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332B1 -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332B1
KR101838332B1 KR1020140010315A KR20140010315A KR101838332B1 KR 101838332 B1 KR101838332 B1 KR 101838332B1 KR 1020140010315 A KR1020140010315 A KR 1020140010315A KR 20140010315 A KR20140010315 A KR 20140010315A KR 101838332 B1 KR101838332 B1 KR 10183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discharge line
opening
discharge
clos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554A (ko
Inventor
심홍석
김민수
우정규
오제경
남상봉
이향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1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3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셀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토출 라인 상에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 공간이 배터리 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 라인(100); 상기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 펌프(200); 및 상기 토출 라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APPARATUS OF DEGASSING BATTERY CELL AND METHOD OF DEGASSING BATTERY CE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셀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토출 라인 상에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전성의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에 따른 배터리의 소형화, 박형화의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이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배터리이다.
리튬 이차 배터리는 수명이 길고 용량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한 리튬 이차 배터리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금속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 및 고분자 고체 배터리를 사용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 등이 있다. 또한, 리튬 이차 배터리는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외장재의 종류에 따라 각형 캔이 사용되는 각형 배터리, 원통형 캔이 사용되는 원통형 배터리 및 파우치가 사용되는 파우치형 배터리로 구분된다.
이중, 파우치형 배터리는 단위 중량 및 체적 당 에너지밀도가 보다 높고 배터리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외장재로서의 재료비가 적게 드는 등 유리한 점이 많아 최근 그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흔히 PLI 즉, 리튬 폴리머 이차 배터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제조하고, 이들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후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전극 조립체에서 가소제(DBP)를 추출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리드에 탭을 용접하여 파우치 내부에 내장하게 된다.
이렇게 파우치에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후에는 파우치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시켜 전극 조립체에 전해액이 함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해액이 주입되면, 파우치의 가장자리를 열융착에 의해 접합시켜 파우치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파우치형 배터리는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에이징(Aging) 공정을 거친 후, 배터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충방전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충방전 공정 시, 과충전이 일어나게 될 경우 파우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스는 파우치형 배터리의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파우치형 배터리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디가싱 공정이 행해진다.
도 1에는 이러한 디가싱 공정을 수행하는 디가싱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디가싱 장치는 배터리 셀(10)이 안착되는 지그(11), 배터리 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출 파이프(20) 및 배출 파이프(2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의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 펌프(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디가싱 장치는 진공 펌프(30)의 진공압이 배출 파이프(20)를 통해 배터리 셀(10)의 내부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가 배출 파이프(20)를 통해 배터리 셀(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뿐만 아니라 전해액도 함께 배터리 셀(10)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전해액의 배출량을 가늠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338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셀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토출 라인 상에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토출 라인 상에 전해액의 토출량을 감지하는 토출량 감지부를 설치하여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전해액이 토출될 경우 토출 라인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값을 조절함에 따라 배터리 셀의 종류별로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 공간이 배터리 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 라인(100); 상기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 펌프(200); 및 상기 토출 라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30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 유닛(300)은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디스크(310); 상기 개폐 디스크(310)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개방하는 구동부(320); 및 상기 구동부(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디스크(310)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점차 빠르게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라인(100)의 내부와 상기 개폐 디스크(31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상기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양을 감지하는 토출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 디스크(310)가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 펌프(200)를 작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이 개방되는 단계; (c) 상기 진공 펌프(200)의 진공압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내부로 인가되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가 상기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디스크(310)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점차 빠르게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c)와 동시에 (c-1)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토출되는 양을 감지하는 단계; 및 (c-2)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배터리 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터리 셀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토출 라인 상에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토출 라인 상에 전해액의 토출량을 감지하는 토출량 감지부를 설치하여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전해액이 토출될 경우 토출 라인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값을 조절함에 따라 배터리 셀의 종류별로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가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의 조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에 의해 변화되는 배터리 셀 내부의 진공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와 종래의 디가싱 장치에 의해 변화되는 배터리 셀 내부의 진공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 공간이 배터리 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 라인(100),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 펌프(200) 및 토출 라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토출 라인(100)은 내부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로서, 그 일측이 지그(11)의 상부에 안착된 배터리 셀(10)과 연결된다. 이때. 토출 라인(100)의 일측은 배터리 셀(10)의 내부 측으로 인입되도록 설치되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과 배터리 셀(10)의 내부 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진공 펌프(2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진공 펌프로 마련되어 토출 라인(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진공 펌프(200)의 작동에 의해 진공압이 토출 라인(100)을 통해 배터리 셀(100) 내부로 인가된다.
한편, 조절 유닛(300)은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디스크(310), 개폐 디스크(310)와 연결되어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개방하는 구동부(320) 및 구동부(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개폐 디스크(3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개폐 디스크(310)의 외주를 따라 탄성 재질로 형성된 실링 부재(330)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 공간을 완벽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 내부와 개폐 디스크(310)의 외주 사이에 실링 부재(330)가 개재되어 상기 유동 공간과 개폐 디스크(310)의 사이 틈새를 보다 완벽하게 밀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320)는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되어 토출 라인(100)의 외부에 설치된 케이스(340) 내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로드가 개폐 디스크(310)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개폐 디스크(310)가 이동된다. 즉,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도 4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와 연결된 개폐 디스크(310) 또한 상부로 이동되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개폐 디스크(310)의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점차 개폐 디스크(310)가 빠르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는, 배터리 셀(10)의 내부가 진공이 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디스크(310)의 이동이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빨라지면 배터리 셀(10) 내부가 초기에 급격하게 진공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내부가 급격하게 진공(도 8의 A)이 되었기 때문에,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초기에 급격하게 토출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 양을 제어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조절 유닛(300)에 의해 배터리 셀(10) 내부가 초기에 급격하게 진공이 되는 것을 방지(도 8의 B)함과 동시에 진공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양을 감지하는 토출량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량 감지부는 토출 라인(100)의 상기 타측 부분에 설치되어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전해액의 토출량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해액의 토출량을 전달받아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개폐 디스크(310)가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기 설정된 값을 조절함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종류별로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진공 펌프(200)를 작동시키는 단계(a)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 펌프(200)가 작동되어 토출 라인(100)에 진공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가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디스크(31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의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개방하는 단계(b)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개폐 디스크(310)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개폐 디스크(310)가 점차 빠르게 이동되도록 구동부(3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는, 배터리 셀(10)의 내부가 진공이 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 디스크(310)의 이동이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빨라지면 배터리 셀(10) 내부가 초기에 급격하게 진공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b)가 수행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디스크(310)가 완전히 개방되면, 진공 펌프(200)의 진공압이 배터리 셀(10)의 내부로 인가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가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c)가 수행된다.
이때,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와 함께 전해액이 토출되면, 이를 상기 토출량 감지부가 감지하는 단계(c-1)가 수행되고,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는 단계(c-2)가 수행된다. 이는,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된 전해액의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c-2)가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 및 전해액이 토출되는 동안 작업자는 이를 모니터링하여 목적하는 만큼의 가스 및 전해액이 토출되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는 단계(d)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은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를 제거함과 동시에 배터리 셀(10) 내부의 잔존 전해액의 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터리 셀 11 : 지그
20 : 배출 파이프 30 : 진공 펌프
100 : 토출 라인 200 : 진공 펌프
300 : 조절 유닛 310 : 개폐 디스크
320 : 구동부 330 : 실링 부재
340 : 케이스

Claims (8)

  1. 내부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 공간이 배터리 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 라인(100);
    상기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0) 내부에 진공압을 가해주는 진공 펌프(200); 및
    상기 토출 라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압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30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닛(300)은,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개폐 디스크(310);
    상기 개폐 디스크(310)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개방하는 구동부(320); 및
    상기 구동부(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디스크(310)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점차 빠르게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라인(100)의 내부와 상기 개폐 디스크(31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라인(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상기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양을 감지하는 토출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개폐 디스크(310)가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에 의해 배터리 셀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 펌프(200)를 작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이 개방되는 단계;
    (c) 상기 진공 펌프(200)의 진공압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내부로 인가되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가스가 상기 토출 라인(100)을 통해 토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 디스크(310)를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토출 라인(100)의 유동 공간이 폐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디스크(310) 개방 시 초기 보다 후기로 갈수록 점차 빠르게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와 동시에,
    (c-1)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 내부의 전해액이 토출되는 양을 감지하는 단계; 및
    (c-2) 상기 토출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토출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KR1020140010315A 2014-01-28 2014-01-28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KR10183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15A KR101838332B1 (ko) 2014-01-28 2014-01-28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15A KR101838332B1 (ko) 2014-01-28 2014-01-28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54A KR20150089554A (ko) 2015-08-05
KR101838332B1 true KR101838332B1 (ko) 2018-03-13

Family

ID=5388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315A KR101838332B1 (ko) 2014-01-28 2014-01-28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7431A1 (en) * 2019-11-29 2021-06-0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715B1 (ko) 2016-12-01 2020-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212A (ja) 2000-04-26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改質装置へのガス供給装置
JP2012059450A (ja) 2010-09-07 2012-03-22 Nissan Motor Co Ltd 双極型二次電池、双極型二次電池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及び、ガス排出装置
JP2012069404A (ja) * 2010-09-24 2012-04-05 Nissan Motor Co Ltd 電気デバイス及び電気デバイス用ガス抜き装置並びに電気デバイスのガス抜き方法
JP5353430B2 (ja) 2009-05-14 2013-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212A (ja) 2000-04-26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改質装置へのガス供給装置
JP5353430B2 (ja) 2009-05-14 2013-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システム
JP2012059450A (ja) 2010-09-07 2012-03-22 Nissan Motor Co Ltd 双極型二次電池、双極型二次電池の製造装置と製造方法、及び、ガス排出装置
JP2012069404A (ja) * 2010-09-24 2012-04-05 Nissan Motor Co Ltd 電気デバイス及び電気デバイス用ガス抜き装置並びに電気デバイスのガス抜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7431A1 (en) * 2019-11-29 2021-06-0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54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044B2 (en) Secondary battery which detects displacement of gas discharge part to prevent battery cell swelling, system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JP6576134B2 (ja) 管状通路体を有する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104983B1 (ko) 전지셀 제조용 탈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기 방법
KR101811474B1 (ko)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KR101669714B1 (ko) 폴리머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83831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28082B1 (ko) 전지셀의 가스제거장치 및 방법
CN107925019B (zh) 用于形成二次电池的袋型外壳的设备和方法
KR102217443B1 (ko) 이차전지 가스제거장치 및 가스제거방법
KR102131739B1 (ko) 파우치 포밍 방법 및 파우치 포밍 장치
KR20200033665A (ko) 가스배출 탭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디가스 장치
KR101838332B1 (ko) 배터리 셀의 디가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디가싱 방법
KR102124824B1 (ko) 전지셀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102177819B1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791535B1 (ko) 가스 제거 장치에 의한 전지셀의 제조방법
KR10242136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KR20170093369A (ko) 조절 가능한 밸브를 이용한 전지셀의 탈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기 방법
KR101698488B1 (ko)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의 가스 제거 방법 및 장치
US20230170566A1 (en) Battery cell
US20210167431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P4166268A1 (en) We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welding method using same
KR102326435B1 (ko) co-relation 함수를 적용한 파우치 내 알루미늄의 잔존량 예측방법
KR20210120181A (ko) 전지셀 디개스 장치
KR102386690B1 (ko) 전해액 토출이 제어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20160142490A (ko) 가변식 격벽들을 포함하는 전해액 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