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348B1 - 약물주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약물주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348B1
KR101842348B1 KR1020160059305A KR20160059305A KR101842348B1 KR 101842348 B1 KR101842348 B1 KR 101842348B1 KR 1020160059305 A KR1020160059305 A KR 1020160059305A KR 20160059305 A KR20160059305 A KR 20160059305A KR 101842348 B1 KR101842348 B1 KR 10184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agnetic portion
magnetic
sen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11A (ko
Inventor
최영빈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3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72Electro-active or magneto-activ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신체 내에 삽입되며,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약물을 보충받기 위한 약물보충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와; 신체 밖에서 상기 제1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제1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외부에서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정렬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자성부와 대응하며 상기 제1자성부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제2자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주입 시스템{System for in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약물주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암, 뇌질환, 당뇨, 에이즈, 골다공증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치료를 위해 많은 경우, 장기간의 지속적 약물 투여 (eg. 경구투여, 주사제 투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 위장관을 지나면서 약물이 변성되거나 비활성 되는 문제가 있어 생체이용도가 낮고 또한 약물의 위장관 부작용이 심한 경우 그 제약점이 크다. 주사제의 경우, 혈중에서 오랫동안 약물 농도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침습적 주사가 필요하여 환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식형 약물주입 시스템에서는 신체 내부에 약물주입 장치를 이식하고 약물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 내에서 약물을 주입한다. 이러한 이식형 약물주입 시스템은 통상 신체 외부에 설치되어 신체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장치가 사용되는데, 신체 내부 장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내부장치와 외부장치를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이식형 약물주입 시스템은 약물 레저버가 신체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약물을 보충할 경우 약물 보충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신체 내부에서 약물주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도한 바와 같이 약물이 주입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식형 약물주입 시스템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45975호 (2014. 09. 2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된 약물주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전달시스템에 있어서,신체 내에 삽입되며,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약물을 보충받기 위한 약물보충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와; 신체 밖에서 상기 제1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제1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외부에서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정렬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자성부와 대응하며 상기 제1자성부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제2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본체는 셉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성부는 상기 셉텀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부는 복수개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외부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구동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부여부는 상기 구동 자석에 자기력을 인가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력 부여부의 작동에 따라 약물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부는 상기 셉텀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제1자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셉텀에 대응하는 보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보충 홀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셉텀에 대응하는 보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보충 홀 주변에 산점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본체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가속도 센서, 변위센서, 자기센서, 적외선 센서, 음향센서,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의 구동력 부여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3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주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성이 향상된 약물주입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제어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제1본체와 제2본체의 정렬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약물보충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자성부와 제2자성부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약물주입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부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다른 도면과 달리 일부 구성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잦은 약물 복용 및 주사 없이 단 한 번의 이식으로 약물/환자의 특성에 맞춰 원하는 시간에 정밀 약물 전달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이식형 약물주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제어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약물주입 시스템(1)은 신체 내로 삽입되는 제1본체(10), 신체 외에서 제1본체(1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20) 및 제2본체(20)를 제어하는 제3본체(30)를 포함한다.
제1본체(10)는 신체 내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용된 약물을 신체 내에 주입(배출)한다. 제1본체(10)는 약물 레저버(110), 하부 커버(120), 약물 챔버(130), 구동부(140) 및 약물보충부(150) 및 체크밸브(160)를 포함한다.
약물레저버(110) 및 하부커버(120)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약물이 체크밸브(160)를 거쳐 정해진 양만큼 외부로 배출된다.
구동부(140)는 플랜저 커버(141), 플랜저 자석(142), 플랜저(143), 챔버 커버(144), 챔버 자석(145) 및 피스톤(146)을 포함한다. 플랜저 자석(142)은 챔버 자석(145)과 서로 인력 관계에 있으며, 신체 외에서 가해지는 더 큰 자기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다. 플랜저 자석(142)이 상부로 이동하면 플랜저(143)가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고 약물이 약물 챔버(130)로 들어온다. 이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력이 제거되어 다시 플랜저(143)가 챔버 자석(145)과의 인력에 의해 하강하면 약물 챔버(130) 내의 약물이 체크 밸브(16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외부 자기력에 의한 약물의 주입 방식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45975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한 약물 배출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45975호에 개시된 원리를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약물 주입 방식에 따르면, 신체 내에 위치한 제1본체(10)에는 약물주입을 위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구동부(140)가 작동되므로, 구동부(14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배터리의 교환이나 충전과 같은 불편이 발생하지 않으며, 배터리액의 누설 등에 의한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다.
약물보충부(150)는 제1본체(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약물보충부(150)는 셉텀(151), 레저버 커버(152) 및 제1자성부(153)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자성부(153)는 가운데가 빈 원판 모양, 즉 고리 모양으로 빈 부분에 셉텀(151)이 위치하고 있다. 제1자성부(153)는 철, 니켈 및/또는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자석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셉텀(151)은 주사기 주입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사기를 제거한 후에는 기밀이 유지된다. 셉텀(151)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Parylene, SEBS(hydrogenated rubber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부(140)에 의해 배출되는 약물은 체크 밸브(160)를 통해 신체 내로 주입되며, 체크 밸브(160)에 의해 신체 내부의 혈액 등이 제1본체(10) 내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2본체(20)는 제1본체(10)에 대응하게 신체 외부에 위치한다. 제2본체(20)는 신체 피부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본체(20)는 제1본체(10)의 상부면에 대응하며 전체적으로는 얇은 판상의 형태이다. 제2본체(20)는 구동력 부여부(210), 제2자성부(220), 압력센서(230) 및 커버(2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커버(240)에는 보충 홀(25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력 부여부(210)는 제1본체(10)에 자기력을 인가 및 해제하며, 구동코일(211) 및 구동코일 구동부(212)를 포함한다. 구동코일(211)은 제1본체(10)의 플랜저 자석(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코일 구동부(212)의 작동에 따라 플랜저 자석(142)에 자기력을 인가 및 해제한다. 구동코일 구동부(212)는 배터리 및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제2자성부(220)는 보충 홀(25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리형상으로 보충 홀(250)을 둘러싸고 있다. 제2자성부(220)는 철, 니켈 및/또는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자석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는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자성부(220)와 보충 홀(250)은 제1본체(10)에 약물을 안전하게 보충하는 데 사용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압력센서(230)는 제1본체(10)와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압력센서(230)는 구동부(140)의 작동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본체(20)에는 제3본체(3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제3본체(30)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2본체(20)를 제어하며, 제2본체(20)로부터 정보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용자는 제3본체(30)를 이용하여 제2본체(20)의 구동코일 구동부(21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 내용은 작동 여부 및 작동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본체(30)는 압력센서(230)로부터 감지된 압력값을 입력받는다. 입력된 압력값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제3본체(30)는 별도의 기기로 제작되거나, 별도 앱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본체(30)는 사용자가 작동시키거나 병원 또는 의사가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약물주입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제1본체와 제2본체의 정렬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에서 약물보충을 나타낸 것이다.
약물주입 시스템(1)을 사용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제1본체(10)는 신체 내부에 위치하며 제2본체(20)는 신체 외부에 위치한다. 이 때, 제2본체(20)의 구동코일(211)은 제1본체(10)의 플랜저 자석(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코일(211)과 플랜저 자석(142)의 정확한 위치 대응을 위해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정렬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본체(20)를 신체 외부에서 이동시키면서 대응되는 형상의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인력작용을 감지하며, 감지된 인력작용에 의해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성부(153)를 셉텀(151) 주변에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자성부(153)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정렬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른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제1자성부(153)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자성부(220)는 제1자성부(153)에 대응하도록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특히 약물주입 시스템(1) 마다 특유의 자성부(153, 220)의 배치를 가지도록 하면 사용자는 자성부(153, 200)의 정렬가능 여부에 따라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제2본체(20)가 본인 것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병원 같은 곳에서, 환자 간에 제2본체(20)가 혼동되는 문제가 해결되어, 약물주입 시스템(1)의 안전성이 더욱 증가된다.
한편, 약물 보충이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1)에서는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약물을 보충할 수 있다.
먼저, 약물 보충부(150)의 제1자성부(153)와 제2본체(20)의 제2자성부(220)와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제2본체(20)의 보충 홀(150)과 제1본체(10)의 셉텀(151)을 정렬시킨다. 이후 약물이 들어있는 실린지를 보충 홀(250) 및 셉텀(151)를 통과시켜 제1본체(10) 내에 약물을 보충한다.
신체 내에 있는 제1본체(10)에 약물을 보충할 때 셉텀(151)이 아닌 다른 곳에 실린지가 위치하게 되면, 신체에 약물이 과다 투입되어 환자가 위험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본체(10)는 신체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셉텀(151)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되는 형상의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인력에 의해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정렬이 용이해지며, 결국 셉텀(15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인력에 의해 양 구성이 정렬되었다면, 보충 홀(250)에 대응하는 제1본체(10)에는 셉텀(151)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자성부와 제2자성부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성부(153')는 셉텀(151) 둘레에 산점되어 있으며, 제2자성부(220')는 보충 홀(250) 둘레에 산점되어 있다.
여기서,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위치에서 자력에 의한 인력이 형성된다. 인력 형성은 대응하는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가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지거나,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강자성체로 마련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되는 형상의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인력에 의해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정렬이 용이해지며, 결국 셉텀(15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자성부(153')와 제2자성부(220')의 인력에 의해 양 구성이 정렬되었다면, 보충 홀(250)에 대응하는 제1본체(10)에는 셉텀(151)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자성부(153)의 배치는 셉텀(151) 둘레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2자성부(220)는 제1자성부(153)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신체 내에서의 약물주입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는 구동코일(211)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구동부(140)는 동작하지 않아 약물 챔버(130)에는 약물이 위치하지 않는다. 이후 도 8의 (b)와 같이 구동코일(211)이 작동하면 구동부(140)의 플랜저 자석(142)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46)도 같이 상승하며, 실린더(146)가 위치했던 공간의 약물 챔버(130) 내에 약물이 주입된다. 이후 도 8의 (c)와 같이 구동코일(211)이 작동하지 않으면 플랜저 자석(142)이 다시 하부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46)도 같이 하강하며, 실린더(146)가 약물 챔버(130) 내의 약물을 밀어 약물이 체크 밸브(160)를 거쳐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약물주입과정에서 플랜저 자석(142)의 이동 등에 의해 압력변화가 발생하며, 제2본체(20)의 압력센서(230)가 이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감지된 압력값은 제3본체(30)의 제어부(310)로 전달된다. 제어부(310)에서는 주입 명령에 따른 압력값 변화를 감지하여 구동부(140)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구동부(140)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에게 소리, 빛, 화면구성 등을 통해 알람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은 병원에도 전달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40)의 동작 감지를 압력센서(230)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 변위센서, 자기센서, 적외선 센서, 음향센서, 온도센서 등을 사용하여 동작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140)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약물주입 시스템(1)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30)가 신체 밖에 위치하는 제2본체(20)에 설치되어 있어, 신체 내에 위치하는 제1본체(10)에는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1본체(10)에는 센서 구동을 위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부가 필요하지 않아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양 본체의 자력에 의한 인력을 감지하여 양 본체의 정렬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약물주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약물주입 시스템은 동물, 예를 들면 포유류의 다양한 신체 부위 또는 조직에 이식 될 수 있으며, 치료가 필요한 신체 부위 자체 또는 신체의 기능을 통해 다른 부위로의 전달이 가능한 부위, 예를 들면 피하, 근육 내에 이식될 수 있거나, 또는 장기 내, 복부, 팔뚝 부분에 이식될 수 있다. 또한, 약물방출입구에 catheter를 연결하여, brain, intrathecal, intraperitoneal 등 접근이 어려운 다른 부위에도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약물전달시스템에 있어서,
    신체 내에 삽입되며,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약물을 배출하는 구동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약물을 보충받기 위한 약물보충부를 포함하는 제1본체와;
    신체 밖에서 상기 제1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력 부여부를 포함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제1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외부에서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정렬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자성부와 대응하며 상기 제1자성부와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는 제2자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약물전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셉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성부는 상기 셉텀 주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는 복수개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 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구동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부여부는 상기 구동 자석에 자기력을 인가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력 부여부의 작동에 따라 약물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는 상기 셉텀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제1자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셉텀에 대응하는 보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보충 홀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셉텀에 대응하는 보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자성부는 상기 보충 홀 주변에 산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압력센서, 가속도 센서, 변위센서, 자기센서, 적외선 센서, 음향센서,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구동력 부여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3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주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
KR1020160059305A 2016-05-16 2016-05-16 약물주입 시스템 KR10184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05A KR101842348B1 (ko) 2016-05-16 2016-05-16 약물주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05A KR101842348B1 (ko) 2016-05-16 2016-05-16 약물주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11A KR20170128811A (ko) 2017-11-24
KR101842348B1 true KR101842348B1 (ko) 2018-03-26

Family

ID=6081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05A KR101842348B1 (ko) 2016-05-16 2016-05-16 약물주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393A (ko) 2020-03-30 2021-10-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으로 회전 작동하는 이식형 약물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62B1 (ko) * 2020-01-28 2022-07-26 투바이오스 주식회사 체내 이식형 수동 제어 약물전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9678A1 (en) * 2005-12-06 2007-06-07 Medtronic, Inc. Regulator
KR101445975B1 (ko) 2013-06-17 2014-09-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 기반의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9678A1 (en) * 2005-12-06 2007-06-07 Medtronic, Inc. Regulator
KR101445975B1 (ko) 2013-06-17 2014-09-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 기반의 이식형 약물 전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393A (ko) 2020-03-30 2021-10-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력으로 회전 작동하는 이식형 약물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11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082B2 (en)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multi-reservoir cartridge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381299B2 (e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s
CN108883230B (zh) 便携式输注泵及与其使用的组件
US9981117B2 (en) Implantable infus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AU2021203196B2 (en) Sterilization arrangement for drug delivery device
US7018360B2 (en) Flow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infusion device
US8491547B2 (en) Septum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mplantable therapeutic substance delivery device
US8708959B2 (en) Detecting fill status for medical pump reservoir
US20130274577A1 (en)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842348B1 (ko) 약물주입 시스템
CN104080491A (zh) 具有抗药物分散和主动反馈机构的薄型输液泵
EP2667917B1 (en) Detachable drug delivery device
US20210268175A1 (en) External-magnetically controlled access to implanted fluid pathway
US11676512B2 (en) Injection training device
US20230158225A1 (en) Fluid drug spread-promoting pump
TW202348258A (zh) 智能液體藥物投予
JP2014200363A (ja) 薬液投与装置及び薬液投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