52) 하단은 상기 제2브라켓(64) 상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되고, 메인실린더로드(68)는 메인실린더(66)에 접속되는데, 상기 메인실린더(66)의 하단은 상기 제1브라켓(62) 상에 회전가능하게 링크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실린더(66)가 동작하여 메인실린더로드(68)가 인출입됨에 따라 상기 파지대(50)를 접었다 펼 수 있다.
특히, 상기 사각고정통(70)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실린더(72)가 더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실린더(72)에는 높이조절로드(74)가 접속되는데, 상기 높이조절로드(74)의 단부는 결속구(76)를 통해 슬라이딩바(80)에 결속된다.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실린더(72)를 동작시켜 높이조절로드(74)를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바(80)가 인출되면서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바(80)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면, 즉 안쪽면에 커팅실린더(82)가 설치되고, 상기 커팅실린더(82)의 커팅로드(84)에는 커팅모터(86)가 고정되며, 커팅모터(86)의 회전축에는 원형상의 회전커터(88)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커터(88)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팅실린더(82)가 동작하여 커팅로드(84)가 인출되게 되면 회전커터(88)를 이동시킬 수 있어 배전선의 특정지점을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실린더(82)와 반대쪽 슬라이딩바(80)의 면 상에는 클램핑수단(90)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수단(90)은 도 8에서와 같이 배전선(L)의 단선지점을 사이에 두고 배전선(L)을 파지하여 꽉 물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그 상태에서 회전커터(88)가 안쪽을 자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배전선(L)이 절단된 후에도 배전선(L)은 클램핑수단(90)에 그대로 물려 파지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90)은 상기 슬라이딩바(8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클램프실린더(92)와, 상기 클램프실린더(92)에 접속되어 인출입되는 클램핑로드(94)와, 상기 클램핑로드(94)의 인출입에 의해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가위형 클램프(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위형 클램프(96)의 내주면 일부는 금속 도전체(MT)가 합성수지에 인서트 성형되어 제조됨으로써 배전선(L)을 맞물었을 때 피복이 벗겨진 상태라면 통전가능하게 유지되며, 이 금속 도전체(MT)에는 도 5의 제1,2도전선(SLR1,SLR2)이 연결된 후 슬라이딩바(80) 및 사각고정통(70) 내부를 통과한 다음 사각고정통(70) 일부에 가로질러 설치된 스위칭대(SP)를 통과한 후 스위치(SW)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SW)는 앞서 설명한 운전실(20)의 컨트롤러가 온/오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배전선(L)의 피복을 벗길 수 있도록 금속 도전체(MT)의 판면 일부, 즉 가위형 클램프(96)의 내주면 일부에는 히터(HT)가 내장되며, 컨트롤러에 의해 발열이 제어된다.
여기에서, 발열시켜 배전선(L)의 피복을 녹인 다음 가위형 클램프(96)로 완전히 찝어 고정한 상태에서 금속 도전체(MT)가 배전선(L)을 완전히 감싸 배전선(L)의 둘레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통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침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국부적인 접촉유도시 저항이 커지면서 열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위형 클램프(96)를 제외한 클램프로드(94)와 클램프실린더(92)는 절연물질로 도포되어 절연성을 높이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단선지점을 수신한 후 이동차본체(10)를 이동시킨 후 단선지점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을 가위형 클램프(96)로 견실히 고정한 상태에서 히터(HT)를 가동시켜 피복을 녹인다.
그러면, 스위치(SW)를 사이에 두고 통전가능한 상태가 되며,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스위치(SW)를 온시키면 통전되므로 전기가 통하게 되어 임시 복구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커터(88)를 상승시켜 단선지점 좌우측을 잘라내고, 응급 보수 후 클램핑수단(90)을 떼게 되면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게 되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6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특히, 부하컨트롤유닛(1000)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부(100), 배전계통 관리부(200), 원격검침 연계부(400), DAS 연계부(500) 등이 무단 절취 등 악의적으로 도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들을 포함하는 함체(2000)의 도어(2100)를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이중시건할 수 있는 이중시건유닛(2200)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이들 데이터베이스부(100), 배전계통 관리부(200), 원격검침 연계부(400), DAS 연계부(500) 등은 보통 상기 함체(2000) 내부에 설치된 랙 등의 슬롯에 꽂히는 형태로 실장된다. 즉, 데이터센터 등에 설치된 경우처럼 일종의 서버랙 형태로 실장된다.
아울러,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함체(2000)의 도어(2100)가 설치되는 상측프레임(FRM)에 설치된다.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도어(2100)에 설치된 키홀더(HOL) 및 키(KEY)에 의한 기본 잠금기능 외에 도어(2100)의 상단을 아예 밀폐하여 회전되지 못하게 하여 이중 안전 잠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작업자가 가끔 실수로 키(KEY)를 잠그지 않고 함체(2000)을 떠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럴 경우 비허가자에 의한 절취, 도난, 악용 등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키(KEY)가 잠기지 않더라도 이중시건유닛(2200)은 항상 잠기도록 하여 이러한 불미스러운 사고를 아예 처음부터 봉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어(2100)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DRF)에는 ID카드 리더기(2300)가 설치되고, 상기 ID카드 리더기(2300)와 간격을 두고 상측에는 유닛컨트롤러(2210)가 매립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는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출입허가자 등록을 위해 ID카드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공지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ID카드 리더기(2300)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D카드 리더기(2300)가 읽어들인 ID 정보를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가 비교 판독하여 허가자인지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자가 함체(2000) 내부로 들어가 작업하는 도중에 도어(2100)가 닫혀 잠길 수 있으므로 이때 함체(2000) 내부에서도 도어(2100)를 열 수 있도록 함체(2000) 안쪽에도 상기 ID카드 리더기(2300)를 구비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화재 등 비상사태로 인해 신속히 도어(2100)를 개방해야 할 경우에는 비상스위치(2400)를 조작하여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어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때 비상스위치(2400)는 눈에 잘 띄지 않도록 함체(2000) 전면 상단인 상측프레임(FRM) 상에 설치되고, 커버로 밀폐하여 일반인은 그것이 비상스위치(2400)인 줄 모르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도 7의 예시와 같이, 시건판(2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건판(2220)은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으로서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시건판(2220)의 일단은 부싱(2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부싱(2230)에는 회전축(22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2240)은 상기 함체(2000)의 상측프레임(FRM)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블럭(2250)의 회전안내링(2252)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40)의 일단에는 종동기어(2260)가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2260)에는 구동기어(2270)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2270)는 구동모터(22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별도의 커버를 통해 외관이 드러나지 않도록 커버링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건판(2220)은 내구성과 경량화를 위해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덧붙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도어(2100)가 닫혔을 때 이를 인지하여 유닛컨트롤러(2210)가 시건판(2220)을 닫아 고정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DRF)의 도어(2100) 안착면에 리미트스위치(LMT)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LMT)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신호를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유닛컨트롤러(2210)가 구동모터(2280)를 구동시켜 시건판(2220)을 닫아 도어(2100)가 열리지 않도록 자동 잠금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280)가 잠금동작된 상기 리미트스위치(LMT)가 검출신호를 송신하면 유닛컨트롤러(2210)는 솔레노이드형 록커(LOC)를 동작시켜 구동기어(227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동기어(2270)의 표면에 끼워져 완전히 잠금시키며, 반대로 개방신호가 수신되면 솔레노이드형 록커(LOC)는 반대 동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구동기어(2270)가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프레임(FRM)에는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더 설치되고, 이는 유닛컨트롤러(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받도록 구성된다.
특히,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삽탈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동기어(2270)의 일측면에는 삽탈홈(GOV)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삽탈홈(GOV)의 내경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STP)가 돌출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끼워졌을 때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시건유닛(2200)은 허가된 작업자가 먼저 키(KEY)로 키홀더(HOL)를 열어 1차 잠금을 해제한 후 자신이 소지한 ID 카드를 ID카드 리더기(2300)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유닛컨트롤러(2210)가 이를 인지하여 구동모터(2280)를 역회전시켜 시건판(22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들어 올려 도어(2100)가 열릴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황을 만든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어(2100)를 열고 내부로 들어가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후 도어(2100)를 닫게 되면 리미트스위치(LMT)의 검출신호에 따라 유닛컨트롤러(2210)가 상술한 개방시 반대동작으로 시건판(2220)을 닫아 시건하기 때문에 혹여 작업자가 깜빡 잊고 키(KEY)로 잠금하지 않더라도 안전 잠금이 수행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 등이 도어(2100)를 열 수 없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배전계통 관리부(200)의 제어하에 주기적으로 배전선로를 점검할 수 있는 드론(30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드론(3000)은 장시간, 적어도 4시간 이상 체공하면서 배전선로를 일정구간별로 나누어 주기적인 영상 촬영을 통해 단선 여부, 새집 존재 여부, 전선 늘어짐 여부 등을 확인하여 즉시 조치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드론(3000)은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의 운용계획에 따라 운용되며,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드론(3000)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됨은 물론 실시간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되어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가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드론(3000)은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와의 통신 제어를 비롯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드론제어기(3100)를 탑재하며, 상기 드론제어기(3100)에는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 하고만 통신할 수 있도록 특정코딩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드론통신기(3112)와,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촬상용 장치인 카메라(3114) 및 상기 드론제어기(3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취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16)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리(3116)는 SD카드 형태의 분리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카메라(3114)는 입체 영상 촬영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임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테레오 카메라는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외관 불량이나 문제 발생 여부를 판독하는데 훨씬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드론(3000)은 적어도 4시간 이상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도록 도 10과 같은 부력상승 기능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드론(3000)은 원반형태의 드론몸체(32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3200)의 하면에는 축전지박스(3300)가 고정되고, 상기 축전지박스(3300)의 하면 중심에는 카메라(3114)가 장착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드론암, 드론로터, 드론로터모터, 랜딩기어 등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드론(3000)의 비행시간을 늘리기 위해 축전지박스(3300)의 내부에는 제1,2축전지(DC1,DC2)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제1,2축전지(DC1,DC2)는 특히, 듀얼로 설치되어 이중화됨으로써 두 개의 축전지를 스위칭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축전지(DC1,DC2) 사이에는 드론제어기(3100)가 탑재되어 상기 제1,2축전지(DC1,DC2)의 사용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는데, 사용되지 않는 축전지에는 태양전지판(3400)으로부터 얻어진 직류전기가 공급되어 충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3400)은 드론몸체(320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부력홈(3500)을 밀폐하는 드론커버(3600)의 상면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력홈(3500)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부력 상승에 도움을 주고, 또한 두 개의 축전지 중 사용되는 축전지의 상태 점검을 위해 상기 드론제어기(3100)에는 전압레벨검출기(미도시)가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전압레벨검출기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드론제어기(3100)는 축전지의 사용에 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2축전지(DC1,DC2)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는 태양전지판(3400)으로부터 획득한 직류전기를 축전한다.
그리고, 부력홈(3500)의 양측에는 가스챔버(370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챔버(3700)에는 헬륨가스가 채워지는데, 이를 위해 가스챔버(3700)의 일측에는 가스주입구(37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주입구(3720)는 주입마개(3800)에 의해 밀폐된다.
이렇게 하면, 드론(3000)의 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드론로터의 회전량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 드론(3000)이 장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데이터베이스부 200 : 배전계통 관리부
300 : 통신 단말기 400 : 원격검침 연계부
500 : DAS 연계부

Claims (1)

  1. 고객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정렬되는 고객정보와, 복수의 배전선로 및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를 포함하는 배전계통 정보와, 각 고객유형에 부여된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 및 변전소 내 각 배전선로에 대한 제어방법을 포함하는 긴급 부하제어 규칙정보와,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의 개폐상태 정보,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00); 상기 배전계통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배전선로 및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가 연동되도록 배전 계통망을 생성하며, 상기 정전피해 영향도 가중치 및 상기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전 계통망 상의 각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의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및 부하량을 획득하고, 상기 정전피해 영향도 분석치 및 부하량을 토대로 상기 배전 계통망 상의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를 전력 수급 불안정시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하는 배전계통 관리부(200); 상기 부하제어 대상으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및 자동화 개폐기를 리스트화시켜 표출하는 통신 단말기(300); 원격 검침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원격검침 부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하는 원격검침 연계부(400); 및 배전자동화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복수의 자동화 개폐기의 개폐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전달하는 DAS 연계부(500)를 포함하는 부하컨트롤유닛(1000)을 구비한 배전선로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300)를 탑재한 단선된 배전선(L)을 복구하도록 복구차량(RU)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DAS 연계부(500)로부터 수신한 자동화 개폐기에 대한 개폐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상기 복구차량(RU)은 컨트롤러가 탑재된 운전실(20)을 갖춘 이동차본체(10), 상기 이동차본체(1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한 쌍의 메인실린더(66), 상기 메인실린더(66)를 힌지 고정하도록 이동차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된 제1브라켓(62), 상기 제1브라켓(6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브라켓(64), 상기 제2브라켓(64)에 힌지고정되고 일부에는 상기 메인실린더(66)가 연결되어 접었다 펼 수 있는 파지대(50), 상기 파지대(50)에 고정된 사각고정통(70), 상기 사각고정통(70)에 끼워지고 컨트롤러로 제어되는 높이조절실린더(72)에 의해 승하강되는 슬라이딩바(80), 상기 슬라이딩바(80) 한 쌍이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커팅실린더(82), 상기 커팅실린더(82)의 커팅로드(84)에 고정된 커팅모터(86), 상기 커팅모터(86)의 회전축에 고정된 원형상의 회전커터(88), 상기 커팅실린더(82)와 대향하는 슬라이딩바(80) 상에 고정된 클램프실린더(92), 상기 클램프실린더(92)의 클램프로드(94) 상에 고정되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위형 클램프(96), 상기 가위형 클램프(96)의 내주면에 인서트 성형된 금속 도전체(MT), 상기 금속 도전체(MT)의 길이 일부에 매립된 히터(HT), 상기 사각고정통(70)을 가로질러 설치된 스위칭대(SP) 상에 설치되어 한 쌍의 가위형 클램프(96)간 통전 상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SW)를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승강, 회전, 발열 제어되며;
    상기 부하컨트롤유닛(1000)은 케이스인 함체(200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000)의 도어(2100)가 설치되는 상측프레임(FRM)에는 이중시건유닛(2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이중시건유닛(2200)은 상기 도어(2100)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DRF)의 상측에 유닛컨트롤러(2210)가 매립 설치되고,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인 시건판(2220)을 포함하며, 상기 시건판(2220)의 일단은 부싱(2230)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부싱(2230)에는 회전축(224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2240)은 상기 함체(2000)의 상측프레임(FRM)의 전면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블럭(2250)의 회전안내링(2252)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240)의 일단에는 종동기어(2260)가 고정되며, 상기 종동기어(2260)에는 구동기어(2270)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2270)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구동모터(22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프레임(DRF)의 도어(2100) 안착면에는 도어(2100)의 닫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리미트스위치(LMT)를 더 설치되고;
    상기 도어(2100)가 설치되는 도어프레임(DRF)에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와 간격을 두고 작업자의 ID 카드 정보를 읽어 허가자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ID카드 리더기(2300)가 설치되며, 상기 ID카드 리더기(2300)는 상기 유닛컨트롤러(2210)와 연결되어 제어되고;
    상기 시건판(2220)은 내구성과 경량화를 증대시키도록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되며;
    상기 상측프레임(FRM)에는 유닛컨트롤러(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받는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삽탈되어 걸릴 수 있도록 구동기어(2270)의 일측면에는 삽탈홈(GOV)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삽탈홈(GOV)의 내경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STP)가 돌출되어 상기 솔레노이드형 록커(LOC)가 끼워졌을 때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의 운용계획에 따라 운용 제어되는 드론(30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드론(3000)이 촬영한 영상이미지는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로 실시간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되게 구성되며;
    상기 드론(3000)은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와의 통신을 위해 드론제어기(3100)를 탑재하며, 상기 드론제어기(3100)에는 상기 배전계통 관리부(200) 하고만 통신할 수 있도록 특정코딩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드론통신기(3112) 및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촬상용 장치인 카메라(3114) 및 상기 드론제어기(3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취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16)가 연결되고;
    상기 드론(3000)은 원반형태의 드론몸체(3200)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몸체(3200)의 하면에는 축전지박스(3300)가 고정되고, 상기 축전지박스(3300)의 하면 중심에는 카메라(3114)가 장착되며, 상기 축전지박스(3300)의 내부에는 제1,2축전지(DC1,DC2)가 듀얼로 탑재되고, 상기 제1,2축전지(DC1,DC2) 사이에는 드론제어기(3100)가 탑재되어 이에 실장된 전압레벨검출기의 검출값에 따라 두 개의 축전지중 사용할 축전지가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며, 상기 드론몸체(3200)의 상면에는 부력홈(3500)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부력홈(3500)은 드론커버(3600)로 밀페되며, 상기 드론커버(3600)의 표면에는 태양전지판(3400)이 부착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는 축전지에 발전된 전기를 축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홈(3500)의 양측에는 가스챔버(3700)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챔버(3700)에는 헬륨가스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KR1020170172404A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KR10184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04A KR10184706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04A KR10184706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065B1 true KR10184706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04A KR10184706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1B1 (ko) * 2021-06-16 2022-06-27 재성전력 (주) 배전선로 부하 제어시스템
KR20230144860A (ko) 2022-04-08 2023-10-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마이크로 pmu를 이용한 배전계통 분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375B1 (ko) * 2016-08-11 2017-05-16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375B1 (ko) * 2016-08-11 2017-05-16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871B1 (ko) * 2021-06-16 2022-06-27 재성전력 (주) 배전선로 부하 제어시스템
KR20230144860A (ko) 2022-04-08 2023-10-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마이크로 pmu를 이용한 배전계통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5303B (zh) 一种电力解锁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488872B (zh) 开关柜防误闭锁装置及其工作方法
CN101867159B (zh) 一种高压开关柜防误闭锁装置
KR102354812B1 (ko) 변압기가 연결된 지중배전선로의 누전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KR101847065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 시스템
CN107769381B (zh) 船舶岸基供电信息监控系统及方法
CN106208372B (zh) 基于全面可视化及防误拓扑分析的开关远程操作方法
CN205787685U (zh) 用于作业安全的管控系统
CN110474429A (zh) 配电网送电防误闭锁方法及系统
CN107704739A (zh) 具有挂牌功能的微机防误操作系统及方法、防误主机、智能钥匙、智能锁具
CN106026409A (zh) 一体化智能柱上开关
CN109919451A (zh) 基于真实电网拓扑分析及安全知识库数字电网系统及方法
CN107147212A (zh) 用于变电站的网络管理系统
CN103475101A (zh) 一种变电站临时地线防误闭锁管理系统
KR101735375B1 (ko)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
CN105553113B (zh) 一种基于智能识别的机器人防误操作系统及操作方法
CN112994230A (zh) 一种智能变电站辅助系统用环境监控系统及其使用方法
CN107103698B (zh) 电动汽车充电装置以及充电管理系统
CN106787222A (zh) 一种主变中性点接地刀闸遥控电路
CN108305357A (zh) 一种基于智能解锁钥匙的防误解锁的方法
CN208271349U (zh) 电动车充电装置及系统
CN104979900A (zh) 用于变电站程序化操作防误的系统及方法
CN106228661A (zh) 便携式钥匙管理箱、钥匙管理系统及使用方法
CN107069967A (zh) 用于变电站及变电站之间的网络管理系统
CN113036911A (zh) 一种智能在线防误判五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