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044B1 -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 Google Patents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044B1
KR101844044B1 KR1020170120320A KR20170120320A KR101844044B1 KR 101844044 B1 KR101844044 B1 KR 101844044B1 KR 1020170120320 A KR1020170120320 A KR 1020170120320A KR 20170120320 A KR20170120320 A KR 20170120320A KR 101844044 B1 KR101844044 B1 KR 10184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mmunication signal
circuit
power generation
rela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기석
Original Assignee
(주)지비엠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엠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지비엠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12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meteorological prediction model, which are capable of improving a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through accurate prediction of a target are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a power generation prediction value and a current power generation amount in real time to notify a manager through a notification means if the power generation prediction value and the current power generation amount deviate from the reference range, thereby enabling the manager to suitably respond and maximizing electricity utilization efficiency.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es: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100)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wind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a point designa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device (200) for predicting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of a point where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is located according to a meteorological prediction model by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of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edicting a power generation amount of a corresponding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dicted result, and notifying KEPCO;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to be provided to a designated position, providing power generation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prediction device to KEPCO, and outputting a communications signal for a KEPCO manager notification if a power difference is equal to or more than a reference value when comparing the power amount generated currently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with the expected power amount provided from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device; and an automatic communications signal output unit (1000)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communications signal to a KEPCO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Description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및 방법{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0001]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0002]

본 발명은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겟 지역의 정확한 예측을 통해 발전량 예측을 향상시키고, 발전 예측치와 현재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수단을 통해 관리자 서버에 통보하여 관리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도록하여 전기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which improves power generation prediction through accurate prediction of a target area, compares the power generation predicted value with current power generation in real time, To the manager server so that the manager can appropriately take measures so a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ity utilization, and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일반적으로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은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과 태양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이다.Generally,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are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echnologies that use pollution, infinite winds and solar power anywhere in the world, and have little harmful effect on the environment and can use the land efficiently.

최근들어 이와 같은 많은 국가에서 기존 발전 설비로 인한 유해성 등의 문제와 자원고갈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관하여 많은 관심이 있다.In recent years, many countries are concerned about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due to problems such as harmfulness due to existing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resource depletion.

특히, 풍력은 바람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 풍속 이상으로 바람이 불어올 경우에만 발전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In particular, because wind power is used as a power source, it can be developed only when the wind blows over a certain wind speed.

따라서, 풍력 발전으로 인한 전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풍력 발전으로 인한 전력 생산량의 예측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wind power gene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ower due to wind power generation.

만일 풍력 발전량 예보가 가능하다면 전력 시장에서 전력 거래가 더욱 원활하게 되고, 발전단지의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If wind power generation forecasts are available, electricity trading will be more smooth in the electricity market and the flexibl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complex will be possible.

그러나, 현재까지의 풍력 발전 시스템은 예측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풍력발전에 따른 전기 생산량을 미리 파악할 수 없어 전기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p to now does not have a prediction concep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electricity utilization is lowered because the amount of electricity produc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can not be grasped in advance.

즉, 일반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은 투입 재료에 따라서 결과값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나, 풍력발전은 풍속 및 풍향에 의존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리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기 생산량을 예측하여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general thermal power generation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can predict the result value according to input materials,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generation amount in advance because the wind power generation is dependent on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operate.

다시말해서 전기 생산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생산된 전기를 어느지점에 보내야하는지를 빨리 결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으나, 전기 생산량의 예측이 되지 못하면 과잉생산된 전기를 원거리로 전송해야하는등 운용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electricity production can be predict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ic system more efficiently by quickly determining where to send the generated electricity. However, if the electricity production amount can not be predicted, the over- Efficiency will be inferior.

(특허 문헌 1) 등록 특허 공보 제10-1024791호(Patent 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0-1024791 (특허 문헌 2) 등록 특허 공보 제10-1093003호(Patent Document 2) Patent Registration No. 10-1093003 (특허 문헌 3)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2-0007783호(Patent Document 3) 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07783 (특허 문헌 4) 등록 특허 공보 제10-1177435호(Patent Document 4) Patent Registration No. 10-117743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상 예측 모델(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WRF)을 통해 자료 동화 및 보정을 진행하여 풍향과 풍속을 예측하고, 예측된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dict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by performing data assimilation and correction through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WR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또한, 발전 예측치와 현재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수단을 통해 관리자 서버에 통보하여 관리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도록하여 전기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ximize electricity utilization efficien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power generation predicted value and current power generation amount in real time, and notifying the manager server through notification means when the power generation amoun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한전에서 지정한 지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풍력 발전 장치(100)와; 기상청의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기상 예측 모델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장치가 위치하는 지점의 풍향과 풍속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미리 해당 풍력 발전장치의 전력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여 한전에 통보하는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200)와; 상기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해서 생산된 전기를 지정된 위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전력 생산량 예측 정보를 한전에 제공하며, 풍력 발전 장치의 현재 생산되는 전력량과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로부터 제공된 예상 전력량을 상호 비교하여 전력 차이가 기준이상이면 한전 관리자 알림을 위한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한전 관리자에게 통신신호를 자동 출력하기 위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풍력 발전장치의 정보와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의 정보를 입력받고 또한 알림신호가 발생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 서버(2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A wind power generator 100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ind power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point designated by KEPCO; The weather forecasting system receives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meteorological office and estimates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the point where the wind turbine generat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model and predict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wind turbine generato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dicted result, Prediction device 2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the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to be provided at a designated position and provid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apparatus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 KEPCO manager if the power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electric power manag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And an administrator server 2000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ng device through the control part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part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display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peration,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또한,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전처리 및 동화를 실시하는 단계와; 수치 예보 모델(UM)자료를 전처리한 자료와 동화 자료를 결합하여 기상 예측 모델(WRF)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예측 모델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풍향 및 풍속 예측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풍향 및 풍속 예측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풍력 발전량과 현재 입력되는 풍력 발전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예측된 풍력 발전량과 현재 입력되는 풍력 발전량이 10% 이상 차이가 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weather station and performing a pre-processing and a moving image; Perform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WRF) by combining pre-processed data and moving data with a numerical forecasting model (UM) data; Extract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ed values of a corresponding region using a result of performing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Estimating a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us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ion value; Comparing the predicted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with a currently input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if the predicted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currently input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differ by 10% or more;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outputting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000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display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peration,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 기상 예측 모델(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WRF)을 통해 자료 동화 및 보정을 진행하여 풍향과 풍속을 예측하고, 예측된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ther prediction model capable of predict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by performing data assimilation and correction through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WRF), and estimat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using the predicted value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wind power.

또한, 발전 예측치와 현재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수단을 통해 관리자 서버에 통보하여 관리자가 적절히 조치할 수 있도록하여 전기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generation predicted value and the current power generation amount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al time, i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manager is informed to the manager server through the notification means and the manager can appropriately take measures to maximize the electricity utilization efficiency.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풍향과 풍속의 예측을 통해 풍력 발전의 예측 값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풍력 발전의 거래를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dicted value of wind power generation through prediction of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thereby enabling the transa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a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알림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알림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notif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signal automatic circui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순서도.2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알림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notif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알림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notification signal automatic circui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은,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한전에서 지정한 지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풍력 발전 장치(100)와, 기상청의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기상 예측 모델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장치가 위치하는 지점의 풍향과 풍속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미리 해당 풍력 발전장치의 전력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여 한전에 통보하는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200)와, 상기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해서 생산된 전기를 지정된 위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전력 생산량 예측 정보를 한전에 제공하며, 풍력 발전 장치의 현재 생산되는 전력량과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로부터 제공된 예상 전력량을 상호 비교하여 전력 차이가 기준이상이면 한전 관리자 알림을 위한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한전 관리자에게 통신신호를 자동 출력하기 위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풍력 발전장치의 정보와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의 정보를 입력받고 또한 알림신호가 발생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서버(20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100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ind power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designated point in KEPCO, A predicted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ng device for predict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a point where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is located according to a weather prediction model and predicting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in advance according to a predicted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or to be supplied to a designated position and provid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apparatus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When the power difference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or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And an administrator server 2000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and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ng apparatus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풍력 발전 장치(100)는 통상의 풍력 발전장치로서 외부 바람에 의해서 전기를 생산하고, 미리 지정한 위치로 생산된 전기를 제공한다.The wind power generator 100 is an ordinary wind power generator, and generates electricity by an external wind and provides electricity produ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200)는 기상청으로부터 통합형 수치 예보 모델(Unified Model; UM) 자료를 제공 받는다. 이를 통해 초기 및 경계 자료를 생성하는 전처리 작업을 진행한다.The power generation prediction apparatus 200 receives an integrated Unified Model (UM) data from a weather station. This preprocessing process generates initial and boundary data.

이어서, 기상청의 자동 기상관측 시스템(Auto Weather System; AWS)으로 부터 풍향, 풍속, 온ㆍ습도, 강우량, 기압 등 기본적인 기상요소와 지중 온도, 일조량, 시정거리, 운고(구름의 높이) 등 추가적인 기상 정보를 제공받고, 윈드 프로파일러(Wind Profiler), 라디오미터(Radiometer)와 30Km 이상 고층대기의 온도, 습도, 기압, 풍향, 풍속 등 여러가지 기상요소를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라디오존데(Radiosonde)로 부터 기상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자료 동화를 수행한다.Then, the basic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wind direction, wind speed,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air pressure from the Auto Weather System (AWS) of the Meteorological Agency and the addition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the underground temperature, sunshine, visibility, Radiosonde is a radio radiosonde that receives information, and measures various weather factors such as wind profiler, radiometer and temperature of 30km or more in high-rise atmosphere, humidity, air pressure, wind direction, From the meteorological data will be provided to perform the data assimilation.

이어서, 수치 예보 모델(UM)자료를 전처리한 자료와 동화 자료를 결합하여 기상 예측 모델(WRF)을 수행한다.Next,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WRF) is performed by combining the pre-processed data and the moving data with the numerical prediction model (UM) data.

이어서, 기상 예측 모델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풍향 및 풍속 예측값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 저장 및 전송한다. 그리고 이어서, 풍향 및 풍속 예측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한다.Next,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ed values a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and analyzed, stored, and transmitted. Then, the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is predicted us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ion value.

상기에서 예측된 전력 생산량 자료는 한전에 통보되어 전기 배분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The predicted power generation data is reported to KEPCO and utilized as basic data to efficiently distribute electricity.

하기에서는 제주 지역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Jeju reg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통합형 수치 예보 모델(Unified Model; UM) 자료를 제공 받아 전처리 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자동 기상관측 시스템(Auto Weather System; AWS)으로 부터 풍향, 풍속, 온ㆍ습도, 강우량, 기압 등 기본적인 기상요소와 지중 온도, 일조량, 시정거리, 운고(구름의 높이) 등 추가적인 기상 정보를 제공받고, 윈드 프로파일러(Wind Profiler), 라디오미터(Radiometer)와 30Km 이상 고층대기의 온도, 습도, 기압, 풍향, 풍속 등 여러가지 기상요소를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라디오존데(Radiosonde)로 부터 기상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자료 동화를 수행한다.In other words, the Unified Model (UM) data is provided and preprocessing is performed. Additional weather information such as wind direction, wind speed,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pressure, and ground temperature, sunshine amount, visibility distance, cloud height (cloud height) from the AWS can be obtained from the automatic weather system (Radiosonde) that measures and transmits various weather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30 km or more in high-rise atmospheres from the radiosonde We will perform the data assimilation by receiving related data.

이어서, 수치 예보 모델(UM)자료를 전처리한 자료와 동화 자료를 결합하여 기상 예측 모델(WRF)을 수행한다. 이어서, 기상 예측 모델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풍향 및 풍속 예측값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 저장 및 전송한다. 이어서, 풍향 및 풍속 예측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한다.Next,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WRF) is performed by combining the pre-processed data and the moving data with the numerical prediction model (UM) data. Next,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ed values a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and analyzed, stored, and transmitted. Next, the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is predicted using the predicte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한편,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와 실제 생산되는 전력량의 차이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관리자 서버(2000)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는바, 예컨데 전력 생산량 예측과 실제 전력 생산량이 10%가 넘어가면 전기 분배에 문제가 있으므로 한전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 power production forecasting device and the actual amount of generated electric power is out of the standard range, it is notifi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manager server 2000 to guide the user to take proper measur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notify the KEPCO administrator because there is a problem with the electric distribution.

즉, 한전 관리자는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의 정보를 토대로 전기의 분배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바, 전력 예측치와 현재 전력 생산량이 10%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한전 관리자가 전력 분배를 재조정해야 하므로 통신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한전 관리자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In other words, KEPCO manages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effici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production forecasting device. If the electric power predicted value and the current electric power production amount differ by more than 10%, KEPCO administrator should re-adjust th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It notifies the manager to KEPCO Manager so that they can take action at a fast pa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어부는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로부터 미리 계산된 전력 생산량 예측 데이터를 입력받고 동시에 현재 생산중인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들을 상호 비교하여 전력량의 수치가 10%이상 차이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한전 관리자 서버(2000)에 이를 출력하여 한전 관리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re-calculated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data from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ng device and simultaneously receives data on the amount of power currently being produced, compares the data with each other, And outputs it to the KEPCO administrator server 2000 through the KEPCO administrator so that the KEPCO administrator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즉,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300)는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서버(2000)에 출력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notification condition occurs,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the information on the notification status to the administrator server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nd guides the information to be resolved within a short time, The first relay switch RY1 and the second relay switch RY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relay switch RY1 and the second relay switch RY2. A two-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to switch the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driven by the third relay switch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It plays a role.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is maintained, It plays a role to sustain.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board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a wire piece 1132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for opera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unit,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Means 1133a, a gap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As shown in Fig.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rel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hereby induc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has a bar magnet shape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magnet holding The circuit breaker 1133 is pushed to push the circuit breaker 1131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ly turned off state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S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first relay swit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lay switch is in the close position and the first relay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State And then maintains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wire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wire for connecting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part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outputt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keep the circuit in a disconnected state while the third relay switch is in operation, The operating wir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blinded, so that the off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during the third relay switch n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1134a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separated more naturally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pacing agent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spacing agent is not present,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pacers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pacing agent is provid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Pole and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ing agent is wrapped to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he strength of the S-pole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maintenance of the separation state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s are provid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when magnetic coup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agnetically coupl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practice,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if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fall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1131 is maintained,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on to a power supply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is stopp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a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the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du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operated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osed circuit while simultaneously returning the power output to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unit 1140 and to continuous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otification factor is not solved, the communication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o induce the notification factor to be solved.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power is restored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Accordingly, even if the communication signal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no longer applies the power supply signal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intercept the communication signal .

100 : 풍력발전장치
200 : 예측 장치
300 : 제어부
1000: 통신신호 자동출력부
100: Wind power generator
200: prediction device
300:
1000: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Claims (3)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한전에서 지정한 지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풍력 발전 장치(100)와;
기상청의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기상 예측 모델에 따라 상기 풍력 발전장치가 위치하는 지점의 풍향과 풍속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미리 해당 풍력 발전장치의 전력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여 한전에 통보하는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200)와;
상기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해서 생산된 전기를 지정된 위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전력 생산량 예측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전력 생산량 예측 정보를 한전에 제공하며, 풍력 발전 장치의 현재 생산되는 전력량과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로부터 제공된 예상 전력량을 상호 비교하여 전력 차이가 기준이상이면 한전 관리자 알림을 위한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한전 관리자에게 통신신호를 자동 출력하기 위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풍력 발전장치의 정보와 전력 생산량 예측장치의 정보를 입력받고 또한 알림신호가 발생시 통신신호 자동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관리자서버(2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A wind power generator 100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wind power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point designated by KEPCO;
The weather forecasting system receives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meteorological office and estimates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the point where the wind turbine generato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weather forecast model and predicts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wind turbine generato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redicted result, Prediction device 2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the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to be provided at a designated position and provid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on apparatus to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for notifying a KEPCO manager if the power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electric power manag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And a manager server 2000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amount predicting device through the control part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part when a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mod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nd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not shown) for guid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ind turbine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기상청으로부터 기상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전처리 및 동화를 실시하는 단계와;
수치 예보 모델(UM)자료를 전처리한 자료와 동화 자료를 결합하여 기상 예측 모델(WRF)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 예측 모델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풍향 및 풍속 예측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풍향 및 풍속 예측 값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풍력 발전량과 현재 입력되는 풍력 발전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예측된 풍력 발전량과 현재 입력되는 풍력 발전량이 10% 이상 차이가 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관리자 서버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예측 모델을 이용한 풍력발전 방법.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weather station and performing pre-processing and moving-image information;
Performing a weather prediction model (WRF) by combining pre-processed data and moving data with a numerical forecasting model (UM) data;
Extract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ed values of a corresponding region using a result of performing the weather prediction model;
Estimating a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us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prediction value;
Comparing the predicted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with a currently input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manager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if the predicted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and the currently input wind power generation amount differ by 10% or more;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display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peration,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ignal to stop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
KR1020170120320A 2017-09-19 2017-09-19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KR101844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0A KR101844044B1 (en) 2017-09-19 2017-09-19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0A KR101844044B1 (en) 2017-09-19 2017-09-19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044B1 true KR101844044B1 (en) 2018-03-30

Family

ID=619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20A KR101844044B1 (en) 2017-09-19 2017-09-19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4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26A (en) * 2020-03-10 2021-09-23 (주)큐버솔루션 Real-time wind direction forecast service apparatu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its method
KR20220159122A (en)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지에스풍력발전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Generated Power of Wind Power Generator based on Atmospheric Model Forecast
KR20230049198A (en) 2021-10-06 2023-04-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aid of wind generator using weather information
KR20240010803A (en) 2022-07-18 2024-01-25 전기은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wind power capable of power prediction
KR20240053804A (en) 2022-10-18 2024-04-25 울산광역시 Artificial intelligence wind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690B2 (en) 2005-03-28 2007-09-26 東京電力株式会社 Integr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0220368A (en) 2009-03-16 2010-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Device fo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amount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690B2 (en) 2005-03-28 2007-09-26 東京電力株式会社 Integr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JP2010220368A (en) 2009-03-16 2010-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Device fo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amount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26A (en) * 2020-03-10 2021-09-23 (주)큐버솔루션 Real-time wind direction forecast service apparatu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its method
KR102413717B1 (en) * 2020-03-10 2022-06-27 (주)큐버솔루션 Real-time wind direction forecast service apparatu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its method
KR20220159122A (en) 2021-05-25 2022-12-02 주식회사 지에스풍력발전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Generated Power of Wind Power Generator based on Atmospheric Model Forecast
KR20230049198A (en) 2021-10-06 2023-04-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aid of wind generator using weather information
KR20240010803A (en) 2022-07-18 2024-01-25 전기은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smart wind power capable of power prediction
KR20240053804A (en) 2022-10-18 2024-04-25 울산광역시 Artificial intelligence wind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044B1 (en) Wind power system and method using wearther research forecasting
CN204221514U (en) A kind of safety device of plate shearing machine
CN102664391A (en) Substation area island protection method and substation area island protection system
CN104192026B (en) Based on electrification railway contact net electric isolating switch and the method for supervising of power supply switching type
CN106783417A (en) Breaker
CN202134425U (en) Electrical interlocking device of switch cabinet
CN108597949B (en) Vacuum drop-out switch
CN205303984U (en) Intelligence control system's high tension switchgear
CN204290142U (en) A kind of circuit breaker
CN105261530A (en) Multi-stroke realizing circuit and multi-stroke control method for circuit breakers
CN104733223B (en) Automatic insulation protecting device for compression spring resetting type breaker
CN104078288A (en) Electromagnetic operating mechanism
CN202455156U (en) Remote reset controller for relay protection equipment
CN203423474U (en) Automatic closing controller
CN104900445B (en) A kind of torsion spring pop-up type breaker insulation automatic safety device
CN203839931U (en) High-voltage safeguard switch cover-opening automatic power-off protection circuit and high-voltage safeguard switch apparatus
CN102497016A (en) Optimization method for 10kV line breaker closing return circuit
CN106787220B (en) Automatic resetting device of manual resetting signal based on GSM technology in power industry
CN204407860U (en) The control circuit of circuit breaker Undertension shunt opening integrated electrical apparatus release
KR101058374B1 (en)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al wiring enclosure
CN203013614U (en) Voltage-loss delay tripping apparatus for mining flameproof high-voltage vacuum feed switch
CN204884939U (en) Intelligence circuit breaker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N204706479U (en) Based on the intelligent breaker of cdma network telecommunication
CN105490256B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reducing control loop coil fault
CN205377269U (en) Reduce device of control circuit coil trou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