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724B1 -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724B1
KR101840724B1 KR1020110124389A KR20110124389A KR101840724B1 KR 101840724 B1 KR101840724 B1 KR 101840724B1 KR 1020110124389 A KR1020110124389 A KR 1020110124389A KR 20110124389 A KR20110124389 A KR 20110124389A KR 101840724 B1 KR101840724 B1 KR 10184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data
server
stored
print job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398A (ko
Inventor
오승희
오병운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724B1/ko
Priority to US13/613,934 priority patent/US20130135667A1/en
Priority to EP12193523.3A priority patent/EP2597564A3/en
Publication of KR2013005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5Printing by reference, e.g. retrieving document/image data for a job from a source mentioned in the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인쇄 작업의 요청에 대해서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인쇄 데이터만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인쇄하는 풀 프린팅 방식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동일한 인쇄 작업의 요청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중복 전송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지연 또는 스토리지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Method for printing by using a way of pull print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the same}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전송을 요청하는 풀 프린팅 방식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고속 인터넷망이 구축되고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장치들도 널리 보급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외부 저장공간 예를 들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하고, 접근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PC(Personal Computer)에서 사용자가 인쇄 명령을 내리면, PC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하는 푸쉬 프린팅(Push Printing) 방식의 인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통신 및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통적인 푸쉬 프린팅(Push Printing) 방식의 인쇄뿐만 아니라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의 인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의 인쇄란 사용자가 PC에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인쇄 데이터의 위치를 화상 형성 장치에 알려주면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데이터를 외부에서 가져와 인쇄하는 방식을 말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만 저장하고 있는 경우, 이후 동일한 인쇄 작업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인쇄 데이터만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인쇄하는 풀 프린팅 방식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 방법은,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토리지(storage)에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미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의 인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와 통신하여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으로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미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후 동일한 인쇄 작업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전송함으로써 야기되는 시간 지연 또는 스토리지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으로 인쇄가 이루어질 때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화상 형성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새로 받기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어 받기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버전 체크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인쇄 중단 처리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환경을 이용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10), 화상 형성 장치(120) 및 사용자 단말기(130)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의 인쇄 환경에서 화상 형성 장치(120)와 사용자 단말기(130)의 사이에서 통신을 중개한다. 서버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120) 및 사용자 단말기(130)와 통신이 가능하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120)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3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서버(110)에 여러 사람이 접근하여 인쇄 요청을 할 수 있고,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130)로 전송되어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요청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로서, 랩톱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말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로 직접 인쇄 작업을 요청하고,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푸쉬 프린팅(Push Printing) 방식의 인쇄와 달리, 사용자 단말기(120)는 서버(110)를 통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하고,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란 인쇄 매수, 인쇄용지의 사이즈 등과 같은 인쇄 옵션 정보를 말한다.
화상 형성 장치(1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110)로부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합기, 팩스기 등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으로 인쇄가 이루어질 때 사용자 단말기(130), 서버(110) 및 화상 형성 장치(120)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30)와 서버(110)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210 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뉴에서 인쇄 옵션을 선택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30)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준비한다.
22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한다.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230 단계에서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포맷 형식이 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서버(110)는 화상 형성 장치(120)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란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 서버(110)에 접근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접근 권한 정보 등을 말한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와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때,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지는 않는다. 즉, 24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20)로 전송하기 전에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만을 화상 형성 장치(120)로 먼저 전송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20)에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20)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송을 막고, 인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240 단계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 전송에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25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20)는 240 단계에서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인쇄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 요청이 있었는지 및 인쇄 작업에 관련된 인쇄 데이터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 저장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동일한 인쇄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의 요청이 있었는지는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고,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 저장하고 있는지는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인쇄 작업에 대해 이전에 요청받은 적이 있어서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화상 형성 장치(120)에서 저장하고 있다면, 서버(1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없이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6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2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서버(110)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20)에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일부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화상 형성 장치(120)는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2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대해서 이전에 요청받은 적이 없다면 서버(110)에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270 단계에서 서버(110)는 화상 형성 장치(120)로부터 요청받은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20)에 전송한다. 이때,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28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300)는 제어부(310), 통신 인터페이스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스토리지(340), 화상 형성부(350), 전원 공급장치(36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기능을 하는 스캔부나 팩스 기능을 하는 팩스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각 기능에 따라 분리된 복수의 프로세서들과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메인 프로세서로 나눌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스토리지(340)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거나, 스토리지(340)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스토리지(340)로부터 로딩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던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35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10)는 전원 공급장치(3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고, 이때, 전압은 3.3 볼트[V] 또는 5 볼트[V]의 직류 전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기능에 따라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300)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장치로서 서버, 랩톱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팩스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화상 형성 장치(3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340)는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 이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34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 제어에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스캔 데이터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350)는 화상을 형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35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 가능한 형식이 아니면 이를 인쇄 가능한 형식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부(350)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유닛들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350)는 전원 공급장치(36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의하여 동작가능하며, 이때 전압은 12 볼트[V] 또는 24 볼트[V]의 직류 전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장치(360)는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변압기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적정한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므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주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240 단계 내지 280 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흐름도이다.
4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3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서버(11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란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옵션 정보와 같은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 등을 함께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이후에 별도로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42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이전에 요청한 인쇄 작업과 동일한 인쇄 작업을 요청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300)의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인쇄 데이터들 중에 어느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인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또는 인쇄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110) 내에서의 저장 위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430 단계로 진행하고,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440 단계로 진행한다.
43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새로 받기 모드를 수행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430 단계에 해당하는 새로 받기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51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서버(110)에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한다.
52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수신한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FTP(File Transfer Protocol)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 즉, 식별 정보와 전체 크기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저장 완료 정보가 유효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하고 이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44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전에 동일한 인쇄 작업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적이 있다 하더라도 스토리지(340)에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버(110)와 화상 형성 장치(300) 간의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인쇄 작업을 취소하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는 일부 인쇄 데이터만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스토리지(340)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 중에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인쇄 데이터의 크기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410 단계에서 제어부(310)가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된 경우,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저장 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저장 완료 정보는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하는 경우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저장 완료를 나타내는 유효한 값을 가지나, 그렇지 않은 경우 NULL과 같은 유효하지 않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저장 완료 정보가 유효한 값을 가지는지 여부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450 단계로 진행하고,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460 단계로 진행한다.
45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중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인쇄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어 받기 모드를 수행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450 단계에 해당하는 이어 받기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61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중에서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서버(110)에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서버(110)에 전송을 요청할 인쇄 데이터의 식별 정보, 인쇄 데이터에서 전송을 요청하고자 하는 시작 부분과 전송을 요청하는 인쇄 데이터의 사이즈를 서버(110)로 전송함으로써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일부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막고, 인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620 단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300) 내의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FTP(File Transfer Protocol)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 즉, 특히 변경된 전체 크기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버(110)로부터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게 되므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저장 완료 정보를 유효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하고, 저장 완료 정보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46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스토리지(340) 내에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체크한다. 이는 동일한 인쇄 작업 요청이라 하더라도 이전의 인쇄 작업 요청과 현재의 인쇄 작업 요청 사이에 인쇄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터넷망을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풀 프린팅(Pull Printing) 방식의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서버(110)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접근하여 인쇄할 수 있고, 내용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될 가능성이 크다. 이를 위해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버전 체크 모드를 수행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460 단계에 해당하는 버전 체크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71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 전송을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의 전송을 서버(110)에 요청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송 요청에 따라 서버(110)로부터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만약 410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710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72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비교한다. 두 버전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따라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의 형태도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식별 정보로 버전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식별 정보와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는 버전 식별 정보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을 비교하는 방식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서버(1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된 시간을 함께 수신하여 스토리지(340)에 인쇄 데이터와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된 시간을 함께 저장한다. 화상 형성 장치(300)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인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을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과 비교한다.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이 화상 형성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과 다르다면, 인쇄 데이터의 버전이 변경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는 인쇄 데이터의 최종 수정 시간이다.
버전을 비교한 결과,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이 서로 동일하면 버전 체크 모드는 종료된다. 하지만,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이 서로 다르면 730 단계로 진행한다.
73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인쇄 데이터의 버전이 서로 다르므로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와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판단하는데, 상기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되 일부 내용이 추가된 것인지 판단한다.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가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변경함이 없이 단순히 일부 내용만 추가된 경우라면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된 인쇄 데이터만 전송 받으면 되기 때문이다.
인쇄 데이터의 추가인지 판단하여, 추가인 경우면 740 단계의 이어 받기 모드로 진행하고, 추가 이외의 변경 요소가 있다면 750 단계의 새로 받기 모드로 진행한다.
740 단계에서 이어 받기 모드가 수행되는데 이는 도 6에 도시된 이어 받기 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인쇄 데이터의 추가된 내용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즉, 제어부(310)는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추가된 부분에 해당하는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서버(110)에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의 전송 요청에 따라 서버(110)로부터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추가된 부분에 해당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추가된 인쇄 데이터의 저장에 의해 변경되는 전체 크기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750 단계에서 새로 받기 모드가 수행되는 이는 도 5에 도시된 새로 받기 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서버(110)에 요청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를 제어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송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서버(11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수신한다. 제어부(31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 전체를 스토리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인쇄 데이터에 대한 정보 즉, 식별 정보와 전체 크기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47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스토리지(34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로딩하여 화상 형성부(350)에 전달한다. 도 4의 430 단계에 해당하는 새로 받기 모드와 도 4의 450 단계에 해당하는 이어 받기 모드의 경우,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즉시 순서대로 로딩되어 화상 형성부(350)에 전달될 수도 있고, 인쇄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저장이 완료된 후에 로딩되어 화상 형성부(350)로 전달될 수도 있다.
480 단계에서 화상 형성부(350)는 전달받은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350)는 PDF와 같은 인쇄 가능한 형식의 인쇄 데이터와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받은 인쇄 매수, 인쇄 용지의 사이즈 등과 같은 인쇄 작업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도 4의 450 단계에 해당하는 이어 받기 모드에서 스토리지에 미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서버(110)에 전송 요청하는 것과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던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49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화상 형성부(350)에서 인쇄 작업이 중단되는지 살피고, 이에 따라 대응 조치를 취하는 인쇄 중단 처리 모드를 수행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490 단계에 해당하는 인쇄 중단 처리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810 단계와 82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화상 형성부(350)에 의해 인쇄가 수행되면 인쇄 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될 때까지 인쇄 중단 여부를 감지한다. 인쇄 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인쇄 중단 처리 모드 역시 종료된다. 하지만 인쇄 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기 전에 인쇄가 중단 되면 830 단계로 진행한다.
830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인쇄 중단을 감지하면 인쇄 중단에 따른 조치를 취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430 단계의 새로 받기 모드 또는 도 4의 450 단계의 이어 받기 모드에 따라 서버(11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던 중 서버(110)와 화상 형성 장치(300) 간의 통신 연결이 끊긴 경우, 서버(110)에 통신 연결이 끊긴 이후의 인쇄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으며, 이때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체 인쇄 데이터 중에서 어느 부분까지 인쇄가 되었는지 또는 다시 인쇄 작업을 요청할 것인지 등의 중돤된 인쇄 작업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30)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 화상 형성 장치
310 ... 제어부
320 ... 통신 인터페이스부
3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40 ... 스토리지
350 ... 화상 형성부
360 ... 전원 공급장치

Claims (15)

  1. 사용자 단말기,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 환경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인쇄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인쇄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음 - 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스토리지(storage)에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미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버전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수신된 전체 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전체 크기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인 인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저장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비교시에,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버전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일부라고 판단된 경우, 추가된 부분에 해당하는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부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이 중단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이 중단된 경우, 상기 통신 중단에 따라 전송이 중단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중단된 인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3 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사용자 단말기,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와 통신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 환경에서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인쇄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음 - 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가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미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 전체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을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버전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버전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쇄 작업에 필요한 인쇄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124389A 2011-11-25 2011-11-25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84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89A KR101840724B1 (ko) 2011-11-25 2011-11-25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13/613,934 US20130135667A1 (en) 2011-11-25 2012-09-13 Printing method using pull printing techniqu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2193523.3A EP2597564A3 (en) 2011-11-25 2012-11-21 Printing method using pull printing techniqu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89A KR101840724B1 (ko) 2011-11-25 2011-11-25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398A KR20130058398A (ko) 2013-06-04
KR101840724B1 true KR101840724B1 (ko) 2018-03-22

Family

ID=475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389A KR101840724B1 (ko) 2011-11-25 2011-11-25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35667A1 (ko)
EP (1) EP2597564A3 (ko)
KR (1) KR101840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1691B2 (ja) * 2015-08-31 2019-08-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KR102486704B1 (ko) 2016-01-15 2023-01-10 엘에스일렉트릭(주) 감시제어데이터수집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및 서버
JP6548090B2 (ja) * 2016-11-22 2019-07-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7240246B2 (ja) * 2019-05-15 2023-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と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175A1 (en) * 2001-07-09 2003-01-09 Kunikazu Tsuda Printing system, printing method, data server,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7259127A (ja) * 2006-03-23 2007-10-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806A (ja) * 2003-05-29 2004-12-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45858B2 (ja) * 2007-08-28 2009-10-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サーバ装置、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862933B2 (ja) * 2009-09-18 2012-01-2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175A1 (en) * 2001-07-09 2003-01-09 Kunikazu Tsuda Printing system, printing method, data server,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7259127A (ja) * 2006-03-23 2007-10-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5667A1 (en) 2013-05-30
KR20130058398A (ko) 2013-06-04
EP2597564A2 (en) 2013-05-29
EP2597564A3 (en)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939B2 (en) Application delivering system
JP5685981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課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42138B2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performing printing in a direct wireless manner
US93695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being able to utilize application in which web browser is used
US8405859B2 (en) Output instruction apparatus and output instruction program
US201102310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etwork system, and power-saving control method
EP2395423A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KR101467646B1 (ko) 정보 처리 장치, 웹 서버,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2099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873080B2 (en) Image forming device generating screens for remote and local acces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197771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20140111821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20120050777A1 (en) Multifunction apparatus
US20140111820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101840724B1 (ko) 풀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20110299117A1 (en) Apparatus that transmits job data to terminal,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071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11183628B (zh) 成像设备及其操作方法、可读记录介质
US114227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hanging printing orders according to streng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US10602005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lectronic file
JP7156446B2 (ja) サーバ、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4603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6972884B2 (ja) 印刷指示装置
JP573288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46026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