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033B1 -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33B1
KR101845033B1 KR1020160081599A KR20160081599A KR101845033B1 KR 101845033 B1 KR101845033 B1 KR 101845033B1 KR 1020160081599 A KR1020160081599 A KR 1020160081599A KR 20160081599 A KR20160081599 A KR 20160081599A KR 101845033 B1 KR101845033 B1 KR 10184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operation button
case
strip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38A (ko
Inventor
진영준
채경철
차근식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6008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 스트립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 버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를 케이스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아 작동 버튼의 작동 간극를 통해 외부 세척 용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 처리 과정에서 작동 버튼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막지 않더라도 해당 부위로 세척 용액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로 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방수 커버를 별도로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스트립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WATER PROOF STRIP DISCHARGER FOR BLOOD GLUCOSE METER}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 스트립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 버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를 케이스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아 작동 버튼의 작동 간극를 통해 외부 세척 용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 처리 과정에서 작동 버튼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막지 않더라도 해당 부위로 세척 용액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로 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버튼 방수 커버를 별도로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스트립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가정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기는 측정 스트립을 케이스 내부에 투입하고, 투입된 측정 스트립에 혈액 샘플을 흡착시킨 후, 흡착된 혈액 샘플을 케이스 내부의 혈당 측정 모듈을 통해 검사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연산부를 통해 연산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에 혈당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혈당을 측정한 이후에는 이미 사용한 측정 스트립을 혈당 측정기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측정 스트립을 다시 투입하여 새로운 검사를 위해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이때, 측정 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측정 스트립을 직접 파지하여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하게 되면, 측정 스트립에 남아 있는 혈액 샘플이 검사자 또는 검사 대상자 본인의 손에 묻게 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측정 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 투입할 때 손에 묻어 있던 혈액이 새로운 측정 스트립을 오염시키게 되어 오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사자 또는 검사 대상자가 한 번의 검사를 진행한 후 손을 씻거나 위생용 장갑을 바꿔 착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혈당 측정기에는 일반적으로 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측정 스트립을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트립 배출 장치가 구비된다. 스트립 배출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고, 작동 버튼의 조작에 의해 측정 스트립을 외부 배출하는 메카니즘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혈당 측정기는 일정 횟수 이상 혈당 측정 작업을 반복 수행한 이후, 혈당 측정기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살균 세척 처리 과정을 일정 주기마다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살균 세척 처리 과정은 별도 용기에 저장된 살균 세척 용액에 혈당 측정기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혈당 측정기의 스트립 투입구 주변 부위가 살균 세척 용액에 충분히 잠기도록 혈당 측정기를 투입한다.
이러한 살균 세척 처리 과정에서 혈당 측정기를 살균 세척 용액에 투입하게 되면, 혈당 측정기 내부 공간으로 살균 세척 용액이 유입되어 혈당 측정기가 고장날 수 있으므로, 혈당 측정기를 살균 세척 용액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스트립 투입구, 작동 버튼 등의 외부 개방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폐쇄하고 해당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외부 개방 부위를 폐쇄한 상태로 살균 세척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러한 살균 세척 처리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여 이를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살균 세척 처리 작업 중 작업자의 실수로 손가락을 움직여 외부 개방 부위를 노출시키는 경우, 혈당 측정기 내부 공간으로 살균 세척 용액이 유입되어 혈당 측정기가 손상 또는 고장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가정용이 아닌 병원에서 사용하는 혈당 측정기의 경우, 그 사용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혈당 측정기에 대한 살균 세척 처리 과정을 매일 반복하는 정도로 빈번하게 수행하는데, 매번 살균 세척 처리 작업시마다 손가락으로 외부 개방 부위를 눌러 폐쇄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2088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스트립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 버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를 케이스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아 작동 버튼의 작동 간극를 통해 외부 세척 용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 처리 과정에서 작동 버튼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막지 않더라도 해당 부위로 세척 용액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로 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 방수 커버를 가압 조작함에 따라 작동 버튼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버튼 방수 커버를 별도로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스트립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모듈의 작동 방식을 캠 구조를 이용한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측정 스트립의 외부 배출 과정에서 측정 스트립이 너무 강하게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비례하여 적절한 속도로 측정 스트립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을 배출과 동시에 용이하게 쓰레기통 등에 집어넣을 수 있어 혈당 측정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 스트립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이젝터 모듈; 및 상기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작동 버튼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에 밀봉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버튼 방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에 대한 조작은 상기 버튼 방수 커버의 조작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 버튼의 연직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차단하는 형태로 상기 관통홀에 밀봉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대한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관통홀의 외곽 둘레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봉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부; 및 상기 결합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본체부의 가장자리 둘레는 상기 결합 플랜지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의 중심 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플랜지부는 두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 외곽 둘레 부위에는 상기 플랜지 단차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 버튼은 가압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 모듈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발생한 상기 작동 버튼의 일방향 이동력을 이에 대한 직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되고, 직각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젝터 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작동 버튼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작동 버튼을 상향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작동 버튼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작동 버튼과 이동 바디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에 연동하는 상기 이동 바디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스트립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 버튼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를 케이스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아 작동 버튼의 작동 간극를 통해 외부 세척 용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 처리 과정에서 작동 버튼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막지 않더라도 해당 부위로 세척 용액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로 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 방수 커버를 가압 조작함에 따라 작동 버튼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버튼 방수 커버를 별도로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스트립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는 이젝터 모듈의 작동 방식을 캠 구조를 이용한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측정 스트립의 외부 배출 과정에서 측정 스트립이 너무 강하게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비례하여 적절한 속도로 측정 스트립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 스트립을 배출과 동시에 용이하게 쓰레기통 등에 집어넣을 수 있어 혈당 측정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작동 범위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내부 구조 및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버튼 방수 커버에 대한 작동 범위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는 케이스(100)와, 작동 버튼(320)을 포함하는 이젝터 모듈(300)과, 버튼 방수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측정 스트립(S)을 내부 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스트립 투입구(103)가 형성되며, 측정 스트립(S)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립 투입구(103)에 투입된 상태에서 혈당 측정 대상인 혈액 샘플이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측정 스트립(S)에 흡착된 혈액 샘플로부터 측정한 혈당 측정 결과 등을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01)가 구비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부(102)가 구비된다. 조작 버튼부에는 온/오프 버튼 등 다양한 기능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PCB 기판(1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PCB 기판(130)에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 모듈(미도시), 혈당 측정 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정보를 통해 혈당 수치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연산부(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혈당 수치는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01)를 통해 출력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1)를 통해 출력된 정보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혈액 샘플을 검사하여 혈당 수치를 연산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CB 기판(130)에는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측정 스트립(S)이 삽입되도록 스트립 삽입구(201)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200)이 장착된다. 이러한 커넥터 하우징(200)은 측정 스트립(S)에 흡착된 혈액 샘플로부터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젝터 모듈(3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 버튼(320)을 포함하고, 작동 버튼(320)의 조작에 의해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젝터 모듈(300)은 다양한 메카니즘을 갖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 버튼(320) 또한 슬라이드 방식, 푸쉬 버튼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푸쉬 버튼 방식의 작동 버튼 구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한편, 이러한 이젝터 모듈(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튼 방수 커버(140)는 작동 버튼(320)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작동 버튼(320)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스(100)에 밀봉 결합되며,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버튼 방수 커버(140)가 구비되어 작동 버튼(320)에 대한 조작은 버튼 방수 커버(140)의 조작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연성 재질의 버튼 방수 커버(140)를 가압 조작하여 버튼 방수 커버(140)를 하향 돌출되게 변형시킬 수 있고, 하향 돌출되는 변형 과정에서 그 하부에 위치한 작동 버튼(320)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 버튼(320)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는 측정 스트립(S)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작동 버튼(320)이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140)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밀봉 상태로 유지되므로, 작동 버튼(320)이 장착된 부위를 통한 수분 유입이 방지되어 방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작동 버튼(320)이 케이스(100)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버튼 방수 커버(140)가 케이스(100)에 밀봉 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혈당 측정기의 살균 세척 처리 과정에서 작동 버튼(320) 부위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막지 않더라도 해당 부위로 살균 세척 용액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실수로 인한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작동 버튼(320)의 작동 방식은 사용자가 버튼 방수 커버(140)를 가압 조작함에 따라 작동 버튼(320)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버튼 방수 커버(140)를 별도로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작동 버튼(320)의 조작에 불편함이 없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스트립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튼 방수 커버(140)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에는 작동 버튼(320)의 연직 상부에 관통홀(104)이 형성되고, 버튼 방수 커버(140)는 이러한 관통홀(104)을 차단하는 형태로 관통홀(104)에 밀봉 결합된다. 이러한 버튼 방수 커버(140)는 케이스(100)에 대한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접착제/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100)의 관통홀(104)에 밀봉되게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 사출 공정의 경우, 케이스(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버튼 방수 커버(140)는 실리콘을 함유한 연성 재질로 케이스(100)의 관통홀(104)에 밀봉 부착되게 이중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방수 커버(140)는 케이스(100)의 관통홀(104) 외곽 둘레를 따라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밀봉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부(142)와, 결합 플랜지부(142)로부터 연장되어 관통홀(104)을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 본체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튼 방수 커버(140)의 하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 모듈(300)의 작동 버튼(320)이 배치되고, 도 3의 (a)에서 (b) 상태로 버튼 방수 커버(140)를 가압 조작함에 따라 버튼 방수 커버(140)가 하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변형하고, 이에 따라 작동 버튼(320)이 버튼 방수 커버(140)에 의해 가압되며, 작동 버튼(320)이 가압됨에 따라 이젝터 모듈(300)이 작동하여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 방수 커버(140)에 의해 케이스(100)의 관통홀(104) 부위가 밀봉되게 폐쇄됨으로써,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대한 방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본체부(141)의 가장자리 둘레는 결합 플랜지부(14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홀(104)의 중심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43)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43)이 형성됨에 따라 버튼 방수 커버(140)의 작동 범위가 확장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랜지부(142)로부터 연장되는 커버 본체부(141)의 가장자리 둘레가 경사면이 아닌 수직면(143')을 갖도록 형성되면, 커버 본체부(141)의 돌출 높이 h에 해당하는 높이 만큼만 커버 본체부(141)가 하향 변형하게 되고, 이 경우, 버튼 방수 커버(140)의 가압 작동 범위는 높이 h로 제한되므로, 상대적으로 버튼 방수 커버(140)의 가압 작동 범위가 작다. 물론, 커버 본체부(141)를 더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높이 h 이상 하향 변형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수직면(143')이 짖이겨지는 등 반복 작동에 의한 손상 발생 우려가 크다.
이에 반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부(141)의 가장자리 들레가 경사면(143)으로 형성되면, 경사면(143)에 의해 커버 본체부(141)의 하향 변형 범위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즉, 커버 본체부(141)의 돌출 높이 h보다 더 낮은 높이(d)까지 하향 변형할 수 있고, 이러한 하향 변형 과정에서 경사면(143)에 대한 짖이겨짐이나 과도한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아 반복 작동하더라도 손상 없이 양호하게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버 본체부(141)의 가장자리 둘레에 경사면(143)을 형성함으로써, 버튼 방수 커버(140)의 가압 작동 범위를 h+d 높이까지 상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작동 버튼(320)에 대한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버튼 방수 커버(140)는 결합 플랜지부(142)를 통해 케이스(100)에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 플랜지부(142)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전체적으로 버튼 방수 커버(140)에 대한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 플랜지부(142)에 두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 단차(142-1)를 형성하고, 결합 플랜지부(142)가 결합되는 케이스(100)의 관통홀(104) 외곽 둘레 부위에는 플랜지 단차(142-1)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 단차(10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 플랜지부(142)에 플랜지 단차(142-1)를 다수개 형성하게 되면, 결합 플랜지부(142)의 케이스(100)에 대한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결합 플랜지부(142)의 크기를 확장하지 않더라도 강한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버튼 방수 커버(140)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 버튼(320)과 이를 포함하는 이젝터 모듈(3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의 이젝터 모듈에 대한 내부 구조 및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젝터 모듈(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데, 버튼 방수 커버(14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는 작동 버튼(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젝터 모듈(300)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발생한 작동 버튼(320)의 일방향 이동력을 이에 대한 직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되며, 전환된 직각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측정 스트립(S)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 모듈(300)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을 직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메카니즘을 통해 측정 스트립(S)을 외부 배출하며, 이때, 별도의 탄성력에 의해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직각 방향으로 전환된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측정 스트립(S)의 배출시 너무 강하게 튀어 나가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대응하여 적절한 속도로 외부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측정 스트립(S)을 용이하게 쓰레기통 등에 곧바로 투입시킬 수 있고, 측정 스트립(S)을 사용자의 손에 묻히지 않고 편리하게 배출 수거할 수 있다.
이젝터 모듈(3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젝터 모듈(300)은 혈당 측정기의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310)와,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베이스 바디(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별도의 탄성 스프링(360)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되는 작동 버튼(320)과, 작동 버튼(32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베이스 바디(310)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디(330)와, 작동 버튼(320)과 이동 바디(330)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P)을 포함하며, 작동 버튼(320)에 연동하는 이동 바디(330)의 수평 이동에 의해 측정 스트립(S)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연동 수단(P)은 작동 버튼(320)과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작동 버튼(320)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경사 방향의 경사 가이드홈(341)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340)와, 가이드 플레이트(340)의 경사 가이드홈(341)에 삽입되어 경사 가이드홈(34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 바디(330)에 결합되며 이동 바디(330)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바디(31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중심부에는 작동 버튼(320)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도록 버튼 삽입부(311)가 형성된다. 또한, 작동 버튼(320)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플레이트(34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 가이드부(312)가 형성되며, 이동 바디(330)의 수평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수평 가이드부(313)가 형성된다.
작동 버튼(320)은 푸쉬 버튼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베이스 바디(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별도의 탄성 스프링(360)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된다.
이동 바디(330)는 베이스 바디(310)의 수평 가이드부(313)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하며, 일측에는 가이드 로드(350)가 삽입 결합되도록 로드 결합부(331)가 형성된다. 또한, 끝단부에는 후술할 별도의 배출 블록(2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배출 블록 결합부(3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동 수단(P)인 가이드 플레이트(340)와 가이드 로드(350)는 각각 작동 버튼(320)과 이동 바디(330)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각각 작동 버튼(320)과 이동 바디(3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340)는 합성 수지 재질로 작동 버튼(320)과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로드(350)는 금속 재질로 별도로 형성되어 스냅링과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351)을 통해 이동 바디(3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40)가 합성 수지 재질, 예를 들면, POM(Poly Oxy Methylene) 재질로 형성되고, 가이드 로드(350)가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면, 금속과 합성 수지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마찰 소음이 작아 작동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200)에는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 블록(210)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젝터 모듈(300)의 이동 바디(330)는 일단부가 배출 블록(210)에 결합되며, 이동 바디(3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배출 블록(210)이 함께 직선 이동하여 측정 스트립(S)을 외부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동 바디(330)가 수평 이동하는 과정에서 직접 측정 스트립(S)을 외부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설계 상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배출 블록(210)을 커넥터 하우징(200)에 직선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동 바디(330)의 수평 이동에 의해 배출 블록(210)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측정 스트립(S)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젝터 모듈(3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의 가압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 버튼(320)은 베이스 바디(310)에서 상향 이동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작동 버튼(320)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플레이트(340) 또한 상향 이동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40)의 경사 가이드홈(341)에 삽입된 가이드 로드(350)는 도 7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 가이드홈(341)을 따라 우측 이동한 상태로 유지된다. 가이드 로드(350)와 함께 이동 바디(330) 또한 우측 이동한 상태로 유지된다. 배출 블록(210) 또한 마찬가지로 우측 이동한 상태이며, 측정 스트립(S)이 커넥터 하우징(200)의 스트립 삽입구(20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320)을 하향 가압하면, 베이스 바디(310)에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가이드 플레이트(340) 또한 하향 이동한다. 가이드 플레이트(340)가 하향 이동하면, 가이드 로드(350)는 경사 가이드홈(341)을 따라 이동하며, 도 8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가이드 로드(350)와 함께 이동 바디(33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바디(330)에 결합된 배출 블록(210)이 좌측 이동하며 커넥터 하우징(200)의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배출 장치는 별도의 탄성력에 의해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가압 조작력에 의해서만 측정 스트립(S)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측정 스트립(S)의 외부 배출 과정에서 측정 스트립(S)이 너무 강하게 튀어나가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비례하여 적절한 속도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측정 스트립(S)을 배출과 동시에 용이하게 쓰레기통 등에 집어 넣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트립 배출 장치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크기 소형화 등을 통해 혈당 측정기 내부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04: 관통홀
105: 결합 단차 140: 버튼 방수 커버
141: 커버 본체부 142: 결합 플랜지부
142-1: 플랜지 단차 143: 경사면
200: 커넥터 하우징 210: 배출 블록
300: 이젝터 모듈
310: 베이스 바디 320: 작동 버튼
330: 이동 바디 340: 가이드 플레이트
341: 경사 가이드홈 350: 가이드 로드

Claims (8)

  1. 측정 스트립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는 이젝터 모듈; 및
    상기 작동 버튼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작동 버튼의 외부 공간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에 밀봉 결합되는 연성 재질의 버튼 방수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에 대한 조작은 상기 버튼 방수 커버의 조작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 버튼은 가압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 모듈은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발생한 상기 작동 버튼의 일방향 이동력을 이에 대한 직각 방향의 이동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되고, 직각 방향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이젝터 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작동 버튼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작동 버튼을 상향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
    상기 작동 버튼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디; 및
    상기 작동 버튼과 이동 바디를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버튼에 연동하는 상기 이동 바디의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측정 스트립을 배출시키며,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작동 버튼과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 버튼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경사 방향의 경사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경사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경사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바디와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 버튼의 연직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차단하는 형태로 상기 관통홀에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대한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방수 커버는
    상기 관통홀의 외곽 둘레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봉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부; 및
    상기 결합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부의 가장자리 둘레는 상기 결합 플랜지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홀의 중심 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랜지부는 두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 외곽 둘레 부위에는 상기 플랜지 단차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1599A 2016-06-29 2016-06-29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KR10184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99A KR101845033B1 (ko) 2016-06-29 2016-06-29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99A KR101845033B1 (ko) 2016-06-29 2016-06-29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38A KR20180002938A (ko) 2018-01-09
KR101845033B1 true KR101845033B1 (ko) 2018-04-04

Family

ID=6100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99A KR101845033B1 (ko) 2016-06-29 2016-06-29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0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042B2 (ja) * 1986-12-15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042B2 (ja) * 1986-12-15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38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092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102200138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US8070766B2 (en) Skin pricking apparatus
KR102222045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22049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KR20180132552A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200136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00137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KR101845033B1 (ko) 혈당 측정기용 방수 구조 스트립 배출 장치
KR101723785B1 (ko) 혈당 측정기용 스트립 배출 장치
KR102197578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KR102197577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1845032B1 (ko) 혈당 측정기용 스트립 배출 장치
KR102222044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US20190200909A1 (en) Apparatus for eliciting a blood sample
EP3533395B1 (en) Integrated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EP3616615B1 (en) Integral blood glucose meter having ejecting unit
KR102185833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EP3616614B1 (en) Integral blood glucose meter
KR102200141B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EP3616616B1 (en) Integral blood glucose meter displaying information on number of remaining test strips
KR101915727B1 (ko) 시료 채취 기구
KR200452143Y1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WI537563B (zh) 具有一體成型頂蓋的生化數值檢測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