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736B1 -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Google Patents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736B1
KR101839736B1 KR1020170169161A KR20170169161A KR101839736B1 KR 101839736 B1 KR101839736 B1 KR 101839736B1 KR 1020170169161 A KR1020170169161 A KR 1020170169161A KR 20170169161 A KR20170169161 A KR 20170169161A KR 101839736 B1 KR101839736 B1 KR 101839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haft
tank
wastewat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준
이동직
유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성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성환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성환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6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7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depositing system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aeration tank which purifies incoming wastewater by being in contact with sludge while aerating the wastewater; a depositing reservoir which deposits the sludge contained in treated water by the inflow of the water treated from the aeration tank, and discharges the supernatant; a returning pump which is installed in a sludge transfer path for connecting the depositing reservoir and the aeration tank in order to return the sludge deposited in the depositing reservoir or transfer the sludge to a sludge treatment tank; and a sludge flow rate regulating uni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ludge transfer path and the depositing reservoir in order to regulate the amount of transferred sludge flowing in the sludge transfer path to be consistent. Therefore, the wastewater depositing system can transfer and treat a fixed amount of sludge to a depositing reservoir at all time by including a sludge flow rate regulating unit, and can reduce maintenance requirement of a sludge transfer path by actively dealing with changes in load of sludge in order to prevent accumulation of the sludge in the sludge transfer path.

Description

슬러지 유량 조절부가 설치된 오폐수 침전 시스템 {Waste water treatment system}[0001]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with sludge flow rate control [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수 처리하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collection system for purifying wastewater.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공장이나 가정에서는 오폐수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오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한 자연환경의 오염과 생태계의 파괴를 막기 위하여 오폐수의 정화처리와 관련한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 lot of wastewater has been generated in various factories and homes, and various regulations related to purification treatment of wastewater have been strengthened in order to prevent natural environment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ecosystem due to unauthorized discharge of wastewater .

오폐수란 오염된 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다량의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질의 보전을 위해 고형물을 슬러지화하여 침전시킨 후, 정수 처리된 배출수와 별도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Wastewater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contaminated water,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solid matter in the wastewater.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the quality of the water, the solids are sludged and precipitated, and then separated from the treated water.

그런데 종래의 오폐수 침전 시스템은 계절에 따라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량 변화가 크며, 이에 따라 슬러지 발생량의 변동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유로가 일정하지 않는 슬러지 이송로에 슬러지가 적채될 가능성이 있으며, 슬러지 이송로에 대한 유지보수 소요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tewater collection system, the variation of the flow rate of the wastewater flowing in according to the season is large, and the fluctuation of the amount of the sludge generation becomes larg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ludge is fed to the sludge conveying path whose flow path is not const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required for the sludge conveying path is increa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9099호 (명칭: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고도처리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49099 (entitled "Nitrogen in Wastewater Using Injection Upstream Reactor, High Intensit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슬러지 이송로를 유동하는 슬러지의 이송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water precipitation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sludge flowing through a sludge transporting pat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폐수 침전 시스템은,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기조; 포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 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침전지; 침전지와 포기조를 연결하는 슬러지 이송로에 설치되어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포기조로 반송하거나 슬러지처리조로 이송시키는 반송펌프; 및 슬러지 이송로와 침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슬러지 이송로를 유동하는 슬러지 이송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슬러지 유량 조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water and water precipit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aeration tank for purifying a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by bringing the wastewater into contact with sludge; A sedimentation tank for introducing treated water treated in the aeration tank to sediment the sludge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A transfer pump installed in the sludge transfer path connecting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aeration tank to transfer the sludge settled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the aeration tank or transfer it to the sludge treatment tank; And a sludge flow rate adjus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sludge transporting path and the settling paper to adjust the sludge transport amount constantly flowing through the sludge transporting path.

침전지는 내부에 원수를 수용하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하향 경사진 바닥면의 중앙에 슬러지수집홈과, 하부에 슬러지수집홈과 연통되는 슬러지배출관이 마련된 외부하우징; 외부하우징의 내부 일정 높이에 고정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외부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원수공급관의 단부가 내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는 내부하우징; 내부하우징의 중심에 기립되어 회전 가능한 제1축과, 제1축의 하단에 마련되어 슬러지수집홈에 수집된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로 이송시키는 윙플레이트와, 제1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슬러지이송수단; 및 제1축의 외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연동 회전 가능한 제2축과, 제2축의 하단과 내부하우징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되 제2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면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외부하우징의 외곽으로 흩뿌리는 원추부를 포함하는 슬러지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dimentation bed has an outer housing having a constant volume to receive raw water therein, a sludge collection groove at the center of the downwardly sloping bottom surface, and a sludge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ludge collection groove at the bottom; An inner housing which is fixed at an internal height of the outer housing, the lower portion of which open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inside to supply raw water to the inside; A wing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for transferring the sludge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to the sludge discharge pipe and a drive motor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shaft Sludge transport means; And a second shaft which is spline-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and is capable of interlocking rotation, a sludge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fixed to the second shaft, And a sludge guide means including a conical portion.

원추부의 상면에는 회전방향으로 굽어진 복수의 슬러지 안내홈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sludge guide grooves be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part.

침전지는 원추부의 표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dimentation paper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desorbing the sludg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one portion.

진동발생수단은 제2축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축과, 지지축에 편심 결합되어 제2축을 지지하는 캠부와, 지지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ncludes a support shaf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am portion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second shaft, and a rotation motor provided to provide a rotation power to the support shaft.

슬러지 유량 조절부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슬러지 이송로로부터 일부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에 유입된 슬러지를 정류하는 정류판과, 정류판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보관되는 정류부와, 정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되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과, 수문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침전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와, 정류부의 슬러지 중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가 유입되어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과, 상류판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슬러지 이송로의 초입에 설치된 반송조로 배출되는 반송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udge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includes a main body, an inlet section formed in the main body and introducing a part of sludge from the sludge conveying passage, a rectifying section for rectifying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inlet section, a rectifying section for storing sludge flowing through the rectifying section, A sludge of the rectification part is flowed in and the height of the sludg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amount of discharge, a discharge part in which a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sludge flows into a sedimentation part is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sludge, An upstream plate through which the unused sludge flows and is passed through in an upward flow, and a conveyance part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conveyance hole, through which the sludge flowing through the upstream plate is discharged to a conveying tank installed at the beginning of the sludge conveying path.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침전 시스템에 의하면, 슬러지 유량 조절부를 포함함으로써 항상 일정량의 슬러지를 침전지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슬러지 이송로에 슬러지가 적채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러지 이송로에 대한 유지보수 소요를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stewater and water precipi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udge flow rate control unit is included, a certain amount of sludge can be always transferred to the settler and treate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requirement for the sludge conveying path.

또한, 침전지를 포함함으로써 슬러지를 내부에 일정시간 체류시킨 후 배출시킴으로써 미생물 활동에 호적한 조건을 형성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udge is retained in the sludg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disposing the sedimentation basin, the sludge is discharged to form a favorable condition for microbial a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침전 시스템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전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원추부를 확대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A'를 확대해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슬러지 유량 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tewater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rifier of FIG.
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ical portion of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2.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udge flow rate regulator of FIG. 1.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침전 시스템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침전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원추부를 확대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Ⅴ-Ⅴ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A'를 확대해 보인 도면 및 도 8은 도 1의 슬러지 유량 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dimentation tank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conical portion of Fig. 2,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Of the sludge flow rate regulating s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침전 시스템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 유량 조정조(120)와, 오폐수 유량 조정조(120)를 거쳐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기조(100)와, 포기조(1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 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침전지(200)와, 침전지(200)와 포기조(100)를 연결하는 슬러지 이송로(211)에 설치되어 침전지(200)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반송관(11a)을 통해 포기조(100)로 반송하거나 잉여슬러지 배출관(211b)을 통해 슬러지처리조(400)로 이송시키는 반송펌프(210)와, 슬러지 이송로(211)와 침전지(200) 사이에 설치되어 슬러지 이송로(211)를 유동하는 슬러지 이송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슬러지 유량 조절부(300)를 포함한다.1, the wastewater and water precip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ment tank 120 into which wastewater flows,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ment tank 120, At least one aeration tank 100 for purifying the sludge in the aeration tank 100 and a sedimentation tank 200 for discharging the sludge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100 to the aeration tank 100 through the sludge conveyance pipe 11a or the sludge treatment tank 200 through the excess sludge discharge pipe 211b, A sludge flow control unit 300 installed between the sludge conveying path 211 and the sedimentation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sludge conveyance amount flowing through the sludge conveying path 211 to be constant, ) Included do.

여기서, 오폐수 유량 조정조(120)로 유입된 오폐수는 포기조(100) 및 침전지(20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정화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기조(100)는 필요에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포기는 포기조(100) 하단에 형성된 산기관(130)으로 외부의 블로아(11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분출되면서 이루어진다.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120 is subjected to a purifying process while passing through the aeration tank 100 and the settling tank 200 in sequence.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treatment efficiency, aeration tank 100 is formed as many as necessary,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external blower 110 is blown into the air diffuser 1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eration tank 100 .

또, 침전지(200)에서 정화 처리된 상등수는 별도의 처리시설이나 하천 등으로 방류되고, 침전지(200)의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포기조(100)로 반송되거나 슬러지처리조(400)로 이송된 후 폐기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침전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0); 내부하우징(20); 슬러지이송수단(30); 슬러지안내수단(40); 진동발생수단(50); 및 슬러지수집기(60);을 포함한다.The supernatant purified by the sedimentation tank 200 is discharged to a separate treatment facility or a river or the like and the sludge deposi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dimentation tank 200 is returned to the aeration tank 100 or transferred to the sludge treatment tank 400 And then discarded or recycled. 2 and 3, the settling sheet 200 includes an outer housing 10; An inner housing 20; Sludge transfer means (30); Sludge guide means (40);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And a sludge collector (60).

여기서, 외부하우징(10)은 내부에 원수를 수용하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하향 경사진 바닥면의 중앙에 슬러지수집홈(11)과, 하부에 슬러지수집홈(11)과 연통되는 슬러지배출관(12)이 마련된다. 외부하우징(10)의 상측에는 후술할 슬러지이송수단(30)의 구동모터(33)를 지지할 수 있는 브리지(13)가 설치될 수 있다. 슬러지수집홈(11)은 슬러지가 포집되는 공간이고, 슬러지배출관(12)은 유로 상에 설치된 펌프(도시 생략)의 작동으로 슬러지수집홈(11)에 포집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outer housing 10 has a constant volume to receive raw water therein and has a sludge collecting groove 11 at the center of the downwardly sloping bottom surface and a sludge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12 are provided. A bridge 13 capable of supporting a driving motor 33 of a sludge conveying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is a space for collecting the sludge and the sludge discharge pipe 12 is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by the operation of a pump (not shown) installed on the flow path, .

또, 브리지(13)의 일측에는 외부의 약품탱크와 연결되어 후술할 원수공급관(21)의 선단에 약품을 공급할 수 있는 약품펌프(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약품펌프(14)가 원수공급관(21)과 연결됨은 내부하우징(20)에 원수와 함께 공급함으로써 원수와의 교반을 원활히 하여 고형물이 응집되어 슬러지화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약품으로는 공지된 응집제가 사용된다.Further, a medicine pump 14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idge 13, which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hemical tank to supply medicine to the tip of a raw water supply pipe 21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hemical pump 14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housing 20 together with the raw water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agitated smoothly. At this time, a known coagulant is used as the medicine.

내부하우징(20)은 브리지(13)의 하부에 고정되어 외부하우징(10)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외부하우징(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원수공급관(21)의 단부가 외측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어 내부로 약품과 함께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내부하우징(20)은 외부하우징(10)의 바닥면을 향해 일정길이를 가지며, 하부의 개방측이 수면보다 상당히 아래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된 원수에 의해 내부하우징(20)의 하부 개방측과 인접한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미생물막(S)을 형성시킴으로써 일부 비산되는 슬러지가 수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The inner housing 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13 and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outer housing 1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20 i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10, And the raw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together with the medicin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housing 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 and the lower open side is disposed substantially below the water surface. By forming the microbial membrane (S) in the outer housing (10) adjacent to the lower opening side of the inner housing (20) by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housing (20), some scattered sludge As shown in FIG.

원수공급관(21)은 출구부 측이 내부하우징(2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원수를 윗 방향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The outlet port sid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is vertically bent in the inside of the inner housing 20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sprayed upward.

또, 내부하우징(20)의 하단에는 응집되어 가라앉는 슬러지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연장된 가이드(22)가 마련될 수 있다.A guide 22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utward directio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20 to prevent scattering of sludge that flocculates and sinks.

슬러지이송수단(30)은 내부하우징(20)의 중심에 기립되어 회전 가능한 제1축(31)과, 제1축(31)의 하단에 마련되어 슬러지수집홈(11)에 수집된 슬러지를 슬러지배출관(12)로 이송시키는 윙플레이트(32)와, 제1축(31)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축(31)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돌기(31a)가 형성되며, 구동모터(33)는 제1축(31)의 상단에 배치된 브리지(13)에 지지된다. The sludge conveying means 30 includes a first shaft 31 which is erect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housing 20 and is rotatable and a sludge collecting groove 1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31, A wing plate 32 for feeding the worm wheel 12 to the first shaft 31 and a driving motor 33 for providing a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shaft 31.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31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s shown in Figure 4. The drive motor 33 is connected to a bridge 13).

슬러지안내수단(40)은 제1축(31)의 외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연동 회전 가능한 제2축(41)과, 제2축(41)의 하단과 내부하우징(2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되 제2축(41)에 상면이 원추형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면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외부하우징(10)의 외곽으로 흩뿌리는 원추부(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udge guide means 40 includes a second shaft 41 splin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31 and capable of interlocking rotation, a second shaft 41 loc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20 And a conical part 42 fixed to the second shaft 41 with a conical upper surface and scattering the sludge that has sett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housing 10.

제2축(41)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제1축(31)의 체결돌기(31a)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41a)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4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41a through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s 31a of the first shaft 31 ar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원추부(42)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으로 굽어진 복수의 슬러지 안내홈(42a)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러지 안내홈(42a)은 슬러지의 배출 유속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폭(D)이 좁아지도록 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슬러지가 내부에 고착되지 않도록 유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원추부(42)의 중심에는 제2축(41)이 결합되는 결합공(42b)이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sludge guide grooves 42a bent in the rotating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42. The sludge guide grooves 42a may be formed so as to narrow the width D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in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sludge. Referring to FIG. 6, the sludge guide groove 42a is formed to be wired . In addition, a coupling hole 42b to which the second shaft 41 is coupled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nical portion 42.

한편, 진동발생수단(50)은 원추부(42)의 표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탈리시켜 슬러지안내수단(40)의 재 성능을 유지시키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진동발생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4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축(51)과, 지지축(51)에 편심 결합되고 외측이 제2축(41)을 지지하는 캠부(52)와, 지지축(5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회전모터(53)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is provided to maintain the re-performance of the sludge guiding means 40 by eliminating the sludg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42.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includes a support shaft 5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shaft 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haft 41, A cam portion 52 for supporting the second shaft 41 and a rotation motor 53 provided to provide a rotation power to the support shaft 51. [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진동발생수단(50)은 도면에서 슬러지안내수단(40)의 원추부(42)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 보이나, 회전하는 구성들로부터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축(51)과 회전모터(53)는 고정된 부재이므로 외부하우징(10)의 내부 또는 내부하우징(20)의 외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캠부(5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캠부(52)는 제2축(41)의 하단에 접촉되어 제2축(41)을 떠받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ical portion 42 of the sludge guiding means 40 in the figure but may be appropriately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is not disturbed from the rotating structures. That is,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rotary motor 53 are fixed members so that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rotary motor 53 are installed inside the outer housing 10 or outside the inner housing 20 to transmit power to the cam portion 52 , And the cam portion 52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second shaft 41 by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

이러한, 진동발생수단(50)은 제2축(41)의 빠른 상하 운동을 유도하여 제2축(41)에 일체로 연동하는 원추부(42)의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다른 형태로 실시 가능한바, 브리지(13)에 진동발생수단(50)을 설치하여 제1축(31)의 상단과 대응하여 제1축(31)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induce vibration of the conical portion 42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41 by inducing rapid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haft 41, As a matter of cours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in the bridge 13 to generate the vibration of the first shaft 31 in correspondence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aft 31.

슬러지수집기(60)는 외부하우징(1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제1축(31)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연장바아(61)와, 외부하우징(10)의 바닥면에 침강된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홈(11)으로 포집하도록 각 연장바아(61)의 길이방향으로 외부하우징(10)의 바닥면과 밀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레퍼(62)와, 양단이 각각 연장바아(61)의 상면과 제1축(31)에 힌지(63-1)(63-2)로 결합되는 지지바아(6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연장바아(61)는 외부하우징(10)의 바닥면과 평행하여 중심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지지바아(63)는 이러한 연장바아(61)의 하중을 지지하여 연장바아(6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레퍼(62)는 제1축(31)과 함께 회전되면서 외부하우징(10)의 바닥을 쓸어 슬러지를 슬러지수집홈(1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ludge collector 60 includes a plurality of extension bars 61 disposed radially i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haft 3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 A plurality of scrapers 62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elongated bar 61 so as to collect the settled sludge in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61 and a support bar 63 coupled to the first shaft 31 by hinges 63-1, 63-2. Each of the elongated bars 6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er periphery. The support bar 63 supports the load of the extension bar 61 to prevent the extension bar 61 from sagging. The scraper 62 may sweep the bottom of the outer housing 10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31 to move the sludge to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

이상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인 '15'는 외부하우징(10)의 외측 하단에 복수로 설치되어 외부하우징(10)을 지지하는 기초부를 나타낸 것이다.The reference numeral '15',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above, denotes a base portion which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outer lower ends of the outer housing 10 to support the outer housing 10.

상술한 본 발명의 침전지(20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sedimentation be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원수공급관(21)을 통해 응집제 성분의 약품과 함께 가정 또는 공장 등의 오염된 원수가 공급되며, 내부하우징(20)의 내부에서 원수와 약품이 교반되면서 원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응집되어 슬러지화된다. 이때, 발생된 슬러지는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제1축(31)과 연동하여 제2축(41)에 의해 회전하는 원추부(42)의 상면에 가라앉게 된다.Contaminated raw water such as a home or a factory is supplied together with the chemical agent of the coagulant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21 and the raw water and the chemicals are stirred in the inside of the inner housing 20 to solidify the raw water and sludge . At this time, the generated sludge drops downward and sink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42 rotated by the second shaft 41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haft 31.

원추부(42)는 제2축(41)에 구속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고 있어 낙하된 슬러지는 슬러지 안내홈(42a)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슬러지 안내홈(42a)에 안착된 슬러지가 원심력에 의해 외부하우징(10)의 외곽으로 흩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하우징(10)의 외곽 바닥면에 슬러지가 침강되며, 슬러지수집기(60)에 의해 순차적으로 슬러지수집홈(11)에 포집되어 슬러지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ludge is restrained by the second shaft 41 and rotates at a constant speed so that the dropped sludge enters the sludge guide groove 42a and the sludge placed in the sludge guide groove 42a is centrifuged So that it is scatter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housing 10. Accordingly, the sludge is settl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0, is sequentially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11 by the sludge collector 6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12.

일정시간 가동시 원추부(42)의 표면에 슬러지가 고착될 수 있으며, 이는 슬러지안내수단(40)의 재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슬러지이송수단(30)의 가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진동발생수단(50)을 작동시키면, 회전모터(53)의 동력으로 지지축(51)이 회전하여 캠부(52)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The sludge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42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ch may deteriorate the function of the sludge guiding means 40. Whe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50 is operated while the sludge conveying means 30 is stopped, the support shaft 51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rotation motor 53 to rotate the cam portion 52 at a high speed do.

이때, 제2축(41)의 하단에 접촉된 캠부(52)는 지지축(51)을 기준으로 편심 결합되어 있어 반경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부분에서 제2축(4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반경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에서 제2축(41)의 자중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제2축(41)이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제2축(41)과 결합된 원추부(42)의 진동을 유도하여 표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am portion 5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41, is eccentrical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51 so that the second shaft 41 is lifted up from th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radius , The second shaft 41 is caused to vibrate by the fall of the second shaft 41 due to its own weight in a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radius. Accordingly, the vibration of the conical portion 42 coupled with the second shaft 41 can be induced to desorb the sludge adhering to the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침전지에 의하면, 슬러지를 내부에 일정시간 체류시킨 후 배출시킴으로써 미생물 활동에 호적한 조건을 형성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dimentation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is allowed to stay in the slud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ischarged, thereby forming a favorable condition for microbial activity.

한편, 슬러지 유량 조절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와, 본체(310)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슬러지 이송로(211)로부터 일부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부(320)와, 유입부(320)에 유입된 슬러지를 정류하는 정류판(331)과, 정류판(331)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보관되는 정류부(330)와, 정류부(330)의 슬러지가 유입되되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341)과, 수문(341)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침전지(200)로 배출되는 배출공(342)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340)와, 정류부(330)의 슬러지 중 수문(341)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가 유입되어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351)과, 상류판(351)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슬러지 이송로(211)의 초입에 설치된 반송조(360)로 배출되는 반송공(352)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부(350)를 포함한다.8, the sludge flow rate regulator 300 includes a main body 310 and an inflow portion 32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310 to receive a portion of sludge from the sludge transport path 211, A rectifying unit 331 for rectifying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inlet 320, a rectifying unit 330 for storing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rectifying unit 331, A discharge unit 340 having a discharge hole 342 through which the sludge flowing through the sluice gate 341 is discharged to the settler 2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uice 341, And an upper plate 351 through which the sludge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sluice gate 341 flows and flows in an upward direction and sludge that has flowed through the upstream plate 351 are inserted into the sludge feeding path 211 And a transporting unit 350 having a transporting hole 352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to be discharged to the transporting tank 360.

본체(310)는 유입부(320)와, 정류부(330), 배출부(340) 및 반송부(350)의 외측을 둘러싸는 틀을 형성한다.The main body 310 forms a frame surrounding the inflow portion 320 and the outside of the rectification portion 330, the discharge portion 340, and the transfer portion 350.

유입부(320)로는 슬러지 이송로(211) 상의 슬러지 이송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일부 슬러지를 유입시키게 된다. 정류판(331)은 하단이 관통되어 있어 유입부(320)의 슬러지가 하향류로 정류부(330)로 이송된다.Som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rt 320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sludge feed amount on the sludge feed path 211. The lower end of the rectifying plate 331 is penetrated, and the sludge of the inflow part 320 is transferred to the rectifying part 330 with a downward flow.

배출부(340)는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341)과, 수문(341)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공(342)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수문(341)은 배출부(340)로부터 침전지(200)로 이송하기 위한 슬러지의 배출량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항상 일정량의 슬러지가 침전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침전지(200)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배출량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수문(34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The discharge unit 340 has a water gate 341 whose height is adjusted up and down according to a desired discharge amount and a discharge hole 342 through which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gate 341 is discharged. The sluice gate 341 is form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ludge to be transferr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340 to the settler 20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sludge can always be transferred to the settler 200. The settler 200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gate 341 based on the discharge amount.

이때, 정류부(330)에서 침전지(200)로 배출되는 수량을 증가하려고 할 때는 수문(341)의 높이를 낮추어주고 배출량을 감소하려고 할 때는 수문(341)의 높이를 높여 수문(341) 상부로 통과하는 슬러지를 조절하여 일정량의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한다.Whe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rectifying part 330 to the sedimentation tank 200 is to be increased, the height of the water gate 341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is decreased, the height of the water gate 341 is increased, The sludge is controll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ludge is discharged.

배출부(340)에 유입된 슬러지는 침전지(200)로 이송되는데, 이를 위하여 배출부(340)의 일측 하단에 배출공(342)을 형성하여 배출부(340)로 유입된 슬러지가 침전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출공(342)은 침전지(200)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이때,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는 침전지(200)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rt 340 is conveyed to the sedimentation bed 200. For this purpose, a discharge hole 34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rt 340, And the discharge hole 342 is connected to the sedimentation tank 200 by piping. At this time, the sludge conveyed through the pipe is naturally moved to the sedimentation bed 200, and various other methods can be sought.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부(330)의 슬러지 중 수문(341)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가 상향류로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슬러지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351)과, 상류판(351)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352)을 구비한 반송부(350)가 포함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of the rectifying unit 330, which does not pass through the gate 341, flows upward and is transported to the outside. The sludge is passed through the upstream plate 351, And a conveying unit 350 having a conveying hole 352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part for conveying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351.

여기서 상류판(351)은 배출부(340)로 이송되는 일정량의 슬러지를 제외한 나머지 잔량의 슬러지가 자연스럽게 반송부(3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반송부(35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그 폭은 수문(341)의 폭보다 넓게 하여 과량의 슬러지가 용이하게 반송부(350) 내부로 유입된 후 반송되도록 하여 슬러지의 과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stream plate 35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carry section 350 so that the remaining sludg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sludg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section 340 can naturally flow into the carry section 35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ludg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uice gate 341 so that excess sludge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carry section 350 and then transported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overload of the sludge.

슬러지의 반송을 위하여 반송부(350)의 일측 하단에는 반송공(352)이 형성되는데, 반송공(352)은 별도의 배관으로 반송조(360)와 연결되어 슬러지가 반송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슬러지의 반송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A conveying hole 35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conveying unit 350 for conveying the sludge. The conveying hole 352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tank 360 by a separate pipe to help the sludge to be conveyed. At this time, the sludge is conveyed naturally, and various other methods can be sough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러지 유량 조절부는 항상 일정량의 슬러지를 침전지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슬러지 이송로에 슬러지가 적채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러지 이송로에 대한 유지보수 소요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sludge flow rate reg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lways transport a certain amount of sludge to the sedimentation basin and process it, actively copes with fluctuation of the sludge load, thereby preventing the sludge from being fed to the sludge transport path,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requirements for the syste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부하우징 11: 슬러지수집홈
12: 슬러지배출관 13: 브리지
14: 약품펌프 20: 내부하우징
21: 원수공급관 22: 가이드
30: 슬러지이송수단 31: 제1축
31a: 체결돌기 32: 윙플레이트
33: 구동모터 40: 슬러지안내수단
41: 제2축 41a: 체결홈
42: 원추부 42a: 슬러지 안내홈
42b: 결합공 50: 진동발생수단
51: 지지축 52: 캠부
53: 회전모터 60: 슬러지수집기
61: 연장바아 62: 스크레퍼
63: 지지바아
100: 포기조 200: 침전지
211a: 슬러지 반송관 211b: 잉여슬러지 배출관
300: 슬러지 유량 조절부 310: 본체
320: 유입부 330: 정류부
340: 배출부 350: 반송부
360: 반송조 400: 슬러지처리조
10: outer housing 11: sludge collecting groove
12: sludge discharge pipe 13: bridge
14: drug pump 20: inner housing
21: Water supply pipe 22: Guide
30: sludge conveying means 31: first shaft
31a: fastening protrusion 32: wing plate
33: drive motor 40: sludge guide means
41: second shaft 41a: fastening groove
42: conical part 42a: sludge guide groove
42b: coupling hole 50: vibration generating means
51: support shaft 52: cam portion
53: Rotary motor 60: Sludge collector
61: extension bar 62: scraper
63: support bar
100: aeration tank 200: settling tank
211a: sludge conveyance pipe 211b: surplus sludge discharge pipe
300: sludge flow rate regulator 310:
320: inlet portion 330: rectification portion
340: discharging part 350:
360: Transport tank 400: Sludge treatment tank

Claims (6)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기조;
상기 포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 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침전지;
상기 침전지와 상기 포기조를 연결하는 슬러지 이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지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포기조로 반송하거나 슬러지처리조로 이송시키는 반송펌프; 및
상기 슬러지 이송로와 상기 침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이송로를 유동하는 슬러지 이송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슬러지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지는,
내부에 원수를 수용하도록 일정 체적을 가지되, 하향 경사진 바닥면의 중앙에 슬러지수집홈과, 하부에 상기 슬러지수집홈과 연통되는 슬러지배출관이 마련된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 일정 높이에 고정되되,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며, 원수공급관의 단부가 내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원수가 공급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의 중심에 기립되어 회전 가능한 제1축과, 상기 제1축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슬러지수집홈에 수집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배출관로 이송시키는 윙플레이트와, 상기 제1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슬러지이송수단;
상기 제1축의 외부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연동 회전 가능한 제2축과, 상기 제2축의 하단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면에 가라앉은 슬러지를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곽으로 흩뿌리는 원추부를 포함하는 슬러지안내수단; 및
상기 원추부의 표면에 고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
At least one aeration tank for purifying the sludge in contact with the sludge while giving up the introduced wastewater;
A sedimentation tank for introducing treated water treated in the aeration tank to sediment sludge contained in the treated water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A transfer pump installed in a sludge transfer path connecting the sedimentation tank and the aeration tank and transferring the sludge deposited in the sedimentation tank to the aeration tank or transferring the sludge to the sludge treatment tank; And
And a sludge flow rate regulat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sludge transfer path and the sedimentation unit to adjust the sludge transfer amount constantly flowing through the sludge transfer path,
Wherein the settling paper comprises:
An outer housing having a constant volume to receive raw water therein and having a sludge collecting groove at the center of a downwardly sloping bottom surface and a sludge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at a lower portion;
An inner housing which is fixed at an internal height of the outer housing and has a lower portion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and an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inside to supply raw water to the inside;
A w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for transferring the sludge collected in the sludge collecting groove to the sludge discharge pipe; A sludge conveying means including a driving motor for conveying the sludge;
A second shaft which is spline-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haft and is capable of interlocking rotation; a sludge fixed to the second shaft and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housing, A sludge guiding means including a conical portion scattered to the outside; And
And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removing the sludg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의 상면에는
회전방향으로 굽어진 복수의 슬러지 안내홈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conical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sludge guide grooves bent in a rotating directi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ludge guide groov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상기 제2축과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제2축을 지지하는 캠부와, 상기 지지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A cam shaft which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and supports the second shaft; and a rotation motor provided to provide a rotation power to the support shaf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유량 조절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이송로로부터 일부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유입된 슬러지를 정류하는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보관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슬러지가 유입되되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침전지로 배출되는 배출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정류부의 슬러지 중 상기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가 유입되어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과, 상기 상류판을 거쳐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이송로의 초입에 설치된 반송조로 배출되는 반송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침전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ludge flow rate regulator
The slud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main body; an inflow sec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sludge is introduced from the sludge feed path; a rectification plate for rectifying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inflow section; A sludge of the rectification part is flowed in and the height of the sludg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amount of discharge; a discharge part in which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sluice gate is discharged to the sedimentation part is formed on a lower side; An upstream plate through which the sludge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gate can flow and is passed through in an upward flow, and a conveying unit in which a sludge flowing through the upstream plate is discharged to a conveying tank installed at the beginning of the sludge conveying path, Wherein the wastewater sedimentation system comprises:
KR1020170169161A 2017-12-11 2017-12-11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839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61A KR101839736B1 (en) 2017-12-11 2017-12-11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61A KR101839736B1 (en) 2017-12-11 2017-12-11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736B1 true KR101839736B1 (en) 2018-03-16

Family

ID=6191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61A KR101839736B1 (en) 2017-12-11 2017-12-11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7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77B1 (en) * 2012-09-04 2013-04-02 최기억 Sludge sediment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77B1 (en) * 2012-09-04 2013-04-02 최기억 Sludge sedimenta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992B2 (en) High-rate sediment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4146471A (en) Liquid cla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I74696B (en) ANORDINATION OF FARING FARING RENING AV ICKE-KLARNAT VATTEN.
US57283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and related waste treatments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AU675406B2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effluent
KR101951202B1 (en) Sludge collecting device for sedimentation basin
US11286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ration of lime-treated water
US20150183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CA218100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fluid additives into a water treatment vessel
KR101867781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20210056354A (en) Granular sludge reactor system with external separator
KR101839736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CN211497304U (en) Integrated sewage treatment equipment
KR200392069Y1 (en) A concentrator laied sludge cohesion treating apparatus
KR100710501B1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fluid flow
KR102276708B1 (en) Sewage treatment facility that can separate and treat struvite stones
KR100313231B1 (en) a equipment treatment of discharge filtration plant
JP6640837B2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50113735A (en) Enriched dewatering device
GB2039873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101461592B1 (en) Wastewater Disposal Apparatus with Turbulence Wings
KR101867778B1 (en) Sedimentation basin
KR200418243Y1 (en) Water treatment system
CN206828333U (en) A kind of device for recycling breeding waste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