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389B1 - Blockseal - Google Patents

Blockse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389B1
KR101839389B1 KR1020160151020A KR20160151020A KR101839389B1 KR 101839389 B1 KR101839389 B1 KR 101839389B1 KR 1020160151020 A KR1020160151020 A KR 1020160151020A KR 20160151020 A KR20160151020 A KR 20160151020A KR 101839389 B1 KR101839389 B1 KR 10183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seal
hole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e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seal part (16)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4) of a frame (12). The cylindrical seal part (16) has a seal through hole (17) which is cylindrical and has a hollow center. A edge seal part (18)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frame (12) is provided. The cylindrical seal part (16) and the edge seal part (18)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frame (12). The cylindrical seal part (16) and the edge seal part (18) substantially function as waterproof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ylindrical seal part (16)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a terminal passes the seal through hole (17) of the cylindrical seal part (16).

Description

블럭시일{Blockseal}Blockseal {Blockseal}

본 발명은 블럭시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어 커넥터에서 와이어를 통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블럭시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e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seal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at the same time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through a wire in a connector.

방수가 필요한 환경에서는 시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시일이 사용되는데, 터미널의 갯수가 많은 경우에는 판형상의 블럭시일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블럭시일에는 와이어의 관통을 위한 다수개의 시일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블럭시일은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와이어가 관통하게 되고, 와이어의 외면이 시일통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게 된다.Seals are used in environments where waterproofing is required. Seals are used, for exampl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Plate-like block seals are often used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is large. In this block seal,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penetrating the wire are formed. The block seal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a wir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sses through the block sea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closely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하지만, 상기 블럭시일의 시일통공에 와이어가 관통하기 위해서는 먼저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된 터미널이 시일통공을 관통하여 지나가야 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이 시일통공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블럭시일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터미널이 시일통공을 통과하면서 터미널의 일측이 시일통공의 내면에 걸린 상태로 시일이 일정 이상 늘어나기 때문이다. 즉, 시일이 일정 한도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However, in order for the wire to pass through the seal hole of the block seal, a terminal connected to the tip of the wire must pass through the seal hol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lock seal tears during the passage of the terminal through the seal hole. This is because th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and one side of the terminal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and the seal is increas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at is, the seal is stretched beyond a certain limit and tearing occu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4752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4752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0386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0386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943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943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된 터미널이 블럭시일의 시일통공을 통과할 때 블럭시일이 늘어나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extent to which a block seal extends when a terminal connected to a wire end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of a block se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형상으로 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으로 제2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형상으로 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고 외측부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2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되는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는 축공이 형성된 제1결합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축공에 압입되는 제2결합핀이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핀이 상기 시일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게 설치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ate shape, A second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n outer side protruding more than an ed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seal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good elastic deformation property relative to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having a first coupling pin formed with a shaft hole, The second frame is provided with a second engaging pin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shaft hole, and the first engaging pin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engaging hole form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eal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시일부의 외측부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돌출리브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시일통공의 내면에도 돌출리브가 다수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seal portion are formed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상으로 된 한쌍의 프레임베이스의 양단이 연결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이 형성되면 상기 프레임보다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중심시일부와, 상기 연결판의 외면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보다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테두리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테두리시일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air of plate-shaped frame base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late, A cent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bases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frame 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n edge portion of the frame incl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a guide rib for guiding a position of a part of the fram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상기 관통공은 다수개가 열을 지어 상기 프레임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through-holes ar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the frame base.

상기 중심시일부의 시일통공 내면과 상기 테두리시일부의 외면을 따라서는 돌출리브가 형성된다.A protruding rib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at the edge portion.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lock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방수를 위한 밀착 역할을 하는 시일부를 최소화하고 탄성변형이 되지 않는 프레임을 두어 시일부가 늘어나는 정도를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터미널이 시일부의 시일통공을 관통하여 지나갈 때 시일부가 일정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게 되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and the seal portion serving as a close contact for waterproofing is minimized, and a frame which is not elastically deformed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egree of extension of the seal portion. Therefore, when th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seal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al portion does not extend beyond a certain extent and the tear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의 제1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의 제2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의 제3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block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block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block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5;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본 발명의 제1실시례의 구성을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블럭시일(10)의 골격을 프레임(1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2)은 어느 정도 단단한 재질로 된 것이다. 물론, 전혀 탄성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될 통형시일부(16)나 테두리시일부(18)보다는 탄성변형성이 낮은 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The frame 12 forms the skeleton of the block seal 10. The frame 12 is made of a somewhat rigid material.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be made of a material which does not elastically deform at all,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deformability than the tubular part 16 and the frame part 18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프레임(12)은 판형상으로 되고, 다수개의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4)은 프레임(12)에서 가장 넓은 2개의 면으로 양단이 개방된다. 즉, 상기 관통공(14)은 상기 프레임(1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은 본 발명의 블럭시일(10)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터미널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만큼 형성된다.The frame 12 has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are formed. The through holes 14 are open at both ends in the widest plane in the frame 12. [ That is, the through hole 14 is formed through the frame 12. [ The through holes 14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connector in which the block se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상기 관통공(14)의 내부에는 통형시일부(16)가 설치된다. 상기 통형시일부(16)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통형시일부(16)를 만드는 재질의 예로는 고무가 있다. 상기 통형시일부(16)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외면은 상기 관통공(14)의 내면에 밀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통형시일부(16)의 외면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관통공(14)의 내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있어서 통형시일부(16)가 일정 이상의 힘을 받더라도 관통공(1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통형시일부(16)의 내면, 즉 시일통공(17)의 내면에도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어 방수역할을 하는 돌출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시일통공(17)의 내면 전체가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A tubular portion 16 is provided in the through-hole 14. The cylindrical portion 16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 example of a material for making the tubular part 16 is rubber. The tubular portion 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ts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4.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4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portion 16 hav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and function as a waterproof member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16,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Of course,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상기 프레임(12)의 외측면을 둘러서는 테두리시일부(18)가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18)는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어 상기 프레임(1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18)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해당되는 위치에서 방수작용을 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18)의 둘레를 따라서는 돌출리브(19)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돌출리브(19)가 3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And a frame portion 18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2 is provid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me portion 1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2. [ The edge portion 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functions as a waterproofing member in a corresponding posi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19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dge portion 18. In the drawing, three protruding ribs 19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paralle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럭시일(10)에서는 상기 통형시일부(16)가 각각의 와이어의 외면을 둘러싸서 방수작용을 하고, 상기 테두리시일부(18)가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방수작용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방수작용이 필요한 곳에서는 모두 탄성변형이 가능한 통형시일부(16)와 테두리시일부(18)가 있어서 대응되는 부품과 압착되어 사용되고, 방수작용이 필요없는 부분에서는 상기 프레임(12)이 있어서 전체 블럭시일(10)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lock se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portion 16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each wire and functions as a waterproofing member, and the edge portion 18 prot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rom watertightness.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part 16 and the frame part 18,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can be pressed and used with the corresponding parts in places where the waterproof function is required, So that the shape of the entire block seal 10 is maintained.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블럭시일(110)에는 프레임이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 및 제2프레임(112,112')이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112)에는 제1프레임베이스(113)가 있다. 상기 제1프레임베이스(113)는 판형상으로 되는데, 전체적으로는 블럭시일(110)의 일측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프레임베이스(113)에는 제1관통공(114)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114)은 본 실시례의 블럭시일(110)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터미널 갯수만큼 형성된다.3 and 4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ock seal 110 of this embodiment, a frame is composed of a first frame 112 and a second frame 112 '. These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112 'are combined to serve as one frame. The first frame 112 has a first frame base 113. The first frame base 11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frame base 113 forms a surface of the block seal 110.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14 are formed in the first frame base 113. The first through holes 114 are formed by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connector in which the block seal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상기 제1프레임베이스(113)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핀(116)이 있다. 상기 제1결합핀(116)은 상기 제1프레임베이스(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핀(116)에는 핀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2프레임베이스(113')의 제2결합핀(116')이 삽입된다. 상기 제1결합핀(116)과 제2결합핀(116')의 결합에 의해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핀(116)의 핀공에 상기 제2결합핀(116')이 압입되도록 치수를 설계하면 별도의 구성없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rame base 113 ha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ins 116. The first engagement pin 116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frame base 113. The first coupling pin 116 is formed with a pin hole,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in 116 'of the second frame base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coupl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pin 116 and the second engagement pin 116'. Here, if the dimension of the second engagement pin 116 'is designed to be pressed into the pin hole of the first engagement pin 116, the engagement can be made without any other configuration.

상기 제2프레임(112')의 구성은 상기 제1프레임(112)의 구성과 동일하나, 단지 제2결합핀(116')이 상기 제1결합핀(116)의 핀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것만이 제1프레임(112)과 상이하다. 즉, 제2프레임(112')은 제2프레임베이스(113')에 다수개의 제2관통공(114')이 형성되고, 제2결합핀(116')이 상기 제2프레임베이스(11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제1결합핀(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The structure of the second frame 1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rame 112 except that only the second engagement pin 116'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of the first engagement pin 116 Only the first frame 112 is different. That is, the second frame 112 'has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114' formed in the second frame base 113 ', and a second engaging pin 116'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in 116. As shown in Fig.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2')의 사이에는 시일부(117)가 설치된다. 상기 시일부(117)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시일부(117)는 판형상이고 본 실시례에서는 납작한 육면체로 되된다. 상기 제1관통공(114) 및 제2관통공(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통공(118) 내에는 와이어가 관통하여 있게 된다. 상기 시일통공(118)의 내부형상은 관통되는 와이어의 외면형상과 대응되고, 일반적으로 돌출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시일부(117)의 두께는 상기 제1프레임베이스(113)와 제2프레임베이스(113') 사이의 간격과 같은 치수로 된다.A seal part 117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2 '. The seal portion 117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he seal portion 117 is plate-shaped,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a flat hexahedron. A through hole 118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1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4 '. A wire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8. The inner shape of the through hole 118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penetrating wire, and in general,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are formed side by side.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ortion 117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base 113 and the second frame base 113 '.

상기 시일부(11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제1결합핀(116)과 제2결합핀(116')이 서로 결합되어 위치되는 결합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18')은 상기 시일부(11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일부(117)의 외측부는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2')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시일부(117)의 외측면, 즉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돌출리브(11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돌출리브(119)가 3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A coupling hole 118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in 116 and the second coupling pin 116', which surround the edge of the seal portion 117,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hole 118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al portion 117 and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seal portion 117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edg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2' Respectively. A protruding rib 119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 portion 117, that is, the edge. In this embodiment, three protruding ribs 119 are formed side by side.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블럭시일(210)에서 프레임(212)이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12)은 어느 정도 단단한 재질,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중심시일부(216)나 테두리시일부(218)보다는 탄성변형성이 낮은 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5 and 6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ock seal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212 forms a skelet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2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mewhat rigid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low elastic deformability, as compared with the center portion 216 and the frame portion 218,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프레임(212)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의 프레임베이스(213)가 있다. 상기 프레임베이스(213)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4)은 한 쌍의 프레임베이스(213)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프레임베이스(213)는 연결판(21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215)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서는 가이드리브(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215')는 아래에서 설명될 테두리시일부(218)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frame 212 has a pair of frame bases 213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4 are formed in the frame base 213. The through holes 21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rame bases 213, respectively. The pair of frame bases 213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late 215. A guide rib 215 'is formed along both widthwise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215. The guide rib 215 'serves to guide a mounting position of the frame portion 218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프레임베이스(213)의 사이 공간에는 중심시일부(216)가 위치된다. 상기 중심시일부(216)는 판형상으로 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중심시일부(216)는 탄성변형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중심시일부(216)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베이스(213)의 간격과 같도록 된다.A center portion 216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 bases 213. The central joint portion 216 has a plate shape, and in this embodiment, it has a flat hexahedral shape. The center portion 216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center-of-sight portion 216 is equal to the interval of the frame base 213.

상기 중심시일부(216)에는 다수개의 시일통공(2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통공(217)은 상기 프레임베이스(213)의 관통공(2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시일통공(217)의 내부 형상은 와이어의 외면 형상과 대응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시일통공(217)의 입구가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내측은 와이어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돌출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7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216. The through hole 217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14 of the frame base 213. The inner shape of the through hole 217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wir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217 is rectangular, but the inner sid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wir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are arranged side by side.

상기 프레임(2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테두리시일부(218)가 위치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218)는 상기 중심시일부(216)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3개의 돌출리브(219)가 나란히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218)는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어 상기 프레임(2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218)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해당되는 위치에서 방수작용을 한다. 상기 테두리시일부(218)의 외면 둘레를 따라서는 돌출리브(219)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돌출리브(219)가 3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A frame portion 218 surrounding the edge of the frame 212 is located. The edge portion 218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enter portion 216, and the three protruding ribs 219 protrude in parallel.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ame portion 21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installed close to the edge of the frame 212. The edge portion 2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functions as a waterproofing member in a corresponding posi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219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dge portion 218. In the drawing, three protruding ribs 219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parallel.

본 실시례의 블럭시일(210)에서는 상기 중심시일부(216)의 시일통공(217) 내면에 각각의 와이어 외면이 밀착되어 방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시일부(218)가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방수작용을 하게 된다.In the block seal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urfaces of the wir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7 of the central sealing portion 216 to be waterproofed, and the edge portion 218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them.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시일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block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블럭시일(10)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제1실시례의 블럭시일(10)은 판형상의 프레임(12)의 관통공(14)에 설치된 통형시일부(16)의 시일통공(17)을 와이어가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있는 터미널이 상기 시일통공(17)을 먼저 통과한다. 상기 시일통공(17)을 상기 터미널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형시일부(16)에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있을 수 있다.First, the block seal 10 shown in Figs. 1 and 2 is used. The block seal 10 of the first embodiment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17 of the tubular portion 16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14 of the plate- At this time, a terminal at the tip of the wire passes first through the through hole (17). There may be som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in the tubular portion 16 during the passage of the through-hole 17 through the terminal.

하지만, 상기 통형시일부(16)는 늘어나는 정도가 한정되고, 상기 통형시일부(16)가 늘어나도록 탄성변형되는 경우에, 일정 이상 늘어나기 전에 상기 통형시일부(16)가 상기 관통공(14)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형시일부(16)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만약 상기 통형시일부(16)가 상기 관통공(14)에서 빠진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삽입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tubular part 16 is stretched and elastically deformed such that the tubular part 16 is stretched, the tubular part 1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4 ). Therefore, the cylindrical portion 16 is not damaged. If the tubular portion 16 is missing from the through-hole 14, the operator can insert the tubular portion 16 again.

제1실시례의 블럭시일(10)은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테두리시일부(18)가 압착되면서 방수작용을 한다. 특히, 상기 돌출리브(19)가 압착되면서 방수작용을 한다. 와이어와 블럭시일(10) 사이의 방수는 상기 통형시일부(16)의 시일통공(17) 내면에 와이어의 외면이 밀착되어 이루어진다.In the block seal 1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18 is compressed and attach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waterproof function. Particularly, the projecting ribs 19 are pressed and waterproof. The waterproofing between the wire and the block seal 10 is achieved by brin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7 of the tubular part 16.

제1실시례에서는 통형시일부(16)와 테두리시일부(18)가 탄성변형되면서 방수를 위한 부분에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고 상기 프레임(12)은 전체 블럭시일(10)의 형상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ubular part 16 and the frame part 18 are elastically deformed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proof part to perform a waterproof function, and the frame 12 constitutes the shape of the entire block seal 10 It plays a role.

다음으로, 제2실시례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시일부(117)의 양측 표면에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2')이 위치되어 상기 시일부(117)의 지나친 탄성변형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시일통공(118)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프레임(112)의 제1관통공(114) 또는 제2프레임(112')의 제2관통공(114')의 가장자리가 시일부(117)의 지나친 탄성변형을 방지한다.3,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2 'are position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tegral seal part 117, and the seal part 117 Of the elastic deformation. The edges of the first through holes 114 of the first frame 112 or the second through holes 114 'of the second frame 112'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er 117.

본 실시례에서는 하우징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시일부(117)의 가장자리에 있는 돌출리브(119)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고, 상기 시일부(117)의 시일통공(118) 내면이 와이어의 외면에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한다.The protruding rib 119 at the edge of the seal portion 1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between the seal portion 117 and the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 through hole 118 of the seal portion 117 And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to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마지막으로 제2실시례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12)의 프레임베이스(213) 사이에 중심시일부(216)가 위치되어 상기 시일통공(217)을 터미널이 통과할 때 지나친 탄성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관통공(214)의 가장자리가 시일통공(217)에서의 지나친 탄성변형을 차단하게 된다.Fin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center portion 216 is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bases 213 of the frame 212 so that when the terminal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217,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That is,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214 blocks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in the through hole 217.

본 실시례에서는 하우징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테두리시일부(218)의 돌출리브(219)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고, 상기 중심시일부(216)의 시일통공(217)의 내면에 와이어의 외면이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게 된다.The protruding rib 219 of the rim portion 2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between the rim portion 2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7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is closely adhered to the waterproofing function.

상기 프레임(212)의 프레임베이스(213)가 상기 중심시일부(216)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여 블럭시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rame base 213 of the frame 212 prevents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enter portion 216 to prevent damage to the block se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블럭시일 12: 프레임
14: 관통공 16: 통형시일부
17: 시일통공 18: 테두리시일부
19: 돌출리브 110: 블럭시일
112: 제1프레임 112': 제2프레임
113: 제1프레임베이스 113': 제2프레임베이스
114: 제1관통공 114': 제2관통공
116: 제1결합핀 116': 제2결합핀
117: 시일부 118: 시일통공
118': 결합공 119: 돌출리브
210: 블럭시일 212: 프레임
213: 프레임베이스 214: 관통공
215: 연결판 215':가이드리브
216: 중심시일부 217: 시일통공
218: 테두리시일부 219: 돌출리브
10: Block seal 12: Frame
14: Through-hole 16: part of cylindrical shape
17: Sealing through hole 18: Part of border
19: protruding rib 110: block seal
112: first frame 112 ': second frame
113: first frame base 113 ': second frame base
114: first through hole 114 ': second through hole
116: first coupling pin 116 ': second coupling pin
117: Sealing part 118: Sealed through hole
118 ': engaging hole 119: protruding rib
210: block seal 212: frame
213: frame base 214: through hole
215: connecting plate 215 ': guide rib
216: Central city part 217: Sealed ventilation
218: part of the border 219: protruding rib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형상으로 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으로 제2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형상으로 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고 외측부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2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되는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에는 축공이 형성된 제1결합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축공에 압입되는 제2결합핀이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핀이 상기 시일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블럭시일.
A firs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nd formed into a plate shape,
A second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coupled to the first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late shape,
Wherein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rame protrudes more than an edg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nd a seal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good elastic deformation property relative to the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pin having a shaft hole formed therein. The second frame has a second engaging pin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shaft hole. The first engaging pi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form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eal portion. Perforated block seals.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의 외측부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돌출리브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시일통공의 내면에도 돌출리브가 다수개 형성되는 블럭시일.
5. The block seal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se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 aperture.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판상으로 된 한쌍의 프레임베이스의 양단이 연결판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시일통공이 형성되면 상기 프레임보다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중심시일부와,
상기 연결판의 외면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보다 탄성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테두리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테두리시일부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블럭시일.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both ends of a plate-shaped frame bas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late to form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frame bases;
A center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rame bases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elastic deformation than the frame 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 rim portion formed around the rim of the frame incl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better elastic deformability than the frame,
And guide rib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다수개가 열을 지어 상기 프레임베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블럭시일.
[8] The block seal of claim 7, wherein the through-holes ar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rows of the through-holes of the frame bas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시일부의 시일통공 내면과 상기 테두리시일부의 외면을 따라서는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블럭시일.
9. The block seal of claim 8, wherein protruding ribs are formed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center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at the edge portion.
삭제delete
KR1020160151020A 2016-11-14 2016-11-14 Blockseal KR101839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20A KR101839389B1 (en) 2016-11-14 2016-11-14 Blockse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020A KR101839389B1 (en) 2016-11-14 2016-11-14 Blockse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389B1 true KR101839389B1 (en) 2018-03-16

Family

ID=6191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020A KR101839389B1 (en) 2016-11-14 2016-11-14 Blockse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3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068A (en) * 2003-06-09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Rubber stopper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09043443A (en) * 2007-08-06 2009-02-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Waterproof connector
JP2009043444A (en) * 2007-08-06 2009-02-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Waterproof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068A (en) * 2003-06-09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Rubber stopper for waterproof connector
JP2009043443A (en) * 2007-08-06 2009-02-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Waterproof connector
JP2009043444A (en) * 2007-08-06 2009-02-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Waterproof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4627B2 (en)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KR102508823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hysical button structural
US792253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634425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96930B2 (en) Connector
US9444178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into an opening in the housing
KR970068768A (en) PC card and frame kit for it
JP2021077549A (en) connector
JP2004342408A (en) Connector for sheet-shape conductive path
KR101839389B1 (en) Blockseal
WO2016000519A1 (en) Radio-frequency module waterproof structure and radio-frequency module having same
KR20200031928A (en) Waterproof type joint connector
JP6160303B2 (en) Switch unit
CN111220711A (en) Waterproof ultrasonic scanner
JP6858949B2 (en) Contacts, connector members and connectors
KR20110139439A (en) Block-seal for connector
CN218273888U (en) LED display device
JP2019206819A (en) Door lock device pair
TWI682170B (en) Waterproof ultrasound scanner
JP3226411U (en) Input/output shield plate
JP2021036502A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7463023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KR20220115255A (en) Mat-seal and waterproof type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60000683A (en) Header assembly and connector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header assembly
JP2021173631A (en) Cover member and electronic watt-hour met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