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713B1 - 원방감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방감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713B1
KR101844713B1 KR1020170065270A KR20170065270A KR101844713B1 KR 101844713 B1 KR101844713 B1 KR 101844713B1 KR 1020170065270 A KR1020170065270 A KR 1020170065270A KR 20170065270 A KR20170065270 A KR 20170065270A KR 101844713 B1 KR101844713 B1 KR 10184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i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안재봉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봉, 김성훈 filed Critical 안재봉
Priority to KR102017006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04L65/4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의 감시 대상에 설치되고 감시 대상으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말 장치,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서버는, 단말 장치과 통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두절된 후 재개된 경우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저장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 SYSTEM}
본 발명은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방감시제어 시스템은 원격지 단말 장치와 원격지에서 해당 장치와 통신 수단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버로 구성된다.
이때, 두 장치 사이의 통신수단이나 통신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은 불능 상태에 빠진다.
따라서, 감시제어장치와 원격지 사이의 통신이 복구될 때까지 원격지에서 획득한 데이터가 유실되므로, 유실된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복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4360호(2008.09.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지의 단말 장치와 서버 간의 통신이 두절되어도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면, 수집한 데이터를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 불량에 의한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소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별도의 도구와 절차 없이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의 감시 대상에 설치되고 감시 대상으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말 장치,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서버는, 단말 장치과 통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두절된 후 재개된 경우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저장 데이터를 수신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격지의 단말 장치와 서버 간의 통신이 두절되어도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면,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불량에 의한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소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별도의 도구와 절차 없이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마다 현장에 설치된 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여 분석하는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장치가 넓은 지역에서 운용되는 경우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소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단말 장치로부터 통신 두절 후 통신이 재개되었을 때 단말 장치에 수집된 데이터를 요청하고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로그 DB 테이블의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로그 DB 테이블의 데이터마다 고유의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이벤트 발생 조건과 해당 이벤트의 ID를 지정하는 환경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각 이벤트와 관련되는 관심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이벤트 발생 발생 시점에 이벤트 발생 사실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원방제어감시시스템의 운전 중 통신 상태가 양호한 상태에서 서버가 단말장치에게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원방제어감시시스템의 운전 중 불특정의 이유로 통신이 두절된 후 다시 정상으로 복귀되었을 때 서버가 수신하지 못했던 과거 데이터를 단말장치에게 요구하기 위한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의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서버(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도 2와 같이 원격지에 위치한 단말 장치(200)로부터 다양한 통신 수단 또는 통신망(50)을 이용하여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수신한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원방 감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0)는 중앙감시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도 3과 같이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 두절 시각(Tlast)을 관리하는 기능 및 통신이 재개되었을 때 통신 두절 시각(Tlast) 이후부터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를 단말 장치(200)에 요청하고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감시 대상에 설치될 수 있고, 감시 대상의 센서들과 인터페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서버(100)와의 실시간 통신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감시 대상으로부터 약속된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본체(210) 및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220)는 단말 장치 본체(210)의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한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를 경유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선택 및 가공하는 중앙 처리부(224), 서버(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226), 및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는 PLC, DDC, 계측장비 등 계측 제어 시스템에 활용되는 다양한 계측 또는 제어기기들과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를 연결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를 경유하여 수집 대상이 되는 원천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220)의 내부로 입력될 수 있다.
통상, 단말 장치의 내부 버스는 고유의 병렬 혹은 직렬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처리부(224)는 이 버스의 규약에 맞추어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로부터 미리 등록된 계측점들의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중앙 처리부(224)는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222)를 경유하여 입력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집 방법에 따라 취사 선택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224)는 가공한 최종 데이터를 수집 시점의 시각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저장부(22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224)는 통신 처리부(226)에서 수신한 서버(100)의 통신 프레임을 통신 처리부(226)로부터 전달받고, 이것을 해석하여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224)에 요구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은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기능은 실시간 데이터 응답으로, 이 명령이 수신되면 중앙 처리부(224)는 명령과 함께 지정된 주소의 실시간 데이터를 확보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능은 저장 데이터 응답으로, 이 명령이 수신되면 중앙 처리부(224)는 명령과 함께 지정된 주소와 시간을 바탕으로 데이터 저장부(228)를 탐색하여 취합된 데이터를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기능은 시계 동기화로, 중앙 처리부(224)는 서버(100)와 현재 시각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통신 처리부(226)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100)와 통신하며, 수신된 명령 프레임을 분석하고 지정된 명령 또는 주소 등의 관련 자료를 중앙 처리부(22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처리부(226)는 중앙 처리부(224)에서 구성하는 응답 프레임을 접수하여 이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처리부(226)는 이더넷, RS232C, RS485 등 다양한 유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서버(100)와 통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이동 통신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8)는 고속의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단말 장치(200)의 내부 시스템 버스에 확장 설치되고 직결되어 운용되는 경량 데이터베이스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28)는 중앙 처리부(224)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수집 시각 정보와 함께 비휘발성 메모리에 테이블 구조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228)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이 요구하는 계측 데이터를 상시 수집하여 로그 DB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경보 등의 상태 변화 이벤트가 발생되는 시점의 전후로 설정된 시간의 계측 데이터를 내부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고속으로 수집하여 이벤트 DB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228)는 통신 상태가 정상적이어서 통신 처리부(226)를 통해서 연결된 서버(100)로부터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요청받은 경우 수집된 계측 데이터들 중 가장 최근의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28)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을 함께 저장하므로, 아래의 도 5과 같이 로그 DB 테이블에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데이터마다 고유의 테이블을 구성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6와 같이 로그 DB 테이블에서 "어드레스" 정보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이벤트" 항목은 저장된 계측 데이터의 탐색과 분석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반드시 기록하여야 하는 항목은 아닐 수 있다. 또한, 계측 데이터의 탐색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저장부(228)는 별도의 항목을 추가하여 로그 DB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8)는 로그 DB 테이블과 별도로, 사고 등의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전후에 주요 데이터들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벤트 DB 테이블을 정의하고 이에 근거하여 이벤트 발생시 고속 데이터 수집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고속 데이터 수집 작업은 이벤트 발생시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예컨대,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보다 더 자세한 단위 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속 데이터 수집 작업은 빠른 주기의 백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28)는 원격지 현장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이벤트를 정의하기 위하여 복수의 환경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이벤트 발생 조건과 해당 이벤트의 ID를 지정하는 환경 테이블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부(228)는 환경 테이블에 이벤트를 구별하는 신호의 어드레스(트리거)와 그 상태 조건을 정의하고, 각기 다른 여러 종류의 이벤트들을 구별하기 위한 이벤트 ID를 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8)는 각 이벤트와 관련되는 관심 데이터들을 도 8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28)는 이벤트 발생 시점에 도 9와 같이 이벤트 발생 사실을 저장하고, 도 8에 등록된 어드레스의 이벤트 전후로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변화 추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228)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소로 도 5의 로그 DB 테이블을 저장하는 공간을 공유하거나,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28)는 불휘발성 메모리 공간에 일정 기간 동안의 계측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경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전용 운영체제와 제한된 메모리 및 중앙처리장치의 성능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단말장치에 상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은 성능과 비용의 측면에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저장부(228)가 범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도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이 요구하는 최적의 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와의 통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 도 10과 같이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0은 원방제어감시시스템의 운전 중 통신 상태가 양호한 상태에서 서버가 단말장치에게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여기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서버(100)가 단말 장치(200)로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 프레임을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가 서버(100)로부터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 프레임이 수신되면, 해당 실시간 계측 데이터가 실린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응답 프레임에는 데이터를 취득한 시각 정보가 생략되어 송신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실시간 계측 데이터이므로 통신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각을 데이터가 취득된 시각으로 취급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서버(100)에서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는 마스터 프레임(Master Frame)은 Stn, Rd, Addr #1, Addr #2, …, Addr #n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n 필드는 단말 장치(200)의 국번이고, Rd 필드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명령이고, Addr #n 필드는 요청한 계측 데이터의 주소이며, n은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tn 필드는 서버(100)에 복수의 단말 장치(200)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 각 단말 장치(200)를 구분하는 번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에서 서버(100)로 송신되는 슬레이브 프레임(Slave Frame)은 Stn, Rt, Data #1, Data #2, …, Data #n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n 필드는 단말 장치(200)의 국번이고, Rt 필드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응답이고, Data #n 필드는 요청받은 계측 데이터이며, n은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100)와의 통신이 두절된 후 재개될 경우, 도 11과 같이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는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1은 원방제어감시시스템의 운전 중 불특정의 이유로 통신이 두절된 후 다시 정상으로 복귀되었을 때 서버가 수신하지 못했던 과거 데이터를 단말장치에게 요구하기 위한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의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여기서,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는 서버(100)가 단말 장치(200)로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 프레임을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가 서버(100)로부터 저장된 계측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 프레임이 수신되면, 저장된 계측 데이터가 실린 응답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서버(100)에서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는 제1 마스터 프레임(Master Frame)은 Stn, Ld, Seq, Addr #1, Addr #2, …, Addr #n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n 필드는 단말 장치(200)의 국번이고, Ld 필드는 저장 데이터 통신 명령이고, Seq 필드는 시각이며, Addr #n 필드는 요청한 계측 데이터의 주소이며, n은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eq 필드는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 사이의 통신이 두절된 시간 내에서 제1 시각의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는 시각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에서 서버(100)로 송신되는 제1 슬레이브 프레임(Slave Frame)은 Stn, Lt, Data #1, Data #2, …, Data #n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tn 필드는 단말 장치(200)의 국번이고, Lt 필드는 저장 데이터 통신 응답이고, Seq 필드는 시각이며, Data #n 필드는 요청받은 계측 데이터이며, n은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eq 필드는 서버(100)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시각의 저장 데이터를 나타내는 시각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슬레이브 프레임은 제1 마스터 프레임에 대응되도록 Seq 필드의 시각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서버(100)에서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는 제2 마스터 프레임(Master Frame)은 Stn, Nxt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xt 필드는 제2 시각의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에서 서버(100)로 송신되는 제2 슬레이브 프레임은 Stn, Lt, Seq+1, Data #1, Data #2, …, Data #n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eq+1 필드는 서버(100)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제2 시각의 저장 데이터를 나타내는 시각값이며, n은 자연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명령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과거 특정 시점을 가리키는 정보(Seq+n)를 포함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기 때문에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프레임과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과거 특정 시점은 미리 약속된 순열 번호를 사용하거나 시각값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저장부(228)는 전체 계측 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여러 개의 작은 통신 프레임으로 분리한 후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데이터와 통신에서 여러 개의 작은 통신 프레임으로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명령어를 약속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서버(100)는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과거 특정 시점의 전후로 설정된 시간만큼 추가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통신 두절 상황에서 유실된 계측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제1 시각의 저장 데이터의 a초 이전 저장데이터와, 제n 시각의 저장 데이터의 b초 이후 저장 데이터까지 단말 장치(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a, b, n은 자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통신이 두절된 2017년 4월 1일 오후 1시부터 오후 3시까지의 계측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오후 1시 의 저장 데이터의 5초 이전 저장 데이터와, 오후 3시의 저장 데이터의 10초 이후 저장 데이터를 단말 장치(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도중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는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를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고속으로 저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의 단말 장치와 서버 간의 통신이 두절되어도 단말 장치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통신이 정상으로 복구되면,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통신 불량에 의한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소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별도의 도구와 절차 없이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마다 현장에 설치된 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여 분석하는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방감시제어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장치가 넓은 지역에서 운용되는 경우 데이터 유실 문제를 해소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50: 통신망
100: 서버
200: 단말 장치
210: 단말 장치 본체
220: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
222: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
224: 중앙 처리부
226: 통신 처리부
228: 데이터 저장부

Claims (7)

  1. 원격지의 감시 대상에 설치되고 상기 감시 대상으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말 장치;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 데이터를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 장치과 통신 상태가 양호할 경우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장치와의 통신이 두절된 후 재개된 경우 통신 두절 상황에서 유실된 계측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통신 두절 시각인 제1 시각의 a초 이전 저장 데이터부터 통신 복구 시각인 제n 시각의 b초 이후 저장 데이터까지 상기 단말 장치에 요청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저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실시간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저장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제1 내지 제n 마스터 프레임과,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1 내지 제n 슬레이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터 프레임은 저장 데이터 통신 명령, 제1 시각 및 요청한 계측 데이터의 주소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지 제n 마스터 프레임 각각은 제2 시각 내지 제n 시각의 저장 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슬레이브 프레임 각각은 저장 데이터 응답 명령, 제1 내지 제n 시각 및 요청받은 계측 데이터에 대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n 마스터 프레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슬레이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시점을 가리키는 정보가 포함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내지 제n 마스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나머지 저장 데이터 요청 명령을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면 상기 단말 장치에서 나머지 저장 데이터를 시각값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송신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여기서, a, b, n은 자연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본체 및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통신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 본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 상기 단말 장치 본체 연결부를 경유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선택 및 가공하는 중앙 처리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 및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계측 데이터를 상시 수집하여 로그 DB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태 변화 이벤트 발생 시점 및 그 전후로 설정된 시간의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벤트 DB 테이블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계측 데이터를 상시 수집하여 상기 서버들에게 저장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저장 데이터를 송신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5270A 2017-05-26 2017-05-26 원방감시제어시스템 KR10184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70A KR101844713B1 (ko) 2017-05-26 2017-05-26 원방감시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70A KR101844713B1 (ko) 2017-05-26 2017-05-26 원방감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713B1 true KR101844713B1 (ko) 2018-05-14

Family

ID=6218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270A KR101844713B1 (ko) 2017-05-26 2017-05-26 원방감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736B1 (ko) * 2012-02-29 2013-05-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방통신을 위한 보호 계전기의 데이터 수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736B1 (ko) * 2012-02-29 2013-05-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방통신을 위한 보호 계전기의 데이터 수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256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KR101730451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965795B (zh) 摄像装置、系统以及方法
US8332819B2 (en) Diagnostic and trouble-shooting methods in a wireless control and sensor network
CN103765411A (zh) 数据分析系统
CN111611114B (zh) 综合航空电子phm系统
EP34822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utomation systems
CN104811501A (zh) 服务器定位方法及装置
CN108877188B (zh) 一种环保数据并发采集及多网络发布方法和装置
CN106233666B (zh) 根据opc ua标准诊断网络中的传输故障的方法和装置
JP2015106391A (ja) 保全点検システム
CN103744901A (zh) 智能变电站双机同步存储历史数据的系统和装置
KR101844713B1 (ko) 원방감시제어시스템
JP2018010430A (ja) 制御システムの遠隔監視を行う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7478483A (zh) 一种具有采集链路故障诊断功能的盾构机数据采集系统
KR101207944B1 (ko) 플랜트에서의 순차적 이벤트 데이터의 무손실 처리 시스템
KR20180074473A (ko) 권취 설비 이상 사전 감지 장치
CN111064957B (zh) 设备状态监控方法及装置
KR20170009029A (ko) 클라우드 기반의 산업용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US20220066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dge program in manufacturing field
CN112865312A (zh) 一种电力调度系统及电力数据处理方法
US20200358797A1 (en) Work machin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ontrol system at a work machine
CN113300887A (zh) 采集数据获取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0569047A (zh) 一种基于可拆卸通讯模块的远程更新人机界面的方法
JP7442751B1 (ja) 制御プログラム、監視制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