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871B1 - Variable door handle - Google Patents

Variable door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871B1
KR101839871B1 KR1020160083027A KR20160083027A KR101839871B1 KR 101839871 B1 KR101839871 B1 KR 101839871B1 KR 1020160083027 A KR1020160083027 A KR 1020160083027A KR 20160083027 A KR20160083027 A KR 20160083027A KR 101839871 B1 KR101839871 B1 KR 10183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etachable
detachable portion
doo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3338A (en
Inventor
정선우
이동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87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a handle provided on a door; And a handle portion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etachable portion and spaced from the handle.

Description

가변형 도어 핸들{VARIABLE DOOR HANDLE}Variable door handle {VARI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에 착탈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oor handle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handle provided on a door.

출입구에 마련된 도어(door)에는 잠금 장치로서 도어록이 설치될 수 있다. Door locks may be provided on the door provided at the doorway.

도어의 내측에는 잠김 버튼을 가압함에 따라 도어록을 로킹시키는 내측 핸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의 외측에는 키(key)의 조작에 의해 도어록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외측 핸들이 마련될 수 있다.An inner handle for locking the door lock by pressing the locking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and an outer handle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lock by operating a key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oor.

이때, 전술한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의 형상이 구 또는 타원 형상을 갖게 되므로, 도어를 여닫기 위해 손잡이를 파지하여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 미끄러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단점은 손잡이를 파지하는 힘이 약한 유아나 노약자의 경우에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inner handle and the outer handle have a spherical or elliptical shape, the grip is grasp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slips when rotated within a set angle range. This disadvantage can be serious in the case of infants or elderly people with weak hand grip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6호에는 실내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문 손잡이가 개시되고 있으나, 구 형상의 손잡이에 대한 파지 문제의 해결책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43386 discloses a door handle whose color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indoor space. However, there is no solution to the problem of gripping the spherical handl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43386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의 조작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가변형 도어 핸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door handle for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door hand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a handle provided on a door; And a handle portion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etachable portion and spaced from the handle.

상기 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지지되는 축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때,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 방향 상으로 상기 손잡이에 구속되게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Wherein when the handle is rotatably formed with the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door as a rotation axis, the detachable portion is fixedly attached to the handle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portion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의 손잡이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마련되므로, 도어에 설치된 기존 도어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door, so that the movable door handle can be easily mounted on an existing door provided on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의 손잡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착탈부로부터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핸들부는 지지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손잡이에 대해 지렛대로 기능하므로, 사용자는 핸들부의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도어의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Further,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r-shaped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detachable portion so as to be spaced from the handle of the door. The handle portion spaced from the handle of the door functions as a lever for the hand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i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handle of the doo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특히,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의 손잡이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구 형상의 손잡이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에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사용자는 손잡이를 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Particularly,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when the handle of the door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When a spherical handle is used, the user's hand is likely to slide on the handle,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turn the handle.

본 발명에 따르면, 막대 형상의 핸들부를 위로 올리거나 내리는 쉬운 조작에 의해 착탈부와 함께 도어의 손잡이가 함께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도어 손잡이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ndle of the door rotates together with the detachable portion by the easy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rod-shaped handle portion,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door handle.

또한,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필요한 경우 도어의 손잡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황에 맞춰 도어의 손잡이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가변형 도어 핸들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of the door if necessary, the user can use the handle of the door as it is or can use the variable door handle.

또한, 다양한 형상, 다양한 색의 가변형 도어 핸들이 적용 가능하므로, 단순한 형상의 도어 손잡이에 미려한 외관이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door handle of various shapes and various colors can be applied,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given to the door handle of a simpl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구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걸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조임 레버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해제 레버 및 스토퍼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가변형 도어 핸들을 구성하는 구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이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구속부와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구속부와 핸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a handle provided on a doo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i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a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restrict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ing portion of Fig. 5;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lever.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the stopper.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ic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preferred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andle.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separated.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engag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10)에 설치된 손잡이(30)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the handle 30 provided on the door 10. A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도어 핸들은 착탈부(110), 핸들부(130), 구속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detachable portion 110, a handle portion 130, and a restricting portion 150.

출입구에 마련된 도어(10)(door)의 조작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도어(1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3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어(10)에 도어록이 설치된 경우, 도어록의 제어를 위해 손잡이(30)가 이용될 수 있다.The door 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30 which can be held by a user or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door 10 provided at the doorway. In particular, when the door lock is provided on the door 10, the handle 30 can be use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도어록의 록(lock)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손잡이(30)는 도어(10)의 일면에 수직한 회전축 O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30)는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도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 1과 같이 구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30 may be rotatably mounted about a rotation axis O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door 10 in order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The handle 30 may be formed into a spherical or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work at any position.

구 형상의 손잡이(30)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공통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 구 형상의 특성상 사용자는 손으로 손잡이(30)를 쥔 후 손을 비트는 동작에 의해 손잡이(30)를 돌리게 된다. 그런데, 유아나 노약자의 경우 손을 비트는 힘이 약하므로 손잡이(30)를 조작하기 어렵다. 또한, 건장한 성인 남성의 경우라 하더라도 손이 물에 젖어 있거나 손에 기름이 묻은 경우, 손이 미끄러지므로 손잡이(30)의 조작이 쉽지 않다.The spherical handle 30 is common in the surroundings and has a common problem. Due to the nature of the spherical shap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30 by holding the handle 30 by hand and then biting the hand. However, in the case of an infant or an elderly person, it is difficult to manipulate the handle 30 because the hand is weak in biting forc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sturdy adult male, when the hand is wetted with water or the hand is oiled, the hand is slippery, so that the handle 30 is not easy to operate.

조작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구 형상 대신 막대 형상의 손잡이가 일부 도어(10)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막대 형상의 손잡이는 구 형상의 손잡이(30)와 용도가 일부 다르며, 구 형상의 손잡이(30)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기존 손잡이(30)를 도어(10)로부터 떼어낸 후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막대 형상의 손잡이를 구 형상의 손잡이(30)로 대체해야 할 필요도 존재한다.In order to improve operational convenience, a rod-like handle instead of a spherical shape is applied to a part of the door 10. [ However, the rod-shaped handle has a slightly different purpose than the spherical handle 30, and in order to replace the spherical handle 30, the conventional handle 30 must be detached from the door 10, . Also,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bar-shaped handle with the spherical handle 30 depending on the situation.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구 형상의 손잡이(30)를 떼어내지 않고, 해당 구 형상의 손잡이(30)가 막대 형상의 손잡이로 기능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 구 형상의 손잡이(30) 본래대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pherical handle 30 to function as a rod-shaped handle without removing the spherical handle 30, and if necessary, the spherical handle 30 can be used as it is .

도어(10)의 손잡이(30)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10)에 설치된 손잡이(30)에 착탈되는 착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achable portion 110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30 provided on the door 10 so that the handle 30 of the door 10 may have various shapes.

손잡이(30)가 도어(10)에 지지되는 축부(50)를 회전축 O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때, 착탈부(110)는 손잡이(30)의 회전 방향 상으로 손잡이(30)에 구속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부(1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도어(10)의 손잡이(30) 역시 착탈부(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handle 30 is rotatably formed with the shaft portion 50 supported by the door 10 as the rotation axis O,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constrained to the handle 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30 Can be mounted. The handle 30 of the door 1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etachable part 110 when the detachable part 1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핸들부(130)는 착탈부(110)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핸들부(130)의 연장 길이는 손의 폭보다 긴 것이 좋다.The handle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from the detachable portion 110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ing length of the handle portion 130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hand so as to be easily hand-held.

착탈부(110)의 회전축이 되는 축부(50)에 대해 지렛대로 작용하도록. 핸들부(130)는 손잡이(30)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부(130)는 회전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서 축부(50) 및 회전축 O의 연장 방향은 도어(10)의 일면에 평행한 zx 평면에 수직한 y축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130)의 연장 방향은 예를 들어 y축에 수직한 x축 방향일 수 있다.So as to act as a leverage against the shaft portion 50,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The handle portion 130 may extend away from the handle 30. [ 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13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50 and the rotation axis O may be a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x plan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door 10. [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130 may be, for example, an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y-axis.

착탈부(110) 및 핸들부(130)의 전체 모습은 도어(10)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손잡이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구 형상의 손잡이(30)에 착탈부(110)가 장착되면 해당 구 형상의 손잡이(30)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처럼 핸들부(130)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착탈부 및 핸들부가 구비된 가변형 도어 핸들은 구 형상의 도어 손잡이를 물고 회전하는 몽키스패너(monkey spanner)의 동작 원리와 유사할 수 있다.The entire appearance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handle portion 130 may be similar to the bar-shaped handle provided on the door 10. [ Therefore, when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spherical handle 30, the spherical handle 30 is rotated by an easy operation of raising or lowering the handle 130 like a rod- . The variable door handle having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may be similar to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nkey spanner which rotates while gripping the spherical door handle.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에 따르면, 도어(10)에 설치된 구 형상의 손잡이(30)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해당 구 형상의 손잡이(30)가 막대 형상의 손잡이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손잡이(30)로부터 착탈부(110)를 떼어내면, 구 형상의 손잡이(3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handle 30 provided in the door 10 can be converted into the rod-shaped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spherical handle 30 is not dismantled. Further, if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detached from the handle 30 as required, the spherical handle 30 can be used as it is.

적어도 손잡이(30)의 회전 방향 상으로 착탈부(110)가 구속되도록, 착탈부(110)에는 손잡이(30)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118)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30)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수용 공간(118) 역시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118 into which the handle 30 is inserted so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constrained at least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handle 30. [ When the handle 30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e accommodation space 118 may also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착탈부(11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원하지 않게 손잡이(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 공간(118)은 손잡이(30)에 억지 끼워 맞춤되게 형성되거나, 내경 R이 가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8)의 내경 R이 가변되면 손잡이(30)에 착탈부(110)를 꽉 조일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착탈부(110)가 손잡이(3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손잡이(30)로부터 착탈부(110)를 풀 수 있으므로, 손잡이(30)를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118 may be formed to be fit tightly to the handle 30 or the inner diameter R may be varied so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not undesirably detached from the handle 30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The detachable portion 110 can be tightened to the handle 30 when the inner diameter R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8 is varied so that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from the handle 30 due to an external impact can be prevented . Further, if necessary, the detachable portion 110 can be removed from the handle 30, so that the handle 30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손잡이(30)에 구속되도록 착탈부(110)는 손잡이(3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손잡이(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30)에 대면되는 착탈부(110)의 내면에는 고무 재질의 억제 부재(119)가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고무 재질의 억제 부재(119)는 손잡이(30)의 외면에 대한 점착력이 높으므로, 손잡이(30)의 회전 방향 상으로 착탈부(110)를 손잡이(30)에 구속시킬 수 있다. 억제 부재(119)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 억제 부재(119)는 회전축 O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mounted on the handle 30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30 so as to be constrained to the handle 30. At this time, a rubber restraining member 119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110 facing the handle 30. The detent member 119 of the rubber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has a high adhesive for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30 so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detached from the handle 30 ). When a plurality of restraining members 119 are provided, the restraining members 119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bout the rotational axis O. [

착탈부(110)가 도어(10)에 설치되는 축부(50)에 접촉되면, 접촉 마찰에 의해 손잡이(30)의 회전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0)가 열쇠 구멍(31) 또는 잠금용 버튼이 형성된 손잡이(30)의 앞면을 가리면 열쇠 구멍(31) 또는 버튼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When the detachable portion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haft portion 50 provided on the door 10, the rotation of the handle 30 may be interrupted by the contact friction. It may also be difficult to use the keyhole 31 or the button if the detachable portion 110 covers the keyhole 31 or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30 on which the locking button is formed.

열쇠 구멍(31)의 이용을 보장하고 축부(50)와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으로 착탈부(110)의 길이 W는 손잡이(30)의 길이 L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0) 전체는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으로 손잡이(30)의 길이 구간 L 내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The length W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 of the handle 30 so as to ensure the use of the keyhole 31 and prevent friction with the shaft portion 5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entire detachable part 110 is mounted within the length section L of the handle 30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손잡이(3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18)의 내경 R이 가변되도록, 가변형 도어 핸들에는 구속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The variable door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150 so that the inner diameter 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8 in which the handle 30 is accommodated is variable.

구속부(150)는 착탈부(110)에 설치되고, 손잡이(30)에 착탈부(11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구속부(15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provided on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can be tightened or loosened to the detachable portion 110 on the handle 30. [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aining par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착탈부(110)의 중심 O를 가로지르며 핸들부(13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상선 C1, 착탈부(110)의 중심 O를 가로지르며 제1 가상선 C1에 수직한 제2 가상선 C2를 가정한다.A first imaginary line C1 extending across the center O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handle portion 130, a second imaginary line C1 extending across the center O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aginary line C1, C2.

구속부(150)는 조작의 편의를 위해 착탈부(110)의 외면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이용할 때, 구속부(150)에 걸려 다치는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구속부(150)는 중력 방향으로 제1 가상선 C1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구속부(150)는 제2 가상선 C2를 기준으로 핸들부(130)가 위치한 제1 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The restricting portion 150 may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for the sake of operational convenience.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handle portion 130, the restraining portion 15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imaginary line C1 in the gravity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in the restraining portion 150. [ The restricting portion 15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ide where the handle 130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C2.

일 예로, 도 3에서 제1 가상선 C1과 제2 가상선 C2에 의해 4개의 우상, 좌상, 우하, 좌하 4개의 구간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0)가 좌상 구간과 좌하 구간의 경계에 배치된다면, 제2 가상선 C2를 기준으로 핸들부(130)가 위치한 제1 측은 좌측일 수 있다. 구속부(150)는 좌하 구간에 배치되는 것이 안전 사고의 예방에 유리하다. 또한, 해당 위치는 핸들부(130)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는 위치에 해당하므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3, four upper right, upper left, lower right, and lower left four sections may be distinguished by the first virtual line C1 and the second virtual line C2. At this time, if the handle 130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left section and the lower left section, the first side where the handle section 13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virtual line C2 may be the left side. The restraining portion 150 is disposed in the lower left section, which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30 is visually block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한편, 도어(10)에는 앞면과 뒷면 각각에 손잡이(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앞면과 뒷면 설치되는 핸들부(130)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30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s 13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도 3의 그림과 같이 도어(10)의 앞면에 설치된 핸들부(130)가 도어(10)의 앞면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으로 연장될 때, 도어(10)의 뒷면에 설치된 핸들부(130)는 도 4와 같이 도어(10)의 뒷면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으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handle 13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 extends to the left as view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 the handle 13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And extends to the right when viewed from the back side of the door 10 as shown in FIG.

도어(10)의 앞면에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과 도어(10)의 뒷면에 설치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어의 앞면에서 설치 가능하고, 도어의 뒷면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door handl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 and the movable door handl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are preferably manufactured to the same standard. In other words,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도 3에 나타난 가변형 도어 핸들을 회전축 O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어(10)의 뒷면에 마련된 손잡이(30)에 장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회전축 O를 중심으로 가변형 도어 핸들을 회전시켜 손잡이(30)에 장착하면, 도 3에서 핸들부(130)의 아래에 위치했던 구속부(150)가 핸들부(130)의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속부(150)에 의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며, 미적 외관이 훼손될 수 있다.When the variable door handle shown in Fig. 3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O, the door can be mounted on the handle 3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 When the variable door handle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 and attached to the handle 30, the restricting portion 150 positioned below the handle 130 is positioned on the handle 130 as shown in FIG. 3 . As described abov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increased by the restraining part 150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may be damaged.

도어(10)의 앞면 또는 뒷면에 적용되는 여부에 상관없이 구속부(150)가 항상 핸들부(130)의 아래에 그리고 핸들부(130)에 치우쳐 배치되도록, 착탈부(110) 및 구속부(150)는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always positioned below the handle portion 130 and on the handle portion 130 irrespective of whether it is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150 may be formed in a bilaterally symmetrical shape.

구체적으로, 손잡이(30)가 도어(10)에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손잡이(30)에 장착되도록, 착탈부(110) 및 구속부(150)는 손잡이(30)의 회전축 O에 수직한 수평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are disposed on the handle 30 such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ar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disposed on the rotational axis O of the handle 30,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150)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4의 가변형 도어 핸들은 도 3의 가변형 도어 핸들이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4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aining par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door handle of Fig. 4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where the variable door handle of Fig. 3 is installed.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착탈부(110) 및 구속부(150)는 도 3의 제2 가상선 C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착탈부(110) 및 구속부(150)는 회전축 O에 해당하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대신 z축으로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변현 도어(10) 핸들이 도어(10)의 앞면이나 뒷면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구속부(150)는 핸들부(13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0)는 별다른 무리없이 다양한 위치의 손잡이(30)에 착탈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formed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imaginary line C2 in FIG. In other words,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rotated about the z-axis instead of rotating about the y-axi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xis O. [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disposed under the handle portion 130 regardless of whether the handle of the variable current door 1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0. [ In addition, the detachable portion 11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 from the handle 30 at various positions.

착탈부(110)에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손잡이(30)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110)에는 수용 공간(118)을 형성하는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art 110 is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may have a receiving space 118 into which the handle 30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first member 111 and the second member 112, which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118, may be provided in the detachable portion 110. [

제1 부재(111)는 핸들부(130)를 기준으로 손잡이(30)의 일측에 대면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 핸들부(13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이 제1 부재(111)에 해당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11 may extend toward one side of the handle 30 with respect to the handle 130. In FIG. 3, th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130 may correspond to the first member 111.

제2 부재(112)는 핸들부(130)를 기준으로 손잡이(30)의 타측에 대면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핸들부(13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부분이 제2 부재(112)에 해당할 수 있다.The second member 112 may exten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30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130. In FIG. 3, th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handle 13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member 112.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는 폐곡선 형상의 수용 공간(118)이 형성되도록, 가상의 폐곡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11 and the second member 112 may extend along a virtual closed curve so that the closed space 118 is formed.

구속부(150)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부재(111)의 단부와 제2 부재(112)의 단부 간의 거리 d를 조절할 수 있다.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adjust the distance 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11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112 facing each other.

제1 부재(111)의 단부와 제2 부재(112)의 단부 간의 거리 d의 조절에 의해 수용 공간(118)의 직경 R이 가변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8)의 직경 R에 의해 손잡이(30)에 착탈부(110)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상태가 결정되므로, 거리 d의 조절에 의해 착탈부(110)가 손잡이(30)에 장착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diameter 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8 can be varied by adjusting the distance 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ember 111 and the end of the second member 112. [ The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tightened or loosened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R of the receiving space 118 so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attached to the handle 30 by adjusting the distance d Can be determined.

거리 d의 조절을 위해 구속부(150)에는 제1 판(151), 제2 판(152), 나사 부재(153)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51, the second plate 152, and the screw member 153 may be provided on the restricting portion 150 for adjusting the distance d.

제1 판(151)은 제1 부재(111)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51 can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first member 111.

제2 판(152)은 제2 부재(112)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판(151)과 제2 판(152)은 서로 대면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152 can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second member 112. At this time,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may face each other.

나사 부재(153)는 제1 판(151)과 제2 판(152)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151)과 제2 판(152)에는 나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crew member 153 may include a screw threaded through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may be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the screws pass.

제1 판(151)의 홀과 제2 판(152)의 홀은 회전하는 나사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되며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153)의 회전에 의해 제1 판(151)과 제2 판(152)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판(151)과 제2 판(152)의 거리 조절에 의해 제1 부재(111) 또는 제2 부재(112)는 손잡이(30)에 조여지거나 풀릴 수 있다.The holes of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are moved along the threads of the rotating screw and can be moved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can be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153. The first member 111 or the second member 112 can be tightened or released to the handle 30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151 and the second plate 152. [

제1 판(151), 제2 판(152), 나사 부재(153)를 이용할 경우 손잡이(30)에 착탈부(110)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손잡이(30)로부터 착탈부(110)를 떼어내는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유아나 노약자는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나사 부재(153)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드라이버가 요구된다.The use of the first plate 151, the second plate 152 and the screw member 153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etachable portion 110 can be reliably tightened to the handle 30. However, 110) is somewhat cumberso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nfants and elderly people are hard to work with. In addition, a separate driver for rotating the screw member 153 is requir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구속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restraining part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속부(150)에는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밴드(113),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조임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restrain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with a band 113 formed on one of the first member 111 and the second member 112 and a tighten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밴드(113)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는 복수의 톱니(115)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The band 113 may be formed to be flexible, and a plurality of teeth 115 may be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one surface.

조임 부재에는 조임 레버(154), 스토퍼(156), 해제 레버(155)가 마련될 수 있다.The tigh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tightening lever 154, a stopper 156, and a release lever 155.

조임 레버(154)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회동시 밴드(113)의 톱니(115)에 걸리면서 밴드(113)를 당기게 형성될 수 있다.The tightening lever 154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can be formed to pull the band 113 while being caught by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during the rotation.

스토퍼(156)는 조임 레버(154)에 의해 당겨진 밴드(113)의 톱니(115)에 걸리며 밴드(113)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pper 156 is caught by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pulled by the tightening lever 154 and can prevent the band 113 from being loosened.

해제 레버(155)는 스토퍼(156)가 톱니(115)에 걸리거나 톱니(115)로부터 이격되도록 스토퍼(156)를 움직일 수 있다.The release lever 155 can move the stopper 156 such that the stopper 156 is caught by the teeth 115 or spaced from the teeth 115. [

조임 부재에는 조임 레버(154), 스토퍼(156), 해제 레버(155)가 수용되는 하우징(159)이 마련될 수 있다.The tigh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housing 159 in which the tightening lever 154, the stopper 156, and the release lever 155 are received.

도 6은 도 5의 걸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tching portion of Fig. 5;

하우징(159)은 제1 부재(111) 또는 제2 부재(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홀(161), 제3 홀(163), 제2 홀(162)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59 may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11 or the second member 112 and may include a first hole 161, a third hole 163, a second hole 162 may be formed in this order.

일 예로, 도 5 및 도 6에는 핸들부(13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부재(111)에 하우징(159)이 설치되고 있다. 이때, 제1 홀(161)이 핸들부(130)에 가장 가깝게 형성된 홀일 수 있다.For example, in FIGS. 5 and 6, a housing 159 is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11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130. At this time, the first hole 161 may be a hole closest to the handle 130.

제1 홀(161), 제3 홀(163), 제2 홀(162)에는 막대 형상의 파이프(169)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A rod-shaped pipe 169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161, the third hole 163, and the second hole 162, respectively.

조임 레버(154)의 일단부에는 밴드(113)의 톱니(115)에 걸리는 제1 톱니(16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와 제1 톱니(164)의 사이에는 파이프(169)가 삽입되는 조임 홀(154a)이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169)에 의해 조임 홀(154a)은 제1 홀(161)에 대면되게 설치되고, 조임 레버(154)는 제1 홀(16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조임 홀(154a)이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보다 제1 톱니(164)에 가깝게 형성되면, 조임 부재의 타단부의 조작시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ooth 164 which is engaged with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A tightening hole 154a through which the pipe 169 is insert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and the first tooth 164. The tightening hole 154a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first hole 161 by the pipe 169 and the tightening lever 154 can be pivoted about the first hole 161. [ If the tightening hole 154a is formed closer to the first tooth 164 than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the principle of the leverage can be applied when operating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member.

도 7은 조임 레버(154)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ightening lever 154. Fig.

밴드(113)가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면 밴드(113)가 손잡이(30)를 조이는 상황을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band 113 tightens the handle 30 when the band 113 is pulled to the right.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를 들어올리면 조임 홀(154a)을 기준으로 조임 레버(154)의 일측에 위치한 제1 톱니(164)가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톱니(164)의 하측에 밴드(113)가 배치된 상태라면, 제1 톱니(164)는 밴드(113)에 형성된 톱니(115)에 걸리면서 톱니(115)를 우측으로 밀게 되며, 자연스럽게 밴드(113)가 우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에 요구되는 힘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줄어들게 되므로, 유아나 노약자도 조임 레버(154)를 이용해서 용이하게 밴드(113)를 조일 수 있다.When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is lifted, the first tooth 164 located at one side of the tightening lever 154 can be rotat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tightening hole 154a. The first teeth 164 are caught by the teeth 115 formed on the band 113 and the teeth 115 are pushed to the right side so that the band 113 can be naturally bend in the band 113. [ (113) is pulled to the right side. At this time, since the force required at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is reduc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infant or the elderly can easily tighten the band 113 using the tightening lever 154. [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는 평소 제1 홀(161)을 기준으로 밴드(113)가 당겨질 방향, 일 예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which is operated by the user, may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113 is pull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le 161, for example, on the right side.

조임 레버(154)와 반대로 해제 레버(155)는 제1 홀(161)을 기준으로 밴드(113)가 유입되는 방향, 일 예로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Contrary to the tightening lever 154, the release lever 155 can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113 is introduc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le 161,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해제 레버(155)의 일측에는 파이프(169)에 의해 제1 홀(161)에 연결되는 해제 홀(15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61)에 관통 설치되는 파이프(169)에는 조임 레버(154)의 조임 홀(154a)과 해제 레버(155)의 해제 홀(155a)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제 레버(155)의 회전축은 조임 레버(154)와 동일할 수 있다.A release hole 155a connected to the first hole 161 by a pipe 169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155. [ The tightening hole 154a of the tightening lever 154 and the releasing hole 155a of the release lever 155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pipe 169 that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hole 161. [ Therefore, the rotation axis of the release lever 155 may be the same as the tightening lever 154.

해제 레버(155)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타단부와 해제 홀(155a)의 사이에는 제1 조작 홀(155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작 홀(155b)은 제3 홀(163)을 통과하는 파이프(169)에 끼워질 수 있다.A first operation hole 155b may be form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lever 155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release hole 155a.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can be fitted in the pipe 169 passing through the third hole 163. [

스토퍼(156)의 일측에는 걸림 홀(156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조작 홀(156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포퍼에서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밴드(113)의 톱니(115)에 대면되는 제2 톱니(16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톱니(166)는 제1 톱니(164)와 마찬가지로 밴드(113)의 톱니(115) 형성 방향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156 may have a locking hole 156b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operating hole 156a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 second tooth 166 facing the tooth 115 of the band 113 may b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oiler. The second teeth 166 may be formed in a manner opposite to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as the first teeth 164.

스토퍼(156)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홀(156b)은 제2 홀(162)을 통과하는 파이프(169)에 끼워질 수 있다. 걸림 홀(156b)에 의해 스토퍼(156)는 제2 홀(16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locking hole 156b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pper 156 can be fitted into the pipe 169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162. [ The stopper 156 can be rotated about the second hole 162 by the locking hole 156b.

스토퍼(156)의 제2 조작 홀(156a)은 제3 홀(163)을 통과하는 파이프(169)에 끼워질 수 있다. 제3 홀(163)을 통과하는 파이프(169)에는 해제 레버(155)의 제1 조작 홀(155b)과 스토퍼(156)의 제2 조작 홀(156a)이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161)과 제3 홀(163) 사이에 배치된 제3 홀(163)은 밴드(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밴드(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ng hole 156a of the stopper 156 can be fitted in the pipe 169 passing through the third hole 163. [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of the release lever 155 and the second operation hole 156a of the stopper 156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169 passing through the third hole 163. [ The third hole 163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 161 and the third hole 163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and 113 and has an elongated hole 163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nd 113, . ≪ / RTI >

도 8 및 도 9는 해제 레버(155) 및 스토퍼(156)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155 and the stopper 156. Fig.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해제 레버(155)의 타단부를 밴드(113)를 향해 누르면, 제1 조작 홀(155b)은 제3 홀(163)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밴드(11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56)의 제2 조작 홀(156a) 역시 제1 조작 홀(155b)과 함께 밴드(113)를 향해 움직이므로, 밴드(113)의 톱니(115)에 대면되는 스토퍼(156)의 제2 톱니(166)는 밴드(113)의 톱니(115)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톱니(166)에 의해 밴드(113)가 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lever 155 toward the band 113,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moves toward the band 113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third hole 163 . The second operation hole 156a of the stopper 156 also moves toward the band 113 together with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so that the stopper 156 facing the tooth 115 of the band 113 The second tooth 166 can engage with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Therefore, the phenomenon that the band 113 is released by the second tooth 166 can be prevented.

한편,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해제 레버(155)의 타단부를 밴드(1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제1 조작 홀(155b) 및 제2 조작 홀(156a)은 제3 홀(163)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밴드(1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13)의 톱니(115)에 맞물린 제2 톱니(166) 역시 밴드(113)의 톱니(115)로부터 이탈되며, 밴드(113)가 풀어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9, when the user pulls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lever 155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nd 113,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and the second operation hole 156a are closed by the third hole 163 It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nd 113 within an allowable range. The second teeth 166 engaged with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are also separated from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and an environment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band 113 can be loosened.

한편, 하우징(159)에는 탄성 부재(158)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159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58.

탄성 부재(158)는 밴드(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조작 홀(155b) 및 제2 조작 홀(156a)이 움직이도록 스토퍼(156) 또는 해제 레버(155)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해제 레버(155)의 타단부에 인가되기 전에는 밴드(113)의 톱니(115)는 스토퍼(156)의 제2 톱니(166)에 맞물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58 can press the stopper 156 or the release lever 155 so that the first operation hole 155b and the second operation hole 156a mo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and 113. [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can be held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teeth 166 of the stopper 156 before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lever 155. [

또한, 탄성 부재(158)는 평소, 조임 레버(154)의 제1 톱니(164)가 밴드(113)의 톱니(115)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임 레버(154)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조임 레버(154)의 타단부에 인가되기 전에는 밴드(113)의 톱니(115)는 조임 레버(154)의 제1 톱니(164)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밴드(113)의 톱니(115)로부터 이격된 제1 톱니(164)는 해제 레버(155)의 조작시 밴드(113)가 하우징(159)으로부터 풀어지는 것을 제한하지 않게 된다.The elastic member 158 can also press the tightening lever 154 such that the first tooth 164 of the tightening lever 154 is spaced apart from the tooth 115 of the band 113.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can be kept apart from the first teeth 164 of the tightening lever 154 before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lever 154. [ The first teeth 164 spaced from the teeth 115 of the band 113 do not restrict the release of the band 113 from the housing 159 during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155. [

이상에서 살펴본, 조임 레버(154), 스토퍼(156), 해제 레버(155), 하우징(159), 탄성 부재(158)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임 레버(154)를 왕복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밴드(113)를 조일 수 있다. 이때, 조임 레버(154)에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므로, 사용자는 작은 힘으로도 착탈부(110)를 도어(10)의 손잡이(30)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ightening lever 154, the stopper 156, the release lever 155, the housing 159 and the elastic member 158 which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tightening lever 154 reciprocally 113 can be tightened. At this time, since the leverage principle is applied to the tightening lever 154, the user can securely fix the detachable portion 110 to the handle 30 of the door 10 even with a small force.

또한, 사용자는 해제 레버(155)를 들어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하우징(159)으로부터 밴드(113)를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의 손잡이(30)로부터 착탈부(110)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lease the band 113 from the housing 159 by a simple operation of lifting the release lever 155. Therefore, the detachable portion 11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andle 30 of the door 10. [

한편, 구속부(150)의 고장 방지 및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안전 사고의 방지를 위한 다른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measure for prevention of a failure of the restraining part 150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prevention of a safety accident can be provided.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가변형 도어 핸들을 구성하는 구속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training part 150 constituting a preferred variably-shaped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착탈부(110)는 손잡이(30)를 감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부(110)는 제조시부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착탈부(110)는 '1'자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30)에 감기면서 고리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handle 30. For example, 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from the time of manufacture. As another example, 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1' shape and may be deformed into a ring shape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handle 30. [

이때, 구속부(150)는 착탈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핸들부(130)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30)는 손잡이(30)를 지지점으로 하여 구속부(150)를 잡아당길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tricting portion 150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110 toward the handle portion 130. The handle 130 may be configured to pull the restraint 150 with the handle 30 as a fulcrum.

일 예로, 핸들부(130)는 착탈부(110)를 거쳐 손잡이(30)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속부(150)를 잡아당길 수 있다. 핸들부(130)에 손잡이(30)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속부(150)를 잡아당기면, 구속부(150)에 연결된 착탈부(110)도 당겨지게 되고 착탈부(110)가 형성하는 고리의 직경이 줄어들게 된다. 직경이 줄어든 착탈부(110)는 손잡이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130 can be pulled out of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30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handle 30 via the detachable portion 110. The detachable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also pulled when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pull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ortion 130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pull 30, The diameter is reduced. The detachable portion 110 having a reduced diameter can reliably tighten the handle.

또한, 간단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구속부(150)와 핸들부(13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속부(150)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속부(150)가 핸들부(130)의 내부에 삽입되게 형성되면, 구속부로 인한 안전 사고의 염려도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tricting portion 150 and the handle portion 130 can be formed by a simple screw-engaging method, the productivity of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improved and the failure can be prevented. Also, if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handle 130,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restricting portion can be reduced.

일 예로,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부(110)는 손잡이(30)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속부(150)는 밴드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110)가 손잡이(30)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면, 밴드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몸체는 손잡이(30)의 일측에서 만나 하나의 원통 형상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detachable portion 110 may include an annular band surrounding the handle 30. At this time, the restricting portion 150 may include a semi-cylindrical bod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The semicylindrical bod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can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30 to form a single cylindrical body when the detachable portion 110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30. [

이때, 원통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핸들부(130)에는 원통 형상의 몸체가 삽입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 형상의 몸체에 나사 결합되게 핸들부(1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부(130)는 손잡이(3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A threaded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andle 130 to receive a cylindrical body and have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hen the handle 13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so as to be screwed on the cylindrical body, the handle 130 can be moved toward the handle 30.

핸들부(130)는 회전에 의한 이동이 손잡이에 의해 저지되면, 회전에 의해 원통형 형상의 몸체를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원통형 형상의 몸체와 함께 잡아당겨진 밴드(착탈부)는 손잡이(30)를 조일 수 있다. 만약, 핸들부(1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부(130)와 구속부(150) 간의 나사 결합이 풀어지면서, 손잡이(30)에 조여진 착탈부(110)가 풀어질 수 있다.When the movement of the handle 130 is blocked by the handle, the handle 130 can pull the cylindrical body by rotation. At this time, the band (detachable portion) pulled together with the cylindrical shaped body can tighten the handle 30. When the handle portion 1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detachable portion 110 fastened to the handle 30 can be loosened as the threaded connection between the handle portion 130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50 is released.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형 도어 핸들이 손잡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door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andle.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사고를 유발하고 외적 미관을 해치는 구속부(150)가 핸들부(130)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외적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since the restraining part 150, which induces a safety accident and damages the external appearance,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130,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external appearance can be improved.

핸들부(130)에서 착탈부(110)에 대면되는 단부는 착탈부(110)를 행해가면서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깔대기 형상의 핸들부(130)에 따르면, 구속부(150)가 확실하게 가려질 수 있으며 안전 사고 예방에 유리하다.The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130 facing the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into a funnel shape that gradually widens while the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110 is being operated. According to the funnel-shaped handle portion 130, the restricting portion 150 can be reliably covered, which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도 11을 살펴보면, 외부로 노출되는 부재가 착탈부(110)와 핸들부(130)로 제한된 것을 알 수 있다.11, it can be seen that the members exposed to the outside are limited to the detachable portion 110 and the handle portion 130. [

도 12는 구속부와 핸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3은 구속부와 핸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are coupled.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연구 과정 중에 시험 제작된 샘플을 촬영한 것이다.12 and 13 are photographs of a sample produ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착탈부(11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경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절단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절단된 부위에는 반원통 형상의 몸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반원통 형상의 몸체 2개는 서로 밀착되면 하나의 완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원통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는 핸들부(130)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art 11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may have one side thereof cut so as to be able to adjust its inner diameter. In addition, a semicylindrical body may be formed on the cut part. Two semicylindrical bodie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one complete cylindrical body. A screw thread to be screwed in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handle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사용자는 착탈부(110)를 손잡이(30)에 끼우고 핸들부(130)를 원통 형상의 몸체에 삽입한 후, 핸들부(130)를 돌리는 것으로 가변형 도어 핸들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The user can complete the mounting of the deformable door handle by inserting the detachable part 110 into the handle 30 and inserting the handle part 130 into the cylindrical body and turning the handle part 130.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도어 30...손잡이
50...축부 110...착탈부
111...제1 부재 112...제2 부재
113...밴드 115...톱니
118...수용 공간 119...억제 부재
130...핸들부 150...구속부
151...제1 판 152...제2 판
153...나사 부재 154...조임 레버
154a...조임 홀 155...해제 레버
155a...해제 홀 155b...제1 조작 홀
156...스토퍼 156a...제2 조작 홀
156b...걸림 홀 158...탄성 부재
159...하우징 161...제1 홀
162...제2 홀 163...제3 홀
164...제1 톱니 166...제2 톱니
169...파이프
10 ... door 30 ... handle
50 ... shaft portion 110 ... detachable portion
111 ... first member 112 ... second member
113 ... band 115 ... sawtooth
118 ... accommodating space 119 ... restraining member
130 ... handle portion 150 ... restraining portion
151 ... First Edition 152 ... Second Edition
153 ... screw member 154 ... tightening lever
154a ... tightening hole 155 ... release lever
155a ... Release hole 155b ... First operation hole
156 ... stopper 156a ... second operating hole
156b ... engagement hole 158 ... elastic member
159 ... housing 161 ... first hole
162 ... second hole 163 ... third hole
164 ... first tooth 166 ... second tooth
169 ... pipe

Claims (12)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핸들부;
상기 착탈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상기 착탈부를 조이거나 푸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를 감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착탈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손잡이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구속부를 잡아당길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지지된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구속부가 당겨지면 상기 착탈부가 상기 손잡이에 조여지는 가변형 도어 핸들.
A detachable part detachably attached to a handle provided on the door;
A handle portion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from the detachable portion in one direction and spaced from the handle;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med on the detachable portion and for tightening or loosening the detachable portion on the handle,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handle,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toward the handle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configured to pull the restraint portion with the handle as a fulcrum,
And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fastened to the handle when the restraint portion is pulled by the handle portion supported by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지지되는 축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때,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 방향 상으로 상기 손잡이에 구속되게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handle is rotatably formed with the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door as a rotation axis,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handle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portion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손잡이에 억지 끼워 맞춤되게 형성되거나, 내경이 가변되게 형성된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Where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o be fit-engaged with the handle, or the inner diameter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에 대면되는 상기 착탈부의 내면에는 고무 재질의 억제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 방향 상으로 상기 착탈부를 상기 손잡이에 구속시키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mounted on the handle while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An inhibit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facing the handle,
And the restraining member restrains the detachable portion to the handle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지지되는 축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때,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으로 상기 착탈부의 길이는 상기 손잡이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착탈부 전체는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 상으로 상기 손잡이의 길이 구간 내에 장착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handle is rotatably formed with the shaft portion supported by the door as a rotation axis,
The length of the detachable por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andle,
And the entire detachable portion is mounted within a length of the handle i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rotary shaf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손잡이를 감싸는 고리 형상의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밴드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가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면, 상기 밴드의 양단에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몸체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만나 하나의 원통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가 삽입되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홀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에 나사 결합되게 상기 핸들부가 회전되면, 상기 핸들부는 상기 손잡이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에 의한 이동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저지되면,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를 잡아당기며,
상기 원통 형상의 몸체와 함께 잡아당겨진 상기 밴드는 상기 손잡이를 조이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n annular band surrounding the handle,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semi-cylindrical bod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Wherein the semicylindrical bod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andle to form a single cylindrical body,
Wherein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screw hole into which the cylindrical body is inserted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hen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so as to be screwed on the cylindrical body, the handle portion is moved toward the handle,
The handle portion pulls the cylindrical body by the rotation when the movement by the rotation is blocked by the handle,
And the band pulled together with the cylindrical body tightens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핸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상선, 상기 착탈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1 가상선에 수직한 제2 가상선을 가정할 때,
상기 구속부는 중력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상선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핸들부가 위치한 제1 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imaginary line extending across the center of the detachable portion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handle portion, and a second imaginary line transverse to the center of the detachable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imaginary line,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first imaginary line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a first side o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ary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착탈부의 외면에 노출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도록, 상기 착탈부 및 상기 구속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icting portion is ex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are symmetrically formed when view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otation axis of the handle so that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are mounted on the handle regardless of a position where the handle is installed on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대면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대면되게 연장되며,
상기 구속부는 서로 대면되는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단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거리의 조절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의 직경이 가변되며, 가변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직경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상기 착탈부가 조여지거나 풀어지는 상태가 결정되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has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first member extends on one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The second member is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adjusts a distance betwee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is varied by the adjustment of the distance, and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is tightened or released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which i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대면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대면되게 연장되며,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 판, 상기 제2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 판,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의 거리 조절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조여지거나 풀리는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form a housing spac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Wherein the first member extends on one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The second member is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plate to be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 second plate to be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a screw member penetra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s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tightened or loosened to the handl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대면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핸들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대면되게 연장되며,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밴드,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 조임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밴드의 일면에는 복수의 톱니가 마련되며,
상기 조임 부재에는 회동시 상기 톱니에 걸리면서 상기 밴드를 당기는 조임 레버, 상기 조임 레버에 의해 당겨진 밴드의 톱니에 걸리며 상기 밴드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상기 톱니에 걸리거나 상기 톱니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움직이는 해제 레버가 마련된 가변형 도어 핸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form a housing space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Wherein the first member extends on one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The second member is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Wherein the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and formed on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tighten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A plurality of teeth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and,
Wherein the tighte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lever which is engaged with the teeth at the time of rotation and pulls the band, a stopper which is caught by the teeth of the band pulled by the tightening lever and prevents the band from being loosened, the stopper being caught by the teeth, And a release lever for moving the stopper.
KR1020160083027A 2016-06-30 2016-06-30 Variable door handle KR101839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027A KR101839871B1 (en) 2016-06-30 2016-06-30 Variable door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027A KR101839871B1 (en) 2016-06-30 2016-06-30 Variable door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38A KR20180003338A (en) 2018-01-09
KR101839871B1 true KR101839871B1 (en) 2018-04-26

Family

ID=6100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027A KR101839871B1 (en) 2016-06-30 2016-06-30 Variable door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87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6842A1 (en) * 2006-08-15 2008-04-17 Dayton Douglas C Door knob adap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6842A1 (en) * 2006-08-15 2008-04-17 Dayton Douglas C Door knob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38A (en)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2913T3 (en) Composite tensioning and calibration mechanism for cable tie tensioning and cutting tool
US20110215539A1 (en) Power tool and chuck release tool
US20100218648A1 (en) Locking pliers with one-hand adjustment
US9845817B2 (en) Clamping system
KR101535220B1 (en) All-purpose adjustable pipe fastening tools
KR20100012820A (en) Quick adjusting multi-position pliers
KR20090127894A (en) Tightening device with swivelling handling arm and applicance including such a device
US7765900B2 (en) Torque wrench whose torque values can be adjusted easily and quickly
JP2017535704A (en) General purpose screwdriver support for plate lift apparatus, apparatus fitted with this support, and mounting method
US20150314425A1 (en) Ratchet wrench with handgrip ratchet control
JP2012024592A (en) Handrail for bathtub
JP2755662B2 (en) Torque Wrench
AU2003237762B2 (en) Adjustable ratchet wrench
WO2017007974A1 (en) An adjustable quick vise
US10436232B2 (en) Clamping system
KR101839871B1 (en) Variable door handle
US1753924A (en) Screw-actuated vise
KR20160024314A (en) Seat clamp
WO2008001393A1 (en) Safety wrench and a matching nut
KR200286610Y1 (en) Adjustable wrench
US8322248B2 (en) Setting screw for a control lever device
JP3150005U (en) Preset torque wrench
US20060174732A1 (en) Adjustable wrench with two movable jaws
US20200254590A1 (en) Quick adjust pipe wrench
JPH10160094A (en) Pan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