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972B1 -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972B1
KR101841972B1 KR1020160061585A KR20160061585A KR101841972B1 KR 101841972 B1 KR101841972 B1 KR 101841972B1 KR 1020160061585 A KR1020160061585 A KR 1020160061585A KR 20160061585 A KR20160061585 A KR 20160061585A KR 101841972 B1 KR101841972 B1 KR 10184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bined
advertisement
original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846A (ko
Inventor
김종열
백성진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102016006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9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상기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유자 단말기에 공개하는 콘텐츠 공개부; 및 상기 공유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METHOD FOR PROVIDING COUPLING SERVICE OF CONTENTS AND ADVERTISEMENT AND COMPUTING DEVICE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8278호(2015.07.14.)(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바이럴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 1에서는 서비스 제공서버를 통해서 광고자의 랜딩 페이지 및 소문내기 버튼이 포함된 광고 모듈을 제공하며, 제1 사용자(이하 공유자)가 이러한 광고 모듈의 소문내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생성되는 가상 URL을 제2 내지 제n 사용자(이하 구독자)에게 퍼트릴 수 있다. 구독자의 가상 URL을 통한 참여 형태(클릭, 구매, 다운로드, 회원 가입 등)에 따라서 공유자는 광고자로부터 일정한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에 따르면 가상 URL에 따른 광고 배너와 랜딩 페이지는, 구독자에게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광고임을 직관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독자는 이러한 광고를 접하게 된 창구 역할을 한 공유자의 블로그, SNS 페이지, 채팅 앱 메시지 등을 기피하게 되고, 공유자는 광고 행위로 인한 자신의 블로그 등의 이미지 실추와 광고 행위로 인한 수입 사이에서 저울질하게 된다. 공유자는 이러한 이미지 실추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광고 제품에 대해서 추천 정보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노력과 이미지 실추는 공유자에게 있어 비용으로서 적용된다.
광고자는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가상 URL과 대응하는 광고 배너 및 랜딩 페이지를 재미있거나 유익하게 만들어 구독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나, 본질이 광고인 이상 이러한 과정 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국 물적 시간적 비용이 필요하게 되므로 모든 광고자가 같은 방법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8278호(2015.07.14.)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창작 영역과 광고 행위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창작자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구독자에게 주는 거부감 없이 광고자의 광고물을 공유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상기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하는 콘텐츠 공개부; 및 공유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의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제1 원본 콘텐츠 및 제1 광고물을 포함하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제1 광고자 계정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대응하는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한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하는 비용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공개부는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개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공개부는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가 클릭된 경우, 상기 콘텐츠 공개부를 통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가 2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상기 비용 금액 또는 게시 기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 광고물을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콘텐츠 관리부가 상기 결합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대응하는 창작자 계정에 상기 광고물에 대한 거부 권한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상기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하는 단계; 및 공유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제1 원본 콘텐츠 및 제1 광고물을 포함하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제1 광고자 계정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대응하는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한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개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상기 공개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가 클릭된 경우,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상기 비용 금액 또는 게시 기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 광고물을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대응하는 창작자 계정에 상기 광고물에 대한 거부 권한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콘텐츠 창작 영역과 광고 행위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창작자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구독자에게 주는 거부감 없이 광고자의 광고물을 공유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와 다른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창작자, 광고자, 공유자, 및 구독자가 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창작자 단말기가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창작자 단말기가 콘텐츠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창작자 단말기가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광고자 단말기가 광고물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광고자 단말기가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광고자 단말기가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에서 원본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공유자 단말기에 공개된 결합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외부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구독자 단말기에 공개된 공유자의 블로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와 다른 장치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작자 단말기(11), 광고자 단말기(12), 공유자 단말기(13), 구독자 단말기(14), 및 외부 컴퓨팅 장치(15, 16)에 연결된다.
컴퓨팅 장치(10)란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갖추고, 작성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틀어 의미한다. 휴대성에 따라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고, 연산 능력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서버(server)로 구분되기도 하고, 분담된 역할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 연산 서버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적어도 홈페이지의 일부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 능력을 갖춘 컴퓨팅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가 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 중계 서버, 연산 서버 등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집합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에 따라서 각 컴퓨팅 장치에 대한 특정한 역할 분담 없이도 그 연산 능력을 자원으로서 끌어다 쓰는 클라우드형 서버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컴퓨팅 장치(1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본질이 컴퓨팅 장치인 창작자 단말기(11), 광고자 단말기(12), 공유자 단말기(13), 구독자 단말기(14), 및 외부 컴퓨팅 장치(15, 16)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 콘텐츠 공개부(102), 콘텐츠 제공부(103), 및 비용 분배부(104)를 포함한다.
상술한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 콘텐츠 공개부(102), 콘텐츠 제공부(103), 및 비용 분배부(104)는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10)를 물리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단위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가 제1 서버,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가 제2 서버, 콘텐츠 공개부(102)가 제3 서버, 콘텐츠 제공부(103)가 제4 서버, 비용 분배부(104)가 제5 서버에서 각각 구현되고, 이러한 제1 내지 제5 서버를 통칭하여 컴퓨팅 장치(10)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 개의 컴퓨팅 장치가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 콘텐츠 공개부(102), 콘텐츠 제공부(103), 및 비용 분배부(104)를 기능적으로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기능부가 하드웨어적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것인지, 하드웨어적으로 동일하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것인지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보편화된 현 시점에서는 컴퓨팅 장치(1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구체적인 구성은 큰 의미가 없으며,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 콘텐츠 공개부(102), 콘텐츠 제공부(103), 및 비용 분배부(104)의 기능을 포함하는 지 여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당업자는 각각의 기능부를 통폐합하여 다른 이름을 붙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에 해당하는 지 여부는 기능부를 단순히 일대일 대비 판단할 것이 아니라, 전체로서 본 발명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는 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 콘텐츠 공개부(102), 콘텐츠 제공부(103), 및 비용 분배부(104)가 어떻게 기능하는 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11)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한다.
창작자(Contents Producer)는 웹툰 작가, 만화가, 화가, 소설가, 수필 작가, 사설 작가, 신문 기자, 디자이너, 요리사, 스포츠 선수, 가수, 연예인 등으로서 원본 콘텐츠를 창작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 프로그램 또는 기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창작자 단말기(11)는 창작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원본 콘텐츠(Original Contents)는 창작자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서 구독자의 흥미를 일으키는 일종의 내용물을 의미한다. 원본 콘텐츠는 글, 그림, 소리, 동영상 등 구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본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원본 콘텐츠는 창작자 단말기(11)에 직접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외부 서버, 플랫폼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원본 콘텐츠가 외부 컴퓨팅 장치(16)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원본 콘텐츠가 위치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창작자 단말기(11)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URL은 현재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쓰는 형태뿐만 아니라, 기술의 변화에 따라 채용되어 원본 콘텐츠의 위치를 직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주소를 통칭한다. 컴퓨팅 장치(10)는 원본 콘텐츠를 직접 저장하지 않으므로 저장 장치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원본 콘텐츠에 대한 연산(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도 외부 컴퓨팅 장치(16)에서 수행하게 되므로 연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한 실시예에서,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원본 콘텐츠가 파일(file)의 형태일 경우에는 창작자 단말기(11)로부터 직접 업로딩(uploading) 받아 원본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서, 창작자 단말기(11)로부터 사회 관념상 수용하기 힘든 원본 콘텐츠, 예를 들어 선정적인 콘텐츠가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로 전송되는 경우,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이를 자체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전송받은 원본 콘텐츠에 대해서 필터링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부정적인 결과가 도출된 원본 콘텐츠에 대해서는 보류 판정을 내릴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이러한 보류 판정이 내려진 원본 콘텐츠에 대해서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는 전송 받은 모든 원본 콘텐츠를 우선 등록 보류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원본 콘텐츠에 대한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Coupling Contents)를 생성한다.
광고자(Advertiser)는 특정한 상품, 서비스, 브랜드 등에 대한 광고물을 게재하고자 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 프로그램 또는 기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광고자 단말기(12)는 광고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광고물(Advertisement)은 광고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품, 서비스, 브랜드를 구독자가 식별할 수 있는 내용물을 의미한다. 광고물은 일반적으로 배너 광고(banner advertisement)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구독자가 배너 광고를 클릭하는 경우에 특정한 상품, 서비스, 브랜드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게재된 웹페이지, 또는 이를 구매할 수 있는 웹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물은 배너 광고 이외에, 원본 콘텐츠인 동영상에 삽입될 수 있는 영상 광고의 형태일 수도 있고, 팝업 광고의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고자 단말기(12)를 사용하는 광고자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에 저장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자신의 광고물과 부합한다고 생각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원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광고자는 원본 콘텐츠의 조회수, 공유수에 따라서 그 인기도를 가늠하여 광고물과 무관한 원본 콘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광고자의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고, 광고자가 광고자 단말기(12)를 조작하면, 광고자 단말기(12)는 결합 지정 요청을 전송한다.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가 결합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창작자 단말기(11)와 대응하는 창작자 계정(account)에 해당 광고물에 대한 거부 권한이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즉, 광고자에게는 자신의 광고물이 결합될 원본 콘텐츠를 선택할 권한이 있지만, 창작자에게는 자신의 원본 콘텐츠에 결합될 광고물에 대해 거부할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이로써 창작자는 광고물에 신경쓰지 않으면서 양질의(high quality) 원본 콘텐츠의 제작에 힘쓸 수 있고, 광고자는 원본 콘텐츠 사용에 있어서 창작자와 별도의 협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년 보호법을 위반하는 광고물 등 원본 콘텐츠의 가치를 심각하게 해치는 광고물에 대해서는 창작자가 창작자 단말기(11)를 이용하여 클레임(claim)을 제기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컴퓨팅 장치(10)를 운용하는 운영자가 적절한 클레임인지를 판단하여, 컴퓨팅 장치(10)에 해당 광고물을 삭제할 수도 있다.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가 광고물을 원본 콘텐츠와 결합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광고물이 배너 광고의 형태이고 원본 콘텐츠가 소설, 그림, 만화 등의 시각 자료인 경우,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배너 광고를 원본 콘텐츠의 하단에 위치시킴으로써 결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에 따라 배너 광고를 원본 콘텐츠의 상단에 위치시켜거나 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결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서, 원본 콘텐츠가 동영상의 형태인 경우,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광고물을 동영상의 시작 부분, 중간 부분, 마지막 부분 등의 위치에 삽입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과정은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광고자의 선택에 따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결합 과정은 결합 콘텐츠 제작 툴(Tool)로서 광고자 단말기(12)에 제공되어, 광고자가 자유롭게 결합 콘텐츠를 제작하여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에 결합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콘텐츠 공개부(102)는 원본 콘텐츠 및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할 수 있다. 콘텐츠 공개부(102)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작자 단말기(11), 광고자 단말기(12), 공유자 단말기(13), 및 구독자 단말기(14)에 원본 콘텐츠 및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개할 수 있다.
원본 콘텐츠 및 결합 콘텐츠는 카테고리(category) 별로 리스트(list)되어 단말기에 공개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전체, 스포츠, 게임, 건강, 여행, 요리, 기타 등으로 나눠질 수 있고, 구독자는 흥미를 유발시키는 카테고리에서 원본 콘텐츠 및 결합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는 일종의 문화 콘텐츠 포탈(Cultural Contents Portal)을 제공하게 되고, 구독자는 광고물과 무관하게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다. 구독자가 결합 콘텐츠를 구독하는 경우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구독하는 점에서, 비자발적으로 광고물을 접하게 되는 선행문헌 1과 큰 차이가 있다. 선행문헌 1의 경우 광고자의 랜딩 페이지를 읽기 위해서, 구독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콘텐츠 공개부(102)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공개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는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Contents thumbnail image), 콘텐츠 제목, 콘텐츠 내용 요약, 조회수, 공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는 광고물에 대한 내용을 일절 배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독자는 콘텐츠 요약 정보에 대해 어떠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요약 정보는 해당 콘텐츠가 원본 콘텐츠인지 결합 콘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자(indica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독자는 광고물에 대한 심한 거부감이 있는 경우, 표시자를 확인하고 광고물이 없는 원본 콘텐츠만 구독할 수도 있다.
콘텐츠 공개부(102)는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link)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독자가 콘텐츠 요약 정보의 일부를 클릭하게 되면, 콘텐츠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가 공개될 수 있다. 결합 콘텐츠의 경우 이러한 단계에서 광고물을 구독자에게 노출시키게 되는데, 구독자는 이러한 결합 콘텐츠를 구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기에 광고물에 대한 거부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03)는 공유자 단말기(13)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15) 또는 구독자 단말기(14)에 제공한다.
공유자(Sharer)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구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공유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 프로그램, 또는 기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공유자는 단순히 콘텐츠의 재미를 구독자에게 공유하기 위해 콘텐츠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공유에 따른 수익 금액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텐츠를 전달할 수도 있다. 공유자 단말기(13)는 공유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구독자(Reader)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에 흥미를 가지는 사람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 프로그램, 또는 기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구독자는 광고물에 대한 관심은 없는 사람일 수 있다. 구독자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구독하고 이를 다시 공유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독자는 공유자로 전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컴퓨팅 장치(10)는 수익 금액의 배분을 위한 계정 정보를 얻기 위해서 구독자 단말기(14)에 로그인(log-in)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의 다양한 목적에 의해 공유자 단말기(13)로부터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부(103)에 의해 외부 컴퓨팅 장치(15) 또는 구독자 단말기(14)에 제공된다. 이때 외부 컴퓨팅 장치(15)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블로그(Blog) 등이 운영되는 플랫폼 장치일 수 있다.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는 구독자 단말기(14)에 채팅앱(Chatting APP) 등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공유자는 결합 콘텐츠 뿐만 아니라, 원본 콘텐츠를 미리 공유할 수도 있다. 추후에 공유된 원본 콘텐츠에 광고물이 결합되어 결합 콘텐츠가 되는 경우, 공유자는 수익 금액을 배분받을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부(103)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요약 정보에서 광고물에 대한 정보는 배제될 수 있으므로, 공유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SNS나 블로그 등의 가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독자 단말기(14)에 표시된 콘텐츠 요약 정보가 구독자에 의해서 클릭(click)된 경우, 구독자 단말기(14)는 콘텐츠 공개부(102)와 접속하게 된다. 콘텐츠 공개부(102)는 클릭된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하게 된다. 콘텐츠 요약 정보가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콘텐츠 공개부(102)와 콘텐츠 제공부(103)에 의해서, 구독자는 문화 콘텐츠 포털 역할을 하는 컴퓨팅 장치(10)에 직접 자발적으로 접속하여 콘텐츠 요약 정보에 따른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구독하거나, 공유자에 의해 공유된 콘텐츠 요약 정보를 클릭하여 간접적으로 컴퓨팅 장치(10)에 접속함으로써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구독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는, 콘텐츠 제공부(103)에 의해 외부 컴퓨팅 장치(15) 또는 구독자 단말기(14)에 제공되고 제1 원본 콘텐츠 및 제1 광고물을 포함하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제1 광고자 계정(account)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원본 콘텐츠와 대응하는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한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하는 비용 분배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고자는 자신의 제1 광고물을 제1 원본 콘텐츠와 결합시켜 제1 결합 콘텐츠로서 구독자에 노출시킴에 대한 비용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비용 금액은 미리 또는 결합과 동시에 입금되어 데이터로서 제1 광고자 계정에 정보(데이터)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제1 광고자는 어떤 방식으로 비용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비용 인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공유자가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하고 구독자가 미리 결정된 비용 인정 방식에 따른 행위를 할 경우, 제1 광고자는 제1 원본 콘텐츠를 제작한 제1 창작자 및 이를 공유한 제1 공유자에게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용 분배부(104)는 미리 결정된 비용 인정 방식에 따라 제1 광고자 계정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한다. 이로써 창작자는 콘텐츠 제작에 대한 수입 금액을 획득할 수 있고, 공유자는 공유로 인한 광고 행위에 대한 수입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비용 금액 또는 게시 기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 제1 광고물을 제1 결합 콘텐츠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고자는 비용 금액을 더 지불하거나, 게시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제1 결합 콘텐츠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원본 콘텐츠를 눈여겨보고 있던 제2 광고자에 의해 제1 원본 콘텐츠와 제2 광고물이 결합되어 제2 결합 콘텐츠가 새롭게 생성될 수도 있다.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제1 광고자 및 제2 광고자의 경매 입찰 방식을 통해서 누구의 광고물을 제1 원본 콘텐츠에 결합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컴퓨팅 장치(10)가 각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웹 페이지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그 형태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창작자, 광고자, 공유자, 및 구독자가 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페이지의 상단부(301)에는 현재 페이지의 이름, 로그인 버튼, 및 회원가입 버튼이 있다. 홈페이지의 하단부(302)에는 콘텐츠 요약 정보(311, 312, 313, 314)가 리스트되어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311, 312, 313, 314)는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311a, 312a, 313a, 314a), 콘텐츠 제목, 공유수, 및 조회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콘텐츠 요약 정보(311, 312, 313, 314)의 리스트는 콘텐츠 공개부(102)에 의해 1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페이지 화면 및 콘텐츠 요약 정보(311, 312, 313, 314)에서는 광고물 정보가 일절 배제됨으로써, 콘텐츠의 구독을 원하는 구독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창작자 단말기가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홈페이지 화면에서 창작자가 로그인 버튼을 눌러서 로그인한 경우, 홈페이지의 상단부가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창작자 계정에 포함된 창작자의 아이디(ID)는 kim9203이고, 창작자 계정에 수입 금액으로 기록된 금액은 31,560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홈페이지의 상단부에는 콘텐츠 관리 버튼과 광고물 관리 버튼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도 4는 창작자가 로그인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지만, 광고자, 공유자, 구독자가 로그인한 경우에도 동일한 화면이 각자의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광고자 계정, 공유자 계정, 구독자 계정 각각에 대응하도록 아이디와 수익 금액이 표시될 것이다.
도 5는 창작자 단말기가 콘텐츠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화면에서 창작자가 콘텐츠 관리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창작자 단말기(11)가 콘텐츠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가 표시된다. 이러한 콘텐츠 관리 페이지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에 의해서 창작자 단말기(11)에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페이지의 상단부를 참조하면 새 콘텐츠 등록 버튼 및 홈 버튼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창작자가 홈 버튼을 클릭하면 창작자 단말기(11)는 도 4의 홈페이지 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다. 창작자가 새 콘텐츠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창작자 단말기(11)는 후술하는 도 6의 화면으로 접속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페이지의 하단부를 참조하면 창작자인 kim9203의 계정에 기록된 원본 콘텐츠의 콘텐츠 요약 정보(512, 513)가 도시된다. 콘텐츠 요약 정보(512, 513)는 각각 콘텐츠 요약 정보(312, 313)과 유사하나, 각각의 원본 콘텐츠에 대한 수익 금액(512a, 513a)을 보여주는 점에서 콘텐츠 요약 정보(312, 313)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창작자인 kim9203은 창작자 단말기(11)를 통해 콘텐츠 요약 정보(512, 513)을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원본 콘텐츠에 기인한 수익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512)와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는 광고물이 결합되어 결합 콘텐츠로 구독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요약 정보(513)와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는 광고자의 선택을 받지 못함으로써 광고물이 결합되지 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창작자인 kim9203은 콘텐츠 관리 페이지에서 콘텐츠 요약 정보(512, 513)를 선택하여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고, 정렬 방식을 선택하여 콘텐츠 요약 정보(512, 513)가 어떻게 리스트될 건지를 결정할 수 있고, 보기 방식을 선택하여 광고물이 결합된 콘텐츠 요약 정보(512)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은 창작자 단말기가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창작자인 kim9203이 도 5의 콘텐츠 관리 화면에서 새 콘텐츠 등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창작자 단말기(11)가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에 접속한 화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100)에 의해서 창작자 단말기(11)에 제공될 수 있다.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는 상단부에 콘텐츠 관리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는 콘텐츠 관리 버튼 및 홈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는 홈 버튼을 포함한다.
새 콘텐츠 등록 페이지의 하단부에는 콘텐츠 URL, 콘텐츠 제목, 콘텐츠 내용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폼(input form)이 존재하고,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찾기 버튼이 존재한다. 비록 도 6에서는 콘텐츠 URL만 기재하도록 되어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창작자 단말기(11)에 로컬 저장되어 있는 파일 형태의 원본 콘텐츠를 직접 업로딩하는 업로드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광고자 단말기가 광고물 관리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의 홈페이지 화면으로부터 광고자인 lee7702가 로그인하고, 도 4의 화면에서 광고자인 lee7702가 광고물 관리 버튼을 누른 경우의 광고물 관리 페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물 관리 페이지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에 의해서 광고자 단말기(12)에 제공될 수 있다.
광고물 관리 페이지의 상단부를 참조하면, 클릭시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로 이동하는 새 광고물 등록 버튼 및 클릭시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홈 버튼을 포함하고, 광고자인 lee7702의 광고자 계정에 기록된 비용 금액이 표시된다. 상단부에 표시된 비용 금액은 광고물에 투입되지 않은 지갑 금액일 수 있다.
광고물 관리 페이지의 하단부에는 광고물 요약 정보(720) 및 해당 광고물(720a)이 결합된 원본 콘텐츠의 콘텐츠 요약 정보(712)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물(720a)은 배너 광고의 형태일 수 있다. 광고물(720a)이 배너 광고가 아닐 경우, 광고물 썸네일 이미지가 대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물 썸네일 이미지는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선택적으로 업로드될 수 있고, 광고물로부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광고물 요약 정보(720)는 광고물(720a), 배정 비용, 지출 비용, 잔액, 잔여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광고자인 lee7702가 광고물(720a)에 대해서 50,000원을 비용으로 배정하고, 구독자의 비용 인정 방식에 따른 행위에 따라 창작자와 공유자에게 지출된 비용이 30,930원일 수 있다. 잔액은 배정 비용인 50,000원에서 30,930원을 차감한 19,070원일 수 있다. 광고자인 lee7702에 의해 미리 결정된 광고의 잔여 기간은 5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고자인 lee7702는 잔여 기간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7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712a)를 포함하며,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712a)는 광고물(720a)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도 8은 광고자 단말기가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고자인 lee7702가 도 7의 광고물 관리 페이지에서 새 광고물 등록 버튼을 클릭한 경우, 광고자 단말기(12)가 접속한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새광고물 등록 페이지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에 의해서 광고자 단말기(12)에 제공될 수 있다.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의 상단부는 도 7에 도시된 광고물 관리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한 광고물 관리 버튼, 홈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한 홈 버튼을 포함한다.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의 하단부의 좌측에는 카테고리 박스(890)가 표시되어 광고자인 lee7702가 광고물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카테고리 박스(890)는 전체, 스포츠, 게임, 건강, 여행, 요리, 기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카테고리에 따른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의 하단부의 우측에는 콘텐츠 요약 정보(811, 812, 813, 814)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광고자인 lee7702는 공유수, 조회수 등을 참조하여 광고물에 적합한 콘텐츠 요약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광고자 단말기가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에서 원본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에서 광고자인 lee7702가 콘텐츠 요약 정보(811)를 선택한 경우, 광고자 단말기(12)에 표시된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의 하단부는 선택된 콘텐츠 요약 정보(911)를 포함하고, 배정 비용, 단위 비용, 비용 인정 방식, 일일 제한 비용, 광고 게재 기간, 광고물 선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정 비용은 광고자인 lee7702가 해당 결합 콘텐츠에 배정하고자 하는 총 비용 금액이 입력된다. 입력된 배정 비용이 새 광고물 등록 페이지 상단부에 표시된 비용 금액보다 큰 경우에,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광고자 단말기(12)에 추가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비용 인정 방식은 클릭형, 클릭 및 체류형, 서비스 참여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릭형은 구독자가 광고물을 클릭할 때 마다 단위 비용이 지출되는 비용 인정 방식일 수 있다. 클릭 및 체류형은 구독자가 광고물을 클릭하고 일정 시간 광고 페이지에 체류했을 때 단위 비용이 지출되는 비용 인정 방식일 수 있다. 서비스 참여형은 구독자가 광고물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회원 가입을 하는 등의 서비스 참여 행위를 했을 경우에 단위 비용이 지출되는 비용 인정 방식일 수 있다. 광고자인 lee7702는 광고자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용 인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단위 비용은 비용 인정 방식에 따른 구독자의 행위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지출될 비용을 의미한다.
일일 제한 비용은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하루에 지나치게 광고 비용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고자인 lee7702가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광고자인 lee7702는 광고물 선택 란에서 찾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광고자 단말기(12)로부터 광고물(920)을 업로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고자인 lee7702는 하단의 등록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광고자 단말기(12)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에 결합 지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결합 콘텐츠 관리부(101)는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광고물(920)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시점부터, 콘텐츠 공개부(102)는 대상 콘텐츠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함에 있어서 원본 콘텐츠가 아닌 결합 콘텐츠로 공개하게 된다.
도 10은 공유자 단말기에 공개된 결합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홈페이지 화면에서 공유자인 park8809가 로그인하고 콘텐츠 요약 정보(311)를 클릭한 경우, 콘텐츠 공개부(102)에 의해 공유자 단말기(13)에 표시된 결합 콘텐츠(1010)가 구독 페이지의 하단부에 표시된다.
결합 콘텐츠(1010)는 콘텐츠 요약 정보(311)에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1001) 및 광고물(1002)을 포함한다.
공유자인 park8809의 공유 행위로 인한 현재 수입 금액이 구독 페이지의 상단부에 표시된다.
공유자인 park8809는 공유하기 박스(1020)에서 공유 방식을 선택하여, 결합 콘텐츠(1010)를 구독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공유 방식은 예를 들어 A사 채팅앱을 통한 공유, B사 블로그를 통한 공유, C사 SNS 페이지를 통한 공유, URL을 통한 직접 공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외부 컴퓨팅 장치를 통해서 구독자 단말기에 공개된 공유자의 블로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구독 페이지에서 공유자인 park8809가 공유 방식으로 B사 블로그를 선택한 경우, 구독자 단말기(14)에 표시되는 공유자인 park8809의 B사 블로그 페이지를 도시한다.
공유자인 park8809의 B사 블로그 페이지는, 공유자인 park8809의 공유 행위를 통해서, 블로그 페이지의 일부에 콘텐츠 요약 정보(1111)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콘텐츠 요약 정보(1111)는 콘텐츠 제공부(10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03)는 광고물에 대한 정보가 배제된 콘텐츠 요약 정보(1111)를 1차적으로 제공하므로, 공유자인 park8809는 자신의 B사 블로그 페이지의 이미지 실추 또는 신뢰도 저하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으면서도, 공유 행위 따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콘텐츠 요약 정보(1111)가 클릭된 경우, 콘텐츠 요약 정보(1111)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가 콘텐츠 공개부(102)를 통해서 2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는 전술한 선행문헌 1의 서비스와 큰 차이가 있다.
선행문헌 1의 서비스는 그 대상 주체가 크게 광고자 및 공유자로 구분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공하게 되는 서비스에서는 그 대상 주체가 크게 창작자, 광고자, 공유자, 및 구독자로 구분된다.
선행문헌 1의 서비스는 광고 행위 영역만 있거나, 광고 행위 영역과 콘텐츠 창작 영역이 분리되지 못하고 뒤섞임으로 인해서, 구독자에게는 광고물에 대한 거부감을 주고, 공유자에게는 광고물 게시 공간에 대한 가치 손상을 입히고, 광고자에게는 지불된 비용에 비해서 낮은 광고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구독자는 광고물에 거부감을 느끼므로 선행문헌 1의 서비스의 대상 주체라고 보기 힘들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콘텐츠 창작 영역과 광고 행위 영역을 명확히 구분함으로 인해서, 창작자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에 집중한 원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공유자의 공유 행위로 인해서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수익 금액을 획득할 수 있다. 공유자는 구독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물 게시 공간에 대한 가치 상승과 함께 광고 행위로 인한 수익을 누릴 수 있고, 구독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컴퓨팅 장치(10)에 직접 접속해서 구독하거나, 또는 공유자의 선별에 따라 간접적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에 따라, 광고자는 동일한 비용에 대해서 더 높은 광고 효과를 얻게 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컴퓨팅 장치
11: 창작자 단말기
12: 광고자 단말기
13: 공유자 단말기
14: 구독자 단말기
15, 16: 외부 컴퓨팅 장치
100: 원본 콘텐츠 관리부
101: 결합 콘텐츠 관리부
102: 콘텐츠 공개부
103: 콘텐츠 제공부
104: 비용 분배부

Claims (20)

  1.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본 콘텐츠 관리부;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광고자에 의해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상기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결합 콘텐츠 관리부;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하는 콘텐츠 공개부; 및
    공유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의해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제1 원본 콘텐츠 및 제1 광고물을 포함하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제1 광고자 계정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대응하는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한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하는 비용 분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콘텐츠 관리부는 결합 콘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대응하는 창작자 계정에 상기 광고물에 대한 거부 권한이 주어지지 않고,
    상기 콘텐츠 공개부는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개함에 있어서, 광고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해당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공개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개부는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가 클릭된 경우,
    상기 콘텐츠 공개부를 통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가 2차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상기 비용 금액 또는 게시 기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 광고물을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로부터 제거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10. 삭제
  11.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복수의 창작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결합 지정 요청에 의해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중 광고자에 의해 지정된 원본 콘텐츠와 상기 광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광고물을 결합하여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및 상기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네트워크에 공개하는 단계; 및
    공유자 단말기에 의해 공유 요청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 또는 상기 구독자 단말기에 제공되고, 제1 원본 콘텐츠 및 제1 광고물을 포함하는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제1 광고자 계정에 포함된 비용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대응하는 제1 창작자 계정의 수입 금액 및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를 공유한 제1 공유자 계정의 수입 금액에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창작자 단말기와 대응하는 창작자 계정에 상기 광고물에 대한 거부 권한이 주어지지 않고,
    상기 공개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공개함에 있어서, 광고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해당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공개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공개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콘텐츠 요약 정보를 1차적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가 클릭된 경우,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와 링크된 원본 콘텐츠 또는 결합 콘텐츠를 2차적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요약 정보는 대응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콘텐츠에 대해서,
    상기 제1 광고물과 대응하는 상기 비용 금액 또는 게시 기간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제1 광고물을 상기 제1 결합 콘텐츠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 제공 방법.

  20. 삭제
KR1020160061585A 2016-05-19 2016-05-19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KR10184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85A KR101841972B1 (ko) 2016-05-19 2016-05-19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85A KR101841972B1 (ko) 2016-05-19 2016-05-19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46A KR20170130846A (ko) 2017-11-29
KR101841972B1 true KR101841972B1 (ko) 2018-03-27

Family

ID=6081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585A KR101841972B1 (ko) 2016-05-19 2016-05-19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128B1 (ko) * 2020-04-06 2022-01-2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4129B1 (ko) * 2020-04-06 2022-01-2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0176B1 (ko) * 2020-12-23 2021-06-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846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farb et al. Digital economics
TWI479340B (zh) 伺服器裝置、電子裝置、電子書提供系統、電子書提供方法、電子書顯示方法及程式
US8745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teractive systems with social networks and media playback devices
KR100807873B1 (ko) 응답 시간에 따라 차등적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운영 방법
US20120323704A1 (en)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US20130117131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inserting/overlaying markers, data packets and objects relative to viewable content and enabling live social networking, n-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s and/or other value derivable from the content
US20080163379A1 (en) Method of inserting/overlaying markers, data packets and objects relative to viewable content and enabling live social networking, N-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s and/or other value derivable from the content
CN107004005A (zh) 可定制的数据管理系统
CN101689174A (zh) 通过推荐引擎进行选择性媒体访问
US20140289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 users to comment on webpage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DE202012013660U1 (de) Container Software zum viralen Kopieren von einem Endpunkt zum Anderen
US20150081465A1 (en) Fitness, health and wellness social e-commerce platform
CN103097987A (zh) 提供视频剪辑的系统和方法及其创建
WO2013013057A1 (en) Enhanced world wide web-based communications
CN102084386A (zh) 利用数字内容关联元信息的关键字广告方法及其关联系统
CA28302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US20120158478A1 (en) Market research and consumer ad revenue share system
US20150127405A1 (en) State-of mind, situational awareness engine apparatus and method
Tiwary Amazon prime video: A platform ecosphere
CN107851261A (zh) 用于提供相关广告的方法和系统
US2010015317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rinsic value provided to internet users by selected web sites
CN107209731A (zh) 对广告用动态图像的发布进行管理的系统、方法以及程序
KR101841972B1 (ko) 콘텐츠 및 광고의 결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US20100153178A1 (en)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trinsic value provided to internet users by selected web sites
CN102027501A (zh) 媒体的选择和个性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