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00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005B1
KR101841005B1 KR1020110082150A KR20110082150A KR101841005B1 KR 101841005 B1 KR101841005 B1 KR 101841005B1 KR 1020110082150 A KR1020110082150 A KR 1020110082150A KR 20110082150 A KR20110082150 A KR 20110082150A KR 101841005 B1 KR101841005 B1 KR 10184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service
relat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988A (ko
Inventor
한금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20162504 priority Critical patent/EP2530950A1/en
Priority to US13/487,674 priority patent/US9397889B2/en
Publication of KR2012013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또는 삭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단과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DISPLAY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해당 서비스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한다. 최근 다양한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에 많이 제공되기에,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 역시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다운로드되어 설치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는 엄청난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만, 사용자는 상기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서비스를 향유하기 위하여 상기 스토어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찾아서 다운로드하여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는 UI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UI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UI는 서비스 제공장치(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특화되어 있기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특정 서비스 제공장치(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위한 펌웨어를 통하여 UI를 생성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장치(또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따라 펌웨어를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서비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 및 실행하거나 상기 특정 서비스와 연관되지 않은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를 자동으로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단과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대응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User Interface)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제공부를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UI 제공부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대응 서비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의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설치 및 실행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User Interface)이고,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의 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설치 및 실행단계는, 상기 수신한 UI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를 설치 및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UI 제공부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서버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어느 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설치 및 실행하거나 상기 특정 서비스 수행과 관련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부의 저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UI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 서비스 제공장치(3), 외부서버(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비스 제공장치(3) 또는 외부서버(2)와 소정의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부를 통하여 각종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비스 제공장치(3)로부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서버(2)로 전송하고, 외부서버(2)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한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을 실행시킨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특정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UI를 포함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설치된 서비스 구현수단을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2)로 전송하고, 외부서버(2)로부터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를 포함하는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 및 실행시켜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에 대응하는 소정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텔레비전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지털 TV 또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3)와 연결되어 있는 IPTV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소정의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를 포함하는 서비스 구현수단을 설치 및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PC, 넷북, 태블릿 PC, PMP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전자장치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기능은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서버(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외부서버(2)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0)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0)와, 데이터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통신을 주관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장치(3)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되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로서,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또는 IPTV 방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인터넷 제공 서비스; 인터넷 전화 제공 서비스; 영화, 음악, 게임, 쇼핑 등 엔터테인먼트 제공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따라 서로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에 대한 제어블록도인 도 2와 외부서버(2)에 대한 제어블록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와 외부서버(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통신부(110), 제1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입력부(140) 및 제1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서버(2)는 제2통신부(210), 제2저장부(220), 및 제2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10)는 서버(2)의 제2통신부(210) 및 서비스 제공장치(3)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통신부(110)는 서비스 제공장치(3)로부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2)로 전달하고, 서버(2)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식별번호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은 소정 서비스와 연관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정보 및/또는 상기 UI 관련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예를 들어, URL 주소)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1통신부(110)는 서버(2)의 제2통신부(210)로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로부터 상기 전송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전송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 주소)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120)는 제1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부(120)는 관련정보(121), 어플리케이션(122) 및 UI 제공부(123)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련정보(121)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의 관련정보 및 상기 관련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5 참조).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설치된 UI 제공부(123)의 관련정보 및 리스트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22)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12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면, 그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UI 제공부(123)는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UI 관련정보에 따라 다운로드 또는 설치되는 UI 제공부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수신부로부터 소정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통하여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처리된 소정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위한 아이콘(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라 그 실행 여부 및 실행 과정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기능 또는 작동과 관련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또한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되는 조작패널 또는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 키보드, 마우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상기 기재한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제1제어부(150)의 제어동작은 하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서버(2)의 제2통신부(210)는 제1통신부(110)로부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의 관련정보를 제1통신부(110)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21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고유정보 및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서버(2)의 제2통신부(210)는 제1통신부(110)로부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수신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제1통신부(110)로 전송한다.
서버(2)의 제2저장부(220)에는 서비스 제공장치(3)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 및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의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서, 서비스 제공장치(3)는 고유정보 및 디스플레이장치(1)에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는 서비스 제공장치(3)에서 제공하는자 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 및/또는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 관련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저장부(22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장치(3)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 및 상기 각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제2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소정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 중 상기 수신된 고유정보와 일치되는 것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고유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2저장부(220)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 종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소정의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제어부(230)는 제2통신부(210)로 전송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한다.
또는 제2통신부(210)로 전송되는 서비스 종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동작 흐름도이다.
서비스 제공장치(3)는 해당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 및 /또는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 관련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또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정보,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예를 들어, URL 주소) 및/또는 소스코드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 서버(2)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개별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구현수단 관련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도 4는 서버(2)로부터 소정 서비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장치(3)가 있는지를 검출하고, 만약 있다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요청한다.
서비스 제공장치(3)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식별번호 및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를 외부서버(2)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2)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2)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목록화하여 제1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은 특정 서비스(서비스 1)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목록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포함된 특정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만을 수집하여,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다.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기준으로서, 상이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있으면, 이는 자동적으로 삭제한다. 만약,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신규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를 수행하고,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또는 소스코드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는 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바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삭제 또는 자동 설치에 대응하여 제1저장부(120)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설정된 조건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가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의 예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되는 서비스 제공장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기존에 제공된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새로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새로운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로부터 상기 새로운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이전 서비스 제공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자동적으로 모두 삭제하고, 상기 수신한 새로운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서버(2)가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UI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한다.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3)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제공부(123)의 설치에 필요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예를 들어, URL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2)로부터 수신한 UI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UI 제공부(123)를 자동적으로 설치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장치(3)가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UI 제공부(123)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배너, EPG, 채널 리스트 등과 같은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I 제공부(123)에 의하여 제공되는 UI는 GUI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현실에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존재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장치(3)는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대응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따라 서로 다른 디자인, 형태, 구성, 종류 등을 갖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현재 연결된 특정 서비스 제공장치(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장치)의 고유정보만 획득하면, 서버(2)로부터 상기 획득한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에 특화된 UI를 제공할 수 있는 UI 관련정보를 획득하여 UI 제공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기존과 다른 서비스 제공사업자로부터 부여된 서비스 제공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절차를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특화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교체되더라도, 서비스 제공 사업자에 특화된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펌웨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6은 서비스 제공 사업자별 특화된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장치(1-1)에 제1 서비스 제공장치(3-1)가 연결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1서비스 제공장치(3-1)로부터 수신한 고유정보를 외부 서버(2)로 전송하여,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한고, 상기 UI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UI 제공부(123)를 설치한다. 상기 UI 제공부(123)는 상기 제1서비스 제공장치(3-1)에 특화된 UI를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UI가 EPG를 제공하는 것이면,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EPG를 표시하라는 사용자 선택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UI 제공부(123)에 의하여 제공되는 UI로서, 제1 서비스 제공장치(3-1)에 특화된 EPG 디자인 1을 표시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장치(1-2)에 제2서비스 제공장치(3-2)가 연결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2)는 UI 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UI로서, 제2 서비스 제공장치(3-2)에 특화된 EPG 디자인 2를 표시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3)에 제3서비스 제공장치(3-3)가 연결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3)는 UI 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UI로서, 제3 서비스 제공장치(3-3)에 특화된 EPG 디자인 3을 표시한다.
만약 디스플레이장치(1-1)에 연결되는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1서비스 제공장치(3-1)에서 제3서비스 제공장치(3-3)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장치(1-1)는 제3서비스 제공장치(3-3)로부터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로부터 제3서비스 제공장치(3-3)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1)은 기 설치된 제1서비스 제공장치(3-1)에 대응하는 UI 제공부를 삭제하고, 새로이 수신한 제3서비스 제공장치(3-3)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에 대응하는 UI 제공부를 설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EPG 표시를 요청받으면, 제3 서비스 제공장치(3-3)에 특화된 EPG 디자인 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외부 서버(2)에는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서비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등록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서비스를 중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가 자동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서비스를 표시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도록 한다. 이는 GUI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는,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는 SNS, EPG 제공기능, 방송 프로그램 관련 표시기능, 채널표시기능 등 아주 다양하며, 상기 기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버(2)로 전달한다. 서버(2)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한다. 사용자가 만약 SNS 서비스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SNS에 대한 정보를 서버(2)로 전달하고, 서버(2)는 제2저장부(220)로부터 SNS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기준으로서, 상이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있으면, 이는 자동적으로 삭제한다. 만약,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3)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신규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대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를 수행하고, 설치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기설정된 조건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자동 삭제 또는 설치 및 실행의 과정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간략히 기재하였다.
하기에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의 일 예를 기재한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원 온/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가 상기 도 4 또는 도 6 과정에 의하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외부 입력 영상 소스에 따라 상이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가정한다. HDMI 1, HDMI 2 등의 외부 영상 소스를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로, HDMI 1의 외부 영상이 수신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수신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상기 HDMI 1에 대응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된 서비스 제공장치(3)가 STB로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STB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두 리모트 컨트롤러를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장치(3)의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STB(즉, 서비스 제공장치)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장치(1)이 상기 도 4의 과정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장치(1)가 디스플레이장치(1) 전용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채널 업/다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실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한 채널 업/다운 신호를 STB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 포맷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채널 업/다운 신호를 STB로 전송하여, STB가 채널 업/다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기능 또는 서비스에 따라,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한 예들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라 아주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고, 또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설정된 조건에서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서버(2)로부터 서비스 제공장치(3)에 대응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하여, UI 제공부(123)를 설치한 경우, 사용자 입력부(140)의 특정 키 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50)는 UI 제공부(123)를 실행시켜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가 생성 및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40)로부터 전원 온 키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현재 연결된 서비스 제공장치(3)에 특화된 UI가 생성 및 표시되도록 UI 제공부(123)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디스플레이장치 2: 서버
3: 서비스 제공장치
110, 210: 통신부 120, 220: 저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사용자 입력부
150, 230: 제어부

Claims (3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UI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UI와 관련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한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외부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UI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대응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UI 관련정보는,
    상기 UI와 관련된 소스코드정보, 또는 상기 소스코드정보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2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외부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8.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서버로부터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어느 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와 상기 저장된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기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정보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정보,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 및 상기 목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코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KR1020110082150A 2011-06-02 2011-08-1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KR10184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20162504 EP2530950A1 (en) 2011-06-02 2012-03-30 Display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for installing applications for services
US13/487,674 US9397889B2 (en) 2011-06-02 2012-06-04 Display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31 2011-06-02
KR20110053231 2011-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88A KR20120134988A (ko) 2012-12-12
KR101841005B1 true KR101841005B1 (ko) 2018-05-04

Family

ID=4790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150A KR101841005B1 (ko) 2011-06-02 2011-08-18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0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88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60191B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software and firmware objects available for download over a network such as a cable television system
US8195824B2 (en) User service profile-based plug-i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JP2017204874A (ja) 画像受信装置
US20130174193A1 (en) Display system, televis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application implementing thereof
CN107277241B (zh) 电子设备、控制其的用户输入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379370A (zh) 智能型电视系统、智能型电视、移动装置及输入操作方法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60527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機能拡張方法
US89432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an appliance
US10037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and web browser
CN113766329B (zh) 播放请求处理方法及显示设备
US9081636B2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07372A (zh) 电视应用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70128911A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US9397889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WO2018136418A1 (en) Application dependent remote control
KR1018410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구현되는 방법
EP25978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provid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41691B1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dget
KR1025272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2052498B1 (ko) 리모콘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7349A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JP5554642B2 (ja) 画面制御システム、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06793A1 (en) Osd subject file obtaining and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pdating system
EP2339824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ents supplying system, and contents supply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