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93B1 - Fomentation room - Google Patents

Fomentation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93B1
KR101839593B1 KR1020180004291A KR20180004291A KR101839593B1 KR 101839593 B1 KR101839593 B1 KR 101839593B1 KR 1020180004291 A KR1020180004291 A KR 1020180004291A KR 20180004291 A KR20180004291 A KR 20180004291A KR 101839593 B1 KR101839593 B1 KR 10183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room
ope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인
Original Assignee
이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인 filed Critical 이창인
Priority to KR102018000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mentation room having a first opening, a second opening, and a boiler at an inner lateral side thereof, which comprises: a heat emitt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emitting far-infrared radiation to increa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mentation room; and an incense releasing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evaporating a liquid provided therein to release the evapor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mentation room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a control part to completely prevent a user from being injured. 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burned by means of a Teding Dancibo Pu (TDP) heat emitting unit, even when the user stays around the heat emitting part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fortably take a rest in the fomentation room by the incense releasing part.

Description

찜질방{FOMENTATION ROOM}Fumigation room {FOMENTATION ROOM}

본 발명은 찜질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찜질방 내부에 있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찜질방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찜질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mentation roo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jimjilbang which can prevent the user inside the jjimjilbang from burning and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jjimjilbangjangbang.

일반적으로 찜질방은 내부 공간에서 생성된 열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몸 안에 쌓여있는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하여 피로회복과 피부 건강을 증진시키는 구조물이다. 찜질방은 통상 섭씨 65도 이상의 고열을 직접 몸에 가하여 신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혈액순환 개선효과와 함께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인이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찜질방은 내부 공간에 열을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가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피부가 손상되고 화상을 입거나, 고온으로 인한 예기치 않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In general, the jjimjilbang is a structure that promotes fatigue recovery and skin health by discharging waste accumulated in the body with sweat in a short time through the heat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The jjimjilbang is used by modern people who consider health to be important because it increases the blood circulation and activates metabolism of the body without moving the body by directly applying high heat of 65 degrees Celsius or more to the body.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jjimjilbang is a type of directly applying heat to the user's body in the internal space, the skin may be damaged, burned, or cause unexpected disease due to high temperat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726호)는 필름형 전열판의 표면에 황토 숯 보드를 부착함으로써, 별도의 열원을 찜질공간 내에 비치하지 않고도 찜질이 가능하고, 황토 숯 보드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찜질방 구조물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찜질공간에 열원을 배치하여 내부에 열을 가하는 것보다 열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의 경우 황통 숯 보드가 손상될 경우 사용자가 다칠 확률이 극도로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48726), by attaching a charcoal board to the surface of a film type heat transfer plate, it is possible to apply a fomenting material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heat source in the fomentation space , A jumbo-cubical structure that prevents a user from burning through a loess charcoal boar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efficiency i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heat source is disposed in the fomenting space to apply heat thereto. Also,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ability of injuring the user is extremely increased if the charcoal board is damag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4264호)에서는 토르말린 혼합 황토를 이용하여 작은 열원으로도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찜질방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는 내부공간의 온도를 적정한 온도 범위 내로 맞추기 위해 세밀한 열원의 조정이 필요하고, 이에 실패할 시에는 내부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Prior Ar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4264) discloses a jjimjilbang which can maximize thermal efficiency even with a small heat source using tourmaline mixed yellow soi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ocument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rmal efficiency is lowered with time. Also, in the prior art document 2,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at source in detail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to a proper temperature range. If the internal space is unsuccessful, there is a risk that the user in the internal space may suffer injury such as burns.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8726호 (2009.05.15. 공개)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48726 (disclosed on May 15, 2009)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4264호 (2014.04.04. 등록)Prior Art 2: Korean Patent No. 10-1384264 (Registered on April 4, 201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찜질방의 내부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찜질방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 room which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room.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TDP 발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user from burning through a TDP heating means that emits a far-infrared ray.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체에 무해한 향기를 발산하여 찜질방 내부에 있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찜질방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jimjilbang which is able to radiate a harmless perfume to the human body so that a user in the jjimjilbang can relax more comfortabl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면에 복수 개의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보일러를 구비하는 찜질방으로서, 제1 개구부에 삽입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찜질방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부 및 제2 개구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구비된 액체를 증발시켜 찜질방의 내부에 상기 증발된 액체를 발산하는 향 발산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house cham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 second opening and a boiler on the inner surface, wherein the hood comprises: a heat generat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emitting far infrared rays to rai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jumping- And a fragrance dispenser for dispensing the evapor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jjimjil room by evaporating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해 찜질방의 내부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mentation room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user can be surely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TDP 발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발열부 근처에 장시간 위치하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age from being applied even if the user is positioned near the heat generating portion for a long time through the TDP he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향 발산부를 통해 찜질방 내부에서 보다 편안하게 안정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more comfortably stabilize the inside of a steam room through an aroma dispensing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의 하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온도 감지부, 제2 온도 감지부 및 대상물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온도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 내부 온도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 fomentation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ottom structure of a jjimjilba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steam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an object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n objec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perfu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fragrance dispen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a steam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lso,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제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찜질방(100)을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fumigant roo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100)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내측면에 복수 개의 제1 개구부(103), 제2 개구부(104) 및 보일러를 구비하는 찜질방(100)으로서, 제1 개구부(103)에 삽입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찜질방(100)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부(110) 및 제2 개구부(104)에 삽입되고 내부에 구비된 액체를 증발시켜 찜질방(100)의 내부에 증발된 액체를 발산하는 향 발산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본격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찜질방(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주체를 “대상물”이라고 명명한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찜질방(1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될 수 있기에, “대상물”은 “사용자”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구비하는 물건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지칭하는 용어임을 설명한다.FIG. 1 is a view entirely showing a fomentation roo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room 10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03, a second opening 104 and a boiler on its inner surfac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03 and radiates far-infrared rays, And a fragrance dispensing unit 120 inserted into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nd the second opening 104 for raising the temperature and evaporating the liquid contained therein to radiate the evaporated liquid into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earne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bject disposed inside the fomentation room 100 is referred to as an " object ". However, since this can actually be a "user" using the jjimjilbang 100, "object" is a term that refers to an extended range of objects to be possessed by not only "user" but also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의 하면(10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찜질방의 하면(101)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 냉기 차단층(1011), 제1 몰딩층(1012), 유체 순환층(1013), 온열 전도층(1014) 및 제1 마감층(101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된다(도 2a 참조).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ower surface 101 of a jugular-living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101 of the jugging room has a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a first molding layer 1012, a fluid circulating layer 1013, a heat conduction layer 1014 and a first finishing layer 1015 (See Fig. 2A).

제1 냉기 차단층(1011)은 찜질방(100)이 배치되는 지면으로부터 방출되는 냉기가 찜질방(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냉기 차단층(1011)은 찜질방 하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콘크리트 재질로 구비된다. 하지만 제1 냉기 차단층(1011)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2개의 콘크리트 층 사이에 부직포 등의 냉기 차단에 도움이 되는 층을 배치하는 제1 냉기 차단층(1011)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1 냉기 차단층(1011)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냉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찜질방(100) 내부에 들어가자마자 고온의 공기를 즉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찜질방(100)의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first cold air barrier layer 1011 prevents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ground on which the hot tub 100 is plac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t tub 100. To this end, the first cold air barrier layer 1011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jumping room and is made of concrete.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is not limited thereto.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concrete layers to arrange a layer for preventing cold air such as nonwoven fabric. The first cold air blocking layer 1011 can block the inflow of cold air coming from the ground.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high-temperature air as soon as the user enters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 heat efficiency of the fomentation room 100 can be increased.

제1 몰딩층(1012)은 찜질방의 하면 및 찜질방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유체 관(p)을 배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몰딩층(1012)은 제1 냉기 차단층(1011)의 상면에 구비되고, 찜질방의 하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고무 재질로 구비된다. 하지만 제1 몰딩층(1012)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몰딩층(1012) 상에 배치되는 유체 관(p)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제1 몰딩층(1012)이 구비됨으로써, 유체 관(p)은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또한 유체 관(p)을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어 찜질방(100) 내부의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몰딩층(1012)을 통해 제1 냉기 차단층(1011)의 균열 등으로 인해 제1 냉기 차단층(1011)을 뚫고 유입되는 냉기를 재차 차단할 수 있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first molding layer 1012 is a structure for disposing the fluid pipe (p) requi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room and the inside of the steam room. To this end,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blocking layer 1011, and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jjimjil room, and is made of rubber. However, the material of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the fluid pipe p disposed on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can be easily and firmly disposed. Since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is provided, the fluid pipe p can be firmly disposed, and the fluid can also pass through the fluid pipe p stably, thereby improving the heat efficiency inside the steam room 100 have. In addition,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can block the cool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due to cracks or the like of the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thereby improving the heat efficiency.

유체 순환층(1013)에는 선술한 유체 관(p)이 배치된다. 유체 순환층(1013)은 제1 몰딩층(1012) 상에 구비된다. 또한, 유체 관(p)은 유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유체 관(p)은 아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순환층(1013)은 유체 관(p)이 진동 등에 의해 위치가 가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몰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몰탈층은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등의 재질로 구비되고, 유체 관(p)은 몰탈층에 잠기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유체 관(p)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 관(p)의 위치 변동에 따른 유체 관(p)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In the fluid circulating layer 1013, the aforementioned fluid tube p is disposed. The fluid circulating layer 1013 is provided on the first molding layer 1012. Further, the fluid pipe (p)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while preventing corrosion by the fluid.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luid pipe (p) may be made of a zinc material. The fluid circulating layer 1013 may further include a mortar layer for preventing the fluid pipe (p) from being displaced by vibration or the like. The mortar layer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ncrete or cement, and the fluid pipe (p) is provided so as to be immersed in the mortar lay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fluid pipe (p) from being changed and also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fluid pipe (p) due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luid pipe (p).

온열 전도층(1014)은 유체 관(p)을 통과하는 고온의 유체에 의해 생성된 열의 전도를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온열 전도층(1014)은 유체 순환층(1013)의 상면에 구비되고,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온열 전도층(1014)은 아연 재질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열 전도층(1014)을 통해 찜질방(1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열 에너지의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heat conduction layer 1014 is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conduction of heat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uid pipe (p). For this purpose, the heat conduction layer 101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circulation layer 1013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conduction layer 1014 is made of a zin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 energy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heat conduction layer 1014 and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제1 마감층(1015)은 찜질방(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탈취 및 향균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마감층(1015)은 온열 전도층(1014)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1 마감층(1015)은 복수 개의 타일로 구비되고 각각의 양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감층(1015)을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마감층(1015)은 황토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온열 전도층(1014)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통해 가열된 황토로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을 활발히 할 수 있다. 또한, 황토 재질로 구비되는 제1 마감층(1015)은 열전도율이 높아 찜질방(100) 내부에 존재하는 열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황토 특유의 색채 및 질감은 찜질방(100) 내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고급스러운 시인성을 줄 수 있다.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is provided to adjust the humidity inside the steam room 100 and to obtain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conductive layer 1014. In addition,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les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can be easily replaced and repair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is made of a loess material, the user can activate blood circulation through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oess heated through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eat conduction layer 1014.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made of a loess material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energy existing in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color and texture peculiar to the loess can provide a high visibility to the user inside the fomentation room 100.

찜질방(100)의 하면에는 삽입 이동 보조부(1016)가 더 구비된다. 삽입 이동 보조부(1016)는 찜질방(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선술한 제1 냉기 차단층(1011)의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삽입 이동 보조부(1016)는 일 측면 및 일 측면에 대향하는 타 측면이 개구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로 구비되는 도구 또는 지게차 등의 장비를 삽입 이동 보조부(1016)의 개구된 부분(일 측면 또는 타 측면)에 삽입하고 들어올림으로써, 찜질방(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삽입 이동 보조부(1016)가 구비됨에 따라, 찜질방(1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찜질방(100)의 위치를 옮기기 위해 찜질방(100)을 분해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moving support portion 1016. The insertion-moving auxiliary portion 1016 is provided below the first air blocking layer 1011 to move the fomentation room 100. [ In addition, the insertion movement assisting portion 1016 is provided such that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surface are opened.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fomentation room 100 by inserting equipment such as a tool or a forklift, which is provided separately, into the open portion (one side surface or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assisting portion 1016 and lifting the same. By providing the insertion movement assisting portion 1016, the position of the fomentation room 100 can be changed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fomentation room 100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reby reducing the co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찜질방의 외측면(102)에는 제2 냉기 차단층(1021), 제2 몰딩층(1022), 단열층(1023), 전력선 매입층(1024), 제2 마감층(1025)이 찜질방(1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steam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oling layer 1021, a second molding layer 1022, a heat insulating layer 1023, a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and a second finishing layer 1025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02 of the jjimjilbang room. Are sequentially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제2 냉기 차단층(1021)은 선술한 제1 냉기 차단층(1011)과 동일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제2 냉기 차단층(1021)은 찜질방(100) 외측면의 가장 외측에 구비되고, 찜질방(100) 외측면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콘크리트 재질로 구비된다. 제2 냉기 차단층(1021)을 통해, 찜질방(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찜질방(100) 내부에 들어가자마자 고온의 공기를 즉시 받아들일 수 있어 찜질방(100)의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cold blocking layer 1021 is provid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first cold blocking layer 1011 described above. The second air blocking layer 1021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The inflow of cold air introduced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can be blocked through the second cold air blocking layer 1021. As a resul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high-temperature air as soon as the user enters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reby improving the heat efficiency of the fomentation room 100.

제2 몰딩층(1022)은 찜질방(100)의 외측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틈새를 막아 냉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몰딩층(1022)은 제2 냉기 차단층(102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목재 재질로 구비된다. 제2 몰딩층(1022)을 통해, 제2 냉기 차단층(1021)이 차단하지 못한 냉기를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blocks a gap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blocks cold air more effectively. To this end, 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air blocking layer 1021 and is made of a wood material. Through 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the cold air that can not be blocked by the second cold blocking layer 1021 can be secondarily blocked, thereby improving the heat efficiency.

단열층(1023)은 제2 몰딩층(1022)이 차단하지 못한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단열층(1023)은 석고 또는 합판 등의 재질로 구비되고, 제2 몰딩층(1022)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특히, 합판은 냉기에 강하고 갈라짐 및 비틀림 현상이 일반 목재보다 현저하게 적은 재질이기 때문에, 구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냉기 차단층(1021), 제2 몰딩층(1022) 및 단열층(1023)을 통해,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 찜질방(100)을 설치하더라도 실외의 찬 공기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찜질방(100) 설치 위치에 대한 범용성 및 열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023 is provided to block the cold air that 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can not block. Specifically, the heat insulating layer 1023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gypsum or plywood,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Particularly, since the plywood is strong in cold air and has a phenomenon of cracking and twisting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wood, the state of the plywood can be maintained and the cold air can be effectively block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block the cold air outdoors even if the steam room 100 is installed not only indoors but also outdoors through the second cooling air shielding layer 1021, the second molding layer 1022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1023, 100)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remarkably increased.

전력선 매입층(1024)은 발열부(110), 히터(도 1의 도면부호 “h”로 도시됨)와 같이 찜질방(100) 내부에서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l)을 보관한다. 이를 위해, 전력선 매입층(1024)은 단열층(1023)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전력선 매입층(1024)의 두께는 전력선(l)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선 매입층(1024)은 시멘트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매입된 전력선(l)을 고정한다. 이를 통해, 전력선(l)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누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includes a power line l 2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device driven in the inside of the jugging room 100, such as a heat generating portion 110 and a heater (indicated by h in FIG. 1) ).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1023, and the thickness of the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wer line 1. Further, the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ement to fix the buried power line 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short circuit that occurs when the power lines 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2 마감층(1025)은 제1 마감층(1015)과 동일하게 찜질방(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고 탈취 및 향균 효과를 도출하는 목적을 가지고 구비된다. 제2 마감층(1025)은 전력선 매입층(1024)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황토 재질로 구비된다. 고온의 찜질방(100) 내부 공기는 황토 재질로 된 제2 마감층(1025)으로 하여금 원적외선의 방출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황토 특유의 색채 및 질감은 찜질방(100) 내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고급스러운 시인성을 줄 수 있다. The second finishing layer 1025 has the same purpose as the first finishing layer 1015 for adjusting the humidity inside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deriving the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effects. The second finishing layer 102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wer line embedding layer 1024 and is made of a clayey material. The high-temperature indoor air of the grooming room 100 induces the second finishing layer 1025 made of a loess material to induce the emission of the far-infrared ray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activate the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far-infrared rays. In addition, the color and texture peculiar to the loess can provide a high visibility to the user inside the fomentation room 100.

찜질방(100)의 측면에는 편백나무 층(1026)이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편백나무 층(1026)은 제2 마감층(1025)의 내측면에 구비되되, 찜질방(100) 내측면의 하단에 구비된다. 편백나무 층(1026)에서 배출되는 피톤치드 성분을 통해, 사용자는 찜질방(100)의 내부에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편백나무 층(1026)은 강한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삼림욕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백나무 층(1026)은 찜질방(100)의 상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And a whitening wood layer 1026 is furth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team room 100. In detail, the whitening wood layer 10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nishing layer 1025,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eam room 100. Through the phytoncide ingredients exiting the whitening wood layer 1026, the user can relieve stress within the fomentation room 100, enhance the immune function, and treat allergies and skin disorders. In addition, since the whitish wood layer 1026 has a strong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 it can give the user the same feeling as a forest bath. Such a whitish wood layer 102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room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는 찜질방(10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제1 개구부(103)에는 찜질방(1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부(110)가 삽입되며, 제2 개구부(104)에는 찜질방(100) 내부에 증발된 액체를 발산하여 향을 공급하는 향 발산부(120)가 삽입된다(도 9 참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발열부(110) 및 향 발산부(120)는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를 통해 찜질방(10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는 찜질방(100)의 내측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개구부(103) 및 제2 개구부(104)는 제2 마감층(1025)만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4 is a view showing a first opening 103 and a second opening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portion 103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104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hampooing room 100 and the heating portion 110 for rai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hampooing room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03 And a fragrance dispensing unit 120 for dispensing the liquid evaporated in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o supply fragran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4 (see FIG. 9).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03 and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04 may be provided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nd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03 and a second opening 104 And the like. The first opening 103 and the second opening 104 are formed in the steam room 100 so as to prevent air from flowing outside the steam room 100 through the first opening 103 and the second opening 104, As shown in Fig.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03 and the second opening 104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only the second finishing layer 102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1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온도 감지부(115) 및 대상물 감지부(11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ing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and an object sensing unit 1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발열부(110)는 찜질방(100)의 내부 온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되는 구성으로서, 일 측면이 개구된 보관부(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원(112), 대상물이 열원(112)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부(113), 대상물의 화상을 방지하는 화상 방지부(114), 발열부(110)의 제1 온도(t1)를 측정하는 제1 온도 감지부(115), 발열부(110)와 접촉된 대상물의 제2 온도(t2)를 측정하는 제2 온도 감지부(116), 발열부(110)와 대상물의 접촉 시간(c1)을 감지하는 대상물 감지부(117)를 포함한다.The heating unit 110 is designed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 heating unit 110 includes a heat source 112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111 having one side opened, A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for measuring a first temperature t1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for measuring a first temperature t1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for measuring a second temperature t2 of the object contacted with the unit 110, an object sensing unit 117 for sensing the contact time c1 between the heating unit 110 and the object, .

보관부(111)는 열원(112)을 보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보관부(111)의 일 측면(도 6에서 열원(112)이 보관부(111)의 외부와 노출되는 면을 뜻함)은 개구되어 열원(112)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11)는 열원(11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큰 재질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관부(111)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내열성 수지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111)의 내측면에는 반사판이 더 구비됨으로써, 열원(112)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보관부(111)의 일 측면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1 is provided for storing the heat source 112. In detail,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111 (in FIG. 6, the heat source 11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11) may be opened to insert the heat source 112. In order to prevent the storage unit 111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source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unit 11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eat resistance.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torage part 11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engineering plastic, high heat-resistant resin, or the like. Further, since the reflection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1, the far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112 can be concentrated in one side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11,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열원(112)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찜질방(100)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TDP 부재로 구비된다. TDP(Tedin Dancibo Pu)는 천연 광물질에 열을 가했을 때 발생되는 합성 전자기파이다. TDP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TDP 부재로 구비되는 열원(112)은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고, 사용자는 방출된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열원(112)이 고체 연료 또는 전기에너지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는 열원(112) 근처에 장시간 있어도 화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 또는 장애인도 안전하게 발열부(110) 근처에서 찜질을 할 수 있다.The heat source 112 is provided as a TDP member so as to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by emitting far-infrared rays. Tedin Dancibo Pu (TDP) is a synthetic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when heat is applied to natural minerals. Since the TDP is a well-known techniqu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The heat source 112 provided as a TDP member is heated to emit far-infrared rays, and the user can activate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emitted far-infrared rays. Compared to the heat source 112 emitting heat energy to the solid fuel or electric energy, the user can avoid burning even if it is near the heat source 112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elderly or the disabled can safely perform the poultry work near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접촉 방지부(113)는 대상물이 열원(112)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접촉 방지부(113)는 보관부(111)의 일 측면에 그물 형상으로 구비되고, 대상물이 접촉 방지부(113)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접촉 방지부(113)는 대상물이 열원(112)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접촉 방지부(113)는 내열성이 큰 재질로 구비된다. 이는 접촉 방지부(113)가 열원(112)에 의해 손상되어 대상물이 접촉 방지부(113)를 용이하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접촉 방지부(113)는 고내열성 수지 등으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act preventive portion 113 is provided to prevent the object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112. In detail, the contact preventive portion 113 is provided in a net shape on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111 and is provided so that the object does not pass through the contact preventive portion 113. Thus,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113 can reliably prevent the objec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112.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11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This is to prevent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113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source 112 and allowing the object to easily pass through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113.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reventing portion 113 should be made of a high heat-resistant resin or the like.

화상 방지부(114)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의 피부는 열원(112)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화상을 입는 등 다칠 수 있는 확률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찜질하려는 신체 부위를 열원(112)에 과하게 가깝게 위치시킬 경우에도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상 방지부(114)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열원(112)을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화상 방지부(114)는 발열부(1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데, 여기서 발열부(110)의 둘레는 찜질방(100)의 내측면을 향하는 보관부(111)의 일 측면의 둘레를 뜻한다. 화상 방지부(114)가 발열부(1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신체 부위를 화상 방지부(114)에 접촉하는 것 만으로도 열원(112)과의 과도한 접근을 방지할 수 있어 화상을 입을 확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The image preventing section 114 prevents the user from wearing the image. The skin of the user is likely to be injured such as being burned when exposed to the heat source 112 for a long time.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places the body part to be fomentfully close to the heat source 112, it may be burned. Accordingly, the image preventing portion 114 separates the heat source 112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urning the image. The periphery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10 refers to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111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 Since the burn prevention part 114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10, the user can prevent the excessive access to the heat source 112 by simply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burn preventing part 114, The probability of mouthing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6을 참조하면, 발열부(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부(115)는 보관부(111)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이제부터, 발열부(110)의 온도는 대상물의 온도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온도(t1)”라고 지칭하겠다. 제1 온도 감지부(115)는 제1 온도(t1)를 감지하기 위해, 열원(112)이 삽입되는 보관부(111)의 내측면에 복수 구비되는데, 여기서 보다 정확한 제1 온도(t1)를 감지하기 위해 제1 온도 감지부(115)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온도 감지부(115)는 온도 감지 센서, 열 감지 카메라 등 다양한 측정 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제1 온도 감지부(115)가 열 감지 카메라로 구비된다면, 열원(112)으로부터 방출되는 열 에너지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부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온도 감지부(115)는 측정한 제1 온도(t1)를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값(201)과 제1 온도(t1)를 비교하여 발열부(110)의 가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200)에 대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하겠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1. Hereinaft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will be referred to as " first temperature t1 "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confuse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is provid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1 into which the heat source 112 is inserted to sense the first temperature t1. A plurality of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s 115 may be provided. Also,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may be a variety of measurement device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thermal sen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is provided as a thermal sensing camera, a separate cover unit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damage due to thermal energy emitted from the heat source 112.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transmits the measured first temperature t1 to the controller 200. The controller 200 compar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201 and the first temperature t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eating unit 110 is stopped. The control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제2 온도 감지부(116)는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제부터 대상물의 온도는 발열부(110)의 온도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온도(t2)”라고 지칭하여 설명하겠다. 제2 온도 감지부(116)는 발열부(110)와 접촉된 대상물의 제2 온도(t2)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온도 감지부(116)는 발열부의 화상 방지부(114)와 접촉된 대상물의 제2 온도(t2)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제2 온도 감지부(116)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찜질방(1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을 뜻함)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온도 감지부(116)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맞닿을 때 보다 정확하게 제2 온도(t2)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또한, 제2 온도 감지부의 일단(1161)은 발열부(110)의 열 에너지로부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큰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온도 감지부의 일단(1161)은 니켈, 코발트, 철 등의 성분이 섞인 합금 또는 폴리프론 수지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 감지부의 타단(1162)이 대상물과 접촉함으로써, 제2 온도 감지부(116)는 제2 온도(t2)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온도 감지부의 타단(1162)에는 접촉 보조부(1163)가 더 구비된다. 이는 대상물이 제2 온도 감지부의 타단(1162)과 접촉할 때, 제2 온도 감지부의 일단(1161)에 손상이 생겨 제2 온도 감지부(116)가 고온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접촉 보조부(1163)가 구비됨으로써, 대상물은 제2 온도 감지부(116)와 접촉했을 때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온도 감지부(116)에 접촉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온도 감지부(116)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제2 온도 감지부(116)는 제2 온도(t2)를 제어부(200)로 송신한다. 제어부(200)는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값(201)과 제2 온도(t2)를 비교하여 발열부(110)의 가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Hereinafter,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will be referred to as " second temperature t2 "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confused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measures a second temperature t2 of the object contacted with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 Specificall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measures the second temperature t2 of the object contacted with the burn-in prevention unit 114 of the heat generating unit.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image preventing unit 114 (which means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s 116 so as to measure the second temperature t2 more precisely when the user touches the body part of the user, . One end 1161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to prevent damage from thermal energy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10.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ne end 1161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alloy containing components such as nickel, cobalt, and iron, or polypyrone. Furthe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116 can measure the second temperature t2 by contacting the other end 1162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with the object.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 contact auxiliary portion 1163 is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1162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This is because when the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ther end 1162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even i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116 is damaged at one end 1161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 By providing the contact auxiliary portion 1163, it is possible to prevent skin damage when the object come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116, and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116 .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transmits the second temperature t2 to the controller 20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201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unit 110 is in operation.

대상물 감지부(117)는 대상물과 발열부(110)가 접촉하고 있는 시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대상물 감지부(117)는 대상물과 제2 온도 감지부(116)가 접촉하고 있는 시간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대상물 감지부(117)는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에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 대상물과 제2 온도 감지부(116)의 접촉 시간(c1)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물 감지부(117)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또한, 대상물 감지부(117)는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이 때 대상물 감지부(117)의 돌출되는 길이는 제2 온도 감지부(116)가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보다 크거나 같아야 함이 바람직하다. 즉, 대상물 감지부(117)는 대상물과 제2 온도 감지부(116)가 서로 접촉할 때, 찜질방(100)의 외측 방향(제2 온도 감지부(116)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뜻함)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압되는 시점부터 비가압된 시점까지의 기간을 “접촉 시간(c1)”으로 간주한다. 가압 및 비가압을 통해 접촉 시간(c1)을 측정하는 대상물 감지부(117)를 통해 사용자가 찜질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기준 값(201)과 접촉 시간(c1)을 비교 및 판단하여 발열부(110)에 가동 중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찜질방(100)을 이용하는 대상물은 “사용자”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의 신체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사용자와 대상물 감지부(11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간을 “접촉 시간(c1)”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심전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접촉 시간(c1)”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대상물 감지부(117)에는 별도의 절연부가 구비되어 과도한 전류가 신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detects the time when the objec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object sensing unit 117 senses the time when the object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mage preventing unit 114. In order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ontact time (c1) of the object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ortion 116, a plurality of object sensing portions 117 are provide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may be set such that the second temperature detecting unit 116 detect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image preventing unit 114 114)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12, 114). That is, when the object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bject sensing unit 117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oward the one end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 And is regarded as the " contact time c1 ",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s it is pressurized. The control unit 200 can measure the time during which the user fills the feces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unit 117 that measures the contact time c1 through the pressurization and the non-pressurization, ), And issue an operation stop comman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 As another embodiment, since the object using the fomentation room 100 is mostly " user ", the time during which the user and the object detection unit 117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user's body is referred to as & c1) ". That is, the "contact time (c1)" can be measured using the principle of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In this case, 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sulating unit so as to prevent excessive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body.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감지부(117`)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상물 감지부(117`)는 찜질방(100)의 하면에 구비되되, 발열부(110)의 전방에 구비된다. 여기서, 발열부(110)의 전방은 발열부(110)가 열 에너지를 분출하는 방향 및 찜질방(100)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뜻한다. 대상물 감지부(117`)는 중량 감지부(1171), 탄성체(1172) 및 중량 감지 센서(1173)를 포함한다. 중량 감지부(1171)는 찜질방(10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중량 감지부(1171)의 하측에는 중량 감지 센서(1173)가 구비되고, 중량 감지부(1171)와 중량 감지 센서(1173)의 사이에는 이를 연결하는 탄성체(1172)가 구비된다. 또한, 중량 감지 센서(1173)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중량 감지부(1171)의 상측에 대상물이 위치하게 되면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탄성체(1172)가 수축하게 되고, 이를 중량 감지 센서(1173)가 감지한다. 대상물이 중량 감지부(1171)를 벗어날 경우, 탄성체(1172)는 원래대로 신장하게 되고, 중량 감지 센서(1173)는 탄성체(1172)가 수축한 시점부터 원래대로 신장한 시점까지의 기간을 “접촉 시간(c1)”으로 간주한다. 중량 감지 센서(1173)는 이 접촉 시간(c1)을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기준 값(201)과 접촉 시간(c1)을 비교 및 판단하여 발열부(110)에 가동 중지 명령을 내린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부(117`)를 통해, 대상물이 발열부(110)의 근처에 위치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발열부(110)를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선술한 대상물 감지부(117`)가 파손되었더라도 대상물과 발열부(110)가 접촉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8 is a view showing an object detection unit 11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detection unit 117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ing unit 110. Here, the front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sprays heat energy and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fomenting room 100. 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includes a weight detecting unit 1171, an elastic body 1172, and a weight detecting sensor 1173. The weight sensing unit 117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rfac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A weight detection sensor 1173 is provided below the weight detection unit 1171 and an elastic body 1172 is provided between the weight detection unit 1171 and the weight detection sensor 1173. In addition, the weight detection sensor 117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Referring to FIG. 8B, when the object is positioned above the weight sensing unit 1171, the elastic body 1172 is contracted by the load of the object, and the weight sensing sensor 1173 senses this. When the object is out of the weight sensing part 1171, the elastic body 1172 is stretch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weight sensor 1173 detects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the elastic body 1172 contracts to the time when the elastic body 1172 is stretched back to the & Time (c1) ". The weight sensing sensor 1173 transmits the contact time c1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and determines the reference value 201 with the contact time c1, Issue a stop command.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unit 117 ', the time when the object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s measured,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damaged. Also, even when the object detecting unit 117 'described in FIGS. 5 and 6 is broken, the time when the object contacts the heating unit 110 can be measur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부(120) 및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부(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향 발산부(120)는 찜질방(100)의 내부에 증발된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찜질방(100)의 내부에 향기가 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향 발산부(120)는 찜질방(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개구부(104)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향 발산부(120)는 2개로 구비되는 발열부(1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찜질방(100)에서 찜질을 하는 동시에 향 발산부(120)에서 나오는 향기를 맡으며 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향 발산부(120)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121) 및 증발된 액체를 찜질방(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수납부(121)에는 약초, 향초 등과 같은 향기 발산 액체가 저장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증발 수단에 의해 향기 발산 액체를 증발된다. 또한, 증발된 액체는 배출부에 구비되는 배출구(122)를 통해 향 발산부(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증발된 액체를 보다 멀리 배출하기 위해 송풍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향 발산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심적 안정감을 느끼면서 찜질을 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찜질방(100) 내부에 있는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부(120)는 외측면에 샤워 헤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향 공급부재(123)를 더 포함한다(도 10 참조). 향 공급부재(123)는 구부러지는 재질로 구비되고,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향 공급부재(123)가 더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향 공급부재(123)의 방향을 조절하여 향기를 보다 진하게 느끼면서 찜질을 즐길 수 있다.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fragrance diffus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ragrance diffuse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ume diffus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evapor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so that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is perfumed. For this, the incense diversion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4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am room 100.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ragrance dispersing unit 1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wo heat generating units 110.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mental stability by fomenting in the fomentation room 100 and taking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fragrance dispensing part 120. The incense diversion unit 120 includes a storage unit 121 capable of containing a liquid therein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evaporate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The perfume emitting liquid such as herbal medicine, herb or the like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121, and the perfume emitting liquid is evaporated by the separately provided evaporating means. In addition, the evaporated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erfume diffusing unit 120 through an outlet 122 provided in the discharging unit.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 blower may be separately provided to further discharge the evaporated liquid. As a result, the user can comfortably maintain indoor air by eliminating the unpleasant smell in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In addition, The perfume diffuse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cense supply member 12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in the form of a showerhead (see FIG. 10). The fragrance supply member 123 is made of a bending material and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 bent state. Since the fragrance supply member 123 is further provided, the user can enjoy the fomentat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fragrance supply member 123 to feel the fragrance more deepl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찜질방 내부 온도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a jjimjil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00)는 발열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기준 값(201)을 제1 온도(t1), 제2 온도(t2) 및 접촉 시간(c1)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발열부(110)에 구동 중지 명령을 내릴 것인지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값(201)은 제1 기준 온도 값(t3), 제2 기준 온도 값(t4) 및 기준 시간 값(c2)으로 구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기준 온도 값(t3)은 섭씨 350도, 제2 기준 온도 값(t4)은 섭씨 60도, 기준 시간 값(c2)은 20분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특이사항 등에 따라 설계자가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eater 110.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preset reference value 201 with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the contact time c1 and drives the hea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ecide whether to issue a stop command. Here, the reference value 201 is divided into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3,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4, and a reference time value c2.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3 may be set to 350 degrees Celsiu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4 may be set to 60 degrees Celsius, and the reference time value c2 may be set to 20 minutes. However, this can be changed by the designer according to the user's sex, age, uniquenes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200)는 기준 값(201)과 제1 온도(t1), 제2 온도(t2) 및 접촉 시간(c1)을 비교하는 연산부(210), 비교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및 비교 결과에 의해 발열부(110)에 구동 중지 명령을 내린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부(23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210 for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201 with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the contact time c1, a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comparison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for issuing a drive stop instruction to the hea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an external device.

선술한 바와 같이, 제1 온도 감지부(115), 제2 온도 감지부(116) 및 대상물 감지부(117)는 각각 제1 온도(t1), 제2 온도(t2) 및 접촉 시간(c1)을 측정하여 제어부(200)에 송신한다.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값(t3)을 제1 온도(t1)와 비교하고, 제2 기준 온도 값(t4)을 제2 온도(t2)와 비교하며, 기준 시간 값(c2)을 접촉 시간(c1)과 비교한다.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and the object sensing unit 117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the contact time c1,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3 with the first temperature t1 and compare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4 with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compares the reference time value c2 ) Is compared with the contact time (c1).

여기서, 제1 온도(t1)가 제1 기준 온도 값(t3)보다 작고, 제2 온도(t2)가 제2 기준 온도 값(t4)보다 작으며, 접촉 시간(c1)이 기준 시간 값(c2)보다 작은 경우(case 1), 제어부(200)는 발열부(110)의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 제1 온도 감지부(115), 제2 온도 감지부(116) 및 대상물 감지부(117)에 재측정을 지시한다.If the first temperature t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3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4 and the contact time c1 i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value c2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and the object sensing unit 117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 this case, Re-measurement is instructed.

한편, 제1 온도(t1)가 제1 기준 온도 값(t3)보다 크거나, 제2 온도(t2)가 제2 기준 온도 값(t4)보다 크거나, 접촉 시간(c1)이 기준 시간 값(c2)보다 큰 경우(case 2), 제어부(200)는 발열부(110)에게 가동 중지 명령을 지시하고, 이에 따라 발열부(110)의 가동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발열부(110)에 가동 중지 명령을 내리는 시점에서의 제1 온도(t1), 제2 온도(t2) 및 접촉 시간(c1)을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발열부(110)에 가동 중지 명령을 내린 이력을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30)에 지시한다. 이에 따라, 찜질방(100)을 관리하는 사람은 통신부(230)에 의해 전송받은 가동 중지 명령에 관한 이력을 외부기기를 통해 즉시 확인하고, 이에 대해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200)가 구비됨으로써, 발열부(110)의 온도가 과도하게 오르거나, 신체 부위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 화상을 입기 전에 발열부(110)의 구동을 자동으로 중지할 수 있어 신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temperature t1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3,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4, or the contact time c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ime value t c2) (Case 2), the control unit 200 instructs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o suspend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here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o prevent the user from burning. The control unit 200 stores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the contact time c1 at the time when the operation stop instruction is issue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 the storage unit 220, And instructs the communication unit 230 to transmit a history of issuing an operation stop comman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ly, the person managing the fomentation room 100 can immediately check the history of the operation stop command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rough the external device, and can quickly take measures against it. Since the control unit 200 is provided,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110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befo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110 rises excessively or the temperature of the body part rises excessively, .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5)

내측면에 제1 개구부(103), 제2 개구부(104) 및 보일러를 구비하는 찜질방(100)으로서,
상기 제1 개구부(103)에 삽입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찜질방(100)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발열부(110); 및
상기 제2 개구부(104)에 삽입되고, 내부에 구비된 액체를 증발시켜 상기 찜질방(100)의 내부에 상기 증발된 액체를 발산하는 향 발산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110)는,
상기 발열부(110)의 제1 온도(t1)를 측정하는 제1 온도 감지부(115);
상기 발열부(110)와 접촉된 대상물의 제2 온도(t2)를 측정하는 제2 온도 감지부(116);
상기 발열부(110)와 상기 대상물의 접촉 시간(c1)을 감지하는 대상물 감지부(117); 및
미리 설정된 기준 값(201)과 상기 제1 온도(t1), 상기 제2 온도(t2) 및 상기 접촉 시간(c1)을 비교하여 상기 발열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방.
A steam room (100) having a first opening (103), a second opening (104) and a boiler on its inner surface,
A heating unit 110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103 and emitting a far infrared ray to rai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room 100; And
A fragrance dispensing unit 120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4 to evaporat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second opening 104 to diffuse the evaporated liquid into the inside of the fomentation room 100; Lt; / RTI >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ing unit 115 for measuring a first temperature t1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for measuring a second temperature t2 of an object in contact with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An object sensing unit 117 for sensing a contact time c1 between the heating unit 110 and the object; And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eating unit 110 by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201 with the first temperature t1, the second temperature t2, and the contact time c1; Further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201)은 제1 기준 온도 값(t3), 제2 기준 온도 값(t4) 및 기준 시간 값(c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온도(t1)가 상기 제1 기준 온도 값(t3)보다 크거나, 상기 제2 온도(t2)가 상기 제2 기준 온도 값(t4)보다 크거나, 상기 접촉 시간(c1)이 상기 기준 시간 값(c2)보다 큰 경우, 상기 발열부(110)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value 201 includes a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3, a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4, and a reference time value c2,
The control unit (200)
Wherein when the first temperature t1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t3 or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t4, And stops driving the heating unit (110) if the reference time value (c2)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time value (c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10)에는 상기 대상물과 접촉 시 상기 대상물의 화상을 방지하는 화상 방지부(114)가 상기 발열부(110)의 둘레를 따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방.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further comprises an image preventing unit (114) for preventing an image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heating unit (11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unit (1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감지부(116)는,
상기 화상 방지부(114)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일단은 내열성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온도 감지부(116)의 타단과 대상물의 접촉을 통해 제2 온도(t2)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방.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unit (116)
The light blocking member 114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light blocking member 114 and has one end made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And the second temperature (t2) is measured through the contact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part (116) and the object.
KR1020180004291A 2018-01-12 2018-01-12 Fomentation room KR101839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91A KR101839593B1 (en) 2018-01-12 2018-01-12 Fomentation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91A KR101839593B1 (en) 2018-01-12 2018-01-12 Fomentation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93B1 true KR101839593B1 (en) 2018-03-16

Family

ID=6191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91A KR101839593B1 (en) 2018-01-12 2018-01-12 Fomentation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9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8247A1 (en) Health Care and Physical Therapy Device For Gathering Energy
KR101962673B1 (en) Thermotherapy using mineral heat and far infrared rays
KR0172673B1 (en) Sauna bath wit aromatic apparatus and humidifier
KR101839593B1 (en) Fomentation room
KR200490071Y1 (en) Dry type Sitz-Foot Bathing Device
KR101066259B1 (en) Bed having nature korean paper layer hand-made from mulberry trees
KR20110130590A (en) Heating device of seat type
US20220015587A1 (en) Body Hair Dryer
KR20180091508A (en) Bed type hyperthermia-therapy apparatus
KR200470536Y1 (en) sitz bath chair having warmth panel
KR200488625Y1 (en) Seat device for salt fumigation
KR100393142B1 (en) Yellow soil sweating bathroom
KR101262746B1 (en) Fumigant and fumigation using the same
KR200339570Y1 (en) Instrument for a Sitz Bath Available for Applying a Poultice to the Foot
KR200214098Y1 (en) Yellow soil sweating bathroom
KR20050059386A (en) A chair for herb medicine therapy having dry type fumigator
KR200397067Y1 (en) A Far Infrared fomentation implement by carbon fiber of plate heating element
KR101280548B1 (en) Whole body bathtub apparatus for sitz bath and foot bath
KR102644332B1 (en) Sauna steam tub
RU91284U1 (en) INFRARED CABIN (SAUNA)
KR102271937B1 (en) A Steam Supplying Type of an Apparatus for Massaging a Foot
KR20070078758A (en) Infrared light heater
KR200427732Y1 (en) Chinese Medicine Fomentation Equipment for Hands and Feet
KR200235514Y1 (en) health bed
JP3156863U (en) Far infrared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