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69B1 -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 Google Patents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69B1
KR101842669B1 KR1020180001792A KR20180001792A KR101842669B1 KR 101842669 B1 KR101842669 B1 KR 101842669B1 KR 1020180001792 A KR1020180001792 A KR 1020180001792A KR 20180001792 A KR20180001792 A KR 20180001792A KR 101842669 B1 KR101842669 B1 KR 10184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case
current
protection plat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우
Original Assignee
선우전기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전기이엔지(주) filed Critical 선우전기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8000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on system of a distribution li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on system of a distribution line which always measures current and voltage of a distribution line, transmits failure information to a reception device of a central control room or an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if overcurrent is conducted on the distribution line due to failures, and protects a case from rain water. The automation system of a distribution line comprises: the case (110); an iron core body (120); an induction coil (130); a current detection part (140); a control part (160); a signal transmission part (170); a power part (180); and a voltage detection part (150).

Description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0001]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0002]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여 주는 한편, 우수로부터 케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line automated system in the field of distribu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on a distribution line at all times and, when an overcurrent is energized on a distribution line due to a failure, To a receiving device or an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of the receiving device or to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for protecting the case from superiority.

일반적으로 전기는 산업 및 일상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동력원으로서, 통상 발전소에서 변전소를 거쳐 사용자에게 공급된다.Generally, electricity is a power source that greatly affects industry and everyday life, and is usually supplied to a user from a power plant through a substation.

이때, 변전소로부터 최종소비자인 공장이나 주택 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취부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At this time, a telephone pole is installed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substation to the final consumer, such as a factory or a house, and a power line is installed on the telephone pole to supply electric power.

상기 전신주에 취부되는 배전선로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고 있으며, 배전선로는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A high-voltage current flows through the distribution line installed on the electric pole, and the distribution line is connected like a network.

그런데, 이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고정시켜 주는 전신주의 애자 등 기구물의 노후, 번개에 의한 소손, 수목이나 조류의 접촉 등에 의해 배전선로의 절연이 파괴될 경우 변전소 또는 전기공급 보호기기 등의 개폐기가 동작하여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정전이 발생하면, 산업 설비의 구동이 중단되고, 가정 내에서의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의 동작이 정지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되므로 배전선로의 고장 발생시에는 단시간 내에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져야 한다.However, if the insula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is destroyed due to the aging of the equipment such as the insulator of the telephone pole that fixes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ed with such a complicated structure, the burning by the lightning, the contact of trees or algae, When a power failure occur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uch as the power supply,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in the home is stopped, Rapid restoration should be done in a short time.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배전선로의 고장지점의 탐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물망처럼 광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어느 곳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과전류가 흘렀는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특정 고장 지점을 색출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Nevertheless, since the discovery of the fault point to the distribution line is not performed automatically, there is no way to quickly detect the overcurrent flowing in the distribution line, which is distributed as a network, It takes a lot of time to locate the branch.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0516호(2011.04.26.)에는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0516 (Apr. 26, 2011) discloses 'a device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fault information to a distribution lin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장치는 타이밴드에 의해 배전선로에 고정되기 때문에 우수 등이 제1,2케이스 간으로 쉽게 유입되면서 누전이나, 고장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fault information measur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a power distribution line is fixed to a power distribution line by a tie b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troduce a fault or the lik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0516호(2011.04.26.)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30516 (April 26, 2011) 'Failure information measurement and transmission device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여 주는 한편, 우수로부터 케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current and a voltage of a distribution line at a normal time and, when an overcurrent is energized on a distribution line, And to provide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for protecting the case from superiorit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 또는 중앙관제실(200)과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및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에서 측정되는 상시 전류 및 전압정보를 상기 신호송신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호판(310);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20); 및 상기 플랜지(32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330)은, 상,하부가 상기 보호판(310)과 상기 플랜지(320)를 통과하는 복수의 지지바(331); 상기 각 지지바(331)를 상기 플랜지(3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32); 상기 보호판(3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판(310)이 상기 지지바(3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33); 및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33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332)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가 상기 지지바(331)를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바(331)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바(3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332)를 통과하며 상기 연결부재(332)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3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보호판(3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case 110 having a through hole 110a through which a power distribution line 1 passes; An iron core 120 provided in the case 110 and surrounding the distribution line 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0a; An induction coil 130 wound on the iron core 120 to generate an induction curren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1 is energized; A current sensing unit 140 for measuring a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A controller 160 for generating a fault information if the current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detector 140 is an overcurrent; A signal transmitter 170 for transmitting the fail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60 to an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or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A power supply 18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controller 160; And a voltage sensing unit 150 for measuring a voltage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150, And voltage information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for converting the failur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60 into a wireless signal, And an antenna 174 for transmitting to the reception apparatus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The protection system 300 includes a protection unit 300 for protecting the case 110 from rain, The protection unit 300 includes a protection plate 31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 flange 320 exten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case 110; And a support means 330 for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310 from the flange 320. The support means 3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member 330 pass through the protection plate 310 and the flange 320 A plurality of support bars (331); A connecting member 332 for connecting the support bars 331 to the flange 3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release preventing member 33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331 to prevent the protection plate 3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bar 3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protection plate 310; And a plurality of springs 334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nd support the protection plate 310. The connection member 332 is formed with thread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ope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 331 are fixed to the support bar 331 so as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ar 331. The support bar 331 is threa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33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ase 110 so as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tection plate 310 while the locking plate 332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member 332, And the slope of the distribution line is contro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선로의 통전 전류 및 전압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중앙관제실에 통보함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과전류 통전시 과전류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어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고, 과전압 발생시 과전압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어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ailure information measur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a distribution line measur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and voltage of the distribution line that supplies electricity in real time and notifies the central control room of the occurrence of an overcurrent The location is immediately detected and the failure recovery time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is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ce where the overvoltage occurs at the time of overvoltage is immediately detected, and the failure recovery time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is shortened.

둘째,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배전선로로부터 구동전원을 확보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서도 독립적이고도 반영구적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ing power is secured from the power distribution line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is driven independently and semi-permanently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power source.

셋째, 우수 등으로부터 케이스를 보호함으로써 우수 등이 제1,2케이스 간으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protecting the case from rain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r a breakdown that may occur due to the inflow of rain or the lik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i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unit is provided in an automation system with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mode of disclosure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3051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3051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30516. Therefore, all of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can be understood as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30516. [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03051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장치'는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으로 대체하고, 우수로부터 케이스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ult information measuring and transmitting device for distribution lines' is replaced with 'distribution line automation system' among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30516, and a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case from rai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stituent feature.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3051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devic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ll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30516, and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e rear en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100)은 22,900V의 고압을 공급하는 전선로인 배전선로(1)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며, 배전선로(1)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신하여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려준다.1 to 5, an automation system 100 for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measures the current and voltage of a distribution line 1, which is an electric line for supplying a high voltage of 22,900 V, The fa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device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in real time to inform the user that quick recovery can be performed.

이때, 상기 배전선로(1)는 통상적으로 전신주(10)에 설치된 지지대(20) 상부의 절연물체인 애자(30)에 취부되어 가설된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power distribution line 1 is generally mounted on the insulator 30, which is an insulator above the support rods 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100)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를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와,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및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로 이루어진다.The automation system 100 for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in which a through hole 110a through which a distribution line 1 is passed is formed and a through hole 110a is formed in the case 110, An induction coil 120 wound around the iron core 120 and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rough the distribution line 1, A current sensing unit 140 for measuring a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a voltage sensing unit 150 for measuring a voltage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A control unit 160 for generating a fault information if the current measur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200 is an overcurrent and a control unit 160 for generating a fa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0 to a receiving unit 210 or an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And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60 .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에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설치된 배전선로(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First, the case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 through hole 110a through which the power distribution line 1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so that the case 110 can be easily installed at any position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ower distribution line 1. [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이때, 상기 제1,2케이스(112,114)를 체결시에는 배전선로(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결수단으로서 금속재질의 타이밴드(116)를 이용하여 제1,2케이스(112,114)를 조여주게 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using a tie band 116 made of a metal as fastening means, .

상기 타이밴드(116)를 사용하는 대신 제1,2케이스(112,114)를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됨)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고리 모양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배전선로(1)에 직접 취부함도 바람직하다.Instead of using the tie band 116,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may be integrally fastened using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bolts and nuts, It is also preferable to directly mount it on the distribution line 1. [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철심체(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철심체(120) 역시 제1,2철심체(122,124)로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내에 각각 구비되어 배전선로(1)를 감싸게 되며, 상기 철심체(120)의 일측에는 유도코일(130)이 권취되어 배전선로(1)가 통전되는 경우 유도전류가 생성된다.The iron core body 120 is also divided into two by the first and second iron core bodies 122 and 124 so that the iron core body 12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And an induction coil 130 is wound on one side of the iron core 120 to generate an induction current whe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1 is energized.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를 입력받으면 과전류인지를 비교하고, 과전류이면 기기의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When the curr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the induction coil 130, the control unit 160 included in the case 110 compares the current information with the overcurrent, (For example, devic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failur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60)는 상시에는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전류를 감지하고,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전압을 감지하여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여 동작상태를 알려준다.The control unit 160 senses a current through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at all times and senses a voltage through the voltage sensing unit 150 to receive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devic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 information) The norm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device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inform the operation status.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류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감지부(15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압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압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디지털 형태의 전류 및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과전류인지 유무를 판단한다.The current sensing unit 140 converts the induced current value of the analog form into current information of the digital form. The voltage sensing unit 150 converts the induced voltage value of the analog form into voltage information of the digital form, 160, and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an overcurrent is present or not using the digital current and voltage information.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내장메모리를 가지는 마이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160 may be a microcomputer having a built-in memory for storing fail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evice number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lways-on information.

한편,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는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등의 여러가지로 구현될 수 있지만, 설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무선방식을 이용하게 된다.The signal transmitter 170 for transmitting the fail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60 to the receiver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wired system or a wireless system However, the wireless system is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installation and the like.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의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 정보 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70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for converting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norm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160 into a wireless signal, And an antenna 174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to the reception device 21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이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GSM, CDMA, IMT 2000, 와이브로, 무선 TRS, UHF, VHF,AM, FM등 상용화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 At this time, the radio transmission module 172 transmits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regular information to the reception apparatus 21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e radio transmission module 172 may be a GSM, CDMA, IMT 2000, WiBro, wireless TRS, UHF, VHF , AM, FM and other commercial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또한, 근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등으로 정보를 송출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블루투스(blue tooth), 직비(ZIPBee)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transmits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regular information to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located in the vicinity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reception apparatus 21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blue tooth, ZIPBee, and others.

상기 안테나(174)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함도 가능하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신호 송출이 원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antenna 17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enna 174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signal transmission is smooth.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는 충전지(18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충전지(182)는 상기 유도코일(130)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the driving power of the controller 16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182.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serves to charge th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130. [

상기 충전지(182)의 충전전원은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이다.Since the charging power sourc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may not be suitable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the controller 16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nstant voltage IC and a DC / DC converter for stable power supply. / DC converter is a generally known constitu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로 전원부(180)의 충전지(182)를 충전하고 이를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고 줌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더라도 반영구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of the power supply unit 180 is charged with the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and supplied to the driving power supply of the control unit 160, so that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power supply, Power supply can be provided.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n automation system for a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먼저, 배전선로(1)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100)을 설치하고, 배전선로(1)에 전기가 통전되면, 철심체(120)가 자화되고 이로 인해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First, when an automation system 100 is installed on a distribution l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line 1, the iron core 120 is magnetized and the induction coil 130 is magnetized, An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부(180)를 구성하는 충전지(182)로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지(182) 전원에 의해 제어부(160)가 구동된다.When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130,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60 is driven by the power suppl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상기 제어부(160)는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유도 전류 및 전압정보를 입력받는다.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induced current and voltag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150.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가 설정된 허용전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고, 허용전류를 초과하면 배전선로(1)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등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whether the current information exceeds the set allowable current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that measures the current of the induction coil 130. If the current information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is energized, and the failure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such as the device number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generated and output.

이와 같은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는 신호송신부(170)를 구성하는 무선송신모듈(172)을 거쳐 실시간으로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174)를 통해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The fail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0 is converted into a radio signal in real time via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constitut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7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174 to the reception apparatus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아닌 경우에도 전압 및 전류값인 상시정보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The controller 160 wirelessly transmits the voltage and current information, which is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 to the receiver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 경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나 수신장치(210)와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가 전송되면 중앙관제실(200)에서 고장정보를 통해 기기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인력을 투입하여 해당 배전선로(1)를 복구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failur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10 or the receiving apparatus 21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confirm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worker is promptly put in the work to recover the distribution line 1.

상기 배전선로(1)에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장상태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100)은 충전지(182)의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배전선로(1)의 고장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어 안정적인 신호 송신이 가능하다.Even when the power line 1 is not energized, the automation system 100 with the power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dependent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using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82, It is possible to transmit stable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3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unit 300 for protecting the case 110 from rain or the like is further implemented as shown in FIG. 6 while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it is.

상기 보호부(3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하여 우수 등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고장 등을 방지한다.The protection unit 300 protects the case 110 from rain or the like to prevent a short circuit or a breakdown which may be generated when a rain or the like get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호판(310),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20) 및 상기 플랜지(32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30)을 포함한다.The protection unit 300 includes a protection plate 31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 flange 320 exten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case 110 and a flange 320 extending from the flange 320 to the protection plate 310 And a support means (330)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ans (330).

상기 보호판(31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케이스(110)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아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on plate 310 has an area that covers the case 110 when viewed from above, and preferably has an arch shape.

이에 따라, 상기 보호판(310)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면서 우수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면에 우수 등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ection plate 310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nd can protect the case 110 from rain or the like, and also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rain or the like is stuck on the upper surface.

상기 플랜지(320)는 상기 제1,2케이스(112,114) 중 상기 제2케이스(114)의 하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nge 320 may extend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14 among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이는, 상기 플랜지(320)가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에 접하는 면보다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flange 320 from being positioned abov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to prevent the excellent light from enter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상기 플랜지(320)는 일단부가 상기 제2케이스(114)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라운딩되면서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에 접하는 면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flange 3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ase 114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outward. The other end of the flange 320 is rounded in a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320)는 타단부가 라운딩되므로 인해 우수 등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접근 및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nge 320 is rounded at the other en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llent light from approaching and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상기 지지수단(330)은 상,하부가 상기 보호판(310)과 상기 플랜지(320)를 통과하는 복수의 지지바(331), 상기 각 지지바(331)를 상기 플랜지(3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32), 상기 보호판(3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판(310)이 상기 지지바(3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33) 및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334)을 포함한다.The support means 33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331 that pass through the protective plate 310 and the flange 320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331, A connection member 332 for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331 to the support bar 331 and a connection member 332 for connecting the support plate 331 to the support bar 331, And a plurality of springs 334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nd support the protection plate 310.

상기 스프링(334)은 상기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보호판(310)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을 완충한다.A plurality of the springs 334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10 to support the protection plate 310 from the case 110 while buffering shocks transmitted to the protection plate 310.

상기 스프링(334)은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보호판(310) 간에 배치되면서 비둘기 등의 조류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pring 334 is disposed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protection plate 310 to prevent a bird such as a dove from approa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또한, 상기 스프링(334)은 외력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이 흔들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호판(310)의 상부에 조류 등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334 is contracted and relax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protection plate 310 can be shaken to prevent birds or the like from approac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on plate 310.

상기 연결부재(332)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331)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져 상기 플랜지(320)에 고정된다.The connection member 332 is threa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is fixed to the flange 320 by the same number as the support bar 331.

상기 연결부재(332)는 상,하부가 상기 플랜지(320)를 통과하는 한편,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플랜지(320)에 고정된다.The connecting member 332 is fixed to the flange 320 by welding whil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pass through the flange 320.

상기 지지바(3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332)를 통과하며 상기 연결부재(332)에 나사결합된다.The supporting bar 331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member 332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32 whil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이탈방지부재(33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33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이 상기 지지바(3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333 is threa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crewed on the supporting bar 331 to prevent the protecting plate 3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bar 331.

상기 지지수단(330)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33)와 상기 보호판(310)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3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완충부재(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ans 33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335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bar 33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33 and the protecting plate 310.

상기 완충부재(335)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33)의 조임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보호판(310)에 압착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이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310)의 수평상태는 상기 보호판(310)의 양측 하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335 may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so that the cushioning member 335 may be pressed against the cushioning plate 310 by the pressing of the cushioning member 333, do. Here,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rotection plate 310 may be based on a state where both lower sides of the protection plate 3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또한, 상기 완충부재(335)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33)와 상기 보호판(310) 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함께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335 can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e to abrasion due to contact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333 and the protection plate 310.

상기 지지바(331)는 하부에 손잡이(336)가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331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336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손잡이(336)는 상기 지지바(3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바(331)가 상기 연결부재(3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인위적인 파지를 통한 상기 지지바(33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336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ar 331 to prevent the support bar 33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332, So that rot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에 따라, 상기 지지바(331)는 인위적인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의 이격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bar 331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protection plate 310 while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tection plate 310 from the case 110, .

또한, 상기 지지바(331)는 인위적인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334)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bar 331 may be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artificial rotation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4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이는, 계절이나, 기후 변환 등에 따라 상기 보호판(310)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우수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ffectively protect the case 110 from rain or the lik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rotection plate 310 in accordance with seasons, climate change, and the like.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3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할 수 있음으로써 우수 등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ection unit 300 protects the case 110 from rain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or a malfunction, etc., which may occur when the rain or the like flows into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2 and 114 .

1: 배전선로 10: 전신주
20: 지지대 30: 애자
100: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200: 중앙관제실
300: 보호부 310: 보호판
320: 플랜지 330: 지지수단
331: 지지바 332: 연결부재
333: 이탈방지부재 334: 스프링
335: 완충부재 336: 손잡이
1: Distribution line 10: Telephone pole
20: support 30: insulator
100: Distribution line automation system 200: Central control room
300: Protection unit 310: Shield plate
320: flange 330: support means
331: support bar 332: connecting member
333: release preventing member 334: spring
335: Buffer member 336: Handle

Claims (1)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 또는 중앙관제실(200)과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및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에서 측정되는 상시 전류 및 전압정보를 상기 신호송신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지는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우수로부터 상기 케이스(1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3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호판(310);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20); 및
상기 플랜지(32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330)은,
상,하부가 상기 보호판(310)과 상기 플랜지(320)를 통과하는 복수의 지지바(331);
상기 각 지지바(331)를 상기 플랜지(3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332);
상기 보호판(3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3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판(310)이 상기 지지바(3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33); 및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보호판(3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33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332)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가 상기 지지바(331)를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바(331)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바(33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하부가 상기 연결부재(332)를 통과하며 상기 연결부재(332)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32)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상기 보호판(31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보호판(3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A case 110 in which a through hole 110a through which the distribution line 1 passes is formed;
An iron core 120 provided in the case 110 and surrounding the distribution line 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0a;
An induction coil 130 wound on the iron core 120 to generate an induction curren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the power distribution line 1 is energized;
A current sensing unit 140 for measuring a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A controller 160 for generating a fault information if the current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detector 140 is an overcurrent;
A signal transmitter 170 for transmitting the fail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60 to an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or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A power supply 180 for supplying driving power of the controller 160; And
And a voltage sensing unit 150 for measuring a voltage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130,
The control unit 160,
And outputs the constant current and volta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14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150 to the signal transmitter 170,
The signal transmitter 170,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for converting the failur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160 into a wireless signal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172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to the reception device 210 or the intermediate information collector 220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00 In a distribution line automated system comprising an antenna 174,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portion (300) for protecting the case (110) from abrasion,
The protection unit 300 includes:
A protective plate 31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0;
A flange 320 exten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case 110; And
And support means (330) for supporting the shield plate (310) from the flange (320)
The support means (330)
A plurality of support bars (331)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passing through the protection plate (310) and the flange (320);
A connecting member 332 for connecting the support bars 331 to the flange 3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release preventing member 33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331 to prevent the protection plate 3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bar 3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protection plate 310; And
And a plurality of springs (334) provided on the case (110) and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310)
The connecting member 332 may be forme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ixed to the support bar 331 so as to pass through the support bar 331,
The support bar (331)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is screwed to the connecting member 332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32 while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32, An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protection plate (310) while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tection plate (310).
KR1020180001792A 2018-01-05 2018-01-05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842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92A KR101842669B1 (en) 2018-01-05 2018-01-05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792A KR101842669B1 (en) 2018-01-05 2018-01-05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669B1 true KR101842669B1 (en) 2018-03-28

Family

ID=6190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792A KR101842669B1 (en) 2018-01-05 2018-01-05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6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49B1 (en) * 2018-11-27 2019-03-19 주식회사 화승전력 Control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2029009B1 (en) * 2019-08-20 2019-10-07 주식회사 조이테크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102206909B1 (en) * 2020-08-31 2021-01-25 (주)청송 Breakdown point detection apparatus of distribution line
KR102548471B1 (en) * 2022-12-27 2023-06-28 선광테크 주식회사 Distribution Line Fault Ind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en) 2009-01-09 2011-04-26 황인기 measur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of fail information for power line
KR101643358B1 (en) 2016-03-30 2016-07-27 (주)한빛기술단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765066B1 (en) 2017-05-08 2017-08-08 (주)다은감리단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en) 2009-01-09 2011-04-26 황인기 measur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of fail information for power line
KR101643358B1 (en) 2016-03-30 2016-07-27 (주)한빛기술단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765066B1 (en) 2017-05-08 2017-08-08 (주)다은감리단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49B1 (en) * 2018-11-27 2019-03-19 주식회사 화승전력 Control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2029009B1 (en) * 2019-08-20 2019-10-07 주식회사 조이테크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102206909B1 (en) * 2020-08-31 2021-01-25 (주)청송 Breakdown point detection apparatus of distribution line
KR102548471B1 (en) * 2022-12-27 2023-06-28 선광테크 주식회사 Distribution Line Fault Ind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69B1 (en)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840033B1 (en)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030516B1 (en) measuring and transmitting apparatus of fail information for power line
KR101772605B1 (en) Collection apparatus for Fault Informa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KR101643358B1 (en)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US5656931A (en) Fault curren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5565783A (en) Faul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5550476A (en) Faul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EP0223507B1 (en) Transmission line sensor apparatus
JP6204505B2 (en) Current transformation system in which CT for sensor and CT for power generation are separately provided in parallel on the line, and integrated system for managing this by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959949B1 (en) Control automation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769876B1 (en) Intelligent System Of Power Distribution Line to transmit Trouble Data
KR102029009B1 (en)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KR20110061047A (en) Power saving multiconcent for fire prevention
KR102213565B1 (en) Unmanne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1665984B1 (en) Intelligent system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CN108736567B (en) Power supply system for power monitoring
KR101765066B1 (en)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US20120022813A1 (en) End user electricity network, use, method and assembly
KR101104320B1 (en) Wireless current transformer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line
CN110595639A (en) Power transmission line node temperature rise monitoring device based on induction electricity taking
KR101395427B1 (en) Charging system for led illumination
JP2005346442A (en) Power receiving state monitoring device for electric appliance
KR101665959B1 (en) Power supp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line
KR101038254B1 (e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atching a state of the power distribution pole having a changing function using an induced current of the power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