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30B1 -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30B1
KR101838430B1 KR1020170010718A KR20170010718A KR101838430B1 KR 101838430 B1 KR101838430 B1 KR 101838430B1 KR 1020170010718 A KR1020170010718 A KR 1020170010718A KR 20170010718 A KR20170010718 A KR 20170010718A KR 101838430 B1 KR101838430 B1 KR 101838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s
ibuprofen
ptsd
group
r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봄비
함대현
이혜정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부프로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부프로펜은 우수한 PTSD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PTSD의 치료제 또는 개선제 등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comprising ibuprofe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이부프로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로 재분류된 불안 장애로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 반응하여 야기될 수 있다. 주로 일상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에서 벗어난 사건들, 예로 천재지변, 화재, 전쟁, 신체적 폭행, 고문, 성폭행, 인질사건, 학대, 그 밖의 대형사고 등을 겪은 뒤에 발생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개인에 따라 다른데, 충격 후 즉시 시작될 수도 있고 수일,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이 지나고 나서도 나타날 수 있다.
PTSD의 증상은 과민반응(hyperalertness, hyperarousal)과 충격의 재경험(re-experience or intrusion), 감정 회피(avoidance) 또는 마비(emotional numbness)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두통이나 소화불량, 구토, 위통, 수전증,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별 불안, 학교 공포, 외부인 공포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비현실적인 감정 때문에 알코올과 약물에 의존하여 남용 및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고, 자율신경계 장애가 나타나며, 때로는 환각이 보이고, 해리성 장애나 공황 발작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PTSD의 치료에는 인지치료, 행동치료, 최면치료, 집단치료, 약물치료, 신경차단 치료요법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약물치료에는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 단가아민 산화효소억제제(MAO inhibitor)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등의 항우울제가 주로 사용된다.
상술한 SSRIs의 대표적인 예로, 프로작(Prozac)이란 상품명을 갖는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들 수 있다. 플루옥세틴이 PTSD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은 여러 문헌을 통해 공지된 바 있으며(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1 Jul, 4(3):419-423.; Neurosciences (Riyadh). 2011 Jul, 16(3):257-62.), 새로운 품목의 다양한 PTSD 치료약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플루옥세틴은 수많은 국가에서 가장 널리 처방해 주는 약제로 알려져 있다. 다만, SSRIs는 인지 장애, 체중 증가, 성기능 장애, 진정, 의존증 및 금단 증상을 포함하여 그 효능을 제한하는 부작용을 나타냄에 따라, 장기간의 치료 시 보다 안전한 약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PTSD,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치료를 위한 천연 제품이나 약용 식물의 개발에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0163호),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우울증 또는 치매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256호),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41호) 등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부프로펜(ibuprofen)은 통증, 발열 및 염증을 줄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NSAID)이다. 이부프로펜은 뇌졸중 동물 모델에서 신경 손상을 감소시키고, 전뇌 허혈(global ischemia)에서 뇌 혈류를 개선시켰으며(de Souza CO. et al., Mol Cell Biochem. 2015;399:237-246.), 국부 허혈(focal ischemia)에서 경색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공지되었다(Antezana DF. et al., J Neurosurg. 2003;98:860-866.). 또한,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모델에서 대뇌 플라크 형성 및 염증을 억제할 수 있음이 규명되었으나(Zara S. et al., Gerontology. 2013;59:250-260.), PTSD 등의 정신병적인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제로서의 이부프로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연구한 결과, 이부프로펜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갖는 랫트 모델의 불안/우울 행동 증상을 경감시키고,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증상을 완화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이부프로펜(ibuprofen)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부프로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이부프로펜(ibuprofen)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이부프로펜(ibuprofen)"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의 대표적 성분으로서, 통증, 발열 및 염증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는 알려진 바 없었으며,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08093080-pat00001
본 발명의 용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비정상적인 정신 신체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에서 제시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한다. 질환이 발병되는 시기는 개인마다 다르며, 충격 후 즉시 시작될 수도 있고 수일,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이 지나고 나서도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해리 현상, 공황 발작, 환청 등의 지각 이상, 공격적 성향, 충동조절 장애, 우울증, 약물 남용,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 등의 인지기능 문제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PTSD가 유발된 랫트에 20 또는 40 mg/kg의 이부프로펜을 투여한 결과, 상기 랫트의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은 감소하고(도 2b), 고가식 십자 미로 테스트 시 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 및 머무르는 시간은 증가하며(도 3a 내지 3c), 열린 공간 테스트 시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행동 및 중앙부에 머무르는 시간은 증가하지만, 주변부에 머무는 시간은 감소하며(도 4a 및 4b), 전염증성 매개인자인 TNF-α 및 IL-1β를 발현하는 세포의 수 및 뇌 조직에서 상기 인자의 mRNA 발현양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a 내지 6c). 이는, 이부프로펜은 PTSD 랫트 모델의 불안/우울 행도 증상을 경감시키고,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PTSD 예방, 치료 및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험 전반에 걸쳐서 양성 대조군으로써 기존에 PTSD 치료제로 시판되고 있는 플루옥세틴(fluoxetine; FLX)을 사용하였으며, 이부프로펜은 플루옥세틴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PTSD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부프로펜은 기존의 치료제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PTSD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PTSD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틱액시드(Poly Lactic Acid), 폴리-L-락틱액시드(poly-L-lactic acid),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담체의 형태로는 각종 부정형의 담체, 마이크로 스피어, 나노파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 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이부프로펜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이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예방 또는 치료방법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병되거나 또는 발병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익상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정맥 내, 피하, 피 내, 비강 내, 복강 내, 근육 내, 경피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1 ㎎/㎏ 내지 200 ㎎/㎏, 구체적으로 1 ㎎/㎏ 내지 100 ㎎/㎏, 더욱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는 이부프로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이부프로펜'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부프로펜은 우수한 PTSD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PTSD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PTSD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하여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건강식품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은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하는데, 경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부프로펜은 그대로 첨가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향료, 팽창제,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PTSD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부프로펜은 PTSD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다양한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부프로펜은 우수한 PTSD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PTSD의 치료제 또는 개선제 등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실험의 개략도이며, 단일의 지속적 스트레스(Single prolonged stress; SPS)를 통한 불안-유사 증상의 유도 과정 및 이부프로펜의 투여 시기를 나타낸다. 이때, IMO는 고정(immobilization), FS는 수영(forced swim), Rest는 휴식, Ether는 에테르 증기의 노출, OFT는 열린 공간 테스트(Open field test), EPM은 고가식 십자 미로(Elevated plus maze) 테스트를 의미한다.
도 2a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체중에 대한 이부프로펜(ibuprofen;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SAL은 식염수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 랫트, SPS는 SP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 랫트, SPS+IBU20은 SPS 및 20 mg/kg IBU를 처리한 랫트, SPS+IBU40은 SPS 및 40 mg/kg IBU를 처리한 랫트, SPS+FLX는 SPS 및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처리한 랫트를 의미한다. *p<0.05 및 ***p<0.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2b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수준에 대한 이부프로펜(ibuprofen;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SAL은 식염수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 랫트, SPS는 SP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 랫트, SPS+IBU20은 SPS 및 20 mg/kg IBU를 처리한 랫트, SPS+IBU40은 SPS 및 40 mg/kg IBU를 처리한 랫트, SPS+FLX는 SPS 및 플루옥세틴(Fluoxetine)을 처리한 랫트를 의미한다. *p<0.05 및 ***p<0.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3a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불안-유사 증상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개방 구역에 머무는 시간에 관한 것이다. **p<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3b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불안-유사 증상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개방 구역 및 비개방 구역에 진입한 횟수에 관한 것이다. **p<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3c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불안-유사 증상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불안 지수에 관한 것이다. **p<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4a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자발적인 운동 활동 및 탐색 활동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횟수에 관한 것이다. *p<0.05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4b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자발적인 운동 활동 및 탐색 활동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중앙부 및 주변부에 머무는 시간에 관한 것이다. *p<0.05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염증 매개인자(TNF-α 및 IL-1β)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 관한 것으로, TNF-α 또는 IL-1β에 대하여 양성 면역반응을 나타낸 세포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스케일바(Scale bar)는 50 ㎛를 나타내며, *p<0.05 및 ***p<0.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5b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염증 매개인자(TNF-α 및 IL-1β)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 관한 것으로, TNF-α 또는 IL-1β에 대하여 양성 면역반응을 나타낸 세포의 수를 나타내느 그래프이다. 스케일바(Scale bar)는 50 ㎛를 나타내며, *p<0.05 및 ***p<0.001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6a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염증 매개인자(TNF-α 및 IL-1β)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RT-PCR 결과에 관한 것으로서, 아가로스 겔에 나타난 TNF-α, IL-1β 또는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PCR 밴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b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염증 매개인자(TNF-α 및 IL-1β)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RT-PCR 결과에 관한 것으로서, GAPDH의 mRNA 발현양에 대하여 표준화한 TNF-α의 mRNA 발현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p<0.05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도 6c는 SPS에 의하여 PTSD가 유도된 랫트에서, 염증 매개인자(TNF-α 및 IL-1β)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을 보여주는 RT-PCR 결과에 관한 것으로서, GAPDH의 mRNA 발현양에 대하여 표준화한 IL-1β의 mRNA 발현양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p<0.05는 SAL 그룹과 비교 시, #p<0.05는 SPS 그룹과 비교 시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동물의 사용
동물 실험에는 200-220g의 수컷 SD(Sprague-Dawley) 랫트(6주령, Samtako Animal Company; Seoul, Korea)를 이용하였다. 모든 랫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polycarbonate cage)당 다섯 마리가 머무르는, 접근이 제한된 설치류 시설에서 보관하였다. 동물실은 22±2℃의 온도, 55±15%의 상대습도가 유지되도록 조절하였고, 케이지는 12시간의 빛을 받도록 조절하였으며, 실험 기간 동안 멸균된 음용수 및 표준 식사 식단을 임의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모든 동물 실험은 공급자로부터 동물을 제공받은 최소 7일 이후에 시작하였고, 국립 보건원(NIH Publications 80-23, 1996년 개정)의 실험동물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경희대학교 동물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6-7마리의 랫트에 약물을 처리하여 PTSD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랫트에 대한 이부프로펜(Ibuprofen; IBU)의 표준 투여 용량 및 투여 기간은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이부프로펜(20 또는 40 mg/kg, 체중, Sigma-Aldrich Chemical Co. St. Louise, MO, USA) 및 양성 대조군 약물인 플루옥세틴(10 mg/kg, FLX; Fluoxetine hydrochloride, Eli Lilly and Company, Basingstoke, Hampshire)은 복강 내 주사(intraperitoneally; i.p.)를 통해 1 ml/kg씩 14일 동안 투여하였다. 약물은 투여 직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단일의 지속적 스트레스(Single prolonged stres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를 유발하기 위한 단일의 지속적 스트레스(Single prolonged stress; SPS) 모델은 기존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Serova LI. et al., Neuroscience. 2013;236:298-312.). 먼저, 랫트를 구속 튜브(높이 20cm, 직경 7cm)에 2시간 동안 고정(immobilization; IMO)시켰다. 이후, 상기 랫트를 24℃의 담수가 2/3 정도 채워진 유리 실린더(높이 50cm, 직경 20cm)에서 20분 동안 수영(forced swim; FS)하도록 하였다. 랫트를 건조시키고 15분 동안 회복시킨 다음 의식이 없어질 때까지 에테르 증기에 노출시켰다. 이러한 SPS 과정은 오전 10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 수행하였다. SPS 스트레스 요인을 준 이후, 랫트를 케이지 당 1마리씩 두었고, PTSD 유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14일간 방해하지 않았다.
체중 증가 및 혈청 코르티코스테론(CORT; corticosterone) 수준 변화 등의 매개 변수는 PTSD의 SPS 모델에 의한 정신병적 발달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측정하였다. 14일의 방해받지 않는 조건이 끝나고 24시간 후에, 불안 등의 행동을 관찰하는 행동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SPS와 행동 테스트의 전체 실험 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한 테스트에서 다른 테스트로의 이월을 피하기 위해 각 테스트를 별도로 수행하거나, 각 테스트 사이에 수행하였다. 행동 테스트 및 체중 측정 이후에 모든 랫트를 희생하였고, 뇌 조직을 즉시 수집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3. 고가식 십자 미로(Elevated plus maze; EPM ) 테스트
불안 등의 행동을 보이는 동물은 미로의 개방 구역(open arms)에 진입하는 횟수와 이에 머무르는 시간이 감소하고, 미로의 비개방 구역(closed arms)에 머무르는 시간은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미로 장치는 두 개의 개방 구역(각각 50 x 10 cm), 두 개의 비개방 구역(각각 50 x 10 x 20 cm) 및 중앙 플랫폼(10 x 10 cm)으로 구성하였고, 개방 구역과 비개방 구역은 맞은편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기 미로 장치는 검은색 플렉시 유리(Plexiglas)로 만들었으며, 50cm의 높이로 만들었다.
간접적인 희미한 빛(2 × 60W) 하에서 테스트를 진행함으로써 개방 구역으로의 탐험을 장려하였다. 각 테스트 시작 시, 동물을 미로의 중심에 놓고, 5분간의 테스트 동안 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 비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 개방 구역에 머무르는 시간, 비개방 구역에 머무르는 시간 등의 매개 변수를 측정하였다.
특정 구역 내에 동물이 자신의 네 발을 올려두었을 때, 구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각 실험이 종결된 후, 미로를 알코올로 세척하였고, 미로에서의 행동은 미로 중심 위의 천장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와 S-MART 프로그램(PanLab, Barcelona, Spain)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개방 구역 및 비개방 구역 모두에 진입한 총 횟수에 대하여 개방 구역에 진입한 횟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경우에 불안(anxiety)이 감소된 것으로 정의하였고, 구역에 진입한 총 횟수는 운동 활동(locomotor activity) 변화의 지표로서 사용하였다. 불안 지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08093080-pat00002
기존 연구에 따라, 불안지수(0 내지 1의 값)가 증가하면 불안-유사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Serova LI. et al., Neuroscience. 2013;236:298-312.).
실시예 4. 열린 공간 테스트(Open field test; OPM )
상기 실시예 3의 EPM 테스트가 완료되기 전, EPM에서와 같은 갈등 상황을 바탕으로 감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열린 공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열린 공간은 벽(30cm 높이)으로 둘러싸인 불투명한 플렉시 유리로 만들어진 사각형 경기장(60 × 60cm)으로 구성하였다. 경기장은 횡선에 의해 20 × 20의 동등한 사각형(총 9 개 사각형)으로 나누었다. 천장의 중앙 광원(60W)을 통해 조명을 제공하였다. 모든 운동 활동(동물의 움직임)은 미로의 중심 위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로 측정하였고, 컴퓨터화된 S-MART 프로그램(PanLab Co., Barcelona, Spain)을 이용한 비디오 추적 시스템을 통해 랫트 움직임의 속도와 거리를 측정하였다.
테스트를 수행할 랫트를 홈 케이지에서 녹화실로 옮겼고, 각 랫트는 같은 방향을 향한 경기장의 같은 구석에 넣어 5분 동안 경기장을 탐험하게 하였다. 양쪽 뒷다리가 정사각형에 들어갈 때마다 교차점을 기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라, 운동 활동은 컨테이너 내 총 주행 거리로 평가하였으며, 탐사 활동은 교차된 선의 총 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Sudakov SK et al., Bull Exp Biol Med. 2013;155:295-297.). 다른 시험을 위해, 각 챔버의 바닥 표면을 70% 에탄올로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실시예 5. 코르티코스테론 ( corticosterone ; CORT ) 측정
마취하지 않은 랫트의 목을 베었고, 복부 대동맥을 통해 혈액을 신속하게 수집하였다. 랫트는 4마리로 구성된 5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혈액 샘플을 4000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고, 혈청을 채취하였다. 코르티코스테론(CORT; corticosterone) 농도는 래빗 폴리클로날 CORT 항체(rabbit polyclonal CORT antibody, Abcam Corticosterone ELISA kit; Cambridge, MA, USA)를 사용하는 경쟁적 효소-연결 면역 흡착 어세이(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샘플(또는 표준)을 각 웰에 첨가하였고, 플레이트를 블로킹하지 않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웰을 버퍼로 여러 번 헹군 후, 적절한 색으로 발색시켰고, ELISA 판독기(MultiRead 400; Authos Co., Vienna, Austri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광학밀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전염증성 마커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cal)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랫트 3마리를 펜토바비탈 나트륨(sodium pentobarbital, 80 mg/kg, 복강 내 주사)을 이용하여 마취시켰고, 식염수(saline, 0.9%)에 이어, 0.1 M PBS(phosphate-buffered saline)에 포함된 4%의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상행 대동맥을 관류시켰다. 무작위의 순서로 뇌를 제거하였고, 밤새 고정시킨 후, 0.1 M PBS에 포함된 20% 수크로스(sucrose)를 이용하여 4℃에서 동결보존하였다. 30 ㎛ 두께의 관상 절편을 저온 유지 장치(Leica CM1850; Leica Microsystems Ltd., Nussloch, Germany)를 사용하여 해마를 통해 연속적으로 절단하였고, Paxinos와 Watson의 랫트 뇌도보(Paxinos G, Watson C. New York: Academic Press; 1986. p.54-85.)에 따라 절편을 얻었다(해마, bregma -2.6 및 -3.6).
이후, 아비딘-바이오틴-퍼옥시다제 복합체(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절편의 TNF-α 및 IL-1β 발현을 면역염색하였다. 섹션을 PBST(PBS 및 0.3% Triton X-100)에 포함된 일차 래빗 항-TNF-α 항체(1:200 희석; Novus Biochemicals LLC., Littleton, CO, USA) 및 래빗 항-IL-1β 항체(1:200 dilution;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로 4℃에서 48시간 동안 각각 인큐베이션하였다. 섹션을 이차 항체로 실온에서 1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이차 항체는 Vector Laboratories Co.(Burlingame, CA, USA)에서 제공받았고, 2% 일반 혈청이 포함된 PBST에서 1:200로 희석하였다. 면역반응도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섹션을 ABC 시약(Vectastain Elite ABC kit; Vector Labs. Co., Burlingame, CA, USA)에서 9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고, DAB(3,3'-diaminobenzidine, Sigma) 및 0.01% H2O2가 포함된 용액으로 1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미지를 AxioVision 3.0 이미징 시스템(Carl Zeiss, Inc., Oberkochen, Germany)을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Adobe Photoshop(Adobe Systems, Inc., San Jose, CA, USA)을 이용하여 가공하였다. 섹션을 200×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100×100 mm2 그리드(grids) 내에 포함된 세포의 수를 세었다. 랫트의 뇌 당 적어도 세 부분의 서로 다른 해마 섹션에서 면역양성 세포의 수를 세었다. TNF-α- 및 IL-1β-면역양성 세포의 수는 그들의 밀도가 배경 수준 이상의 어두운 정도에 도달했을 때만 계산하였다. TNF-α 및 IL-1β에 대한 구분되는 갈색점은 해마의 원통형의 세포의 세포질에서만 관찰되었는데, Paxinos와 Watson의 주촉성(stereotactic) 랫트 뇌도보에 따라 세포를 해부학적으로 위치시켰다. 이미지 간의 밝기 및 대비는 면역 반응 세포의 주관적인 선택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조정하지 않았다.
실시예 7. 토탈 RNA 준비 및 RT- PCR
TNF-α, IL-1β 및 BDNF mRNA의 발현 수준을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각 그룹 당 세마리의 랫트로부터 분리한 뇌 해마 조직을 이용하였다. 상기 조직에서 TRIzol 시약(Invitrogen Co.,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토탈 RNA를 분리하였고, 역전사 효소(Takara Co., Shiga, Japan)를 이용하여 상기 토탈 RNA로부터 상보적 DNA를 합성하였다. PTC-100 programmable 열 제어기(MJ Research, Inc., Watertown, MA, USA)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모든 프라이머는 사이토카인의 공지된 mRNA 서열과 Whitehead 바이오메디컬(Cambridge, MA, USA, http://primer3.wi.mit.edu)이 제공하는 프라이머 디자인 소프트웨어(Primer 3)를 사용하여 디자인하였다. PCR 산물을 1.2% 아가로스 겔에서 분리하였고,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였다. 이미지 분석 시스템(i-MaxTM, CoreBio System Co.,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각 밴드의 밀도를 정량화하였다.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에 대한 TNF-α, IL-1β 및 BDNF와 같은 표적 밴드의 상대 밀도를 계산하여 발현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8. 통계학적 분석
모든 측정은 실험 조건을 알지 못하는 독립적 조사관을 통해 수행하였다. 결과는 평균±표준 오차(SE)로 표시하였다. 정상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내 또는 사이의 차이점은 SPSS(버전 13.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한 분산 분석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한 후, Tukey's post hoc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1. 몸무게 및 혈청 CORT 수준의 변화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영향 분석
PTSD에 대한 이부프로펜(ibuprofen; IBU)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일의 지속적 스트레스(Single prolonged stress; SPS)를 준 이후에 각 그룹에 속한 랫트의 몸무게를 14일 동안 측정하였고,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혈청 코르티코스테론(CORT; corticosterone)의 농도를 7일 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SPS에 노출된 랫트는 SPS 과정의 첫날부터 몸무게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 랫트(SAL; saline 처리 그룹)에 비하여, SPS 그룹은 과정이 시작되는 7일째부터 유의한 점진적인 몸무게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SPS 그룹과 비교 시, 20 또는 40 mg/kg IBU가 처리된 개체는 체중 감소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SPS는 혈청 CORT 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키며, 그 양은 SAL 그룹에 비하여 404.24%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IBU의 투여는 SPS에 의하여 유도된 혈청 CORT 수준을 상당히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SPS 과정은 랫트에서 불안-유사 증상을 유도함을 확인함에 따라, SPS를 통해 PTSD가 야기된 랫트 모델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불안-유사 증상에 대한 IBU의 영향 분석
PTSD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를 준 이후에 각 그룹에 속한 랫트의 불안-유사 행동을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행동을 대표하는 매개 변수인 개방 구역에 머무는 시간 및 진입 횟수, 및 불안 지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SAL 그룹과 비교 시, SPS에 노출된 랫트는 미로의 개방 구역에서 머무르는 시간의 비율이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PS 그룹과 비교 시, SPS + IBU40 그룹의 랫트는 SPS에 의해 감소되었던, 미로의 개방 구역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비율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SPS+ IBU40 그룹에서 미로의 개방 구역에 머무르는 시간은 SPS+FLX 그룹에서 개방 구역에 머무르는 시간과 거의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SAL 그룹과 비교 시, SPS에 노출된 랫트는 미로의 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가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PS 그룹과 비교 시, SPS + IBU40 그룹의 랫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p=0.416), 미로의 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가 약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비개방 구역으로 진입하는 횟수에 대해서는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랫트에서 관찰된 불안-유사 행동은 자신의 운동 활동의 차이에 기인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개방 구역 및 비개방 구역에 진입하는 횟수 및 머무르는 기간에 근거하여 산출한 전반적인 불안 지수에는 차이가 있었고, IBU 처리 그룹에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IBU의 투여는 PTSD가 야기된 랫트에서 항-불안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자발적인 운동 활동 및 탐색 활동에 대한 IBU의 영향 분석
PTSD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를 준 이후에 각 그룹에 속한 랫트의 자발적인 운동 활동 및 탐색 활동을 실시예 4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a 및 4b에서 볼 수 있듯이, SAL 그룹과 비교 시, SPS에 노출된 랫트는 SPS 이후에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횟수가 상당히 감소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p=0.348), 중앙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감소하고, 주변부에 머무르는 시간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SPS가 처리된 랫트는 열린 공간 테스트에서 불안-유사 증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탐색 활동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SPS 그룹과 비교 시, IBU(40 mg/kg)가 처리된 랫트는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행동이 상당히 증가하며, 불안-유사 행동은 SPS+FLX 그룹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IBU의 투여는 PTSD가 야기된 랫트에서 항-불안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 수준 변화에 대한 IBU의 영향 분석
실험예 4-1. TNF -α 또는 IL- -면역반응 세포의 존재 확인
PTSD에 대한 IBU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를 준 이후에 각 그룹에 속한 랫트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수준을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행동 실험을 진행한 이후에,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랫트의 뇌 조직 샘플을 분석하였다. 원통모양의 해마 세포의 세포질 및 세포막에서 갈색점으로 구분되는 TNF-α- 또는 IL-1β-면역반응 세포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5b에서 볼 수 있듯이, SAL 그룹과 비교 시, SPS 그룹의 해마에서 TNF-α를 발현하는 세포의 수는 상당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PS 그룹과 비교 시, SPS+IBU40 그룹(40 mg/kg IBU 투여)에서는 해마에서 TNF-α-면역반응 세포의 수는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AL 그룹과 비교 시, SPS 그룹의 뇌 섹션에서는 IL-1β를 발현하는 세포의 수가 상당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SPS+IBU40 그룹의 해마 영역에서 IL-1β-면역반응 세포가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세포의 수는 SPS 그룹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SPS+IBU40 그룹의 염증 매개인자 발현 감소 효과는 SPS+FLX 그룹(10 mg/kg Fluoxetine 투여)에서 관찰되는 정도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IBU는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감소함으로써 항-불안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2. TNF -α 및 IL- mRNAs 발현양의 분석
PTSD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를 준 이후에 각 그룹에 속한 랫트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수준을 실시예 7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행동 실험을 진행한 이후에, RT-PCR을 통해 랫트의 해마에서 발현된 TNF-α 및 IL-1β mRNAs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a 내지 6c에서 볼 수 있듯이, SAL 그룹과 비교 시, SPS 그룹의 해마에서 TNF-α 및 IL-1β mRNAs의 발현양이 상당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SPS 그룹에서 증가한 TNF-α 및 IL-1β mRNA의 양은 SPS+IBU40 그룹에서 상당히 회복됨을 확인하였고, 그 수준은 SPS+FLX 그룹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이부프로펜(ibuprofen)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부프로펜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08093080-pat0000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부프로펜은 20 내지 40 ㎎/㎏로 개체에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이부프로펜(ibuprofe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부프로펜은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KR1020170010718A 2017-01-23 2017-01-23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8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8A KR101838430B1 (ko) 2017-01-23 2017-01-23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8A KR101838430B1 (ko) 2017-01-23 2017-01-23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30B1 true KR101838430B1 (ko) 2018-03-13

Family

ID=6166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18A KR101838430B1 (ko) 2017-01-23 2017-01-23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21B1 (ko) * 2018-05-14 2019-08-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탄게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839A1 (en) 2002-05-17 2006-01-26 Eisai Co.,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cholinesterase inhibi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839A1 (en) 2002-05-17 2006-01-26 Eisai Co.,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cholinesterase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Behavioral Neuroscience Society, Annual Meeting Program and Abstracts, Budapest, Hungary, pages 72-73(2016.06.07-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21B1 (ko) * 2018-05-14 2019-08-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탄게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Rg1 through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both in vivo and in vitro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Li et al. Apigenin ameliorates chronic mild stress-induced depressive behavior by inhibiting interleukin-1β production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the rat brain
Rainville et al. Deciphering sex differences in the immune system and depression
Guo et al. Fingolimod suppressed the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induced depressive-like behaviors via affecting microglial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Liu et al. Short-term caloric restriction exerts neuroprotective effects follow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 by promoting autophagy and inhibiting astrocyte activation
Wang et al. Neuroinflammation in Alzheimer’s disease: microglia, molecular participants and therapeutic choices
Ifuku et al. Induction of interleukin‐1β by activated microglia is a prerequisite for immunologically induced fatigue
Siopi et al. Etazolate, an α-secretase activator, reduces neuroinflammation and offers persistent neuroprotec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in mice
Yang et al. Acetylsalicylic acid enhanc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fluoxetine through inhibition of NF-κB, p38-MAPK and ERK1/2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BV-2 microglia cells
Najjar et al. Sex differences in depression-like behavior and neuroinflammation in rats post-MI: role of estrogens
JP6168420B2 (ja) 全身麻酔薬と、水素とを組み合わせてなる、医薬
Wang et al. Modified Xiaoyao San ameliorates depressive-like behaviors by triggering autophagosome formation to alleviate neuronal apoptosis
Yin et al. Involvement of JAK/STAT signaling in the effect of cornel iridoid glycoside on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amelioration in rats
Chen et al. Natural alkaloids from lotus plumule ameliorate lipopolysaccharide-induced depression-like behavior: integrating network pharmacology and molecular mechanism evaluation
Panta et al. Mir363-3p attenuates post-stroke depressive-like behaviors in middle-aged female rats
Kucharczyk et al. Chronic mild stress influences nerve growth factor through a matrix metalloproteinase-dependent mechanism
Wu et al. Curcumin relieves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induced depression‐like behavior through the PGC‐1α/FNDC5/BDNF pathway
Li et al. Xingnao Jieyu decoction ameliorates poststroke depression through the BDNF/ERK/CREB pathway in rats
Kandeda et al. Pergularia daemia hydro-ethanolic extract protects against pentylenetetrazole kindling-induced seizures, oxidative stress, and neuroinflammation in mice
Wang et al. Pexidartinib (PLX3397) through restoring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ameliorates social isolation-induced mood disorders
KR101838430B1 (ko) 이부프로펜(ibuprofen)을 포함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Vincent et al. Age‐related molecular changes in the lumbar dorsal root ganglia of mice: signs of sensitization, and inflammatory response
Jahromi et al.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and simvastatin treatment leads to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and modified c-Fos expression levels in the brain following ischemic stroke
KHEYR et al. Preclinical and phase 1 clinical safety of Setarud (IMODTM), a novel immunomodulator
Attia et al. Protective role of functional food in cognitive deficit in young and senile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