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853B1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853B1
KR101844853B1 KR1020150161907A KR20150161907A KR101844853B1 KR 101844853 B1 KR101844853 B1 KR 101844853B1 KR 1020150161907 A KR1020150161907 A KR 1020150161907A KR 20150161907 A KR20150161907 A KR 20150161907A KR 101844853 B1 KR101844853 B1 KR 10184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main body
electric vehicl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8108A (en
Inventor
이재식
남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6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8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5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09
    • B60L11/18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37/0218
    • H05B37/02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야간에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거나 접근하면 자동으로 점등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부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와,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야간에 사용자가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해 전기 차량용 충전기로 접근하거나 파지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그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간제약이 없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illumina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user grasps or approaches the charger main body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illu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approaching or holding a main body of a charger, Since the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illuminating unit when the user grasps or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provided, when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t night, the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the illuminat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 lighting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야간에 전기 차량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거나 접근하면 자동으로 점등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illumination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user grasps or approaches the charger main body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illumin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에는 배터리 충전 용도의 인렛이 설치된 충전 포트가 차체에 구비되고, 전술한 충전 포트는 차량 내부의 베젤 스위치를 조작하면 충전 포트 리드가 열고 닫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충전 포트의 소정 위치에는 조명 역할을 하는 충전 램프가 구비된다.Generally, the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charging port provided with an inlet for battery charging purpose, and the charging port is form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charging port lead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bezel switch inside the vehicle is operated. A charging lamp serving as a lighting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harging port.

특히, 전술한 충전 램프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베젤 스위치가 조작되어 충전 포트 리드가 열리면 턴-온되고, 소정 시간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턴-오프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충전 램프가 구비됨에 따라, 야간에 전기 차량을 충전해야 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충전 포트의 인렛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전기 차량용 충전기를 용이하게 인렛으로 접속시킬 수 있었다.Particularly, the charging lamp described above is turned on when the bezel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s input so that the charging port lead is opened, and is maintained in the turn-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urned off. With such a charging lamp, even if the electric vehicle needs to be charged at nigh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let of the charging port and easily connec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o the inlet.

한편, 종래의 충전 램프는 점등 시간이 제한적임에 따라 충전 램프가 소등되기 전에 전기 차량용 충전기를 충전 포트의 인렛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전기 차량을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시간제약으로 인식되고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since the conventional charging lamp has a limited lighting time, the charger for the electric vehicle must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charging port before the charging lamp is turned off. .

또한, 종래의 충전 램프가 소등될 경우에는 차량 내부의 베젤 스위치를 다시 조작하거나 충전 포트 리드를 재오픈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 램프가 전기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개선하거나 신규 제품으로 대체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charge lamp is turned off, the bezel switch inside the vehicle is operated again or the charge port lead is reopen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harging lamp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it is not easy to improve it or replace it with a new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야간에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시간제약의 불편함이 없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which can be used as a light without inconvenience of time restriction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t night,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ligh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 자동으로 작동전원이 충전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n which an operating power is automatically charged when an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n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차량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본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조명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llumination device installed in a main body of a charger for supplying a charging power to an electric vehicle, A sensing unit that sense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hold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detects whether it is daytime or nighttime, and outputs a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illuminating unit when the user grasp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at a night or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a signal inputted from the sensing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충전기 본체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거나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조명부를 소등시킨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senses whether or not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or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 or closed. In response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when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or when the charger cover is clos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면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outer surface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the senso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충전기 본체의 앞면에 구비되어, 전기 차량의 인렛과의 거리 및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전면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ront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for sensing distance and connection with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etecting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 or clos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for sensing illuminanc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기 차량으로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the operating power to the lighting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unit charges the operating power by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으로서, (1) 상기 조명장치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2) 상기 조명장치가,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3) 상기 조명장치가,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an illumina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the steps of: (1) detecting whether the illumination device is approaching a user or gripping a main body of the charger; (2) detecting whether the illumination device is in daytime or nighttime; And (3) lighting the illuminator when the user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at night or approaches the reference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4) 상기 조명장치가,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본체가 인렛에 연결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조명을 소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4) the illuminating device detects whether or not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detects whether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r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ed or closed, Further compris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된 외면 근접 센서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1), the illumination device detect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a signal from an external surface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된 조도 센서의 신호로부터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2), the illumination device senses whether it is a daytime or a nighttime from a signal of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앞면에 구비된 전면 근접 센서의 신호로부터 전기 차량의 인렛과의 거리 및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4), the illumination device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whether the electric appliance is connected or not, from the signal of the front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Dete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한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으로 충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tep (4), the lighting apparatus receives th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charges the battery with the operating power.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조명부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와,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므로, 야간에 사용자가 전기 차량의 충전을 위해 전기 차량용 충전기로 접근하거나 파지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그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간제약이 없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lighting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is approaching or holding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Since the control unit for lighting the illuminating unit when the user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at night or approaching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provided, it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the charger for the electric ca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t night, So that there is no time restrict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 본체의 내부에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작동전원을 상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조명부를 손전등처럼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charger main body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at all times, the lighting unit formed in the charger main body can be used as a flash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에 구현된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apparatus of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device embodied in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에 구현된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apparatus of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apparatus implemented in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는 조명부(110), 센싱부(120), 제어부(130) 및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lighting apparatus for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unit 110, a sensing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

여기서, 전술한 전기 차량용 충전기는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뜻하며, 외관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충전기 본체(10)와 상기 충전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전기 차량의 인렛에 접속되는 터미널(11)을 포함하고, 전술한 터미널(11)은 케이블을 통해 충전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connector connected to an inlet of an electric vehicle. The charger includes a charger main body 1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And the terminal 11 described abov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facility through a cable.

또한, 전술한 충전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열고 닫히는 충전기 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충전기 커버를 닫아서 충전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터미널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er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harger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cover may be closed to protect the terminal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상기 조명부(110)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바람직하게, 엘이디(LED)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기 위한 렌즈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illumina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LEDs, and may further include a lens for collecting or disper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

또한, 상기 조명부(110)는 충전기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충전기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110)는 엘이디 이외에도,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광원들로 대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lluminating unit 1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charger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unit 110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light sources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in addition to LEDs.

즉, 상기 조명부(110)는 전술한 충전기 본체(10)를 이용하여 손전등과 같은 조명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야간에 전기 차량의 충전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That is, the lighting unit 110 can be utilized as a lighting device such as a flashlight by using the charger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and can be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user needs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t night.

상기 센싱부(120)는 사용자, 주변 환경 및 전기 차량과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외면 근접 센서(121), 조도 센서(122) 및 전면 근접 센서(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20 includes an outer surface proximity sensor 121, an ambient light sensor 122, and a front surface proximity sensor 123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connected to an environment, an electric vehicle, .

또한, 상기 외면 근접 센서(121)는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에 의한 충전기 본체(10)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기 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손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충전기 본체(10)를 파지하면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proximity sensor 12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grips the charger main body 10 by the user, Or when a user's hand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10,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output.

또한, 상기 조도 센서(122)는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기 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조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도 센서(122)는 야간일 때, 후술할 제어부(130)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 12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to sense the illuminance and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For example, the illuminance sensor 122 may be provided to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it is at night.

또한, 상기 전면 근접 센서(123)는 충전기 본체(10)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기 본체(10)의 앞면에 구비되고 전기 차량의 인렛과의 거리 또는 충전기 커버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roximity sensor 123 detects whether the charger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or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ed or closed. The front proximity sensor 12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A distance to the inlet or a signal detecting the charger cover.

예컨대, 상기 전면 근접 센서(123)는 충전기 본체(10)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밀착되면 후술할 제어부(13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전기 차량의 인렛에는 전술한 터미널(11)이 접속되어 충전 설비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proximity sensor 123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harger main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t this time, the terminal 11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to supply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facility.

또한, 상기 전면 근접 센서(123)는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후술할 제어부(130)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130)로 입력되어 상기 조명부(110)의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front proximity sensor 123 detects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harger cover is clos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is input to a control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llumination unit 110 is turned on and off.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명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싱부(12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110)를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30)는 야간일 때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0)를 파지하면 상기 조명부(110)를 점등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is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110 and controls the lighting unit 110 to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light the illumination unit 110 when the user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10 at night.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싱부(12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충전기 본체(10)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면 상기 조명부(110)를 소등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충전기 본체(10) 전면의 충전기 커버가 닫히는 경우에도 상기 조명부(110)를 소등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lighting unit 110 to be turned off when the charger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 Also,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turn off the illumination unit 110 even when the charger cover on the front of the charger main body 10 is closed.

또한, 상기 제어부(130)와 상기 조명부(110)는 일체로 결합된 PCB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and the illumination unit 110 may be integrated into a PCB.

한편, 상기 제어부(130)와, 상기 조명부(110) 및 상기 센싱부(120)는 후술할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작동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ler 130, the illuminating unit 110, and the sensing unit 120 are operated to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상기 조명부(110), 상기 센싱부(120) 및 상기 제어부(130)의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illumination unit 110, the sensing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repeatedly using charge and discharge.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rger main body 10.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전기 차량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11) 또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 작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or the cable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nd may be provided to be charged with the operating pow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40)는 충전용 케이블 또는 충전 장치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할 수도 있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receive the commercial power from the charging cable or the charging device to charge the operating power.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40)가 상기 충전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전원을 상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충전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조명부(110)를 손전등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한다.Since the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inside the charger main body 10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at all times, the lighting unit 11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10 can be supplied to the flashlight .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는 야간에 전기 차량을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0)로 접근하거나 파지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기 이전까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간제약으로 인한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who wants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pproaches or grips the charger main body 10 at night, the lighting device of the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urned-on stat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minimizing inconvenience due to time constraint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는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40)가 충전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충전기 본체(10)에 형성된 조명부(110)를 손전등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In the lighting apparatus for a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is provided inside the charger main body 10, The lighting unit 110 may be used as a flashligh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에서 수행되는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a lighting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performed in a ligh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만, 도 3에 도시된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However, since the functions performed in the charg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shown in Fig. 3 are all performed in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ll of the func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re performed in the lighting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he func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먼저, 센싱부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S110).First,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hold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S110).

이때, 상기 센싱부의 외면 근접 센서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손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proximity sensor of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and outputs a signal when the user's or user's hand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r the user's hand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또한, 상기 센싱부의 외면 근접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로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한다.Also,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er surface proximity sensor of the sensing unit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which enables the control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pproaching or grasping.

한편, 상기 센싱부에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사용자의 손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였을 경우,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user's access or the user's hand does not grip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the illuminating unit that illuminates the light maintains the unlit state.

다음으로, 상기 센싱부가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한다(S120).Next, it is detected whether the sensing unit is a daytime or a nighttime (S120).

이때, 상기 센싱부의 조도 센서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주변의 밝기, 즉, 조도를 감지하고 야간인 경우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싱부의 조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and detects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that is, the illuminance, and outputs a signal when the illuminance is at night. Also, the signal out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sensing un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aytime or nighttime.

한편, 상기 센싱부에서 주간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조명부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외면 근접 센서에서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를 파지한 것으로 감지하더라도, 상기 조도 센서에서 주간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조명부는 점등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during the daytime, the illumination unit remains off. In other words, even if the external proximity sensor senses that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the illuminating unit is not turned on when the illuminance sensor senses the daytime.

따라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주간에는 조명부가 점등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Therefor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since the illumination unit is not turned on during the day during which the user's visibility is easily ensured.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야간이고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점등시킨다(S130).Nex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unit to illuminate at step S130 if the user is at night or approaches the charger main body within a reference distanc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점등시키거나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조명부를 연결하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로 작동전원이 공급되게 하여 점등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tion unit and supply the operation power, and the switch for connecting the illumination unit to supply the operation power to the illumination unit so as to light 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야간이며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ighting unit to remain on when the user grasps the charger main unit at a nighttime, or when a state of approaching the charging unit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continuously detected.

다음으로, 상기 센싱부가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충전기 본체가 인렛에 접속되면 조명을 소등한다(S140).Next,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lighting when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S140).

이때, 상기 센싱부의 전면 근접 센서는 충전기 본체의 앞면에 구비되어 전기 차량의 인렛과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이거나 밀착되면 인렛과의 연결 여부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고(S14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소등시키게 된다(S142).In this case, the front proximity sensor of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inlet or not when the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close (S141) The lighting unit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S142).

또한, 전술한 제 140단계에서 상기 센싱부가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조명부가 소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tep 140, if the sensing unit senses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ed or closed and the charger cover is closed, the sensing unit may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ing unit may be turne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충전기 본체과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조명부를 다시 점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이 연결되어 전기차량으로 충전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기차량으로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하는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turn on the illumination unit agai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rger main body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is released. Also, when the charger main body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harging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power supplying part may be charged with the charging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operation electric power.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제 110단계에서 센싱부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조명부를 소등시키며, 전술한 제 120단계에서 상기 센싱부가 주간인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도 상기 조명부를 소등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may turn off the illuminating unit even if the sensing unit does not detect whether the sensing unit grasps the user's approach or whether to hold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in step 110, and if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sensing unit in step 120 The illumination unit can be turned of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 조명부
120 : 센싱부
121 : 외면 근접 센서
122 : 조도 센서
123 : 전면 근접 센서
130 : 제어부
140 : 전원 공급부
110:
120: sensing unit
121: Outside proximity sensor
122: Illumination sensor
123: Front proximity sensor
130:
140: Power supply

Claims (12)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는 충전기 본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충전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그 충전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며,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조명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어부의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면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외면 근접 센서;
충전기 본체의 앞면에 구비되어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기 본체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밀착되거나 충전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면 근접 센서; 및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조도를 감지하고, 야간일 때 상기 제어부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킨 후, 야간이며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조명부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되, 충전기 본체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거나 충전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점등된 조명부를 소등시키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 차량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또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 작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명부의 작동전원을 상시 공급함으로써, 상기 조명부를 손전등처럼 활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
An illumination device installed in a charger main body connected to an inlet of an electric vehicle,
An illuminator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an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charger main body;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user accesses or grip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detects whether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detects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 or closed, detects whether it is daytime or nighttime, ;
A control unit for illuminating the illumination unit when the user grasp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at night or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of the illumination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outer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to detect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grasp the user and to output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s hand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r the user's hand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and detects whether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or not. When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A front proximity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And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to sense illuminance and output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at night,
Wherein,
The lighting unit is maintained in a lighting state when the lighting unit is lit at night and a user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or approaching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lighting unit is turned off when the charger cov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losed,
The power supply unit,
The charg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or a cable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to charge the electric power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Wherein the lighting unit can be utilized as a flash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기 차량용 충전기의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으로서,
(1) 상기 조명장치가, 사용자의 접근 또는 충전기 본체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2) 상기 조명장치가,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3) 상기 조명장치가, 야간에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조명을 점등시켜 충전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단계; 및
(4) 상기 조명장치가,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본체가 인렛에 연결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조명을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충전기 본체를 파지하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외면 근접 센서의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접근 또는 파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어 조도를 감지하고 야간일 때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의 신호로부터 주간 또는 야간인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조명장치는,
충전기 본체의 앞면에 구비되어 충전기 본체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밀착되거나 충전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기 커버가 닫히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전면 근접 센서의 신호로부터 충전기 본체와 전기 차량의 인렛 간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거나 충전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을 점등시킨 후, 야간이며 충전기 본체를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를 유지하되, 충전기 본체가 전기 차량의 인렛에 연결되거나 충전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충전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점등된 조명을 소등시키며,
상기 조명장치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기 차량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또는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 작동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조명의 점등을 위한 작동전원을 상시 공급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를 손전등처럼 활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의 충전 시 조명방법.
An illuminatio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an illumination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 detecting whether the lighting device approaches the user or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2) detecting whether the illumination device is in daytime or nighttime;
(3) illuminating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by lighting the illuminator when the user grasps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at night or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And
(4) The illumination device detects whether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charger main body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detects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 or closed, and turns off the lighting when the charger cover is closed,
In the step (1), the illumination device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s or grasps a signal from an external proximity sensor provided on an external surface of the charger main body and the user's hand approaches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r a user's hand grasps the charger main body,
In the (2) step,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main body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to sense the illuminance and detect whether it is daytime or nighttime from a signal of an illuminance sensor which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t night,
In the step (4), the illumination device may include:
When the charger main body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or when the charger cov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er body is clo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rger main body and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is determined from the signal of the front proximity sensor, Detects whether the charger cover is open or closed,
The illumination device includes:
When the user is gripping the charger main body or approaching the charging main body within a reference distance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lighting is maintained in the lighting state, and the charger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charger cover formed on the front of the charger cover is closed,
In the lighting apparatus,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or a cable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power supply unit being charged with an operating power when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ower for lighting is supplied at all times so that the lighting device can be utilized like a flash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61907A 2015-11-18 2015-11-18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844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07A KR101844853B1 (en) 2015-11-18 2015-11-18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07A KR101844853B1 (en) 2015-11-18 2015-11-18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08A KR20170058108A (en) 2017-05-26
KR101844853B1 true KR101844853B1 (en) 2018-04-03

Family

ID=5905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07A KR101844853B1 (en) 2015-11-18 2015-11-18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8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639A (en) * 2018-11-23 2019-04-09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Charging pile L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0621A (en) * 2007-02-26 2008-09-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Charging connector and system
JP2012019636A (en) * 2010-07-08 2012-01-26 Denso Corp Charging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0621A (en) * 2007-02-26 2008-09-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Charging connector and system
JP2012019636A (en) * 2010-07-08 2012-01-26 Denso Corp Charging device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639A (en) * 2018-11-23 2019-04-09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Charging pile L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CN109591639B (en) * 2018-11-23 2020-10-23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Fill electric pile LE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08A (en)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09886U (en) There is ambient light and the device thereof of status displays
CN109691229A (en) The lighting apparatus powered from main power source and accessory power supply
WO2013034966A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motor vehicles
KR101844853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harging unit and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2756947U (en) Multi-function sensing light
TWI486272B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US20040252490A1 (en) Trash storage apparatus
KR20220011958A (en) Daylight-led and bulb-colored integrated light device
CN107708267A (en) A kind of emergent ceiling lamp of human body sensing
CN209964348U (en) Interior dome lamp control circuit
CN206041577U (en) Intelligence night -light portable charging ware
CN105387400A (en) Intelligent induction LED lamp with parking stall display module
CN208646725U (en) A kind of automobile-used LED control system
CN107676754A (en) A kind of intelligent lighting streetlamp energy-saving controller
CN105650505A (en) Portable suspension trunk lamp and use method thereof
KR20130068536A (en) Lighting apparatus
JPWO2021070284A5 (en)
CN210035130U (en) Head lamp using image recognition function switch
CN207539664U (en) A kind of Multi-function lighting device
CN205447357U (en) Individual lighting system
CN205351067U (en) Respond to intelligent LED lamps and lanterns with parking stall display module
CN220586488U (en) Control system of illumination ceiling screen based on anti-dazzle mirror control
CN204187302U (en) Portable hanging baggage compartment lamp
CN208720101U (en) A kind of outward open handle with atmosphere lamp
CN209666948U (en) A kind of vehicle door interior trim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