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635B1 - Buoy Using Solar Cell - Google Patents

Buoy Using Solar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635B1
KR101845635B1 KR1020160156231A KR20160156231A KR101845635B1 KR 101845635 B1 KR101845635 B1 KR 101845635B1 KR 1020160156231 A KR1020160156231 A KR 1020160156231A KR 20160156231 A KR20160156231 A KR 20160156231A KR 101845635 B1 KR101845635 B1 KR 10184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waterproof pad
cover
body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양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양태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15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6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6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A buoy using a solar cell is disclosed. The disclosed buoy comprises: a body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the cover; at least one waterproof pad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groove; and the at least one solar cell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waterproof pad,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he groove and the waterproof pad have through-holes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portion. Therefore, the disclosed buoy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and has a simple and stable waterproof structure.

Description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Buoy Using Solar Cell }Buoy Using Solar Cell < RTI ID = 0.0 >

본 발명은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솔라셀을 통해 구동 전력을 제공받는 부이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orescent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orescent lamp that receives driving power through a solar cell.

부이는 해상의 기상 상황 및 파고, 파향 등을 감지하기 위해 해상에 설치되는 장비이다. 근래에는 부이에 보다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수질 상태 등과 같이 다양한 수자원 정보를 부이를 통해 수집하고 있다. Buoy is equipment installed on the sea to detect sea weather conditions, wave, and waves. Recently, various sensors have been installed in Buyeong to collect various water resources information such as water quality.

부이는 해저에 앵커나 싱카를 고정시켜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 부이와 해상을 표류하도록 하는 표류 부이로 구분된다. The buoy is divided into fixed part fixed by fixing anchor or sinker on the sea floor and drift part drifting the sea.

부이는 해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로 전력을 제공받을 수 없으며,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는 부이가 기존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부이는 배터리가 소모될 경우 각 부이별로 배터리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Since the boiler is installed at sea, it can not receive power separately, and buoys that ar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batteries are used. However, such a conventional boiler requires a considerable cost of maintenance because the battery must be replaced for each part when the battery is consum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솔라셀을 부이의 상부에 설치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성하는 부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충분한 광 효율을 가지는 솔라셀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지 않기에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olar cel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oy, and a study has been made to generate electricity by itself. When using a solar cell with sufficient light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replacement.

그런데, 솔라셀에서 전환되는 전기 에너지를 부이 내부로 제공하기 위해 각 솔라셀과 결합되는 전선을 부이 내부로 삽입하여야 한다. 부이 내부로 삽입된 전선은 부이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전선과 회로 기판과의 연결은 납땜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ovide the electric energy to be exchanged in the solar cell to the inside of the buoy, the electric wire coupled to each solar cell must be inserted into the buoy. The wire inserted into the buoy should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buoy, and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circuit board must be made by soldering,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또한, 솔라셀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회로 기판과 전선과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부이의 커버를 제거한 후 직접 납땜 연결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In addition,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olar cell or a problem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 wire, the operator has to remove the cover of the buoy and then release the solder connection directly.

나아가, 다수의 전선이 솔라셀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배선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선을 부이 커버를 통해 부이 내부로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방수를 유지하는 구조 역시 구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since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must be connected to the solar cell, not only a separate space for wiring is required but also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are inserted into the buoy through the buoy cover. .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솔라셀을 이용한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ar cell using a solar cell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하고 안정적인 방수 구조를 가지는 솔라셀을 이용한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oy using a solar cell having a simple and stable waterproof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 및 상기 방수 패드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module including: a main body unit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the cover; At least one waterproof pad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groove; And at least one solar cell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waterproof pad,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n electrod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providing an electrical energy, The waterproof pad is provided with a buoy using a solar cell having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상기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봉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Wherein the solar cell further comprises a circuit board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electrode.

상기 방수 패드의 형상은 상기 그루브의 형상에 상응한다. The shape of the waterproof pa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roove.

상기 방수 패드의 상면 및 하면은 접착성을 가진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proof pad have adhesiveness.

상기 결합부는 탄성 재질을 가진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다.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metal member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the electrode rod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a fitting engagem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수 패드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module including: a main body unit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waterproof pad coupled to the cover; And at least one solar cell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waterproof pad,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r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he waterproof pad is provided with a buoy using a solar cell having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솔라셀 사이에는 상기 관통홀의 방수를 위한 오링이 결합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or module including: a main body unit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solar cell coupled to the cover,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solar cell, and a buoy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solar cell using a solar cell to which an O-ring for waterproofing the through hole is coupl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솔라셀을 이용한 부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oy using a solar cell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이는 단순하고 안정적인 방수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a simple and stable waterproof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상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에서 방수 패드만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에서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이 결합되기 전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에서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이 결합되기 전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의 전극봉과 회로 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방수 패드 대신 오링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only a waterproof pad separately in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cover before a waterproof pad and a solar cell are joined in a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cover before a waterproof pad and a solar cell are coupled in a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n electrode rod and a circuit board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ver in an embodiment in which an O-ring is used in place of the waterproof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상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에서 방수 패드만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portion of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only a waterproof pad in a buoy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는 본체부(100), 회로 기판(110), 커버(200), 다수의 방수 패드(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316) 및 다수의 솔라셀(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 416)을 포함한다. 1 to 4, a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circuit board 110, a cover 200, a plurality of waterproof pads 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and 316 and a plurality of solar cells 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 and 416.

본체부(100) 내에는 기상 상황 및 해양 상황을 관측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 모듈 및 다수의 센서 모듈 구동을 위한 회로 기판(110)이 실장된다. 본체부의 하부에는 앵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0)가 형성되며, 고정 부이의 경우 연결부(120)에 앵커를 연결하여 부이를 해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In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for observing weather conditions and marine conditions and a circuit board 110 for driving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re mounted. A connecting portion 120 for connecting an anchor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case of a fixed portion, an anchor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to fix the buoy to the se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체부(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changed as needed.

본체부(100)에는 커버(200)가 결합되며, 커버(200) 결합에 의해 부이는 차폐 구조를 가지게 된다.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200 has a shielding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에서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이 결합되기 전 커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에서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이 결합되기 전 커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plan view of a cover before a waterproof pad and a solar cell are joined together in a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waterproof pad and a solar cell in a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of a cover before being joined;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200)에는 다수의 방수 패드(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316) 및 다수의 솔라셀(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 416)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210)가 형성된다. 5 and 6, the co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proof pads 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316 and a plurality of solar cells 400, 402, 404, 406 , 408, 410, 412, 414, 416 are formed.

도 1 내지 도 4에는 9개의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이 결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9개의 그루브가 커버(200)에 형성된다. 그루브,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의 수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각 그루브에는 두 개의 관통홀(220, 230)이 형성된다. 두 개의 관통홀(220, 230)은 추후 설명하는 두 개의 전극봉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이다. FIGS. 1 to 4 show an embodiment in which nine waterproof pads and a solar cell are coupled, and nine grooves are formed in the cover 200 corresponding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grooves, waterproof pads, and solar cells can be adjusted as needed. Two through holes 220 and 230 are formed in each groove. The two through holes 220 and 230 are holes for penetrating the two electrode rods to be described later.

그루브에는 방수 패드가 결합되고, 방수 패드의 상부에 솔라셀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gro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waterproof pad is coupled and a solar cell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waterproof pa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패드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제1 형태를 가지는 방수 패드(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는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2 형태를 가지는 방수 패드(316)는 팔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형태의 방수 패드(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는 커버의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제2 형태를 가지는 방수 패드(316)는 커버의 중앙에 위치하는 그루브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waterproof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waterproof pads 300, 302, 304, 306, 308, 310, 312, and 314 having the first shape have an arc shape and the waterproof pads 316 having the second shape have an octagonal shape. The waterproof pads 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of the first type are received and engaged in the grooves located in the side areas of the cover, And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커버에 형성된 그루브들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방수 패드의 형상은 그루브의 형상에 상응한다. 일례로, 방수 패드는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방수가 가능한 어떠한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The shape of the waterproof pa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roove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s formed in the cover.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waterproof pad may have a rubber material, but may be made of any waterproof materia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패드에는 두 개의 관통홀(320, 322)이 형성되는데, 방수 패드의 관통홀(320, 322) 역시 후술하는 두 개의 전극 봉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다. 4, two through holes 320 and 322 are formed in the waterproof pad, and the through holes 320 and 322 of the waterproof pad are also holes through which the two electrode rods to be described later pass.

방수 패드의 상하면은 접착성을 가진다. 일례로, 방수 패드의 상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방수 패드의 하면의 접착제로 인해 방수 패드는 그리드에 접착되고, 방수 패드 상부에 결합되는 솔라셀이 방수 패드 상면의 접착제로 인해 방수 패드와 접착된다.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proof pad have adhesiveness. For example,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proof pad. The waterproof pad is adhered to the grid due to the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proof pad, and the solar cell bonded to the top of the waterproof pad is bonded to the waterproof pad by the adhesi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pad.

도 3을 참조하면, 솔라셀은 제1 형태를 가지는 솔라셀(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과 제2 형태를 가지는 솔라셀(416)로 구분된다. 제1 형태를 가지는 솔라셀((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 각각은 제1 형태를 가지는 방수 패드(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위에 적층되고, 제2 형태를 가지는 솔라셀(416)은 제2 형태를 가지는 방수 패드(316) 위에 적층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olar cell is divided into solar cells 400, 402, 404, 406, 408, 410, 412, and 414 having a first shape and a solar cell 416 having a second shape. Each of the solar cells 400, 402, 404, 406, 408, 410, 412, 414 having the first shape is formed of a waterproof pad 300, 302, 304, 306, 308, 310, 312, 314 And the solar cell 416 having the second shape is stacked on the waterproof pad 316 having the second shape.

솔라셀 역시 그루브에 수용되기에 각 솔라셀은 형상은 수용되는 각 그루브의 형상에 상응하며, 따라서 하부에 위치하는 방수 패드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Since the solar cell is also accommodated in the groove, the shape of each solar cell corresponds to the shape of each groove to be accommodated, and therefor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waterproof pad located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는 제1 형태를 가지는 솔라셀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은 솔라셀 본체부(500) 및 두 개의 전극봉(510, 520)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전극봉(510, 520)은 솔라셀의 하부로부터 돌출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7 shows a solar cell having the first form. Referring to FIG. 7,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body portion 500 and two electrode rods 510 and 520. The two electrodes 510, 520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solar cell.

솔라셀 본체부(500)에는 태양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의 솔라셀 모듈(미도시)이 결합된다. 기둥 형상의 전극봉(510, 520)은 솔라셀 모듈에서 전환되는 전기 신호를 부이 내부의 회로 기판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전극봉(510)은 + 전극에 해당되어 +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전극봉(520)은 - 전극에 해당되어 - 신호를 제공한다.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solar cell main body unit 500 for receiving sunlight and converting the sunlight into electric signals. The columnar electrodes 510 and 520 serve to provide an electric signal to be converted in the solar cell module to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buoy. The first electrode rod 510 corresponds to the + electrode and provides the +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de 520 corresponds to the-electrode to provide the signal.

기존에 연구된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는 솔라셀 모듈에서 전환된 전기 신호를 전선을 통해 부이 내부로 제공하였다. 그러나, 전선은 부이 내부에서 납땜으로 결합되어야 해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차후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Utilizing the previously studied solar cell, Bouyun provided the electric signal conver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o the inside of the buoy through the wire. However, the electric wires have to be joined by brazing inside the buoy, which not only complicates work but also makes maintenance difficult in the future.

또한, 다수의 솔라셀과 결합되는 다수의 전선들을 모아 부이 내부로 삽입할 경우의 방수 구조 역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Also, the waterproof structure when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solar cells are collecte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uoy, is also complicat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솔라셀마다 부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전극봉(510, 520)을 형성하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orms electrode rods (510, 52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uoy for each solar cell.

전극봉(510, 520)을 전기 신호의 제공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극봉의 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단면적이 넓은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도 7에는 단부에 봉을 형성하는 기둥보다 단면적이 넓은 구가 기둥에 결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The electrode rods (510, 52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providing an electric signal, and the ends of the electrode rods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other portions. For example, FIG. 7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spher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a column forming a rod at the end is coupled to the column.

각 솔라셀의 전극봉은 각 방수 패드의 관통홀(320, 322) 및 각 그루브(210)의 관통홀(220, 230)을 관통하여 부이 내부로 삽입된다. Electrodes of the respective solar cell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320 and 322 of the respective waterproof pads and through-holes 220 and 230 of the grooves 210, respectively.

각 솔라셀의 하부에 방수 패드가 위치하므로 전극봉이 방수 패드의 관통홀(320, 322) 및 그루브(210)의 관통홀(220, 230)을 통해 관통하더라도 해수로부터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waterproof pa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each solar cell, airtightness from seawater can be secured even if the electrode rod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s 320 and 322 of the waterproof pad and the through holes 220 and 230 of the groove 210 .

각 솔라셀의 전극봉(510, 520)은 부이 내부의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솔라셀 모듈에서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회로 기판에 제공한다. Electrodes 510 and 520 of each solar cell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buoy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converted from the solar cell module to the circuit board.

도 1 내지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솔라셀 및 방수 패드는 나사 결합을 통해 커버의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솔라셀, 방수 패드 및 그루브의 특정 지점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을 형성하고 나사를 결합하여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을 커버의 그루브에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7, the solar cell and the waterproof pad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ove of the cover through the screw connection. At certain points in the solar cell, the waterproofing pad and the groove, a threaded hole may be formed for threading and the screws may be engaged to secure the waterproofing pad and the solar cell to the groove of the cover.

부이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를 제거하는 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방수 패드 및 솔라셀을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If maintenance of the buoy is required, the waterproof pad and the solar cell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ove by a method of removing the screws using a too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의 전극봉과 회로 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ode of a solar cell and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부이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 기판에는 전극봉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800, 81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8, a circuit board provided inside a buoy includes coupling parts 800 and 810 to which an electrode rod can be inserted and coupled.

제1 전극봉(510)과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800)와 제2 전극봉과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810)가 회로 기판에 구비된다. 제1 결합부(800) 및 제2 결합부(810)는 두 개의 탄성을 가진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전극봉의 단부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coupler 800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rod 510 and a second coupler 810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bar. The first coupling portion 8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10 are made of two elastic metal members, and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electrode rods are inser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의 전극봉(510, 520)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기에 솔라셀을 방수 패드 및 그루부의 관통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회로 기판과 연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since the electrode bars 510 and 520 of the solar cell are coupled in a fitting manner, the solar cell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by inserting the solar cell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waterproof pad and the groove.

또한, 솔라셀과 회로 기판과의 결합 역시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소정의 힘으로 솔라셀을 밀어당기는 작업만으로 전극봉(510, 520)과 결합부(810)와의 결?u을 해제할 수 있다. Fur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circuit board can also be easily relea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rods 510 and 520 and the coupling portion 810 can be released only by pushing the solar cell with a predetermined force.

전극봉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와의 결합 구조는 기존의 전선을 납땜으로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유지 보수에 있어 상당한 장점이 있다. 별도의 납땜을 요구하지 않고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빠른 시간에 결합이 가능하다. 특히, 유지 보수를 위해 솔라셀과 회로 기판과의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납땜에 비해 용이한 해제가 가능하다.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rod and the connection part made of metal having elasticity has a considerable advantage in maintenance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ventional electric wire is coupled by soldering. It is possible to combine in a fast manner because the coupling is done by fitting method without requiring separate soldering. In particular,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circuit board is to be released for maintenance, the release can be made easier than soldering.

도 8에 도시된 결합부의 구조는 예시적인 구조이며, 끼움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 8 is an exemplary structure and can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fitt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패드는 오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pad may be replaced by an O-ring.

도 9는 본 발명의 방수 패드 대신 오링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ver in an embodiment in which an O-ring is used in place of the waterproof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에는 오링이 삽입되기 위한 홈(900)이 형성되며, 홈(900)에 오링이 결합된다. 오링은 관통홀을 둘러싸는 위치에 결합된다. 전극봉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910, 920)은 오링 내부 영역에 형성되어 관통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분 침투를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9, a groove 900 for inserting an O-ring is formed in the cover, and an O-ring is coupled to the groove 900. The O-ring is engaged in a position surrounding the through-hole. The through holes 910 and 920 through which the electrode rod penetrates are formed in the area inside the O-ring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through hol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 및 상기 방수 패드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봉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the cover;
At least one waterproof pad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groove;
At least one solar cell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waterproof pad,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r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Wherein the groove and the waterproof pad have through holes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And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electrode r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드의 형상은 상기 그루브의 형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waterproof pa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드의 상면 및 하면은 접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proof pad have adhesive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탄성 재질을 가진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metal member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the electrod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a fitting engagement.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수 패드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상기 방수 패드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봉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waterproof pad coupled to the cover;
At least one solar cell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waterproof pad,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r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Wherein the cover and the waterproof pad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And a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n engag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electrode r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드의 상면 및 하면은 접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proof pad have adhesivene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탄성 재질을 가진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은 끼움 결합을 통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metal member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the electrod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a fitting engagement.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와 함께 차폐 구조를 형성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솔라셀은 상기 솔라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봉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전극봉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솔라셀 사이에는 상기 관통홀의 방수를 위한 오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A main body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sensor module is mounted;
A cover coupled with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ield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solar cell coupled to the cover,
Wherein the at least one solar cell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olar cell and includes an electrode r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Wherein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body is formed in the cover, and an O-ring for waterproofing the through hole is coupled between the cover and the solar cell.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을 이용하는 부이.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O-ring is coupled to surround the through-hole.



KR1020160156231A 2016-11-23 2016-11-23 Buoy Using Solar Cell KR101845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31A KR101845635B1 (en) 2016-11-23 2016-11-23 Buoy Using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31A KR101845635B1 (en) 2016-11-23 2016-11-23 Buoy Using Solar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635B1 true KR101845635B1 (en) 2018-04-05

Family

ID=6197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231A KR101845635B1 (en) 2016-11-23 2016-11-23 Buoy Using Solar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6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254A (en) * 2019-07-24 2019-10-25 吴江新华航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coastal waters buoy and its manufacture cr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1254A (en) * 2019-07-24 2019-10-25 吴江新华航标制造有限公司 A kind of coastal waters buoy and its manufacture 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2711B1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JP4515817B2 (en) Solar cell module connector
JP5490436B2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KR100836270B1 (en) An electric wire braket for solar cell having the bending part
JP2013143281A (en) Wiring module for battery
JP5730323B2 (en) Solar power plant
US20170093501A1 (en) Miniaturized devices for combined optical power conversion and data transmission
JP2007128972A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EP3063824B1 (en) Signal collection assembly and power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AU2003276401A8 (en) Circuit substrate and method
JP6128190B2 (en) Radiation detector using gas amplification
KR101845635B1 (en) Buoy Using Solar Cell
ES2380614T3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conductive contacts, in particular blade contacts
KR101349445B1 (en) Photovoltaic apparatus
KR101134725B1 (en) Solar cell apparatus
KR101103981B1 (en) Solar cell apparatus
KR101305849B1 (en) Solar cell module
JPWO2016181525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RU2019103999A (en) DETECTOR MODULE, DETECTOR, IMAGE FORM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DETECTOR MODULE
JP2017073957A (en) Solar cell module including junction box assembly
KR20150041932A (en) Solar cell module
JP2005072101A (en) Solar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JP5053346B2 (en) Solar cell module connector
JP3114603U (en) Diode element device for solar cell
KR101306441B1 (en) Solar cel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