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349B1 -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349B1
KR101844349B1 KR1020170036993A KR20170036993A KR101844349B1 KR 101844349 B1 KR101844349 B1 KR 101844349B1 KR 1020170036993 A KR1020170036993 A KR 1020170036993A KR 20170036993 A KR20170036993 A KR 20170036993A KR 101844349 B1 KR101844349 B1 KR 10184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learner
poi
learn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수
김지윤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3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model focusing on a field experience using a smart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logging activity data of a learner while the learner performs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by using a smart device; periodically collecting location data of the learner from a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predicting a battery usag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each surrounding point-of-interest (POI)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learner; collecting a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providing the mission of the POT capable of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Therefore, a suitable learning mission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model based on a field experience using a smart device, a recording medium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 centered on a smart device, a recording medium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designing a learner application based on an Android operating system.

최근 POI(Point-Of-Interest) 정보를 갖는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맵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content having POI (Point-Of-Interest) information increases in recent years, various applications (e.g., map applications or navigation applications) utilizing the POIs are gradually increasing.

POI는 특정인이 관심을 가지는 현실 세계 또는 지도나 도면 상의 특정위치를 말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관심 지점(POI)을 중심으로 지도 상의 각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기반 서비스가 목표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A POI refers to a real world in which a particular person is interested, or a specific location on a map or a draw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ollects various local information on the map based on the point of interest (POI)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argeted by the location-based service.

한편, 기술의 발전은 학교 교육 방식과 학습자들의 지식 습득 방식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최근의 인터넷 통신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급격한 보급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의 수업방식에서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찾고 습득하는 형태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스마트 기기, 클라우드 등의 급속한 발전과 맞물려 다양한 교수학습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way of school education and learners' knowledge acquisition. In particular, recent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apid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are changing the way learners learn and acquire their own knowledge in a form of teaching in which the instructor communicates knowledge to learners. These changes are spreading to various fo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lin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smart devices, and the cloud, which ar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사고나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학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In this regard, Mission-type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which can actively improve integrate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learn creative thinking and high-level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missions using applications that are linked by learners Services are being provided.

이와 같은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작된 콘텐츠가 필요하다. 풍부한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mission-type learning service, contents produced for service provision are required. This is because rich contents provide learning services that can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stimulate curiosity of learners and maximize learning effect.

그러나, 현재 많은 현장학습 지원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현장학습에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는 전력이나 배터리 소모량, 위치 정확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many field-learning support application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but smart devices used for on-the-spot learning are limited in terms of power, battery consumption, and location accuracy.

또한, 현장학습 지원 어플리케이션들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매우 드물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현장학습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효과가 있는지 혹은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났을 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Also, it is very rare tha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field learning support application systematically is done. On the educational side,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applications that support the field learning are effective or when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또한, 이러한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설문지나 인터뷰 등을 통한 방법과 서버에 남는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활동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framework for efficientl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ctivities using survey data, interviews, and log data.

KR 10-1117329 B1KR 10-1117329 B1 KR 10-2016-0132693 AKR 10-2016-0132693 A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center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is recor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학습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er with activity data of a learner during a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using a smart device Logging; Collecting the learner's location data periodically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Estimating a battery usag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each of the surrounding POIs (Point-Of-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location data; Collecting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And providing a mission of an actionable POI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코스를 안내 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viding of the mission of the POI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includes: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is capable of performing the mission of the POI capable of real-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 미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의 미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mission of the POI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includes: i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not perform the POI mission capable of learning in real time, The learner can be guided to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having the time to charge or the battery consumption is 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GPS 프로바이더를 이용하거나, 각 POI에 설치된 비콘(Beacon)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llecting the learner's location data may use a GPS provider of the smart device or a beacon installed in each POI.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tiliz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to a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교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습자의 총 현장체험 학습 시간, 전체 데이터 사용량, 배터리 사용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비콘이 있는 각 POI의 배터리 사용량과 데이터 사용량을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 step of, when a teacher requests, a total field experience learning time of a learner, a total data usage amount, And processing and providing the battery usage and the data usage of each POI having the POI.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교사의 현장체험 학습의 설계를 반영하여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rrecting a mission of each point-of-interest (POI)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xamining a posterior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a learner through the smart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 centered on a field experience using a smart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는, 학습자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로깅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 데이터 수집부;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는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수집하는 배터리 상태 수집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코스를 안내 해주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 미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의 미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안내하는 미션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사후 관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The device includes a learner who performs a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smart device, A logging unit for logging data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server; A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that periodically collects position data of the learner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A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for predicting a battery us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each POI (Point-Of-Interest) around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location data; A battery condition collector for collecting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capable of real-time learning, and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not perform the POI mission capable of learning in real time, A mission-providing unit for instructing the learner to perform a mission of the POI having a time that can be performed or a battery usage is low; And a post-management section for examining post-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through the smart device.

이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에 따르면, 현장체험 학습에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의 배터리 소모량에 따라 적합한 POI 미션을 제공하여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활동을 효율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교수학습 설계의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the experience using the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imitation of the battery capacity by providing the POI mission according t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 device used in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 In addition, learning activities can be efficiently evaluated using log data of learners, and they can be used as data of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UI의 예시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미션 제공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코스 안내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학습자의 로깅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각 POI의 배터리 사용량 및 데이터 사용량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UI provided to a smart devic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ission offering provided to a smar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urse guide provided to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learner's logging data provided to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learner's location data provided to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battery usage and data usage of each POI provided to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한다. 학습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학습자 등록 기능과 로그인 기능이 있으며, 학습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인 할 경우 안드로이드 서비스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centered learning model utiliz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gns a learner application based on an Android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collect data of learners, there is a learner registration function and a login function, and when the learner logs in the application, it operates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Android service function.

또한, 학습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동 데이터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현장체험 학습이 종료 된 후 학습자들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collecting activity data through the learner's application, the learner will be able to investigate the pos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eld experiential learn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xecuted through an application in a smart device.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피에스피(PSP), 엠피쓰리(MP3) 플레이어, 이북(e-book) 리더, 내비게이션, 스마트 카메라, 전자사전, 전자시계, 게임기 등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mobile)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a netbook, a PDA, a PMP, a PSP, an MP3 player, e-book reader, navigation, smart camera, electronic dictionary, electronic clock, game machine, and the like.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를 기본으로 하나, 다른 실시예로서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device can execut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S). The operating system is a system program for allowing an application program to use the hardware of the smart device. It is based on the Android OS, but may be a mobile computer such as iOS, Windows Mobile OS, SeaOS, Symbian OS, It can include all operating systems.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으로서,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객체뿐 아니라 게임, 동영상, 사진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contents)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이미지 뷰어, 동영상 재생기 등의 실행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is a program developed to perform a specific task using the smart device. The application program is a program that not only stores various applications and service objects but also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games, movies, pictures, A viewer, a video player, and the like.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표시부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 device is a display device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display media data through a display unit or provide a user interface (UI) to a user.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기능이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터치 패드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부와 별도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키패드 등의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touch screen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touch pad device for processing user input. Alternatively, the smart device may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such as a keypad form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user's inpu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학습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면 학습자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S11). Referring to FIG. 1, when a learner logs in an application using a smart device, the learner confirms whether the learner is registered (step S11).

현장체험 장소는 문화유적지, 박물관, 세계유산 등일 수 있으며, 학습자는 여러 명이며, 각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한다. 학습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site can be a cultural heritage site, a museum, a World Heritage site, etc. There are several learners, each possessing their own smart device. The smart device of the learner may hav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학습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하도록 한다(단계 S13). 학습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여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단계 S12).If the learner is registered, the user goes to the login screen and logs in the application (step S13). If the learner is not registered, the user can move to the registration screen and induce registration (step S12).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하는 동안 알림 서비스(Notification)를 통해 상태 바에 알림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학습자의 스마트 기기로 제공되는 로그인 화면, 등록 화면 및 실행 알림창 등을 차례로 보여준다.In addition, a notification window may be displayed in the status bar through a notification service while the application is running and the learner's activity data is being logged. Referring to FIG. 2, the login screen, the registration screen, and the execution notification window provided to the smart device of the learner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order from the righ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회원 가입할 때 교사용과 학생용을 구별하여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학생의 경우, 사전단계 저작활동 보다 실제 현장체험 학습 단계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탐구활동 수행이 주된 활동이기 때문에 메인 화면이 지도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for signing in as a member. In the case of student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main screen to be displayed in map form because it is the main activity to perform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at the actual field experiential learning stage rather than the pre-stage authoring activities.

다른 실시예로 탐구활동을 목록형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탐구활동 장소 및 문제 확인하기, 탐구활동을 모두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아이콘의 컬러가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OX퀴즈나 선택형 문제의 경우 자동으로 정답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nquiry activity can be confirmed in a list form, and the color of the ic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inquiry activity location and the problem confirmation and the inquiry activity are all performed. In addition, in case of OX quiz or optional problem,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heck the correct answer.

교사의 경우 사전-현장-사후의 전(whole) 단계에 걸쳐 현장체험 학습을 관리하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보다도 웹 상에서 소요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웹에서 시스템을 활용하기 쉽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탐구활동을 저작할 때 새롭게 처음부터 저작할 수도 있지만, 다름 사람이 저작한 탐구활동을 수정/편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eachers manage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out the pre-site-after-the-whole stage, so they can be configured to make the system easier to use on the web because they spend more time on the web than smart devices. While authoring an inquiry activity, it can be authored from the beginn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 edit the inquiry activity authored by another person.

또한, 탐구활동을 학생들에게 출제할 때, 해당 학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현장체험 학습 중에 학생의 위치와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을 리뷰하고 채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nquiry activities are given to students, they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student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to confirm the location and progress of the students during on-site learning. You can also provide the ability to review and score your answers.

학습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한다(단계 S14). 로깅된 데이터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DB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nd the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is logged while the learner performs the fiel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using the smart device (step S14). Logged data can be stored in DB of smart device or transferred to external server.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timestamp(날짜, 시각), GPS(경위도값), 방위값, 디바이스 회전각을 기록하고, 학습자 ID기록, 학년 등 학습자 구분 데이터, 교과명, 교과목표, 단원 등의 교과 구분을 기본으로 수집하고, 매 이벤트마다 timestamp, 이벤트 유형, 학습 activity unit, 액티비티 종류에 따른 세부 항목(드로잉 결과나 UI조작 내용)을 서버에 로깅할 수 있다.For example, timestamp (date, time), GPS (latitude value), azimuth value, and device rotation angle are record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learner ID record, grade data such as grade, It is possible to collect details based on the class classification, timestamp for each event, event type, learning activity unit, and activity type (drawing result or UI operation contents) to the server.

상기 활동 데이터는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 사용량, 배터리 사용량, 학습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되는 활동 데이터의 예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The activity data may collect information of a learner's location, data usage, battery usage, and application used by a learner through an application. Examples of activity data collected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시간time 이벤트 발생시 timestamp(날짜, 시각)Event timestamp (date, time) 위치location GPS(위도, 경도값)GPS (latitude, longitude) 콘텐츠contents 미션mission 사용자 모델User model 사용자 ID (완료한 학습 모듈)
직접 로깅은 안 하지만 자동 도출되는 데이터: 문제 시도 횟수, 소요시간
User ID (completed learning module)
Data is not automatically logged but is automatically generated: number of times the problem is attempted, time taken
사용자 행위User action 학습자 응답Learner response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는 3가지 방법이 있다. 1)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이 있으며, 2)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 3) 마지막으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량을 저장한 후 현장체험 학습이 끝난 후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There are three ways to gather data from smart devices. There is a method to measure data in real time and send it to the server. 2) A method of storing data at a certain time interval in a smart device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er. 3) Finally, There is a method to transfer to the server after the experiential learning is finished.

이러한 방법은 서로 다른 장점과 단점을 가지는데, 먼저 실시간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현장체험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배터리 사용량과 데이터 사용량을 측정 할 수 있으며, 장소별로 데이터 사용량과 배터리 소모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These methods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irst,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real time, battery usage and data usage can be accurately measured in real time during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Data usage and battery consump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grasp. However, sin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n real time, battery consumption is increased.

일정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현장체험 학습이 끝난 후에 한꺼번에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서버에 저장하는데 소모되는 배터리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나, 장소별 배터리 소모량을 파악할 수 없고 POI, 장소별 데이터 사용량을 파악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휴식시간 등)에도 배터리 소모량을 측정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all at once after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t is possible to save the battery consumption to be stored in the server, but the battery consumption amount can not be determined by the place,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usag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attery consumption is measured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stored (resting time, etc.).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활동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로깅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실시간으로 로깅 또는/및 전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로깅 또는/및 전송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ity data may be periodically logged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Alternatively, however, it is possible to log and / or transmit in real time or to log and / or transmit after application termination.

상기 수집되는 활동 데이터에는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GPS프로바이더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ctivity data collected includes the learner's location data. For example, you can use a GPS provider built into the smart device to collect learner's location data.

다른 실시예로, 실내에서 체험학습을 하는 경우 GPS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콘(Beacon)을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콘을 활용하여 실외 체험학습 장소에서도 POI(Point-of-Interest)별 데이터 사용량이나 배터리 사용량 등의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beacon may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in order to supplement the disadvantage that GPS can not be used when experiential learning is performed indoors. By using beacons, it is possible to analyze activity data of learners such as data usage amount and battery usage per POI (Point-of-Interest) even in an outdoor experiential learning place.

한편, 현장체험 학습이 진행되면서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학습 프로그램을 다운받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사용해야만 한다. LTE 음역지역에서는 아직 무선통신이 원할 하지 않기 때문에 무료로 와이파이가 제공되는 지역과 각 지역별 LTE, 3G 서비스 품질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각 POI와 미디어 재생 등에 따른 예상 소요 데이터량을 수집하여 현장체험 학습의 계획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progresses, it is necessary to use the data to connect to the Internet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or to download the learning program. In LTE region, sinc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convenient ye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ree WiFi service area information and LTE and 3G service quality information for each region, collect estimated data amount due to each POI and media playback, So that they can assist in planning.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ACTION을 사용하여 RSSI신호의 세기가 가장 높은 와이파이를 검색하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무선통신 상태를 와이파이 연결에 우선으로 하도록 구현하며 와이파이의 신호가 약해지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3G나 LTE데이터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the ACTION provided by Android-based smart devices, it searches for the Wi-Fi signal with the highest RSSI signal and implements the smart device's wireless communication status as a priority for the Wi-Fi connection.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3G or LTE data.

학습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체험 학습 활동의 미션을 확인하고(단계 S15), 수행할 POI(Point-Of-Interest) 미션이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S16). POI는 특정인이 관심을 가지는 현실 세계 또는 지도나 도면 상의 특정위치를 말한다. The learner confirms the mission of the fiel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through the smart device (step S15) and confirms whether there is a POI (Point-Of-Interest) mission to be performed (step S16). A POI refers to a real world in which a particular person is interested, or a specific location on a map or a drawing.

예를 들어, 현장체험 장소가 창덕궁인 경우, 돈화문, 금천교, 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낙선재 등이 POI로 설정될 수 있으며, 현장체험 장소가 양동마을인 경우 관가정, 강학당, 무첨당, 수졸당, 상춘헌 고택, 서백당 등이 POI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장체험의 POI는 이미 지정되어 있거나 교사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추가, 삭제 등 변경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field experience site is Changdeok Palace, the POI can be set as the POI, such as Donghwamun, Geumcheonggyo, Baekjeonjeon, Jeonjangjeon, A house, a house, etc. may be set as a POI. The POI of the field experience can be changed,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 program.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학습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른 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코스를 확인할 수 있다. 각 미션에 대한 위치 정보와 예상 배터리 소모량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3 and 4, a learner can receive a mission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smart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and can confirm a course for performing a mission.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mission and expected battery consumption can be provided together.

수행할 미션이 있는 경우, 학습자의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한다(단계 S17). 학습자는 현장체험 활동을 하는 동안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사용량에 큰 제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기초로,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한다.If there is a mission to be performed, the battery status of the current smart device of the learner is col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tep S17). The learner has to use the smart device during the on-the-spot activities, which has a big restriction on battery usage. Accordingly, the mission of the POI is provided based on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이에, 앞서 미리 예측되는 POI별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고, 이 학습자의 현재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POI별 배터리 사용량은 이미 수행된 체험학습의 결과를 기초로 예측되고,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체험 학습 완료 후 로깅된 정보를 통해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사용량의 정보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Thus, the predicted battery usage of each POI is analyzed and the battery state of the current device of the learner is measured. The POI-specific battery usage may be predi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at has already been performed,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battery usage used to perform each POI-specific miss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battery usage used to perform the mission for each POI can be updated through the logged information after comple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이를 통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별 미션을 충분히 수행 할 수 있는 경우 코스 또는 동선을 정해서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19). 미션은 위치 기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If the POI-specific missions capable of real-time learning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a course or a moving line is determin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 (step S19). The mission can be provided through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

그렇지 않은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별 미션을 수행하도록 학습자에게 안내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학습을 하도록 유도한다(단계 S18).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이 가능한 장소로 학습자를 안내할 수 있다.If not, the learner is instructed to have a time to charge the battery or to perform the POI-specific missions with a low battery usage, thereby instructing the learner to lear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tep S18). If battery charging is required, the learner can be guided to a place where charging is possible.

학습자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안내하는 코스에 따라 미션을 수행하고(단계 S20), 수행할 미션을 모두 마친 경우, 로그아웃하고 체험학습을 종료한다(단계 S21). The learner performs the mission according to the course guided by the smart device (step S20), and if the mission to be performed is completed, the learner logs out and terminates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 S21).

이 경우, 학습자들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조사할 수 있다. 현장체험 학습이 종료 된 후 작성하는 학습자들의 사후평가와 만족도를 서버에 전송하여 추후 구성요소 및 설계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can be investigated through Smart Device. After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is completed, post-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can be sent to the server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future components and design.

현장체험 학습을 하는 동안 수집된 데이터는 수학적(통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인솔자(교사)가 현장체험 학습의 계획을 수립할 때 각 POI(Point-Of-Interest)별, 학습의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동영상 재생이나 웹검색) 등에 따른 예상 소요 배터리 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are collected by the point-of-interest (POI), learning (learning) by the instructor who conducts experiential learning using mathematical (statistical) (Such as video playback or web search)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attery life of the battery.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ACTION_BATTERY_CHANGED', 'ACTION_BATTERY_LOW' 등의 ACTION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배터리의 용량이 일정 이하의 용량이 되었을 때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후 사용자와 인솔자의 어플리케이션에 알림 메시지를 띄우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활동 도중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원이 꺼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an ACTION such as 'ACTION_BATTERY_CHANGED' or 'ACTION_BATTERY_LOW' to check the status of a battery in an Android-based smart device, it is necessary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capacity of the smart device battery of the learner becomes less than a certain capacity And a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of the user and the leader after it is determined. This solves many problems, such as powering off the smart device during learning activities due to battery capacity constraints.

또한, 학습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학습자의 활동(이동경로 등)에 따른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이를 가공하여 교사가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학습자 별, 학습자들의 그룹 별, 비콘의 POI별 활동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t also stores data collected through the learner's smart device, and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learner's activity (movement path, etc.) to the server. The server can process this data so that the teacher can check activity data by learner, group of learners, beacon POI by web page or smart device.

교사는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교사 등록 및 로그인을 할 수 있으며, 로깅된 학습자의 현장체험 학습 활동 데이터를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Teachers can register and log in teachers through web pages or smart devices, and can view logged on learner 's on - sit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data through web page or smart device.

웹 페이지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학습자별 현장체험 학습 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총 체험학습 시간, 전체 데이터 사용량, 배터리 사용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뿐만 아니라 비콘이 있는 POI별 배터리 사용량과 데이터 사용량까지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보여 줄 수 있다. On web pages or smart devices, you can see the data collected during learner-specific field trips. For example, data can b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server, including learner's total learning time, total data usage, battery usage, used application information, battery usage per POI with beacons, and data usage.

도 5를 참조하면, 교사는 학습자 로깅 데이터 분석 페이지에서 학습자의 현장체험 학습을 하는 동안 로깅한 활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전체 소요시간과 전체 디바이스 배터리 사용량 그리고 디바이스에서 사용한 전체 데이터 사용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자의 전체 로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래프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eacher can check the activity information logged during the learner's field experience learning on the learner logging data analysis page. This allows you to see at a glance the learner's total time spent, total device battery usage, and total data usage on the device.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entire logging data of the learner stored in the database, and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graph.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깅한 위치 데이터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습자가 이동한 경로가 표시되며 마커를 클릭하면, 각 위치에서 로깅된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마커를 클릭 시 표시되는 정보로 이 학습자가 해당 위치에서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배터리 상태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location data logged in a learner's application can be confirmed on a map. The path that the learner traveled is displayed. Clicking the marker allows you to see the logged data at each loca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marker is clicked can display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he battery status and the time used by the learner at the location.

도 7을 참조하면, 교사는 어느 POI에서 데이터 사용량과 배터리 사용량이 가장 소모가 많은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교사에게 학습자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교수학습 설계와 사후평가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the teacher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at which POI the data consumption and the battery consumption are the most consumed. Provide learner data to teachers so that they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post evaluation.

이를 통해, 교사는 어느 POI에서 데이터 사용량과 배터리 사용량이 가장 소모가 많은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교사에게 학습자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교수학습 설계와 사후평가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This allows the teacher to analyze which POIs are consuming the most data and battery. Also, by providing the learner 's data to the teacher, it can be used as data of future teaching - learning design and post evaluation.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사후 평가와 만족도가 높은 학습자 그룹을 분석하여 어떠한 경로로 활동하였는지,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미션수행을 하였는지, 총 시간은 얼마나 소요하였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는 사전 현장체험 학습을 설계할 때 문제점을 개선하고 평가 결과가 높은 형태의 학습모델을 재설계 할 수 있도록 한다.Teachers can also check activity data of learners. After analyzing the learner group with high satisfaction and post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know how the activity was performed, what application was used to perform the mission, and the total time sp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teacher can improve the problem in designing the pre - field experiential learning and redesign the learning model with high evaluation result.

학습모델이 재설계되면, 이를 반영하여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정할 수 있다.Once the learning model has been redesigned, the missions of each POI (Point-Of-Interest) can be modified to reflect this.

본 발명에서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크게 4가지 측면, 즉 위치 확인, 데이터 수집과 저장, 데이터 수집방법의 학습과 진행상황 확인, 교사의 학생활동 모니터링과 피드백에서 야외조사 활동을 지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technology supports outdoor research in four major aspects: location, data collection and storage, learning and progress of data collection methods, monitoring of teacher's student activities and feedback.

먼저,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조사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학생들이 그룹별, 팀별로 가옥의 기능 변화를 조사할 때 당면하는 가장 흔한 문제는 조사대상(혹은 자신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Collector 앱을 통해 전자지도에 포함된 도로명 주소를 확인함으로써 조사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First, mobile technology was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 The most common problem faced by students as they investigate changes in the function of a house by group or by team is to locate the subject (or themselves)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llector app, students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survey by identifying the street name addresses included in the electronic map.

또한,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학생들의 데이터의 수집, 저장, 관리를 지원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손쉽게 표시하거나 즉시 기록할 수 있어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쉽게 편집할 수 있고, 현장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즉시 서버에도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의 위험이 적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예, 사진, 동영상, 사운드, 지도, 그래프 등)가 수집되기 때문에 결과물로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었으며, 자동으로 데이터가 종합/통합되는 것도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Mobile technology also supports the collection, storage and management of student data. Applications can be easily displayed or instantly recorded to shorten work time, easily edit the collected data, and save on-site data as soon as it is stored on the server, reducing the risk of data loss.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data (eg, photographs, movies, sounds, maps, graphs, etc.) are collected, resulting in a variety of results, and automatic data integration / integration has also been an advantage.

학생들은 네크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통해 데이터 수집방법을 학습하고, 진행상황을 조율할 수 있다. 특히, 다른 그룹의 친구들이 작업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을 실질적인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극이 될 수 있다. Through networked mobile technology, students can learn how to collect data and coordinate their progress. In particular, being able to look at what other groups of friends are working on can be a real help as well as a stimulus.

또한, 학생들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사실은 교수자(교사)에게도 의미가 있다. 교사는 데이터 수집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시된 시간에 비해 진행이 느린 소그룹이 발견될 경우 해당 학생들에게 전화나 문자로 문제점을 확인하거나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t that students can monitor the data collection process remotely in real time is also meaningful to teachers (teachers). The teacher monitors the data collection situation and, if a small group is found that is slower than the time presented, will be able to identify problems or suggest strategies to the students by phone or text.

이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Such a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tilizing a smart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10, 이하 장치)는 로깅부(700), 위치 데이터 수집부(100),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200), 배터리 상태 수집부(300), 미션 제공부(500) 및 사후 관리부(9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a device 100 for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gging unit 700, a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100, a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200 A battery condition collecting unit 300, a mission providing unit 500, and a post-managing unit 900. [

본 발명의 상기 장치(10)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로깅부(700), 상기 위치 데이터 수집부(100), 상기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200), 상기 배터리 상태 수집부(300), 상기 미션 제공부(500) 및 상기 사후 관리부(900)의 구성은 상기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executed with software (application) for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tilizing a smart device. The logging unit 700, the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100,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200, the battery condition collecting unit 300, the mission providing unit 500 and the post-managing unit 900 may be implemented by using the smart device And can be controlled by software for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상기 장치(10)는 별도의 단말이거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부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깅부(700), 상기 위치 데이터 수집부(100), 상기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200), 상기 배터리 상태 수집부(300), 상기 미션 제공부(500) 및 상기 사후 관리부(900)의 구성은 통합 모듈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각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evice 10 may be a separate terminal or a module of a smart device. The location data collecting unit 100, the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200, the battery condition collecting unit 300, the mission providing unit 500, and the post-managing unit 900 may be provided in the logging unit 700, May be formed of an integrated module, or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modules. However, conversely, each configuration may be a separate module.

상기 장치(10)는 이동성을 갖거나 스마트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The device 10 may be mobile or fixed to a smart device. The device 1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terms such as a device, an apparatus, a terminal,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station (MS), a wireless device, a handheld device, Lt; / RTI >

상기 로깅부(700)는 학습자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고,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활동 데이터는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 사용량, 배터리 사용량, 학습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The logging unit 700 logs the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while the learner perform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smart device. The activity data may collect information of a learner's location, data usage, battery usage, and application used by a learner through an application.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timestamp(날짜, 시각), GPS(경위도값), 방위값, 디바이스 회전각을 기록하고, 학습자 ID기록, 학년 등 학습자 구분 데이터, 교과명, 교과목표, 단원 등의 교과 구분을 기본으로 수집하고, 매 이벤트마다 timestamp, 이벤트 유형, 학습 activity unit, 액티비티 종류에 따른 세부 항목(드로잉 결과나 UI조작 내용)을 서버에 로깅할 수 있다.For example, timestamp (date, time), GPS (latitude value), azimuth value, and device rotation angle are record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learner ID record, grade data such as grade, It is possible to collect details based on the class classification, timestamp for each event, event type, learning activity unit, and activity type (drawing result or UI operation contents) to the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활동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로깅하고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실시간으로 로깅 또는/및 전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종료 후 로깅 또는/및 전송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ity data may be periodically logged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Alternatively, however, it is possible to log and / or transmit in real time or to log and / or transmit after application termination.

상기 위치 데이터 수집부(1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GPS프로바이더를 사용하거나, POI(Point-of-Interest)에 비콘(Beacon)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100 periodically collects position data of the learner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For example, you can use a GPS provider built into the smart device to collect learner location data, or use a beacon for point-of-interest (POI).

학습자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현장체험 학습 활동 중 수행할 POI(Point-Of-Interest) 미션이 있는지 확인한다. POI는 특정인이 관심을 가지는 현실 세계 또는 지도나 도면 상의 특정위치를 말한다. The learner verifies that there is a point-of-interest (POI) mission to perform during field trip activities through Smart Device. A POI refers to a real world in which a particular person is interested, or a specific location on a map or a drawing.

학습자는 현장체험 활동을 하는 동안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사용량에 큰 제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기초로,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한다. 이에, 앞서 미리 예측되는 POI별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고, 이 학습자의 현재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The learner has to use the smart device during the on-the-spot activities, which has a big restriction on battery usage. Accordingly, the mission of the POI is provided based on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Thus, the predicted battery usage of each POI is analyzed and the battery state of the current device of the learner is measured.

상기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200)는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한다. POI별 배터리 사용량은 이미 수행된 체험학습의 결과를 기초로 예측되고,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체험 학습 완료 후 로깅된 정보를 통해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사용량의 정보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200 predicts a battery usage amount for performing missions of nearby POIs based on the learner's location data. The POI-specific battery usage may be predi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at has already been performed,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battery usage used to perform each POI-specific miss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battery usage used to perform the mission for each POI can be updated through the logged information after comple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상기 배터리 상태 수집부(3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수집한다. 학습자의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The battery condition collecting unit 300 collects the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The battery status of the learner's current smart device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상기 미션 제공부(5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코스를 안내 해준다. 미션은 위치 기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컨텐츠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mission provider 500 guides the cours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that can learn in real time. The mission can be provided through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

반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 미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의 미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안내한다.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이 가능한 장소로 학습자를 안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not perform a POI mission capable of real-time learning, the learner is guided to perform a mission of POI having a time to charge the battery or a low battery usage. If battery charging is required, the learner can be guided to a place where charging is possible.

상기 사후 관리부(900)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한다. 상기 사후 관리부(900)는 현장체험 학습이 종료 된 후 작성하는 학습자들의 사후평가와 만족도를 서버에 전송하여 추후 구성요소 및 설계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The post-management unit 900 examines the learner's pos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The post-management unit 900 may transmit the post-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created after the field experiential learning is completed to the server so that the post-evalu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 can be reflected in the later components and design.

현장체험 학습을 하는 동안 수집된 데이터는 수학적(통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인솔자(교사)가 현장체험 학습의 계획을 수립할 때 각 POI(Point-Of-Interest)별, 학습의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동영상 재생이나 웹검색) 등에 따른 예상 소요 배터리 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on-site experiential learning are collected by the point-of-interest (POI), learning (learning) by the instructor who conducts experiential learning using mathematical (statistical) (Such as video playback or web search)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attery life of the battery.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본 발명은 현장체험 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식구성을 지원하는 IT기술의 활용기반을 마련하고, 모바일 기반 현장중심 교수학습 모델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모바일 기반 현장학습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IT인프라 기술 모델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 based on - site teaching - learning model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utilizing IT technology to support learner 's knowledge formation in on - site experiential learning.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T infrastructure technology model by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alyzing mobile based field learning.

10: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
100: 위치 데이터 수집부
200: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
300: 배터리 상태 수집부
500: 미션 제공부
700: 로깅부
900: 사후 관리부
10: Device that provides learning-centered learning model using smart device
100: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200: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300: Battery condition collector
500: Mission Offering
700: Logging unit
900: After-care department

Claims (10)

학습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는 단계는,
이미 수행된 체험학습의 결과를 기초로 POI별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고,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배터리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 가능한 POI의 미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코스를 안내 해주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의 미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Logging the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during a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smart device;
Collecting the learner's location data periodically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Predicting a battery usag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each POI (Point-Of-Interest) around the learner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learner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Collecting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And
Providing a mission of the POI tha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ttery state of the smart device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The step of predicting a battery us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a nearby POI (Point-Of-Interest) based on the learner's location data includes:
Estimating a battery usage amount for each POI based on a resul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at has already been performed,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battery usage amount in performing the mission for each POI,
Wherein providing the mission of the executable POI comprises:
Whe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of the smart device can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that can learn in real time,
I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not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capable of learning in real time, informing the learner to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having the time to charge the battery or the battery usage is low A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model focused on the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GPS 프로바이더를 이용하거나, 각 POI에 설치된 비콘(Beacon)을 이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ecting of the learner's location data comprises:
A method of providing a fiel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sing a smart device using a GPS provider of the smart device or a beacon installed in each PO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the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to the server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교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습자의 총 현장체험 학습 시간, 전체 데이터 사용량, 배터리 사용량,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비콘이 있는 각 POI의 배터리 사용량과 데이터 사용량을 가공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apparatus processes and provides the total field experience learning time, the total data usage amount, the battery usage amount, the used application information, the battery usage amount and the data usage amount of each POI having a beacon,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교사의 현장체험 학습의 설계를 반영하여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a learning-centered learning model using the smart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mission of each POI (Point-Of-Interest) by reflecting the design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by the teacher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의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by the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examining a learner's pos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smart device.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oviding a field-based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utilizing the smar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provided.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에 있어서,
학습자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현장체험 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학습자의 활동 데이터를 로깅(logging)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로깅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 데이터 수집부;
상기 학습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의 각 POI(Point-Of-Interest)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는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상태를 수집하는 배터리 상태 수집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의 미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코스를 안내 해주고,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이 실시간 학습할 수 있는 POI 미션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적은 POI의 미션을 수행하도록 상기 학습자에게 안내하는 미션 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후 평가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사후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사용량 예측부는 이미 수행된 체험학습의 결과를 기초로 POI별 배터리 사용량을 예측하고, 각 POI별 미션을 수행하는데 배터리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 모델 제공 장치.
A device for providing a learning experience-oriented learning model utilizing a smart device,
A logging unit for logging activity data of the learner during a field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smar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activity data to a server;
A position data collecting unit that periodically collects position data of the learner in the background of the smart device;
A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for predicting a battery use amount for performing a mission of each POI (Point-Of-Interest) around the learner based on the learner's location data;
A battery condition collector for collecting battery status of the smart devic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perform the mission of the POI capable of real-time learning, and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smart device can not perform the POI mission capable of learning in real time, A mission-providing unit for instructing the learner to perform a mission of the POI having a time that can be performed or a battery usage is low; And
And a post-management unit for examining post-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through the smart device,
Wherein the battery usage predicting unit includes a step of predicting a battery usage amount by POI based on a resul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at has been performed and storing information on a battery usage amount in performing a mission for each POI, Centered learning model providing device.
KR1020170036993A 2017-03-23 2017-03-23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44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93A KR101844349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93A KR101844349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349B1 true KR101844349B1 (en) 2018-04-02

Family

ID=6197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93A KR101844349B1 (en) 2017-03-23 2017-03-23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3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742A (en) * 2013-02-22 2014-09-08 Sumitomo Electric System Solutions Co Ltd Route search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742A (en) * 2013-02-22 2014-09-08 Sumitomo Electric System Solutions Co Ltd Route search device, and computer progra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영옥 외 1명.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년, 제23권 제3호, pp.123-13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f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phone-based travel survey
US20170371458A1 (en) Educator Effectiveness
US11429683B1 (en) Recommending educational application programs and assessing student progress in meeting education standards correlated to the applications
KR1012120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 information using tour behaviour pattern prediction model of tourists
Sujath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droid mobile based bus tracking system
KR1012566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our behaviour pattern of tourists
Shibghatullah et al. Vehicle tracking application based on real time traffic
Carlson A field-based learning experience for introductory level GIS students
KR101877767B1 (en) Method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for performing missions,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ko-Nai et al. The 5R adaptive learning content generation platform for mobile learning
Joshi et al. A education tracking approach using maps and geo-location method
Tripepi et al. Undergraduate research in the time of COVID-19: A remote imaging protocol for physically distanced students studying wildlife
Oseredchuk et al. The usage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conducting effective monitoring of quality in higher education
KR101844349B1 (en)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model focusing on field experience using smart device,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Syafuan et al. Smart Campu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bile Application Reporting System
Delgoshae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environmental monitoring lab with applications in sustainability education
Mathews et al. Supporting experiential learning with no-cost digital tools: A comprehensive GPS lesson
KR20210010254A (en) Analyzing and analyzing traveler behavior patterns
KR101117329B1 (en) Mission type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mart device
Huynh et al. Canada: Teaching geography through geotechnology across a decentralized curriculum landscape
Kasahara et al. Evacuation support and safety confirmation sharing in disaster situations for school trips by mobile information system
Mwita et al. Effectiveness of tablet computers in spatial data collection and surveys in rural Tanzania
Li et al. Staying oriented in wayfinding: A comparison of orientation information between english and mandarin speakers
KR101762633B1 (en) System for managing academic affairs, education training and device using Smart Kncs
CN112101787A (en) Big data based teaching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