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59B1 -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 Google Patents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59B1
KR101846159B1 KR1020170084206A KR20170084206A KR101846159B1 KR 101846159 B1 KR101846159 B1 KR 101846159B1 KR 1020170084206 A KR1020170084206 A KR 1020170084206A KR 20170084206 A KR20170084206 A KR 20170084206A KR 101846159 B1 KR101846159 B1 KR 10184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uid
liquid
ozone
fluid dissol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원
Original Assignee
(주)지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디티 filed Critical (주)지디티
Priority to KR102017008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01F3/04446
    • B01F15/00162
    • B01F15/00954
    • B01F15/0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3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01F35/717614Venturi pumps
    • B01F2003/0488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오존용존수를 얻기 위하여 제1물펌프;
상기 제1물펌프와 연결된 제1벤츄리;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된 유체발생장치;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하는 제1유체용존장치;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와 연결하는 제2유체용존장치;
를 포함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 유체용존장치{The High concentration fluid dissolved water 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액체와 액체 액체와 기체를 나노버블화하여 용존시키는 기술에 관한 분야이다.
종래기술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공기관(1)이 설치되고, 생성된 오존이 배출되는 오존관(2a)이 설치된 오존발생기(3); 물이 유입되는 유수관(4)과 오존관(2a)이 접속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물에 오존을 용해시키는 용해장치(5); 용해장치(5)에 설치되어 물과 오존이 혼합된 혼합수가 이송되는 혼합관(6);을 포함하여 구성된 오존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6)의 단부에 비용존오존제거필터(7)가 설치되고; 비용존오존제거필터(7)에 오존수관(8)과 오존관(2b)이설치되며; 상기 오존수관(8)에는 ORP센서(9)가 설치되고, 상기 오존관(2b)에는 오존센서(10)가 설치되고; 상기 오존관(2b)의 단부측에는 히터(12)가 설치되며; 상기 ORP센서(9)와 오존센서(10)는 제어장치(13)에 연결되고; 제어장치(13)는 ORP센서(9)에 의해 오존발생기(3)를 제어하고, 오존센서(10)에 의해 히터(12)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용해장치(5)에서는 오존이 물과 혼합되어 이상적인 오존수가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존이 전부 용해되지 않고 일부는 오존 가스로 잔류하게 된다. 순수 오존은 독성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즉, 혼합관(6)을 통해 용해장치(5)를 거친 혼합수는 혼합관(6)의 단부에 설치된 비용존오존제거필터(7)에서 순수한 오존수와 오존 가스로 분리된다.
비용존오존제거필터(7)는 물속에 녹지 않은 오존 가스를 오존수와 분리해 내는 장치로서, 멤버레인을 통과시켜 비 용존 오존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이 비용존오존제거필터(7)를 거치게 되면, 완전한 오존수가 제조되고 오존 가스는 별도의 관로를 통해 제거된다.
우선, 오존수는 오존수관(8)을 통해 사용처로 송급된다. 그러나 사용처에 따라서 오존수의 살균력 등이 달라야 하기 때문에 오존수의 OH 라디칼 용존량이 달라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존수의 OH 라디칼 용존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오존발생기(3)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오존수관(8)에 ORP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ORP센서(9)는 오존수 내의 용존 오존량을 파악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세척대상에 맞는 오존 투입량의 조절 기능을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상기 ORP센서(9)의 값을 이용하여 오존발생기(3)에서의 오존 발생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장치(13)가 구비된다.
그리고 비용존오존제거필터(7)에 의해 용해되지 않은 순수 오존 가스는 오존관(2b)을 통해 배출된다. 오존관(2b)에는 오존 가스를 모아두는 오존탱크(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존관(2b)이나 오존탱크(14)에 오존센서(10)가 부착된다.
상기의 오존센서(10)는 오존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오존 농도를 제어장치(13)로 전송하고, 제어장치(13)는 이에 따라 히터(12)를 작동시킨다. 즉, 오존센서(10)는 오존관(2b)이나 오존탱크(14)에서 오존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장치(13)에 전송하면, 제어장치(13)는 오존 농도가 0.06ppm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하이며 바로 대기로 배출시키고, 0.06ppm을 초과하면 모든 오존 가스를 히터(12)로 보내고, 히터(12)를 작동시켜 가열하게 한다.
히터(12)는 비 용존 오존이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오존이 배출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열을 가함으로써 잔존 오존이 높은 온도에서 가열되어 열분해되어 산소로 바뀌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오존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일정한 수준이상이 되면 아주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오존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배오존을 발생하게 된다. 최근들어 범정부적으로 오존용존수의 목표치는 1PPM/㎥ 이다.
더 높은 용존수가 필요하고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 까지는 용존수의 오존의 용존량이 변화되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오존을 용해시키는 용해장치(5)를 도시하고 전혀설명이 없고 배오존을 히터로 처리한다는 내용이 주된 내용이다.
이로부터 오존의 용존량을 개선하여야 하는 과제가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청특허 등록번호: 10-1082673(2011년11월17일) 2. 대한민국특허청특허 공개번호: 특2002-0087036(2002년11월21일) 3. 대한민국특허청특허 등록번호: 10-1708552(2017년03월08일)
제1의 목적은 오존의 용존량이 획기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2의 목적은 물에 오존의 용존량이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까지 변화하지 않는 목적에 적합하다.
제3의 목적은 저렴한 가격으로 고효율의 오존용존수를 얻는 것으로 적합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은 액체를 나노버블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에서는 오존을 전제로 두고 장치를 구성하였으나 오존이 아닌 불소나 기타의 기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액체와 액체를 혼합하는 것에도 서로 나노버블화시켜 오랜동안 혼합을 유지시켜주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둔다.
제1물펌프;
상기 제1물펌프와 연결된 제1벤츄리;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된 유체발생장치;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하는 제1유체용존장치;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와 연결하는 제2유체용존장치;
로 구성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는 액체주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액체주입구로 흘러온 액체가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유체주입구는 상기 액체주입구와 직각방향에서 진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는 일방에는 액체가 주입하도록 구성된 액체주입구(311);
타방에는 액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되도록 구성되어있는 막힘판;
상기 막힘판과 상기 액체주입구는 관으로 구성되어진 원통형 제1관(312);
상기 원통형 제1관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 제2관(315);
상기 원통형 제2관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 제3관(314);
상기 원통형 제1관과 상기 원통형 제2관의 구성된 다수의 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홀의 구성은 액체의 입구측의 직경보다 액체의 출구측의 직경이 더 작은 구성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물펌프의 상단부에 여과기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 전단부에 제2물펌프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발생장치는 기체발생장치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유체발생장치는 액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액체와 액체 및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는 것에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체발생장치와 상기 제1벤츄리 사이에 역류방지장치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 다음 단에 제4유체용존장치를 추가로 더 구성하여 용존량을 더욱 늘리는데 유용하다.
여기서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 다음 단에 제5유체용존장치를 추가로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 및 제5유체용존장치 가운데 하나이상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와 제5유체용존장치 사이에 추가로 연결하는 제3유체용존장치를 추가로 더 구성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는 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박막격판은 홀의 배치가 어긋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의 전단에 제3물펌프를 더 구성하여 일정한 압력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5유체용존장치와 연결하는 제2벤츄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 후단에 연결하는 기액분리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 사이에는 배오존파괴부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벤츄리는
제1판;
상기 제1판과 결합하는 제2판;
상기 제1판을 상기 제2판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제1판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가 보다 작은 홀로 구성하고,
상기 제2판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가 보다 큰 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을 결합할 때에 상기 제1판의 홀과 상기 제2판의 홀을 일치시키는 판상형 벤츄리관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판보다 직경의 크기가 보다 큰 판으로 구성하는 판상형 벤츄리관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동수로 동일한 위치에 홀을 구성하되 상기 제1판의 입구쪽 홀의 직경과 상기 제2판의 출구쪽 홀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구성한 판상형 벤츄리관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1벤츄리 사이에 플로우스위치를 구성한다.
더욱이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1벤츄리 사이에 상기 제1물펌프의 압력을 점검하기 위하여 압력게이지를 더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의 효과는 오존의 용존량이 기존의 기술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존가스를 물에 용존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물에 불소를 용존시키거나 물에 또 다른 액체를 혼합시키는데 사용하여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물에 오존의 용존량이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까지 변화하지 않는다.
나노버블화하여 오랜동안 유지하고 있어 용존량이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지 않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저렴한 가격으로 고효율의 오존용존수를 얻는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품의 내부 전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본 발명의 제품의 내부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a도 및 제1b도를 도면화 시킨 도이다.
제3a,3b,3c도는 제1유체용존장치에 대한 도이다.
제4a,4b,4c도는 제2유체용존장치에 대한 도이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제3유체용존장치에 대한 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제2벤츄리인 판상형 벤츄리에 대한 도이다.
제6c,6d는 판상형 벤츄리의 통로를 보이기 위하여 제6a도 및 제6b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종래의 기술의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체(流體)단어의 의미는 기체와 액체를 아울러 이르는 뜻이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유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오존뿐만 아니라 다른 기체인 산소,불소 등과 또 다른 액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액체와 액체의 경우에는 오존발생부는 다른 액체의 공급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다른 액체 공급부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누구나 대체할 수 있는 것이여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액체와 액체의 경우는 기액분리기가 필요가 없고 역시 오존파괴기가 소용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식약처에서 '오존수라함은 오존용존량이 1PPM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라고 규정하므로써 오존용존수를 제조하는 사업자들은 1PPM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노력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은 3-5PPM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획기적인 용존량을 나타내는 기계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도 제1유체용존장치가 강한 힘으로 리턴되는 배오존을 흡입하기 때문에 배오존 파괴기가 전혀 작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배오존은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어서 여분으로 구성한 것에 불과하다.
여과기(1000)는 흡입되는 유체속에 슬러지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역류방지장치(950)은 벤츄리에서 역류되는 액체가 오존발생부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오존발생부의 플라즈마 방전 중에 수분은 고장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오존발생부는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기액분리기(800)는 액체속에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오존가스를 배오존 파괴부(700)와 제1유체용존장치(20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면4a의 도는 제2유체용존장치(310)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제4유체용존장치인 320과 제5유체용존장치인 330은 동일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a 및 제2b도는 완성하여 제품화된 유체용존장치의 내부도를 촬영한 실물사진이다.
제2도는 제1a도 및 제2b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및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물펌프(610);
상기 제1물펌프(610)와 연결된 제1벤츄리(100);
상기 제1벤츄리(100)와 연결된 유체발생장치(900)을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오존가스발생장치로 구성하였다.
오존가스발생장치가 아니라 기타 다른 가스의 공급원이면 족하다.
본 특허에서의 유체발생장치의 정의는 액체와 기체를 포함한 포괄적 의미로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1벤츄리(100)와 연결하는 제1유체용존장치(200);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200)와 연결하는 제2유체용존장치(310);로 고농도 유체용존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310) 후단에 연결하는 기액분리기(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기액분리기(800)와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200) 사이에는 배오존 파괴부(700)를 더 구성하여 액체와 기체간의 기체가 분리되는 것을 다시 피드백하여 제1유체용존장치(200)에서 용존되도록 구성한다.
도3a, 도3b 및 도3c 에 의하여 제1유체용존장치(20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3a는 사시도이다.
도3b는 내부도로써 제3a도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도이다.
도3c는 액체주입구를 중심으로 둥근 방향의 원주둘레를 절단한 절단도이다.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200)는 액체주입구(230)를 형성하되 상기 액체주입구로 흘러온 액체가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유체주입구(220)는 상기 액체주입구와 직각방향에서 진입되도록 구성한다.
유체주입구(220)으로 주입된 오존가스는 가스주입통로(210)로 진입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액체주입구로 물이 진입되고 유체주입구에서는 오존가스가 주입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c에서 도면부호 230은 액체주입구로써 물주입구이며 3b도의 220은 유체주입구로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오존가스주입구이다.
오존가스가 용해된 액체(250)는 내부통로(260)를 통하여 제1유체용존관(200)을 빠져나가는 것이다.
물주입구에서 물이 원주방향의 직각방향에서 진입되므로 물펌프로 인하여 강하게 진입되면서 소용돌이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존가스주입구에서 오존가스가 주입되면서 잘 혼입이 되어 좁은 공간을 빠져 나가게 된다. 또한 오존가스주입구의 주변부에는 경사진 각도로 구성되어있어 물이 내부로 소용돌이쳐서 오존가스주입구의 주변부까지 물이 주입되었다가 출구쪽으로 이동하면서 버블화하여 잔존하는 오존가스를 완전하게 물에 용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4a, 도4b 및 도4c에는 제2유체용존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310)는 일방에는 액체가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제4 및 제5유체용존장치(320,330)도 도4a, 도4b 및 도4c와 동일한 장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유체용존장치인 제2 및 제4유체용존장치(310,320)는 직립하여 구성하고 제5유체용존장치(330)는 횡으로 구성하였다.
모두 횡으로 구성하면 기체의 경우에는 상부에 머무를 수도 있다.
액체주입구(311);에서 진입한 액체(본 발명에서는 물과 오존가스가 혼합된 액체를 설명하기로 한다.)는 타방에는 액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되도록 구성되어있는 막힘판이 구성되어있다.
상기 막힘판과 상기 액체주입구(311)는 관으로 구성되어진 원통형제1관(312)이 구성되고 직접 액체가 유체용존장치의 출구(316)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폐쇄되어있다.
상기 원통형제1관(312)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제2관(315)을 구성하고
상기 원통형제2관(315)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제3관(314)을 구성한다.
상기 원통형제1관(312)과 상기 원통형제2관(315)의 구성된 다수의 홀;로 구성하되
상기 다수의 홀의 구성은 액체의 입구측의 직경(a)보다 액체의 출구측의 직경(b)이 더 작은 구성으로 구성되어 액체를 더욱 압력을 가하고 버블을 유지하거나 버블이 더욱 많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4c는 액체가 진입하는 곳에서 바라본 다수의 홀의 구성이다.
도 1a 및 도1b 및 도2에서는 상기 제1물펌프(610)의 상단부에 여과기(1000)를 더 구성하여 용존장치 내부로 진입되는 물에 잔존부유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물펌프(610)와 상기 제1벤츄리(100) 사이에 플로우스위치(650)를 구성하여 물이 여과기(1000)를 지나서 플로우스위치(650)에서 물이 인식되면 전원이 가해지는 것으로 모든 전원이 ON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200) 전단부에 제2물펌프(620)를 더 구성하여 제1유체용존장치(200)에 일정한 물압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발생부(900)의 경우에는 플라즈마방전을 통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필요하고 냉각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오존발생부로 이동하는 냉각수 분기관(910)을 통하여 오존발생부를 냉각시키면서 오존발생부(900)를 거쳐 돌아온 냉각수 관(920)을 따라서 제1유체용존장치(100)로 진입하게 된다.
오존발생부(900)은 공기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공기주입구(960)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제1물펌프(610)와 상기 제1벤츄리(100) 사이에 상기 제1물펌프의 압력을 점검하기 위하여 압력게이지(640)를 구성하여 펌프가 일정한 압력으로 제1벤츄리로 밀어내는지를 확인하여 볼 수 있어 더욱 오존이 물에 잘 융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1물펌프 내지 제3물펌프(610,620,630)는 압력이 일정한 압력이상이어야 유체용존장치가 원하는 성능으로 작동된다. 압력은 실질적으로 1kgf/㎠ 또는 그 이상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유체발생장치는 오존발생부(900)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존발생부(900)와 상기 제1벤츄리(100) 사이에 역류방지장치(950)를 더 구성하여 만약에 있을지도 모르는 액체가 펌프의 압력을 받아 역류하게 될 경우에는 오존가스가 진입되는 통로에 물이 올라가더라도 역류방지장치(950)에 의하여 물은 하부로 떨어져서 드레인으로 인하여 물이 더이상 오존발생부(900)에 진입되지 않도록 하여 오존발생부(900)를 보호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310)와 동일한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310) 다음 단에 제4유체용존장치(320)를 추가로 더 구성하여 더욱 오존가스용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320)와 동일한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320) 다음 단에 제5유체용존장치(330)를 추가로 더 구성하되,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310),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320) 및 제5유체용존장치(330) 가운데 하나 이상은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본원발명에서는 제2 및 제4유체용존장치(310,320)는 직립하여 구성하고 제5유체용존장치(330)는 수평으로 관을 구성하였다.
수직으로 관을 세우되 상부에서 하부로 액체가 이동하면서 배오존을 액체에 재용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수평으로 구성된 유체용존장치는 상부에 배오존가스가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320)의 후단에 추가로 연결하는 제3유체용존장치(400)를 추가로 더 구성하여 더욱 배오존가스를 줄이고 더 많은 양이 물에 오존가스가 용존되도록 할 수 있다.
도5a와 도5b는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400)에 해당되는 것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된 제1군,제2군,제3군,제4군(420,430,440,450)으로 구성하여 오존가스가 혼합된 액체출구(460)를 통하여 빠져나간다.
상기 복수개의 박막격판은 홀의 배치가 어긋나도록 배치(c,d)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버블을 일으켜서 오존가스의 용존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400)의 전단에 제3물펌프(630)를 더 구성하여 액체가 일정한 압력으로 제3유체용존장치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2,3 물펌프의 가동전압은 24V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5유체용존장치(330)와 연결하는 제2벤츄리(500)를 더 구성하면 더욱 용해된 용존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벤츄리(500)는 하기에서 설명하되 도6a,도6b,도6c,도6d에 상세히 설명되어있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제2벤츄리인 판상형 벤츄리에 대한 도이다.
제6c,6d는 판상형 벤츄리의 통로를 보이기 위하여 제6a도 및 제6b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 제2벤츄리는 제1판(510);
상기 제1판(510)과 결합하는 제2판(520);
상기 제1판(510)을 상기 제2판(520)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제1판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b)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c)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가 보다 작은 홀로 구성하고,
상기 제2판(520)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c)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a)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c)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a)가 보다 큰 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을 결합할 때에 상기 제1판의 홀과 상기 제2판의 홀을 일치시키는 판상형 벤츄리관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동수로 동일한 위치에 홀을 구성하되 상기 제1판의 입구쪽 홀의 직경(b)과 상기 제2판의 출구쪽 홀의 직경(a)이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각판의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홀을 연결하는 통로(511,512,513,514,521,522,523,524)를 구성하여 혼합 또는 용존된 액체가 흘러들어가는 제1판(510)과 흘러나가는 제2판(520)에서 액체가 흐르고 서로 부착되는 판 사이에는 홀들로 흘러들어가는 액체와 직각방향으로 사방에서 터널형식의 통로(511,512,513,514,521,522,523,524)로 액체가 이동하는 상기 통로를 구성하여 제1판과 제2판에 구성한 다수의 홀들로 액체가 진입되고 그와 더불어 상기 통로로 액체가 진입되는 것으로 이런 구성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액체가 빠져나가면서 버블을 일으켜 용존량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게 만드는 것이다. 액체가 나노단위의 많은 버블을 일으켜서 오랜시간 동안 용존가스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 벤츄리와는 상이하지만 마치 벤츄리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모든 홀들을 연결하여 물의 압력으로 b,c,a를 흐르는 액체와 또 한편으로 제1판이 가리우는 판면적을 제외한 제2판과의 여분에서 있는 또 다른 상기 액체통로로 액체가 흘러나가면서 물이 직진하여 다수의 홀들로 이동하고 상하 좌우에서 이동하는 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액체로 인하여 펌프가 압력을 받지 않고 많은 양의 액체가 버블을 발생하면서 출구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516은 제1판의 중앙부에는 홀을 구성하되 별도로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에 상응하는 제2판의 526은 홀이 구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다.
516인 홀을 통하여는 액체가 통과하여 통로인 511,512,513,514,521,522,523,524를 통하여 좌우 상하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더 많은 통로와 홀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관의 크기에 따라서 홀의 숫자와 홀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제1벤츄리
200:제1유체용존장치 210:가스주입통로 220:오존가스주입구
230:액체주입구 250:오존가스가 용해된액체 260:내부통로
310:제2유체용존장치 311:액체주입구
312:원통형제1관 314:원통형제3관
315:원통형제2관 316:유체용존장치의 출구
320:제4유체용존장치 330:제5유체용존장치
400:제3유체용존장치 410:오존가스가 혼합된 액체 입구
420: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된 제1군
430: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된 제2군
440: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된 제3군
450: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된 제4군
460:오존가스가 혼합된 액체 출구
500:제2벤츄리 510:제1판 520:제2판
610:제1물펌프 620:제2물펌프 630:제3물펌프
640:압력게이지 650:플로우스위치
700:배오존 파괴부 800:기액분리기
900:오존발생부 910:오존발생부로 이동하는 냉각수 분기관
920:오존발생부를 거쳐 돌아온 냉각수관 950:역류방지장치
960:공기주입구 970:드레인 1000:여과기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물펌프;
    상기 제1물펌프와 연결된 제1벤츄리;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된 유체발생장치;
    상기 제1벤츄리와 연결하는 제1유체용존장치;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와 연결하는 제2유체용존장치;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는 일방에는 액체가 주입하도록 구성된
    액체주입구(311);
    타방에는 액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되도록 구성되어있는 막힘판;
    상기 막힘판과 상기 액체주입구는 관으로 구성되어진 원통형 제1관(312);
    상기 원통형 제1관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 제2관(315);
    상기 원통형 제2관을 에워싸면서 구성된 원통형 제3관(314);
    상기 원통형 제1관과 상기 원통형 제2관의 구성된 다수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 다음 단에 추가로 구성하는 제4유체용존장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 다음 단에 추가로 구성하는 제5유체용존장치;
    상기 제4유체용존장치와 상기 제5유체용존장치 사이에 추가로 구성하는 제3유체용존장치;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는 복수개의 박막격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박막격판은 홀의 배치가 어긋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체용존장치의 전단에 제3물펌프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유체용존장치와 연결하는 제2벤츄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용존장치 후단에 연결하는 기액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제1유체용존장치 사이에는 배오존파괴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벤츄리는
    제1판;
    상기 제1판과 결합하는 제2판;
    상기 제1판을 상기 제2판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제1판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가 보다 작은 홀로 구성하고,
    상기 제2판의 양측면은 액체나 기체가 흘러들어가는 입구측면의 홀과 액체나 기체가 흘러나가는 출구측면의 홀로 구성하되,
    상기 입구측면의 홀의 크기보다 상기 출구측면의 홀의 크기가 보다 큰 홀로 구성하되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을 결합할 때에 상기 제1판의 홀과 상기 제2판의 홀을 일치시키는 판상형 벤츄리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은 상기 제1판보다 직경의 크기가 보다 큰 판으로 구성하는 판상형 벤츄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동수로 동일한 위치에 홀을 구성하되 상기 제1판의 입구쪽 홀의 직경과 상기 제2판의 출구쪽 홀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구성한 판상형 벤츄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펌프와 상기 제1벤츄리 사이에 플로우스위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23.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펌프와 상기 제1벤츄리 사이에 상기 제1물펌프의 압력을 점검하기 위하여 압력게이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KR1020170084206A 2017-07-03 2017-07-03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KR10184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06A KR101846159B1 (ko) 2017-07-03 2017-07-03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06A KR101846159B1 (ko) 2017-07-03 2017-07-03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690A Division KR101997588B1 (ko) 2017-12-29 2017-12-29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159B1 true KR101846159B1 (ko) 2018-04-09

Family

ID=6197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06A KR101846159B1 (ko) 2017-07-03 2017-07-03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612A (ja) * 2004-12-16 2006-06-29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JP2008161825A (ja) * 2006-12-28 2008-07-17 Daikin Ind Ltd 気体溶解器
JP4128890B2 (ja) * 2003-03-10 2008-07-30 株式会社日本環境科学 気液混合反応方法及び気液混合反応装置
JP2014217824A (ja) *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リガルジョイント 流体吸引混合装置
US20160361693A1 (en) * 2014-02-20 2016-12-15 Organo Corporation Ozone water supply method and ozone wat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8890B2 (ja) * 2003-03-10 2008-07-30 株式会社日本環境科学 気液混合反応方法及び気液混合反応装置
JP2006167612A (ja) * 2004-12-16 2006-06-29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JP2008161825A (ja) * 2006-12-28 2008-07-17 Daikin Ind Ltd 気体溶解器
JP2014217824A (ja) *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リガルジョイント 流体吸引混合装置
US20160361693A1 (en) * 2014-02-20 2016-12-15 Organo Corporation Ozone water supply method and ozone water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86B1 (ko)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CN1049845C (zh) 气液溶解混合装置
KR101969772B1 (ko) 기체 용존수 생성장치
JPH0248098A (ja) 改良された高圧酸素飽和水処理装置
US20150314248A1 (en) Microbubble system for tubs
KR101997588B1 (ko)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KR101683601B1 (ko) 개선된 구조의 산소 용해장치
CN101557869B (zh) 气体溶解装置
JP2004188246A (ja) オゾン水製造システム
JP6884955B2 (ja) 水素水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水素水の製造方法
KR101467150B1 (ko) 폐색방지 기능이 있는 스태틱 라인 방식의 미세기포 발생장치
WO2006127979A3 (en) System and method for dissolving gases in fluids and for delivery of dissolved gases
KR101846159B1 (ko) 고농도 유체용존장치
WO2013191072A1 (ja) オゾン含有液生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浄装置
KR101798869B1 (ko) 해수살균정화장치
US20090321370A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liquid with a gas
JPH1066962A (ja) 汚水処理装置
JP2016002533A (ja) 原水に含まれる溶存酸素を原料としてオゾン水を製造するオゾン水の製造装置及びオゾン水の製造方法
US1132508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 having high concentration of dissolved ozone
US20060283788A1 (en) Tri-clone system
US11877378B2 (en) Plasma fine bubble liquid generating apparatus
KR101848041B1 (ko) 오존의 농도를 일정이상으로 유지하는 오존수 생성장치
KR101402369B1 (ko) 회전 분사 노즐을 이용한 고농도 기액 혼합장치
KR101699039B1 (ko) 살균수 제조장치
KR102288440B1 (ko) 기체 용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