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944B1 -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 Google Patents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944B1
KR101842944B1 KR1020170139601A KR20170139601A KR101842944B1 KR 101842944 B1 KR101842944 B1 KR 101842944B1 KR 1020170139601 A KR1020170139601 A KR 1020170139601A KR 20170139601 A KR20170139601 A KR 20170139601A KR 101842944 B1 KR101842944 B1 KR 10184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nd
optical fiber
spring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집
Original Assignee
이성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집 filed Critical 이성집
Priority to KR102017013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반이 구성되는 지지대에 태양광발전부와 풍력발전부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를 양분시킨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 댐퍼를 구성하여, 바람의 영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등부에 의해 야간과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도 배전반의 긴급 복구작업이 가능하고, 댐퍼에 의해 바람의 영향으로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10)의 상단에 일정높이 세워지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방 일측에 구성되어 광섬유 케이블들을 장착 및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전반(20)과;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고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태양광발전부(30); 및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고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Indication Column Structure}
본 발명은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이 구성되는 지지대에 태양광발전부와 풍력발전부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를 양분시킨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 댐퍼를 구성하여, 바람의 영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등부에 의해 야간과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도 배전반의 긴급 복구작업이 가능하고, 댐퍼에 의해 바람의 영향으로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광케이블은 아파트에 널리 보급돼 있는데 전화국에서 아파트 건물 지하의 통신실까지만 광케이블이고 통신실에서 가정까지는 구리선이나 랜선이다. 따라서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는 원천적으로 한계가 있다. 구리로된 가입자 선로에 비해 광섬유를 이용한 가입자 선로는 거의 무한대의 정보를 보낼 수 있고, 전송손실이 적으며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 없다는게 장점이다. 현재 전화국에서 대형 건물의 통신실까지 광케이블을 깔아놓은 것을 FTTO(Fiber To The Office)라 하는데 이를 더 연장해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끌어들이는게 FTTH(Fiber To The Home)다. 마지막으로 단말장치까지 광케이블을 구축함으로써 전구간을 광통신망으로 연결해 방송통신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를 초고속화하는 것이다. FTTH가 구축될 경우 가입자들은 다날장치만 업그레이드하면 영화 한편을 담은 1기가급 정보를 몇 초만에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FTTH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광케이블이 사용자의 가정까지 적용되고 있다. 건축단계에서부터 광케이블이 포설되어 있거나 아파트나 기타 건물들의 건축 시 통신선로를 고려한 건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광케이블의 적용에 어려움이 없거나 기존 노후화된 아파트나 상가단지, 다세대 주택의 경우 건물의 외부에 광케이블을 설치해야 하는 실정이다.
현재 광케이블 설치방법은 아파트의 지하나 옥상에 분배함을 만들어 놓고 가입자가 생길 때마다 케이블을 가입자 가정으로 하나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형태로 가입자가 발생할 때마다 케이블 시공이 필요한 형태이다.
한편, 전주(電柱)는 전주 위의 완철에 애자를 매개로 각각 설치된 R,S,T 상의 전력선과 전주의 상단측 가공지선 지지대 설치된 가공지선과 하단측의 중성선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주는 상단에 가공지선 지지대(22)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다수의 애자(24)를 구비한 완금(23)이 설치된다.
그리고, 그 하부에 랙크(26)가 설치된 전부를 지면에 다수 설치한다. 가공지선 지지대(22) 상단에는 가공지선(21)을 연결하고, 완금(23)의 애자에는 전력선(25)을 연결한다.
그리고, 랙크(26)에는 중성선(20)을 결합한다.
상기 중성선(20)은 단상 3선식의 경우나 3상교류계통에서 변압기를 Y결선하는 경우에 그 중성선에 접속되는 전선이다.
또한, 각 사업자(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KT닷컴, 종합유선방송국 등)의 인터넷 회선을 포함한 케이블 TV 및 통신회선을 한전의 전주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설치 사용하였다.
이렇게 전주가 다양한 용도의 배전에 사용되면서, 전력공급의 주요기능뿐만 아니라 사업자용 광케이블이 매 전주마다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있어 지지물에 하중을 증가시키고, 계주방식의 시공으로 불안정한 전력시설물로 자연재해에 취약하며 지지물의 지상고 확보에도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많은 전주들이 지상에 세워져 있고, 모든 전주간에 전력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용 광케이블이 무분별하게 연결되어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통신사의 광케이블이 전주에 연결된 경우 전력설비 관리기관의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제어용 광케이블 추가 시설시 지지물의 하중을 증가시키고, 자연재해, 지상고 미확보, 도시미관 저해 등 많은 문제점 때문에 별도로 전력제어용 통신케이블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지주는 콘크리트 또는 철재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바람의 영향으로 상기 지주가 흔들리면서 발생된 진동 등에 의해 지주들 사이에 설치된 광섬유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589278호(2006.06.1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826579호(2008.04.30.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726406호(2017.04.14.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이 구성되는 지지대에 태양광발전부와 풍력발전부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를 양분시킨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 댐퍼를 구성하여, 바람의 영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등부에 의해 야간과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도 배전반의 긴급 복구작업이 가능하고, 댐퍼에 의해 바람의 영향으로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의 상단에 일정높이 세워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방 일측에 구성되어 광섬유 케이블들을 장착 및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전반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구성되고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태양광발전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구성되고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발전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고 바람의 영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에서 전기에너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에는 회전위치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날개에 가속력을 부가시키도록 하는 무게이동추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에는, 상기 무게이동추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도록 내측에 이송로; 및 상기 이송로를 따라 이동하는 무게이동추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댐퍼는, 상기 지지대를 양분시켜 제1 및 제2지지대로 구성하고;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지지대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 구성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내측에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내측에 스프링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부와 상부돌출부는 일정길이 간섭되도록 겹쳐지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와 상부돌출부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와 상부돌출부 각각에는 스프링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고정핀 및 상부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이 구성되는 지지대에 태양광발전부와 풍력발전부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등부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를 양분시킨 제1 및 제2지지대 사이에 댐퍼를 구성하여, 바람의 영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등부에 의해 야간과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도 배전반의 긴급 복구작업이 가능하고, 댐퍼에 의해 바람의 영향으로 광섬유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의 개략적인 도면.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의 회전상태에 따라 무게이동추의 위치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작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1)는 지면에 세워지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 일측에 구성되고 광섬유케이블을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전반(20)과,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30)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고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풍력발전부(40) 및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구성되어 바람의 영향으로 진동될 때 지주(1)에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 피로도를 최소화하는 댐퍼(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의 하단에는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1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10)는 지면에 다수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배전반(20)은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어 광섬유 케이블들을 상호 연결 및 분기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배전반(20)은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30)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에 구성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부(30)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전지판과 상기 전지판을 보호하는 프레임 및 상기 전지판을 통해 흡수된 태양광을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축전하는 구성들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기 풍력발전부(40)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풍력발전부(40)는 몸체(42), 및 상기 몸체(4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날개(4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2)는 상기 복수의 날개(44)의 회전을 통해 전기에너지가 생성되도록 하여 이를 축전지에 축전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42)는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날개(44)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42)의 일측에 구성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날개(44)는 통상적으로 3 내지 5개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44)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이송하는 무게이동추(4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날개(44)에는 상기 무게이동추(46)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로(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44)에는 상기 이송로(45)에 상기 무게이동추(46)를 삽입시킨 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캡(48)을 포함한다.
상기 무게이동추(46)는 상기 날개(44)의 이송로(45)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날개(44)이 가속력을 부가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무게이동추(46)는 비중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금속이다.
또한, 상기 무게이동추(46)는 상기 이송로(45)를 통해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송로(45)를 따라 용이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게이동추(46)는 상기 이송로(45)를 따라 이동 중 마찰에 의한 소음 및 충격 등을 감쇄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일정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층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이다.
한편, 상기 무게이동추(46)는 상기 날개(44)의 내측에 구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날개(44)의 외주연 일측에 구성하여 상기 날개(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날개(44)에 가속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에는 야간과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 긴급 복구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배전반을 조명하는 전등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전등부(60)는 상기 태양광발전부(30) 및 풍력발전부(40)를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62)를 통해 전기를 제공받아 작업자가 원활때 항상 조명이 가능함으로써, 긴급 복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댐퍼(50)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댐퍼(50)는 상기 배전반(20)이 위치된 부분에 구성됨으로써,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진동을 감쇄시켜 상기 배전반(20)에 장착된 광섬유 케이블들이 단락되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상기 댐퍼(50)는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을 양분시키고, 하방을 제1지지대(120)로 명명하고, 상방을 제2지지대(130)로 명명하며, 상기 제1지지대(120)의 상단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플랜지(52)와, 상기 제2지지대(130)의 하단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플랜지(54) 및 상기 상,하부플랜지(52)(54) 사이에 구성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플랜지(52)에는 상기 스프링(56)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하부돌출부(5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돌출부(53)에는 내측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56)이 진동에 의해 흔들릴 때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고정핀(58)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고정핀(58)은 상기 스프링(56)이 상기 하부돌출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하부고정핀(58)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돌출부(53)의 일측에서 볼트를 타측으로 관통되게 삽입한 후 타측으로 돌출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삽입된 볼트에 의해 스프링(56)의 일측이 걸쳐짐에 따라 고정력을 발휘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부돌출부(53)에 일정깊이 삽입된 스프링(56)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상부플랜지(54)에는 상기 스프링(56)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상부돌출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돌출부(55)에는 내측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56)이 진동에 의해 흔들릴 때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고정핀(59)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핀(59)은 상기 스프링(56)이 상기 상부돌출부(59)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상부고정핀(59)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돌출부(55)의 일측에서 볼트를 타측으로 관통되게 삽입한 후 타측으로 돌출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삽입된 볼트에 의해 스프링(56)의 일측이 걸쳐짐에 따라 고정력을 발휘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돌출부(55)에 일정깊이 삽입된 스프링(56)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돌출부(53)와 상부돌출부(55)는 상호 일정길이 간섭되도록 일정길이 겹쳐지게 형성되고, 또한, 겹쳐지는 부분에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플랜지(54)의 상단에 고정되는 배전반(20) 등이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릴 때 과도한 흔들림에 의해 역으로 탄성복귀에 따른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탄성복귀력에 의해 지지대(10)에 과도한 진동이 역으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에 지지대(10)를 세운다. 또한, 상기 지주(10)에는 배전반(20)과, 태양광 발전부(30), 및 풍력발전부(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상호 양분되는 제1 및 제2지지대(120)(13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120)(130) 사이에 댐퍼(50)가 구성된다.
이후, 바람의 영향으로 상기 제2지지대(130)에 구성되는 배전반(20)과, 태양광 발전부(30) 및 풍력발전부(40)가 진동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의 제1 및 제2지지대(120)(130) 사이에 구성된 댐퍼(50)에 의해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진동을 상기 댐퍼(50)에서 흡수한다.
즉, 바람의 영향으로 상기 제2지지대(130)가 흔들리면, 상기 제2지지대(130)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플랜지(54)가 흔들린다. 이때, 상기 상부플랜지(54)의 상부돌출부(55)에 일부가 삽입된 스프링(56)의 자체 탄성에 의해 흔들림을 흡수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56)의 하단에 구성된 하부플랜지(52)에는 상기 상부플랜지(54)의 흔들림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과도한 풍속에 의해 제2지지대(130)가 심하게 흔들릴 경우, 상부플랜지(54)의 하방에 돌출된 상부돌출부(55)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 하부돌출부(53)에 밀착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돌출부(53)의 하부플랜지(54)가 지지대(10)에 고정된 상태임으로써, 지면에 고정된 상기 지지대(10)의 버팀력으로 강한 풍속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이 흡수된다.
한편, 태양을 통해 태양광 발전부(30)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지지대(10)에 구성된 축전지(62)로 축전되도록 한다.
또한, 풍력발전부(40)는 바람에 의해 날개(44)가 회전함으로써, 얻어지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지지대(10)의 축전지에 축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날개(44)에는 무게이동추(46)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날개(44)에 가속력을 증강시켜주워 축전효율을 향상시킨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한 날개(44)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회전을 할 때 높이 편차로 인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날개(44)의 이송로(45)에 위치한 무게이동추(46)가 도 3b 내지 도 3c와 같이 일정높이 상승하게 되어 중심에 도달한다.
이어서, 상단의 수직상태에서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면, 중심에 도달된 무게이동추(46)가 외측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게이동추(46)는 상기 날개(44)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날개(44)의 이송로(45)를 따라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날개(44)는 바람에 의한 회전력과 상기 무게이동추(46)에서 발생된 운동에너지가 합해져서 상기 날개(44)의 회전력을 증강시킴으로써, 동일조건의 풍력발전기에 비해 전기에너지 생성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태양광발전부(30)와 풍력발전부(40)를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지(62)로 축전되고, 이렇게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전등부(60)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전등부(60)는 배전반(20)을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야간 또는 흐린 날씨와 같이 시계가 불량할 때, 작업자가 상기 전등부(60)를 온(ON)시켜 배전반(20)을 조명하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위급상황 등에서도 긴급 복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등부(60)는 저전력, 고효율 조명이 가능한 LED로 구성되고, 또한, 별도의 전원공급없이 태양광발전부(30) 및 풍력발전부(40)를 통해 자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인적이 드문 시골길 등의 가로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등부(60)에 조도감지센서 또는 타이머센서를 구성하여, 자동으로 야간 또는 시계가 불량할 때 조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주 10: 지지대
110: 받침대 120:제1지지대
130: 제2지지대 20: 배전반
30: 태양광발전부 40: 풍력발전부
54: 몸체 44: 날개
45: 이송로 46: 무게이동추
48: 캡 50: 댐퍼
52: 하부플랜지 53: 하부돌출부
54: 상부플랜지 55: 상부돌출부
56: 스프링 58: 하부고정핀
59: 상부고정핀

Claims (2)

  1.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110)의 상단에 일정높이 세워지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방 일측에 구성되어 광섬유 케이블들을 장착 및 분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배전반(20)과;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고 태양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태양광발전부(30); 및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구성되고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발전부(40)는 몸체(42) 및 상기 몸체(42)의 일측에 구성되고 바람의 영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42)에서 전기에너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날개(44)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44)에는 회전위치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날개(44)에 가속력을 부가시키도록 하는 무게이동추(46)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44)에는, 상기 무게이동추(46)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도록 내측에 이송로(45); 및 상기 이송로(45)를 따라 이동하는 무게이동추(46)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캡(48)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0)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댐퍼(50)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50)는, 상기 지지대(10)를 양분시켜 제1 및 제2지지대(120)(130)로 구성하고;
    상기 제1지지대(120)의 상단에 고정되는 하부플랜지(52)와;
    상기 제2지지대(130)의 하단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54); 및
    상기 하부플랜지(52)와 상부플랜지(54) 사이에 구성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56)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랜지(52)에는 내측에 스프링(56)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돌출부(5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54)에는 내측에 스프링(56)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부돌출부(5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돌출부(53)와 상부돌출부(55)는 일정길이 간섭되도록 겹쳐지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53)와 상부돌출부(55)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53)와 상부돌출부(55) 각각에는 스프링(56)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고정핀(58) 및 상부고정핀(5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2. 삭제
KR1020170139601A 2017-10-25 2017-10-25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KR10184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01A KR101842944B1 (ko) 2017-10-25 2017-10-25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01A KR101842944B1 (ko) 2017-10-25 2017-10-25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944B1 true KR101842944B1 (ko) 2018-03-28

Family

ID=6190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601A KR101842944B1 (ko) 2017-10-25 2017-10-25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8459A (zh) * 2018-08-17 2018-11-16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张家口供电公司 一种光伏发电功率输出减少率测量装置及其估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15B1 (ko) * 2013-01-29 2014-05-27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가로등
KR101643960B1 (ko) * 2015-08-03 2016-07-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하중부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515B1 (ko) * 2013-01-29 2014-05-27 (주)세화에너지산업 태양광 가로등
KR101643960B1 (ko) * 2015-08-03 2016-07-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하중부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8459A (zh) * 2018-08-17 2018-11-16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张家口供电公司 一种光伏发电功率输出减少率测量装置及其估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489B2 (en) Mobile renewable energy structures providing wireless network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U2008359997A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pole distributed solar power generation
CA2828606C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natural pow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CN104912375A (zh) 一种多功能太阳能风能通信广告免登高维护塔
CN107095530B (zh) 一种市政观赏花盆用光伏板组件展示设备
KR101842944B1 (ko) 광섬유 통신선로 지주
KR10200856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58965B1 (ko) 복합 발전 장치
KR20110023216A (ko) 태양에너지에 의한 이동식 전원생성장치
GB2496466A (en) A wind turbine apparatus for fitting to street lights
CN105356036A (zh) 具有扩容功能的信号发射塔
CN209692671U (zh) 一种可移动光伏能源设备
JPH09319975A (ja) 航空障害灯
KR20190115891A (ko) 배전용 전신주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및 배전 시스템
KR200486184Y1 (ko) 전신주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설비
KR20220166090A (ko) 각도 조절과 적층 수납이 가능한 IoT 연동 태양광 패널 구조체
US10247331B1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 service and device supporting assembly
WO2019156700A1 (en) Mobile renewable energy structures providing wireless network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Zhao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off-grid solar PV system in inner Mongolia of China
KR102122818B1 (ko) 이동 가능한 폴더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09269A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11377136U (zh) 一种光电组合滑环
CN202424187U (zh) 可移动式静止无功发生器装置
CN211296629U (zh) 一种新型分布式并网太阳能发电装置
CN212413343U (zh) 一种灯杆外接式通信设备保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