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369B1 -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8369B1 KR101838369B1 KR1020160008218A KR20160008218A KR101838369B1 KR 101838369 B1 KR101838369 B1 KR 101838369B1 KR 1020160008218 A KR1020160008218 A KR 1020160008218A KR 20160008218 A KR20160008218 A KR 20160008218A KR 101838369 B1 KR101838369 B1 KR 101838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retaining clip
- foot
- occupant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3—Toe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발을 페달의 리테이닝 클립 측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에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페달 조립체는,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을 포함하고,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기 페달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페달 조립체는,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을 포함하고,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기 페달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발을 페달의 리테이닝 클립 측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에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자전거(bicyle) 등과 같은 페달장치(pedalling apparatus)는 탑승자(rider)의 다리가 왕복 운동함에 따라 자전거의 페달이 크랭크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바뀌는 장치로서, 이러한 페달장치는 자전거(bicycle), 마운틴 바이크(mountain bikes), 페달작동보트(pedal-operated boats), 트리사이클(tricycles), 유니사이클(unicylces), 탠덤 바이사이클(tandem bicycles), 운동기구(exercise and gymnastic equipment)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페달장치의 페달을 밟는 작동(downstroke) 뿐만 아니라 들어올리는 작동(upstroke) 시에도 동력을 크랭크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클릿 페달(cleat pedal)이 이용되고 있다. 클릿 페달 이외에도 페달의 일측에 밴드가 부착되고, 이러한 밴드가 탑승자의 발목을 조이는 밴드형 페달(band pedal)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클릿 페달은 일상 생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고가의 전용 신발이 필요하고, 또한 그 결합 내지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밴드형 페달은 탑승자의 발목에 조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짐 따라 그 분리 및 조임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심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클릿 페달 또는 밴드형 페달은 위급 상황 발생 시에 탑승자의 발을 페달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없음에 따라 자전거 등과 함께 넘어져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탑승자의 발을 페달의 리테이닝 클립 측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에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는,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 상기 페달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페달의 페달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탑승자의 발을 측면방향에서 덮도록 상기 페달에 설치되는 리테이닝 클립,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하도록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제2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마련된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페달에 마련된 제2지지부에 하측 말단이 지지되면,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회전을 저지시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페달에 대해 벌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페달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페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수평유도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자신의 회전으로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이나 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벌어진 각도는 상기 이격거리에 따라 조절되며,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할 때,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2지지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닝 클립과 함께 회전한다.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 상기 페달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페달의 페달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탑승자의 발을 측면방향에서 덮도록 상기 페달에 설치되는 리테이닝 클립,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하도록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제2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마련된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페달에 마련된 제2지지부에 하측 말단이 지지되면,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회전을 저지시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페달에 대해 벌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페달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페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수평유도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자신의 회전으로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이나 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벌어진 각도는 상기 이격거리에 따라 조절되며,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할 때,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2지지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닝 클립과 함께 회전한다.
삭제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기 페달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삭제
상기 페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단부;및
상기 제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페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은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면을 가지고,
상기 페달면의 가장자리에는 페달의 수평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수평유도리브가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유도리브는 상기 페달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상기 페달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탑승자의 발을 측면방향에서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탑승자의 발등 부분과 접촉하는 제1곡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1곡면부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곡면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진 제2곡면부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닝 클립은 상기 페달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제1단부가 상기 피벗유닛에 의해 상기 페달에 설치되며,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제2단부는 상기 페달의 페달면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유닛은 상기 페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배럴과,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제1단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배럴과, 상기 제1배럴 및 상기 제2배럴에 삽입되는 피벗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벗유닛은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상기 페달에 대해 일정 각도로 벌어짐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피벗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설치된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지지되는 제1레그와, 상기 페달에 지지되는 제2레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벗유닛은 상기 리테이닝 클립과 상기 페달 사이의 피벗팅가능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리테이닝 클립과 상기 페달의 페달면 사이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피벗팅가능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헤드부 및 나사부를 가진 조절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의 헤드부는 탑승자의 손으로 간편하게 돌릴 수 있도록 나비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일단에는 제1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페달의 일측에는 조절나사의 나사부 하단이 접촉 내지 이격될 수 있는 제2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끄럼짐 없이 탑승자(rider)의 발(foot)을 페달 측에 안정적으로 유지(retaining)함으로써 페달링에 의한 동력전달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클릿 페달 등과 같이 고가의 전용 신발이 요구되지 않고, 일반적인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매우 간편하게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 측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페달과의 접촉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긴급상황 발생 시에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등과 함께 넘어질 위험을 적절히 회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조립체의 페달 및 리테이닝 클립 등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수평유도리브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탑승자의 발이 최초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접촉한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접촉한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 내로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조립체의 페달 및 리테이닝 클립 등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수평유도리브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탑승자의 발이 최초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접촉한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페달조립체의 페달면에 접촉한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 내로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는, 페달(10)과, 페달(10)의 일측에 마련된 리테이닝 클립(30)을 포함할 수 있다.
페달(10)은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등과 같이 가볍고 튼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조 또는 단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페달(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페달면(11, pedal surface)을 가질 수 있고, 페달면(11)은 탑승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페달면(11)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12)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12)는 페달면(11)에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돌기(12)는 페달면(11)의 상면을 일정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2)에 의해 탑승자의 발바닥이 페달면(11)에서 미끄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페달면(11)에는 복수의 살빼기홈(1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살빼기홈(13)에 의해 페달(10)의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페달(10)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페달(10)에 대한 페달링(pedalling)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페달(10)의 외형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그외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페달면(11)의 가장자리에는 수평유도리브(14)가 페달면(11)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이러한 수평유도리브(14)를 탑승자의 발(2)로 밟아 누름으로써(도 8 및 도 9 참조) 페달(10)의 페달면(11)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평상태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발(2)과 페달면(11)의 접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유도리브(14)는 페달면(11)에 대해 일정각도(a)로 경사진 경사면(14a)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탑승자의 발(2)로 경사면(14a)을 밟아 누름으로써 통해 페달(10)를 수평상태로 보다 신속하게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페달(10)은 그 하부에 관통되게 설치된 샤프트(15)를 가질 수 있고, 샤프트(15)의 일단에는 연결단(15a)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단(15a)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크랭크 암(crank arm, 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5)를 통해 페달(10)의 왕복운동을 크랭크로 전달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립(30)은 페달링(pedalling) 시에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과 접촉함을 유지함과 더불어 페달링 시에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로부터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닝 클립(30)은 페달(10)의 페달면(11)과의 사이에 탑승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5)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발(2)이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삽입공간(35)에 삽입되면 리테이닝 클립(30)에 의해 탑승자의 발(2)은 페달(10)의 페달면(11)과 접촉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클립(30)은 페달(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단부(33)와, 제1단부(33)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단부(34)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가 페달(10)의 페달면(11)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삽입공간(35)의 일측에는 탑승자의 발(2)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상하방향의 간격(36)이 형성될 수 있고, 탑승자의 발(2)은 이러한 간격(36)를 통과하여 삽입공간(35) 내로 간편하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닝 클립(30)은 페달(10)의 폭방향(도 1의 화살표 W 참조)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의 페달면(11)과 접촉할 때 리테이닝 클립(30)이 탑승자의 발(2)의 측면방향에서 덮어 탑승자의 발(2)을 페달(10)측에 유지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탑승자의 발(2)을 측면방향을 따라 덮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탑승자의 발(2)을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삽입공간(35)에 삽입하는 과정을 매우 신속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위급 상황 발생 시에 탑승자의 발(2)을 그 삽입공간(35)에서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페달(10)의 폭방향(W)은 탑승자의 발(2)의 폭방향과 평행할 수 있고, 페달(10)의 길이방향(L)은 페달(10)의 폭방향(W)에 대해 대략 직교할 수 있으며, 페달(10)의 길이방향(L)은 탑승자의 발(2)의 길이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닝 클립(30)은 탑승자의 발등 부분과 접촉하는 제1곡면부(31)를 가질 수 있다.
제1곡면부(31)는 탑승자의 발등과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곡면부(31)는 탑승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블록하게 곡면지게 형성됨에 따라 탑승자의 발등과 안정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발등에 통증이 가해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곡면부(31)에는 하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진 제2곡면부(32)가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닝 클립(30)은 제1곡면부(31) 및 제2곡면부(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면짐에 따라 "S"자형의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 사이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위급상황 시에는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단면(11)에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곡면부(31) 및 제2곡면부(32)는 그 폭방향에 따른 단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곡률진 곡률 구조(33)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탑승자의 발(2)이 리테이닝 클립(30)에 삽입 내지 분리됨을 보다 자연스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더불어 탑승자의 발(2)과 접촉 시에 발등에 대한 통증 및 신발에 대한 손상 등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닝 클립(30)이 페달(1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삽입공간(35)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발 사이즈, 신발의 규격 내지 형태 등에 대응하거나 탑승자의 발(2)에 대한 조임 정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리테이닝 클립(30)은 피벗유닛(20)을 매개로 페달면(11)의 가장자리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단부(33)는 피벗유닛(20)을 매개로 페달(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는 페달(10)의 페달면(11)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의 간격(3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은 일정 각도(K)로 벌어질 수 있고, 이에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와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상하방향 간격(36)이 가변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피벗유닛(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0)의 페달면(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배럴(21)과,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단부(3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배럴(22)과, 제1배럴(21) 및 제2배럴(22)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피벗샤프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럴(21)은 페달면(11)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배럴(21)은 제1관통공(21a)을 가질 수 있다.
제2배럴(22)은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단부(33)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배럴(22)은 제2관통공(22a)을 가질 수 있다.
피벗샤프트(23)는 제1배럴(21)의 제1관통공(21a) 및 제2배럴(22)의 제2관통공(22a)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2개의 제1배럴(21)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2개의 제2배럴(22)이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1배럴(21) 및 2개의 제2배럴(22)들을 관통하여 피벗샤프트(23)가 설치됨에 따라 리테이닝 클립(30)의 피벗팅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피벗유닛(20)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배럴(21) 및 제2배럴(22)의 갯수 및 배치구조는 자전거 등과 같은 페달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피벗유닛(20)에 의해 리테이닝 클립(30)이 페달(10)에 대해 피벗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발이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삽입공간(35)에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위급상황 시에 탑승자의 발을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삽입공간(35)에서 매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테이닝 클립(30)이 피벗유닛(20)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리테이닝 클립(30)은 그 자중으로 인해 페달(10)의 페달면(11)을 향해 접혀진 상태가 될 수 있고, 이에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와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개구(36)가 좁아질 경우, 탑승자의 발(2)을 삽입공간(35)으로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벗유닛(20)은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를 페달(10)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5 및 도 7의 화살표 P 방향 참조)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탄성수단에 의해 탑승자의 발(2)이 삽입공간(35)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벌어진 각도(K)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요컨대, 탄성수단은 페달(10)에 대해 리테이닝 클립(30)이 일정각도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리테이닝 클립(30)이 자중으로 인해 페달(10) 측으로 접혀짐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벌어진 각도(K) 및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와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개구(36)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개구(36)를 통해 탑승자의 발(2)을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수단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샤프트(2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설치된 토션스프링(24, torsion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션스프링(24)은 리테이닝 클립(30)이 페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팅하도록(도 5의 화살표 P방향 참조)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24)은 리테이닝 클립(30) 측에 지지되는 제1레그(24a)와 페달(10)의 페달면(11)에 지지되는 제2레그(24b)를 가질 수 있다. 제1레그(24a)는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단부(33)에 인접한 내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제2레그(24b)는 페달면(11)의 일측에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레그(24a)와 제2레그(24b)는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24)에 의해,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는 일정각도(K)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리테이닝 클립(30)의 제2단부(34)와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의 간격(36)은 탑승자의 발(2)이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피벗유닛(20)은 탑승자의 발 사이즈, 신발의 규격 내지 형태, 탑승자의 발(2)에 대한 조임 정도 등에 대응하여 페달(10)의 페달면(11)에 대한 리테이닝 클립(30)이 피벗팅가능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수단은 리테이닝 클립(30)과 페달(10)의 페달면(11) 사이에서 위치조절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리테이닝 클립(30)의 피벗팅가능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수단은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5a) 및 나사부(25b)를 가진 조절나사(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조절나사(25)의 헤드부(25a)는 탑승자의 손으로 간편하게 돌릴 수 있도록 나비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탑승자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편하게 조절나사(25)를 돌려 그 체결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리테이닝 클립(30)의 일단에는 제1지지부(26)가 마련되고, 제1지지부(26)는 조절나사(25)의 나사부(25b)가 나사결합되는 체결공(26a)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페달(10)의 일측에는 조절나사(25)의 나사부(25b) 하단이 접촉 내지 이격될 수 있는 제2지지부(27)가 마련되고, 제2지지부(27)는 홈부(27a)를 가질 수 있으며, 조절나사(25)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어 조절나사(25)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나사부(25b)의 하단은 제2지지부(27)의 홈부(27a)에 이격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홈부(27a)에 의해 조절나사(25)의 상하 위치조절에 대한 여유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나사(25)의 상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지지부(26)는 그 상하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리테이닝 클립(30)의 피벗팅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의 페달면(11)에 접촉한 후에 리테이닝 클립(30)에 삽입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의 페달면(11)과 리테이닝 클립(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탑승자의 발(2)이 페달(10)의 페달면(11)과 리테이닝 클립(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페달링을 하기 전에는 페달(10)은 그 무게중심때문에 선단이 하부방향을 향해 뒤집어진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 탑승자의 발(2)을 가이드부(14)의 경사면(14a)에 먼저 접촉시킨 후에, 도 9와 같이 가이드부(14)의 경사면(14a)을 하부방향으로 눌러 줌으로써 페달(10)의 페달면(11)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가이드한다. 그 이후에 탑승자의 발(2)을 이동시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면(11)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렇게 탑승자의 발(2)이 페달면(11)과 접촉한 상태에서, 탑승자의 발(2)을 리테이닝 클립(30)을 향해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탑승자의 발(2)은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순차적으로 리테이닝 클립(30)의 제1 및 제2 곡면부(31, 32)에 접촉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5: 크랭크 암(crank arm) 10: 페달
11: 페달면 14: 수평유도리브
20: 피벗유닛 21: 제1배럴
22: 제2배럴 23: 피벗샤프트
24: 토션스프링 25: 조절나사
26: 제1지지부 27: 제2지지부
30: 리테이닝 클립 31: 제1곡면부
32: 제2곡면부
11: 페달면 14: 수평유도리브
20: 피벗유닛 21: 제1배럴
22: 제2배럴 23: 피벗샤프트
24: 토션스프링 25: 조절나사
26: 제1지지부 27: 제2지지부
30: 리테이닝 클립 31: 제1곡면부
32: 제2곡면부
Claims (5)
-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페달;
상기 페달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단부와, 상기 페달의 페달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단부를 구비하며, 탑승자의 발을 측면방향에서 덮도록 상기 페달에 설치되는 리테이닝 클립;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하도록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제2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리테이닝 클립에 마련된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페달에 마련된 제2지지부에 하측 말단이 지지되면,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탄성수단에 의한 회전을 저지시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의 상기 페달에 대해 벌어진 각도를 유지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페달은, 상기 페달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페달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페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수평유도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1지지부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자신의 회전으로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이나 이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벌어진 각도는 상기 이격거리에 따라 조절되며,
상기 제2단부가 상기 페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닝 클립이 회전할 때,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2지지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닝 클립과 함께 회전하는, 페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탑승자의 발이 접촉하는 상기 페달의 적어도 일부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페달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도리브는 상기 페달의 수평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페달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도리브는 상기 페달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페달 조립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218A KR101838369B1 (ko) | 2016-01-22 | 2016-01-22 | 페달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218A KR101838369B1 (ko) | 2016-01-22 | 2016-01-22 | 페달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8477A KR20170088477A (ko) | 2017-08-02 |
KR101838369B1 true KR101838369B1 (ko) | 2018-04-09 |
Family
ID=5965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8218A KR101838369B1 (ko) | 2016-01-22 | 2016-01-22 | 페달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83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1302B1 (ko) | 2021-07-30 | 2023-01-26 |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 자동클립페달장치 |
-
2016
- 2016-01-22 KR KR1020160008218A patent/KR10183836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1302B1 (ko) | 2021-07-30 | 2023-01-26 |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 자동클립페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8477A (ko) | 2017-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30013581A1 (en) | Combination exercise apparatus | |
US8646359B2 (en) | Bicycle pedal assembly | |
US20160198792A1 (en) | Sole for cycling shoe | |
US20050252337A1 (en) | Bicycle pedal assembly with an adjustable cleat-pushing member | |
US20080163721A1 (en) | Pedal apparatus | |
US11794850B2 (en) | Pedal | |
KR101838369B1 (ko) | 페달 조립체 | |
US11324991B2 (en) | Footrest for rowing machine | |
US20070044637A1 (en) | Adjustable drum pedal and method therefor | |
JP2002037173A (ja) | 自転車の自動ペダル | |
US20060070489A1 (en) | Bicycle pedal assembly | |
CN110996719A (zh) | 骑行防滑钉和骑行踏板 | |
ITMI20041785A1 (it) | Dispositivo calzabile per un ciclismo sportivo dotato di elemento di controllo dell'angolo di rotazione della caviglia delciclista | |
US20170297642A1 (en) | Leather bicycle saddle | |
CN112407132B (zh) | 一种高安全性的自行车踏板系统 | |
US11325675B1 (en) | Bicycle cleat | |
US7204789B1 (en) | Pedal device for cycling apparatus | |
US20060130607A1 (en) | Cycle pedal | |
US11713094B2 (en) | Pedal | |
US9340248B2 (en) | Mechanical restraint for securing motorcycle rider footwear to footpeg | |
EP3962801B1 (fr) | Repose-pied a point d'appui reglable | |
KR101727826B1 (ko) | 자전거 페달용 사이드스토퍼 | |
JP2014061857A (ja) | 自転車ペダル及び該自転車ペダルを備えた自転車 | |
KR20230132965A (ko) | 클릿 페달 | |
US20180029665A1 (en) | Adjustable rear wheel hood brake/stop system for free style kick scoo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