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075B1 -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075B1
KR101846075B1 KR1020160059525A KR20160059525A KR101846075B1 KR 101846075 B1 KR101846075 B1 KR 101846075B1 KR 1020160059525 A KR1020160059525 A KR 1020160059525A KR 20160059525 A KR20160059525 A KR 20160059525A KR 101846075 B1 KR101846075 B1 KR 10184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biomaterial
group
linea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105A (ko
Inventor
김세훈
정봉현
김영선
박경미
서영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Priority to PCT/KR2016/0051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6412A1/ko
Priority to US15/574,392 priority patent/US10761025B2/en
Publication of KR2016013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75B1/ko
Priority to US16/935,687 priority patent/US119826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준비하고; ii) 상기 형광체와 생체물질을 반응시켜서 형광체와 생체물질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고; iii) 상기 반응복합체를,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장파장의 광원으로 여기시키고; iv) 상기 여기된 반응복합체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여기광의 파장보다 단파장인 발광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DETECTION METHOD OF BIOMOLECULE USING LINEAR UPCONVERSION FLUORESCENCE}
본 발명은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의 검출 어세이(assay)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상 검체 (혈액, 객담 등)나 검출기판에는 기본적으로 형광을 띄는 물질들이 존재하여 형광 기반의 검출에 있어서 이러한 형광 물질은 배경잡음으로 작용한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 형광 입자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배경잡음이 함께 감지되므로 표적신호의 검출감도가 제한적이다.
업컨버전 나노입자(upconversion nanoparticles: UCNPs)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소광이 없으며 생화학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양자점과는 달리, 최대 발광 파장이 크기-의존이 아니며 호스트 결정과 RE 도핑물질을 변화시켜 쉽게 다중 색 발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UCNPs는 흘림 세포계측(flow cytometry), 광역학 요법(photodynamic therapy), 진단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면역분석법과 유전자 분석 같은 생물학적 분석에서 발광 표지로 사용되고 화학적 감지/세포의 영상화에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업컨버전 나노입자(UCNPs)를 이용한 형광은 대부분 무기 나노결정의 비선형 업컨버전 방식으로 (이광자 및 다중광자를 흡수함), 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전력의 결맞음 상태의 여기광원인 레이저가 필요한바 비용이 높고 관측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생체물질 검출을 위한 방법에 적용함으로써, 일반 LED 광원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신규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KR 2014-0110401 A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선형 업컨버전 기반의 생체물질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준비하고;
ii) 상기 형광체와 생체물질을 반응시켜서 형광체와 생체물질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고;
iii) 상기 반응복합체를,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장파장의 광원으로 여기시키고;
iv) 상기 여기된 반응복합체로부터 방출되는, 여기광의 파장보다 단파장인 발광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업컨버전(upconversion) 형광”은 저에너지의 광을 흡수하여 고에너지의 광을 방출하는 넓은 범위의 광학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어, “선형 업컨버전 형광”은, 다중광자 흡수 기반이 아닌 단일 광자 흡수에 따른 선형 광학 현상을 의미한다. 통상의 비선형 업컨버전 형광의 경우, 형광 중에서 둘 또는 둘 이상의 광자가 순차적으로 흡수되어 고에너지를 발광하는 현상인바,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에서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갖는 형광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Stokes' shift <100 nm 인 형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Stokes' shift" 또는 “스토크스 이동”은 스토크스의 법칙에 있어서의 여기광 에너지와 발광 에너지의 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에서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DPP(Diketo Pyrrolo Pyrrole) 유도체, 아센,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옥사진, 티아진, 시아닌, 루브렌, 보디피, 레조루핀 및 헤미시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 바람직하게 Stokes' shift <100 nm 인 형광체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가능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DPP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화학식 2];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2,5-bis(2-ethylhexyl)-2,5-dihydro-3,6-diphenyl-pyrrolo[3,4-c]pyrrole-1,4-dione][화학식 3];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5-(2,5-bis(2-ethylhexyl)-1,2,4,5-tetrahydro-1,4-dioxo-3-(thiophen-2-yl)pyrrolo[3,4-c]pyrrol-6-yl)thiophene-2-carbaldehyde][화학식 4]; 또는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 [5,5'-(2,5-Bis(2-ethylhexyl)-3,6-dioxo-2,3,5,6-tetrahydropyrrolo[3,4-c]pyrrole-1,4-diyl)bis(thiophene-2-carbaldehyde)][화학식 5]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일 수 있다.
[화학식 2]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2
[화학식 3]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3
[화학식 4]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4
[화학식 5]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5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의 i) 단계에서, 상기 형광체는 그 자체로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할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형광체는 나노구조체에 담지되거나, 나노구조체에 접합(conjugation)된 형태의 형광 나노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나노구조체"는 나노 크기의 구조체를 의미하며, 이때, 상기 나노구조체는 그 크기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나노입자보다 큰 입자, 즉 마이크로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갖는 형광 염료를 담지하거나 또는 접합할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라도 무방하다.
상기 나노구조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노입자, 나노비드, 나노에멀전, 마이셀, 리포좀 및 나노입자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계 비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1~1000 nm의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의 ii) 단계는, 상기 형광체가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합하고,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가 접합된 형광체와 상기 생체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형광체와 생체물질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물질 검출분자는 단백질, 항체, 유전자, 지질, 효소, 앱타머(aptamer) 및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체물질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의 iii) 단계는,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5-50 nm 더 긴 장파장 영역의 광원으로 상기 반응복합체를 여기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광원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램프인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원은 레이저가 아닌 광원을 사용할 수 있고, 일반 LED 광원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형광 측정 시스템을 확보하는데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의 iv) 단계는, 반응복합체로부터 방출되는 발광 신호가, 상기 여기광의 파장보다 10-100 nm 더 짧은 단파장 영역의 발광 신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조직 추출물,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뇨, 젖, 복수액, 활액, 복막액 및 혈액여지(dried blood sp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시료"는 본 발명의 방법 또는 진단 키트에 처리할 수 있는 시료라면 제한 없이 포함하며, 특히 진단 키트에 균등하게 처리할 수 있는 액상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석 시료는 표적 생체분자를 포함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일 수 있으며, 특히 생체가 노출되거나 생체에 처리되는 각종 물질들과 생체에서 분리된 물질들일 수 있다. 상기 생체에서 분리된 물질들은 구체적으로는, 혈액, 소변, 콧물, 세포, 추출된 DNA, RNA, 단백질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출방법은 상기 생체물질 검출분자가 접합된 선형 업컨버전 형광 나노구조체를 생체물질 검출용 바이오칩 또는 키트 또는 스트립센서 상에 위치시켜 생체물질 검출용 바이오센서, 바이오칩 또는 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생체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 및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물질과 형광체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는 반응부로 이루어진 생체물질 진단키트(120);
상기 생체물질 진단키트의 반응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부(110);
상기 반응복합체의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여기광의 파장보다 단파장인 발광 신호를 탐지하는 발광 신호 수집부(130); 및
상기 수집된 발광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는 측정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110)는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장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10)을 제공한다.
상기 검출 시스템에서, 상기 형광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Stokes' shift <100 nm 인 형광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하는 빛을 필터링하는 여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신호 수집부는 상기 필터링된 빛을 투사시키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기필터는 상기 광원의 소정파장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발광 신호 수집부의 렌즈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사이에는 통상적인 현미경과 같이, 발광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물렌즈는 방사된 빛을 모아주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발광필터는 상기 대물렌즈로 모은 빛을 상기 측정부로 전달하여 측정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도 1).
이러한 광원부, 필터 및 렌즈의 배열 간격 등은 사용자가 상기 생체 물질을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상기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단 키트는 래피드 진단키트 또는 ELISA 키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단 키트를 래피드 진단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래피드 진단키트는 시료패드, 콘주게이트패드, 신호밴드와 확인밴드로 구성된 반응부, 멤브레인 및 흡수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료패드는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콘주게이트 패드와 멤브레인은 반응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체물질이 시료패드에 가해지면 액체인 시료는 건조상태의 시료패드를 적신 후, 콘주게이트 패드로 이동하여 분석대상물은 건조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항체와 결합을 이루어 복합체를 형성하며, 멤브레인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분리 멤브레인의 표면에는 신호밴드와 확인밴드가 인쇄되어 있으며, 시료내에 분석대상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신호밴드부분에 복합체가 축적될 수 있다. 콘주게이트 패드의 항체에는 금 입자 또는 라텍스 비드 등의 물질이 연결되어 있어 일정량 이상의 복합체가 응집되는 경우 신호밴드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로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멤브레인의 확인밴드에는 저장부의 항체와 결합하는 항체가 인쇄되어 있어 확인밴드의 신호유무를 통해 액체시료가 필요부분까지 이동 여부 및 항체의 작동여부를 판정하여 검사의 실효성 여부를 판독하는 기준으로 사용하며, 분리멤브레인의 말단에 부착된 흡수패드는 분리멤브레인을 통해 이동한 액체시료를 흡수하여 액체시료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펌프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생체물질 진단키트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하여 형광물질이 화학연결된 항체를 콘주게이트 패드에 건조상태로 저장하고, 시료(생체물질)을 시료패드에 주입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그 후, 시료(생체물질) 내에 분석대상물은 콘주게이트 패드로 이동하여 저장된 항체와 결합체를 이루어 분리멤브레인으로 이동한다. 신호밴드에 결합체가 축적되고, 여분의 형광물질 결합항체는 분리멤브레인을 통과하여 흡수패드에 흡수된다. 이때, 신호밴드에 선택적으로 흡착된 분석대상물과 형광물질 연결항체의 결합체는 광원부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형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시스템에서,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DPP(Diketo Pyrrolo Pyrrole) 유도체, 아센,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옥사진, 티아진, 시아닌, 루브렌, 보디피, 레조루핀 및 헤미시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 바람직하게 Stokes' shift <100 nm 인 형광체라면 어느 것이든 이용가능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DPP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2,5-bis(2-ethylhexyl)-2,5-dihydro-3,6-diphenyl-pyrrolo[3,4-c]pyrrole-1,4-dione];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5-(2,5-bis(2-ethylhexyl)-1,2,4,5-tetrahydro-1,4-dioxo-3-(thiophen-2-yl)pyrrolo[3,4-c]pyrrol-6-yl)thiophene-2-carbaldehyde]; 또는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 [5,5'-(2,5-Bis(2-ethylhexyl)-3,6-dioxo-2,3,5,6-tetrahydropyrrolo[3,4-c]pyrrole-1,4-diyl)bis(thiophene-2-carbaldehyde)]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일 수 있다.
[화학식 2]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7
[화학식 3]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8
[화학식 4]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Figure 112016046468605-pat00009
[화학식 5]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
Figure 112016046468605-pat00010
본 발명의 상기 검출시스템에서, 상기 형광체는 그 자체로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할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형광체는 나노구조체에 담지되거나, 나노구조체에 접합(conjugation)된 형태의 형광 나노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나노입자, 나노비드, 나노에멀전, 마이셀, 리포좀 및 나노입자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계 비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1~1000 nm의 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출시스템의 상기 생체물질과 형광체의 반응복합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반응부 내에서 상기 형광체가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가 접합된 형광체와 상기 생체물질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는 단백질, 항체, 유전자, 지질, 효소, 앱타머(aptamer) 및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하고자 하는 생체물질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장파장의 광원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5-50 nm더 긴 장파장 영역의 광원인 것일 수 있다. 이 때, 광원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램프인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원은 레이저 뿐만 아니라 레이저가 아닌 광원을 사용할 수 있고, 일반 LED 광원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형광 측정 시스템을 확보하는데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상기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의 발광신호는, 여기광의 파장보다 단파장인 발광 신호로, 상기 여기광의 파장보다 10-100 nm 더 짧은 단파장 영역의 발광 신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조직 추출물,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뇨, 젖, 복수액, 활액, 복막액 및 혈액여지(dried blood sp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선형 업컨버전 기반의 생체물질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진단 키트”는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나노입자 및 생체물질 검출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적 생체물질 검출과정에서 필요한 기타 시약, 도구 등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키트는 본 발명의 생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래피드(rapid) 진단 키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진단 키트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생체물질 검출분자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단백질, 항체, 유전자, 지질, 효소, 앱타머(aptamer) 및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생체물질"은 생체 내외에서 발견될 수 있는 물질로서, 생체에 특정 반응을 일으키거나 특정 상태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물질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생체물질은 화합물, 단백질, DNA, RNA 또는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표적 생체물질"은 본 발명의 진단키트가 존재 또는 함량을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단키트를 구성하는 검출분자와 특이적 상호반응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나노구조체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 염료가 나노구조체에 담지되거나 또는 접합(conjugation)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 염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DPP(Diketo Pyrrolo Pyrrole) 유도체, 아센, 플루오르세인, 로다민, 옥사진, 티아진, 시아닌 및 헤미시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6468605-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를 나타낸다.)
종래의 업컨버전 나노입자(UCNPs)를 이용한 형광은 대부분 무기 나노결정의 비선형 업컨버전 방식으로 (이광자 및 다중광자를 흡수함) 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전력의 결맞음 상태의 여기광원인 레이저가 필요한바 비용이 높고 관측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나노 입자 기반 진단 키트는 LED 광원으로도 관측이 가능한바, 시스템 개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티오펜-2-카보나이트릴(thiophene-2 carbonitrile) 및 디메틸숙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를 이용해 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을 합성한 후, Ethylhexyl bromide를 첨가해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를 합성하였다. 이후,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을 폴리스티렌 비드에 담지하여 신규 선형 업컨버전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으며, 개발된 입자는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해 이용해 래피드 키트(Rapid kit)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나노구조체는 배경잡음 없이 입자의 신호만을 검출할 수 있어 S/N비 및 민감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나노구조체의 형광은 일반 LED 광원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므로, 생체물질 진단 시스템 확보에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DPP-Th의 흡수 및 형광 스펙트럼 (A)과 DPP-Th가 담지된 폴리스티렌 나노비드의 선형업컨버전 형광 스펙트럼 (B)이다 (DPP-Th: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도 3은 본 발명의 DPP-Th가 담지된 폴리스티렌 나노비드의 담지 형광체 농도에 따른 선형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DPP-Th: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도 4는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재료를 이용해 제조한 생체 물질 진단을 위한 래피드 키트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기반 래피드 키트 검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생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래피드 키트 측정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래피드 키트 진단 스트립 상에서, DPP-Th 담지 나노비드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신호 감도를 일반 다운컨버젼 형광 신호와 비교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래피드 키트 진단 스트립 상에서의 인간 혈청(human serum) 대비 DPP-Th 담지 나노비드 (A), Rubrene 담지 고분자 계면활성제 미셀 나노입자 (micelle, Pluronic F127) (B), Resorufin 수용액 (C), Rhodamine B 수용액 (D)의 선형 업컨버전 형광 신호 감도를 일반 다운컨버젼 형광과 비교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래피드 키트 기반의 멤브레인 상에서 면역반응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나노입자를 이용한 래피드 진단 키트 적용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형광 특성을 활용하여 유전자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선형 업컨버전 염료(DPP-Th) 합성
실시예 1-1. 3,6- Di(thiophen-2-yl)pyrrolo [3,4-c] pyrrole -1,4( 2H,5H )- dione 의 합성
소듐(2.65 g, 0.13 mol) 및 FeCl3 의 혼합물을 t-아밀 알코올(250 mL)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은 용액이 연한 노란색으로 변할때까지 110℃ 에서 교반하였다. 3시간동안 110℃ 에서 가열한 후, 티오펜-2 카보나이트릴(thiophene-2 carbonitrile, 11.9 g, 0.12 mol)을 반응 혼합물에 넣고 0.5 시간동안 유지하였다. 디메틸 숙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 5.29 g, 0.04 mol)를 1.5시간 동안 드롭방식(drop-wise)으로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0℃로 쿨링하고, 반응 혼합물을 MeOH/HCl 에 침강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정제하고 뜨거운 MeOH 로 세척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어두은 붉은색 고체인 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를 10.2 g (84.8 %) 얻어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DPP-Th)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4 g, 0.013 mol) 및 K2CO3 (5.5 g, 0.039 mol) 를 아르곤 상태에서 DMF (140 mL)에 현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드롭 방식으로 2-에틸헥실 브로마이드(2-Ethylhexyl bromide, 9 g, 0.046 mol)를 첨가하고, 24시간동안 반응 혼합물을 유지하였다. 상온에서 쿨링 후, 용매는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제거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물로 크루드를 정제하였다. 잔여물은 MeOH로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최종적으로 갈색 고체인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1.1g(15.7 %)을 얻었다.
실시예 2. 선형 업컨버전 나노비드 제조 및 선형 업컨버전 나노비드의 형광 특성
실시예 1에서 얻은 5×10-5 M의 100㎕ DPP-Th 의 THF(Tetrahydrofuran) 용액을 0.4 w/v% 카복실화된 폴리스티렌 비드(100 nm, 인바이트로젠) 600㎕ 에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천천히 교반하였다. 이후, 회전농축기로 THF를 제거하여 선형 업컨버전 나노비드를 제조하였다.
이에 더하여, 도 2 는 본 발명의 DPP-Th의 흡수 및 형광 스펙트럼 (A)과 DPP-Th가 담지된 폴리스티렌 나노비드의 선형업컨버전 형광 스펙트럼 (B)이다 (DPP-Th: 2,5-bis(2-ethylhexyl)-3,6-di(thiophen-2-yl)pyrrolo[3,4-c]pyrrole-1,4(2H,5H)-dione). 상기 형광체는 약 20 nm의 Stokes' shift를 가지며, 담지된 폴리스티렌 나노비드는 580 nm 여기 하에서 여기광보다 단파장 영역(540-570 nm)의 형광 성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규 선형 업컨버전 나노구조체의 형광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입자는 장파장 빛을 흡수해 단파장 빛을 방출하는 업컨버전 형광 성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담지된 형광 염료의 농도에 따른 형광 강도(intens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 기반 래피드(Rapid) 진단 키트 및 측정 시스템 개발
실시예 2의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해 생체 물질 진단을 위한 래피드 키트를 개발하였다 (도 4).
래피드 키트(12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성을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패드(121), 컨쥬게이션 패드(122), 멤브레인(125) 및 흡수 패드를 포함한 래피드 진단 키트(120)를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래피드 진단키트(120)의 시료패드는 본 발명의 주입부(121)를 의미하며,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122), 신호패드(123), 확인밴드(124), 멤브레인(125) 및 흡수 패드는 반응부(126)를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 기반 래피드 진단 키트(120)를 이용하여 도 5에 나타난 생체 물질 검출 시스템(10)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LED 광원(110)은 여기광이 여기필터(미도시)를 거쳐 래피드 진단 키트(110)에 조사되도록 위치하며, 진단 키트(120) 상에서 발생한 형광은 대물렌즈(131) 발광필터(132) 및 접안렌즈(133)를 거쳐 측정부(140)에 도달하도록 위치하였다. 상기 대물렌즈(131)는 키트(120) 상에 초점거리가 맞도록 배열되어, 키트(120) 상의 해당 초점영역의 형광 신호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도 5 및 6).
실시예 4. 선형 업컨버전 나노비드의 혈청 시료상에서의 형광 신호 감도 테스트
실시예 2의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해 진단 스트립 상에서의 혈청(background) 대비 선형 업컨버전 형광의 신호 감도를 측정하였다 (도 7). 먼저, 1㎕ FBS (fetal bovine serum) 및 FBS에 1/10로 희석된 DPP-Th 나노비드 (4 mg/ml in DW)를 진단 스트립 상에 각각 위치시켰다. 그 후, 하기 표 1의 조건에 따른 이미징 시스템을 이용해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상의 선형 업컨버젼 형광 및 일반 형광 특성은 하기 표 1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선형 업컨버전 형광 및 일반 다운컨버전 형광 측정 조건
일반 형광 (다운컨버젼) 선형 업컨버젼 형광
여기광 파장 500 nm 590 nm
측정 발광 파장 585 nm 550 nm
도 7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하면,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해서 배경잡음 없이 표적신호를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선형 업컨버전 형광체의 혈청시료 상에서의 형광 신호 감도 테스트
실시예 2의 DPP-Th 담지 나노비드뿐만 아니라 Rubrene 담지 고분자 계면활성제 미셀 나노입자 (micelle, Pluronic F127), Resorufin 수용액, Rhodamine B 수용액의 혈청 시료 대비 선형 업컨버전 형광 신호 감도를 다운컨버젼 형광과 비교하였다. Rubrene 담지 미셀 나노입자는 고분자 계면활성제 (Pluronic F127) 20 mg, rubrene 1 mg를 THF 용액상에서 건조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재분산하여 준비하였다 (rubrene의 최종농도 4×10-4 M로 희석하였다). Resorufin 수용액과 Rhodamine B 수용액은 10-5 M의 농도로 각각 인산완충용액 (PBS, pH 8.0)와 증류수에 준비하였으며, DPP-Th 는 염료 농도10-5 M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재료들은 human serum과 1:1 부피비로 혼합하여 진단 스트립상에 위치한 후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확인하였다(도 8).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형광은 일반 형광과 비교하여 혈청(serum)의 자가형광에 의한 배경잡음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한 면역반응 확인
실시예 2의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표면에 항체를 수식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상에서 혈청과 단백질 용액을 사용하여 면역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체 수식 공정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2의 선형 업컨버젼 나노입자가 포함된 수용액(1 ml, 3 mg/ml)에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hydrochloride 수용액(30 ㎕, 100 mg/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 항 C-reactive protein(CRP) 다클론 항체(pAb-CRP; Millipore사, Calbiochem)를 첨가하고(15 ㎕, 10 mg/ml) 실온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3회 세척을 수행하고 3% Bovine serum albumin (BSA)로 블락킹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상에서의 면역반응 확인을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control 항체(antirabbit IgG; R&D system)와 test 항체(mAb-CRP; R&D system)가 고정된 멤브레인을 블락킹 버퍼1 % BSA 포함 PBS)로 블락킹을 수행하고 PBS로 세 번 세척하였다. 이후 상기 막 전반에, 상기 항체 수식된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 항원(CRP) 및 혈청이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PBST로 세번 세척하였다. 상기 면역반응 실험 수행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부의 형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9 (a) 및 (b)에 나타내었다. 도 9(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혈청 자체가 PBST 세척 후에도 막 전반에 걸쳐 흡착되는 것을 일반 형광에서확인 할 수 있다. 상기 항원과 항체 수식된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 혈청의 혼합물이 도포되었을 시, control 및 test 항체 고정부에서 선택적으로 강한 형광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형광에서는 도포 용액에 포함된 혈청의 멤브레인 흡착에 따른 형광 신호가 함께 검출되어 강한 배경 잡음으로 작용하는 반면, 선형 업컨버전 형광에서는 항체 고정부에 결합한 나노입자의 신호가 높은 감도로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 기반 래피드(Rapid) 진단 키트 적용
실시예 3에 따른 진단 키트의 컨쥬게이션 패드에 실시예 6의 항체수식 선형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담지하고 용출 로딩(eluent loading)을 통한 입자 유동 특성을 선형업컨버전 신호로 관측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선형 업컨버젼 형광 모드에서 입자 유동 특성이 확인되고 멤브레인 영역의 배경 잡음이 최소화된 신호를 관측할 수 있다.
실시예 8. 선형 업컨버전 형광 기반 유전자 분석
선형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유전자 분석에 적용하였다. 프로브 유전자가 컨쥬게이션된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타겟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알려진 방법에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업컨버젼 형광 기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금 나노입자-형광체 플랫폼(gold nanobeacon)을 제작하여 타겟 DNA 혼성화반응을 통해 턴-온(turn-on) 형광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유전자 분석에 사용한 유전자 서열은 다음과 같다:
프로브 DNA 서열(hairpin type): 5'-SH-(CH2)6-TCG CTG AGA TCG GGA TCC CCA AAA TCA GCG A-(CH2)6-TAMRA-3' (바이오니아)
타겟 DNA 서열: 5'-GGG GAT CCC GAT CTC AG-3' (바이오니아)
15 nm Au NP 및 프로브 DNA 를 1:100의 몰비로 반응시켰다. 그 다음 상기 반응물에 NaCl 용액을 (5 M)을 1시간 간격으로 총 4회에 걸쳐 첨가하여 최종 NaCl 농도가 0.3 M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세 번의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정제하였다(14,000 rpm, 30 min, 4 ℃)
상기 프로브 DNA가 컨쥬게이션된 금 나노입자를 타겟 DNA와 반응시킨 다음 형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5 nM 나노비콘과 100 nM 타겟 DNA(pH 7 Tris 버퍼)를 37 ℃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발생한 형광 신호를 혈청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을 보면, 소광되어 있던 형광체(TAMRA)의 형광이 타겟 DNA에 의해 디켄칭 (dequenching)되는 것을 혈청이 없는 환경에서 관측할 수 있다. 혈청이 존재하는 환경(50% 부피비)에서, 타겟 DNA에 의해 발생한 형광 신호가 혈청의 자가형광에 묻히는 것이 일반 형광 모드에서 관측된다. 그러나 선형 업컨버전 형광 모드에서는 혈청의 유무에 관계없이 형광체의 발생 형광 신호가 뚜렷이 관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0: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110: 광원부
120: 진단키트
121: 주입부 122: 콘주게이트패드
123: 신호밴드 124: 확인밴드
125: 멤브레인 126: 반응부
130: 발광신호 수집부 131: 대물렌즈
132: 발광필터 133: 접안렌즈
140: 측정부

Claims (27)

  1. i)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Stokes' shift < 100nm 인 형광체를 준비하고;
    ii) 상기 형광체와 생체물질을 반응시켜서 형광체와 생체물질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고;
    iii) 상기 반응복합체를,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장파장의 광원으로 여기시키고;
    iv) 상기 여기된 반응복합체로부터 방출되는, 여기광의 파장보다 단파장인 발광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형광체는 나노구조체에 담지되거나, 나노구조체에 접합된 형태의 형광 나노구조체이며,
    상기 iii) 단계는,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 파장보다 5-50nm 더 긴 장파장 영역의 광원으로 여기하며,
    상기 iv) 단계는, 반응복합체로부터 방출되는 방출 신호가, 상기 여기광의 파장보다 10-100nm 더 짧은 단파장 영역의 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DPP(Diketo Pyrrolo Pyrrole) 유도체, 아센,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옥사진, 티아진, 시아닌, 루브렌, 보디피, 레조루핀 및 헤미시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6046468605-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를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PP 유도체는,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또는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인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나노입자, 나노비드, 나노에멀전, 마이셀, 리포좀 및 나노입자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는, 상기 형광체가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합하고,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가 접합된 형광체와 상기 생체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형광체와 생체물질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는 단백질, 항체, 유전자, 지질, 효소, 앱타머(aptamer) 및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의 광원은 레이저,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램프인 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은 조직 추출물,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뇨, 젖, 복수액, 활액, 복막액 및 혈액여지(dried blood sp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생체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 및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지는 형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물질과 형광체의 반응복합체를 형성하는 반응부로 이루어진 생체물질 진단키트;
    상기 생체물질 진단키트의 반응부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반응복합체의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여기광의 파장 보다 10-100nm 더 짧은 단파장인 발광 신호를 탐지하는 발광 신호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발광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는 상기 형광체의 최대발광파장보다 5-50nm 긴 장파장의 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형광체는 Stokes' shift <100nm 인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가진 염료를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하는 빛을 필터링하는 여기필터; 및
    상기 여기필터의 전면에 위치하며, 필터링된 빛을 투사시키는 렌즈;를 포함하는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형광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DPP(Diketo Pyrrolo Pyrrole) 유도체, 아센,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옥사진, 티아진, 시아닌, 루브렌, 보디피, 레조루핀 및 헤미시아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생체물질 검출시스템:
    [화학식 1]
    Figure 112016046468605-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6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를 나타낸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PP 유도체는,
    2,5-비스(2-에틸헥실)-3,6-디(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1,4(2H,5H)-디온;
    2,5-비스(2-에틸헥실)-2,5-디하이드로-3,6-디페닐-피롤로[3,4-c]피롤-1,4-디온;
    5-(2,5-비스(2-에틸헥실)-1,2,4,5-테트라하이드로-1,4-디옥소-3-(티오펜-2-일)피롤로[3,4-c]피롤-6-일)티오펜-2-카발데히드; 또는
    5,5'-(2,5-비스(2-에틸헥실)-3,6-디옥소-2,3,5,6-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3,4c]피롤-1,4-디일)비스(티오펜-2-카발데히드)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는 나노구조체에 담지되거나, 나노구조체에 접합된 형태의 형광 나노구조체인 것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는 나노입자, 나노비드, 나노에멀전, 마이셀, 리포좀 및 나노입자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과 형광체의 반응복합체는, 상기 반응부 내에서 상기 형광체가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가 접합된 형광체와 상기 생체물질이 반응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 검출용 분자는 단백질, 항체, 유전자, 지질, 효소, 앱타머(aptamer) 및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2. 삭제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광원부의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램프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4. 삭제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물질은 조직 추출물, 세포 용해물, 전혈, 혈장, 혈청, 침, 안구액, 뇌척수액, 땀, 뇨, 젖, 복수액, 활액, 복막액 및 혈액여지(dried blood spo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키트는 래피드 진단키트 또는 ELISA 키트인 생체물질 검출 시스템.
  27. 삭제
KR1020160059525A 2015-05-15 2016-05-16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KR10184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166 WO2016186412A1 (ko) 2015-05-15 2016-05-16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US15/574,392 US10761025B2 (en) 2015-05-15 2016-05-16 Method for detecting biomaterial using linear upconversion fluorescent property
US16/935,687 US11982619B2 (en) 2015-05-15 2020-07-22 Method for detecting biomaterial using linear upconversion fluorescent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7872 2015-05-15
KR1020150067872 2015-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05A KR20160135105A (ko) 2016-11-24
KR101846075B1 true KR101846075B1 (ko) 2018-04-06

Family

ID=5770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25A KR101846075B1 (ko) 2015-05-15 2016-05-16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761025B2 (ko)
KR (1) KR101846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3333A (zh) * 2017-05-16 2017-08-11 国家纳米科学中心 一种吡咯并吡咯二酮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21163B (zh) * 2020-05-15 2021-12-07 深圳市国华光电科技有限公司 基于吡咯并吡咯二酮母体的染料、油墨和电润湿显示器件
CN113933518A (zh) * 2021-10-14 2022-01-14 西安工业大学 C蛋白检测试纸的制备方法及掌上式读取装置
WO2024101696A1 (ko) * 2022-11-08 2024-05-16 울산과학기술원 연속파동 레이저를 이용하는 비선형 현미경 기반의 3차원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CN116908154B (zh) * 2023-06-26 2024-02-20 江苏大学 一种基于酶联上转换荧光与草酸钛钾酸体系的肉制品中环丙沙星快速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1345A1 (en) * 2004-01-05 2009-08-27 Bio-Med Photonics Co., Ltd. And Biditechmed In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ateral flow assay and strip and laser-induced epifluorescence and compact scanner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2420A1 (en) * 2004-03-30 2008-02-07 Lambert James L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and Multiplexed Diagnostic Ass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1345A1 (en) * 2004-01-05 2009-08-27 Bio-Med Photonics Co., Ltd. And Biditechmed In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lateral flow assay and strip and laser-induced epifluorescence and compact scanner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cal Society Reviews, (2014.09.04.), Vol. 44, pp 58-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1359A1 (en) 2021-02-11
KR20160135105A (ko) 2016-11-24
US10761025B2 (en) 2020-09-01
US20180292317A1 (en) 2018-10-11
US11982619B2 (en)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075B1 (ko)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AU2020202395B2 (en) Use of fluorescence for the quick and easy determination of s-adenosylmethionine, s-adenosylhomocysteine and homocysteine
Bünzli Lanthanide light for biology and medical diagnosis
Kuningas et al. Homogeneous assay technology based on upconverting phosphors
Würth et al. Integrating sphere setup for the traceable measurement of absolute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s in the near infrared
Sun et al. Advances in the study of luminescence probes for proteins
US6060598A (en) Fluorescence immunoassays using fluorescent dyes free of aggregation and serum binding
Zhang et al. New class of tetradentate β-diketonate-europium complexes that can be covalently bound to proteins for time-gated fluorometric application
CN102892896A (zh) 具有改进灵敏度的均相化学发光测试方法
Pauli et al. New fluorescent labels with tunable hydrophilicity for the rational design of bright optical probes for molecular imaging
EP1758917A1 (en) Substituted azaporphyrins as fluorescence labels
WO2017105927A1 (en) Polymeric dye ratiometric sensor for analyte detec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1517296A (ja) ポリオキシヒドロカルビル関連生成物及び蛍光アッセイの方法
WO2014080519A1 (ja) ナノカーボンを用いた臨床検査
US5846703A (en) Fluorescence immunoassays using fluorescent dyes free of aggregation and serum binding
CN111675674A (zh) 一种aie分子及其合成方法
JP6867962B2 (ja) 測定対象物質を測定するためのキット、蛍光標識剤および蛍光標識抗体
Garcia-Fernandez et al. Time-gated luminescence acquisition for biochemical sensing: miRNA detection
EP0632893A1 (en) Fluorescence immunoassays using fluorescent dyes free of aggregation and serum binding
Song et al. Bright and monodispersed phosphorescent 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s for biological assays
Xiong et al. Fluorescent probes for detection of protein: from bench to bed
KR101622239B1 (ko) 광변색성 물질과 형광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EP3308167A1 (en) Use of fluorescence for the quick and easy determination of s-adenosylmethionine, s-adenosylhomocysteine and homocysteine
WO2016186412A1 (ko) 선형 업컨버전 형광 특성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방법
US20050037402A1 (en) Device and process for direct quantitative in vitro determination of a substance that is contained in a s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