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46B1 -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46B1
KR101837546B1 KR1020110096069A KR20110096069A KR101837546B1 KR 101837546 B1 KR101837546 B1 KR 101837546B1 KR 1020110096069 A KR1020110096069 A KR 1020110096069A KR 20110096069 A KR20110096069 A KR 20110096069A KR 101837546 B1 KR101837546 B1 KR 10183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wireless power
reques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2472A (en
Inventor
임승옥
원윤재
문연국
강신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9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46B1/en
Publication of KR2013003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46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 충전기기를 포함하는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만 가능한 세미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부터 수신한 ID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의 대상인지 판별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과 무선전력전송 모두 가능한 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에게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는 동시 전력전송 모드 또는 시분할 전력전송 모드로 제공될 수 있는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rein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semi-charging zone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a targe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an ID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charging zone capable of both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can be provided in a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or a time sharing power transmission mode.

Description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0001]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0002]

본 발명은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다수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devices.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로서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s being used a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for transferring energy wirelessly.

예컨대, 전동칫솔 또는 무선 면도기 등이 전자기 유도의 원리로 충전되며, 최근에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나 PDA, MP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For example, an electric toothbrush or a wireless shaver is charged with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recently, wireless charging products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 MP3 player, and a notebook computer by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have been introduced .

그러나,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자기유도 방식은 코일 사이의 거리 및 상대적 위치에 매우 민감하여 두 코일 사이의 거리가 약간 떨어지거나 틀어져도 전송 효율이 급속히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자기유도 방식의 충전 시스템은 수 cm 이하의 근거리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However,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of inducing a current from one coil to another through a magnetic field is very sensitiv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s and the relative position thereof, so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rapidly deteriorate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ils is slightly decreased or turned. Accordingly, such a 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system has a weak point that it can be used only at a short distance of a few cm or less.

한편, 미국특허 7,741,735호에서는 공진장의 감쇄파 결합에 기반을 둔 비방사형 에너지 전달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두 개의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진체가 주위의 다른 비공진체와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서로 커플링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기존의 전자기 유도에 비하여 먼 거리까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로서 소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U.S. Patent No. 7,741,735 discloses a non-radiation energy transfer method based on attenuation wave coupling of a resonance field. This is because the resonator with two identical frequencies has a tendency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out affecting other surrounding non-resonators, and this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as a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energy to a far distan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devices.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수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제어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과 절차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requirements of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devices, and provides protocols and procedures of a control interface.

즉,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 충전기기를 포함하는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만 가능한 세미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부터 수신한 ID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의 대상인지 판별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과 무선전력전송 모두 가능한 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에게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는 동시 전력전송 모드 또는 시분할 전력전송 모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harger is the targ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the ID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er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harger is both a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charging zon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may be provided in a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or a time sharing power transmission mod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제어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과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적절히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devices are defined, and the protocols and procedures of the control interface are provided so that the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n be properly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무선 전력전송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물리적/공간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물리적/공간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msg. type 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각 필드의 크기와 설명을 나타낸다.
도 7은 전력수신기 인식/인증, 차징존/세미차징존의 절차이다.
도 8은 동시전력전송의 절차이다.
도 9는 시분할전력전송의 절차이다.
도 10은 이물질제거의 절차이다.
도 11은 새로운 전력수신기의 등장 및 기존 전력수신기의 사라짐에 따른 절차이다.
도 12는 기존 전력수신기의 완충에 따른 절차이다.
도 13은 전력전송종료에 따른 절차이다.
도 14는 기기간 전력전송의 절차이다.
도 15는 전력송신기의 기본구조를 나타낸다.
도 16은 전력수신기의 기본구조를 나타낸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mplemented in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physical / spatial components of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physical / spatial components of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rame including dat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contents for type are shown.
Figure 6 shows the size and description of each field.
Figure 7 is a procedure of power receiver identification / authentication, charging zone / semi-charging zone.
8 is a procedure of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9 is a procedure of time division power transmission.
10 is a procedur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11 is a procedur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a new power receiver and disappearance of a conventional power receiver.
Fig. 12 is a flowchart of a buffering method for a conventional power receiver.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terminating power transmission.
14 is a procedure of power transmission between apparatuses.
15 shows a basic structure of a power transmitter.
16 shows a basic structure of a power receiv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개요1. Overview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는 다수의 전력수신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한 개의 전력송신기와 복수개의 전력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전력수신기에게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 및 제어하기 위해서는 1:1 무선전력전송에 비해 복잡해진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제어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필요하다. ID인식, 인증 등의 절차를 포함하여 교환된 전력전송정보를 기반으로 각 기기의 전력전송모드를 선택하며 갑자기 사라지거나 등장하는 전력수신기에 대한 대응 등 돌발상황의 제어 및 관리 에 관한 절차 및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is a system for efficiently supplying power wirelessly to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and is composed of one power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and control power to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a control interface that can manage a complic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compared with a 1: 1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indispensable. ID recognition, authentication, etc., and selects the power transmission mode of each device based on the exchanged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he procedure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the response to the sudden disappearing or emerging power receiver Must be accompan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무선 전력전송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mplemented in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력전송정보 및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이 필요하다. 시분할 기반의 스케줄링으로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며, 전력송신기는 무선전력전송 환경제어를 위하여 전력수신기의 합류, 분리 및 해제를 관리한다. There is also a nee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xchanging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Time-division-based scheduling, and the power transmitter manages the joining, de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of the power receiv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nvironment control.

근거리 장내에서 최대 수 m 이내에서 접촉을 포함한 원격으로 전력수신기의 종류에 따라 수 W에서 수백 W 급 전력전송기능을 제공하며, 전력수신기의 제품별 필요 무선전력전송 거리에 대하여 70% 이상의 효율을 보장해야 한다. Provide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from several W to several hundred watts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receiver, including contact, within a few meters within a short distance and guarantees more than 70% efficiency over the requir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istance of each power receiver Should be.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무선전력전송 대역폭을 갖는 저주파 (Low frequency, 30 ~300kHz, LF) 및 상대적으로 집중도 있는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한 중파 (Medium frequency, 300kHz~30MHz, MF) 대역의 주파수를 단독 혹은 모두 사용하며 안테나 설계시 두 대역의 간섭의 영향이 -30dB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radio power, a frequency of a low frequency (30 to 300 kHz, LF) having a relatively wide radio power transmission bandwidth and a frequency of a medium frequency (300 kHz to 30 MHz, MF) Is designed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of two bands is less than -30 dB when the antenna is designed.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 중 정보 및 제어신호를 교환하기 위하여 In-band 자기장통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주파수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LF 자기장 영역 내에서 무선전력전송과 같은 주파수를 무선통신에 사용한다.A network using in-band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uses the same frequency a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the LF magnetic field reg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requency use.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구성요소, 시간적인 구성요소와 공간적인 구성요소로 나뉜다. 물리적인 구성요소는 전력송신기와 전력수신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시간적인 구성요소는 요청 구간, 응답 구간, 비활성 구간으로 구성되는 슈퍼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공간적인 요소는 차징존과 세미차징존으로 구분한다.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s are divided into physical components, temporal components and spatial components. The physical component is a network composed of a power transmitter and a power receiver. The temporal component is composed of a superframe consisting of a request interval, a response interval, and an inactive interval. The space factor is divided into a charging zone and a semi-charging zone do.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구성요소는 전력송신기를 중심으로 하는 스타 토폴로지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송신기와 전력수신기를 포함하는 노드이다.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는 전력송신기를 중심으로 각각의 전력수신기들과 데이터 통신 및 무선전력전송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전력송신기는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 전체를 관리하고 네트워크에서 오직 하나만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물리적/공간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physical component that constitut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is a node that includes a power transmitter and a power receiver in a star topology network centered on a power transmit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is a network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respective power receivers around a power transmitter. The power transmitter manages the entir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and there is only one in the networ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physical / spatial components of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효과적인 전력수신기들의 관리를 위하여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미리 전력수신기를 인식 및 인증하고 무선전력전송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하여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기본준비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징존과 세미차징존으로 구분된 가상의 공간이 있으며, 전력송신기는 통신가능지역인 세미차징존 안에 들어온 전력수신기들에 대해 관리를 시작하며, 이들 중 무선전력전송 가능지역인 차징존에 속한 전력수신기들에게 실제적인 무선전력전송을 행한다. In order to manage effective power receivers, a basic preparatory procedur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ust be preceded by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power receivers in advance in a communicable area and exchanging data necessar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ly, there is a virtual space divided into a charging zone and a semi-charging zone. The power transmitter starts to manage power receivers in the semi-charging zone, which is a communication area, And performs actu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belonging power receivers.

In-band 자기장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먼 거리까지 존재할 수 없는 자기장의 특성 때문에 공간적인 차징존과 세미차징존이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기타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 통신영역 때문에 고려해야 되는 전력수신기의 수가 급증할 수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송신기에서 기타 통신방법들의 출력파워 조절이 필요하다.In case of using in-band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spatial charging zone and semi-charging zone can efficiently form because of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that can not exist to a long distance. However, when using other communication method,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utput power of other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power transmitter.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방식을 사용하는데, 전력송신기에 의하여 관리되고 전력수신기의 요청과 전력송신기의 판단에 의하여 분배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use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cheme, which is managed by a power transmitter and distributed by the power receiver's request and the power transmitter's judgment.

전력송신기는 시분할 기반의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을 위하여 전력수신기로부터 전력전송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을 완성한다. 전력송신기는 전력수신기들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주어, 전력수신기들이 해당되는 시간에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중복된 전력 수신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power transmitter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power receiver for efficient time-division-bas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completes the scheduling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power transmitter informs the power receivers of the scheduling information so that the power receivers can receive the power at the appropriate time, thereby preventing duplicate power reception.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간적인 요소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서의 시간 슬롯(Time Slot)이다. 전력송신기는 응답 구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수신기의 그룹을 관리할 수 있고, 선택된 그룹의 네트워크 안에 있는 전력수신기들에 의해 시간슬롯은 자율적으로 관리된다. 무선 전력전송 통신 융합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들은 Figure 4같이 총 3개의 슈퍼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합류 요청 (Association Request) 슈퍼프레임, 전력 요구 요청 (Powering Requirement Request) 슈퍼프레임, 전력 준비 요청 (Powering Preparation Request) 슈퍼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요청구간 및 응답구간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은 전력송신기가 합류요청 슈퍼프레임의 요청구간에서 응답요청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 응답 요청 패킷에는 응답 구간 동안 응답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전력수신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전력수신기들은 응답 요청 패킷에 있는 정보를 사용하여 응답 구간 동안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A time factor that can be utilized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is a time slot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The power transmitter can manage a group of power receiver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in the response interval and the time slots are autonomously managed by the power receivers in the selected group of networks. The superframe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mmunication convergence network are composed of three superframes as shown in Fig. An Association Request superframe, a Powering Requirement Request superframe, and a Powering Preparation Request superframe. The length of each request interval and response interval is variable. The superfram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is initiated by the power transmitter sending a response request packet in the request interval of the superframe requesting the join request. The response request packet has information on power receivers capable of transmitting a response packet during the response interval, and the power receivers transmit the response packet during the response interval using the information in the response request packe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디바이스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시간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emporal components of a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무선전력전송 제어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정의2. Definition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terface Requirements

A. 일반 사항A. General Information

다수개의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력송신기가 인식한 전력수신기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기기인지 판별하는 전력수신기 인식/인증 절차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In order to perfor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a power receiver recognition /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receiver recognized by the power transmitter is a device suitable for provi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a priority.

다수개의 전력수신기에게 신속하게 무선전력전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력수신기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지만 무선통신이 가능한 세미차징존에 있는 경우에 전력수신기 인식/인증 및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교환하여 무선전력전송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준비 완료된 전력수신기가 차징존에 들어오게 되면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여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준비시간을 절약하여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provi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quickly, it is generally necessary for the power receiver to recognize and authenticate the power receiver and to transmit the pow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en it is in a semi-charging zone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base data is exchanged to complet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reparation. When the ready-made power receiver enters the charging zon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to save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provide quick service.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차징존에 있는 모든 기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시전력전송모드와 배터리 잔여량 기반 혹은 사용자 선정기반 등으로 우선순위를 정해 시분할로 개별적으로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는 시분할전력전송모드가 있다.In order to efficiently prov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e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o all the devices in the charging zon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priority is set based on the battery power level or the user selection basis. There is a time division power transfer mode for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모든 전력수신기들이 완충이 되면 전력전송이 종료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현재 제공하는 전력전송서비스를 멈출 수 있다.When all of the power receivers are full, the power transmission may be terminated or the user may arbitrarily stop the currently provided power transmission service.

다수개의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하기에 고려해야 될 돌발상황이 빈번하고 다양하다. 이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를 하고자 무선전력전송 중에 네트워크 상에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전력송신기는 이를 인지하고 돌발상황이 처리되기 전까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중단하여 사용자에게 돌발상황을 알리게 된다.There are frequent and varying incident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power receivers. In order to efficiently cope with this problem,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on the network dur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power transmitter recognizes this and stop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until the unexpected situation is processed,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unexpected situation.

B. 전력수신기 인식/인증B. Power receiver recognition / authentication

전력송신기는 전체 Superframe 내에서 주기적으로 통신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전력수신기들은 자신의 ID를 응답으로 송신한다. 전력송신기는 수신 받은 ID를 기반으로 해당 전력수신기들이 무선전력전송 서비스의 대상인지 판별하게 되고 서비스 대상이면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정보를 해당 전력수신기에게 요청한다. 서비스 대상이 아닌 전력수신기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The power transmitter periodically transmits communication signals in the entire Superframe, and the power receivers receiving the signals transmit their IDs in response. The power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power receivers are the targ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the received ID, and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corresponding power receiver if the target is the service target. And informs the non-service power receiver that it can not provide the service.

C. 차징존/세미차징존C. Charging Zone / Semi-Charging Zone

차징존과 세미차징존은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의 공간적인 요소로써 통신만 가능한 지역은 세미차징존이고 통신과 무선전력전송 모두 가능한 지역은 차징존이다. 다수개의 전력수신기에게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미차징존에서 서비스 제공 전력수신기의 인식과 전력전송에 필요한 정보의 교환을 통해 무선전력전송의 준비를 마치고 차징존에서 보다 신속히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진행하고자 분리되어 있다.The charging zone and the semi-charging zone are the spatial elem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and the area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is the semi-charging zone, and the area where both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is the charging zone. Service provisioning in the semi-charging zone to efficiently and rapidly provi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s to multiple power receivers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completed throug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power receiver recognition and power transmission, It is separated to carry out the power transmission service.

D. 무선전력전송모드D. Wireless power transfer mode

1) 동시전력전송모드1)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전력수신기의 인식과 전력전송에 필요한 정보교환이 끝난 후 무선전력전송 서비스가 시작된다. 무선전력전송 중 동시전력전송 모드는 차징존에 존재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전력수신기들에게 동시에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모드이다.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안테나에 흐르는 전압/전류를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며 보다 세밀한 조절은 통신을 통해 수신파워를 수신한 후 효율을 계산함으로써 이루어 진다. 공진주파수 조절을 마치면 모든 전력수신기에게 동시에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며 이는 무선전력전송종료 시까지 계속 진행된다.After the recognition of the power receiver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power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started. The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a mode in which wireless power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power receivers that need to provide all services present in the charging zon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voltage /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tenna is sensed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controlled based on the sensed voltage / current. Further adjustment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efficiency after receiving the reception power through communication. Once the resonant frequency is adjusted, the receiver performs simultaneo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ll power receivers, which continues until the en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2) 시분할전력전송모드2) Time division power transmission mode

전력수신기의 인식과 무선전력전송에 필요한 정보교환이 끝난 후 무선전력전송 서비스가 시작된다. 무선전력전송 중 시분할전력전송모드는 차징존에 존재하는 모든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전력수신기들에게 우선순위를 두고 할당된 시간을 나누어 무선전력전송을 각각의 전력수신기마다 개별적으로 주어진 시간동안에 송신하는 모드이다. 각각의 전력수신기마다 할당된 시간 동안에만 무선전력전송 서비스가 제공되며, 모든 전력수신기에게 서비스를 마치면 종료가 된다.After the recognition of the power receiver an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started. The time-sharing power transmission mode dur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a mod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separately transmitted for each power receiver for a given time by dividing the allocated time in priority to the power receivers requiring all the services present in the charging zone .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provided only for the allocated time for each power receiver, and is terminated when all power receivers are serviced.

E. 돌발상황E. Unexpected situation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진행 중에 돌발상황이 발생하면 제공하는 서비스를 중단하고 돌발상황 해결을 진행한다. 돌발상황은 이물질 감지, 새로운 전력수신기의 등장 및 기존 전력수신기의 사라짐, 기존 전력수신기의 완충으로 인한 퇴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든 돌발상황은 전력송신기에서 안테나에 흐르는 전압/전류의 변화를 센싱하여 판별하고 통신을 통하여 보다 세밀하게 상황을 인식한 후 각 상황에 맞는 조치를 수행한다.If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dur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stop the service and resolve the unexpected situation. The unexpected situ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reign matter detection, the emergence of new power receivers and the disappearance of existing power receivers, and the exiting due to the buffering of existing power receivers. All unexpected situations are detected by sensing the change in voltage /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transmitter to the antenna, recognizing the situation more precisely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n performing action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1) 이물질 감지 1) Detect foreign matter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을 변화시키는 이물질이 등장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이물질의 존재를 알람의 형식으로 통보한다.When a foreign substance that changes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ears, it recognizes it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presence of the foreign substance in the form of an alarm.

2) 새로운 전력수신기의 등장 및 기존 전력수신기의 사라짐2) The emergence of new power receivers and the disappearance of existing power receivers

새로운 전력수신기가 등장하거나 기존 전력수신기가 사라지는 경우에는 이를 파악하고 다시 무선전력전송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찾아서 다시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재개한다.When a new power receiver appears or the existing power receiver disappears, it detects the resonance frequency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gain and resum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again.

3) 기존 전력수신기의 완충3) Buffering of existing power receiver

현재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수신기가 완충이 되면 제공받는 서비스를 차단하고 통신을 통해 전력송신기에게 자신의 완충을 알리게 된다. 전력송신기는 완충정보를 수신한 후에 해당 전력수신기는 고려하지 않고 나머지 전력수신기들에게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재개한다.When the power receive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buffered, the service is blocked and informs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buffer through communication. The power transmitter resum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to the remaining power receivers without considering the power receiver after receiving the buffer information.

F. 무선전력전송종료F. En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무선전력전송종료는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전력수신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자가 원해서 종료하는 경우로 나뉜다. 현재 제공하고 있던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종료하고 전력송신기는 대기모드로 빠진다.The termin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divided into a case where there is no power receiver to prov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and a case where the user desires to shut down. The presently provid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terminated and the power transmitter is put into the standby mode.

G. 전력수신기간 무선전력전송G. Power receiving perio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전력송신기가 존재하지 않거나 전력수신기가 차징존 안에 있지 않은 경우 인접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받은 전력수신기는 사용자의 선택여부에 따라 요청을 한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If there is no power transmitter or the power receiver is not in the charging zone, it may reques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adjacent power receiver. Upon receiving the request, the power receiver may transmit the wireless power to the requesting power receiver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3. 무선전력전송 제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3.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terface Protocol

A. 일반 사항A. General Information

무선전력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환되어야 되는 정보이고 전력송신기와 전력수신기 간에 무선저력전송 네트워크 제어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프레임의 형식으로 정의하고 실제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정의한다.Information to be exchanged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data for wireless low power transmission network control and management between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receiver is defined in the form of a frame, and the actually transmitted message is defined.

B. 프레임 형식B. Frame Type

1) 프레임 구조1) Frame structure

무선전력전송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 프레임은 도 4와 같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 프레임을 통해 전력송신기는 전력수신기에게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전력수신기는 전력송신기에게 전력전송정보를 전달한다.A frame including dat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is composed of elements as shown in Fig. Through the frame consisting of the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er transmitter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power receiver, and the power receiver transmits the power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power transmitter.

2) 필드 설명2) Field Description

START Field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한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고 0x7E의 고정된 값을 갖는다.The START field consists of one byte and represents the beginning of one frame and has a fixed value of 0x7E.

CODE Field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전송하는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메시지의 타입 별로 할당된 코드이다. 자세한 내용은 C. 메시지 정의를 참조한다.The CODE field consists of 1 byte and is assigned code for each message type to distinguish the transmitted message. For more information, see C. Message Definitions.

Control Field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PALOAD의 메시지 타입 정보와 각 코드마다의 프레임 번호 정보, 그리고 PAYLOAD 길이 정보를 제공한다. Control Field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The Control Field consists of 1 byte and provides PALOAD message type information, frame number information for each code, and PAYLOAD length information.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field is as follows.

o. msg . typ (message type, 2-bit wide: bit#7-#6)o. msg . typ (message type, 2-bit wide: bit # 7 - # 6)

Payload에 대하여 요청/응답 여부와 command/data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Payload is request / response and command / data.

- bit #7 : 0 = REQ, 1=RESP- bit # 7: 0 = REQ, 1 = RESP

- bit #6 : 0 = CMD , 1 = DATA- bit # 6: 0 = CMD, 1 = DATA

도 5에 msg. type 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FIG. The contents for type are shown.

o. seq . num . (sequence number, 2-bit wide bit#5-#4)o. seq . num . (sequence number, 2-bit wide bit # 5- # 4)

메시지 전송 시 유실되는 프레임을 방지하기 위해 연속적인 각 CODE 프레임마다 순차적인 번호를 부여함.Sequential numbers are assigned to each consecutive CODE frame in order to prevent frames lost during message transmission.

o. pl . lng . ( payload length, 4-bit wide bit#3-#0)o. pl . lng . (payload length, 4-bit wide bit # 3 - # 0)

Control 다음에 나오는 PAYLOAD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냄 The length of the PAYLOAD following the Control in bytes.

PAYLOAD Field는 0~15바이트의 가변적인 길이를 갖고 실제 전달되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이며 자세한 내용은 C. 메시지 정의를 참조한다.PAYLOAD Field has a variable length of 0 to 15 bytes and contains actual data to be transferred. See C. Message Definition for details.

CRC Field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프레임 바디가 오류없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프레임 검사 수열을 만드는 표준 발생 다항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The CRC field consists of one byte and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rame body has been received without error. The standard generating polynomial for generating the frame check sequence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112011074142307-pat00001
Figure 112011074142307-pat00001

END Field는 1바이트로 구성되며 프레임의 마지막을 나타낸다. START Filed와 마찬가지로 0x7F의 고정된 값을 갖는다.The END field consists of one byte and represents the end of the frame. Like START Filed, it has a fixed value of 0x7F.

도 6은 각 필드의 크기와 설명을 나타낸다.Figure 6 shows the size and description of each field.

C. 메시지 정의C. Message Definition

메시지 정의는 각 코드 번호에 따른 메시지 타입을 정의하며 해당 메시지 타입에 대하여 command/data 정보와 취할 수 있는 가능 PAYLOAD 파트의 길이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각 PAYLOAD파트가 취할 수 있는 값들과 해당 값들이 의미를 제공한다. The message definition defines the message type according to each code number, and defines command / data information and the length of the possible payload part for the corresponding message type. In addition, the values that each PAYLOAD part can take and their values provide meaning.

CODECODE 메시지 정의Message Definition
[메시지 명][Message Name]
MsgMsg .. typetype [7:6] [7: 6] ## PlPl .. lnglng 설명Explanation PAYLOADPAYLOAD ++ ParamParam DescriptionDescription  
1One 모드 설정
[SetMode]
Mode setting
[SetMode]
00 00 2+(0~13)2+ (0-13) 베이스 스테이션의 동작 모드 설정 명령
- D-IDList는 전력전송모드 시작일 때만 의미 있음 : Device의 ID List에 '1' 체크가 된 Device에 대해서만 해당 전력전송모드 적용
- Device의 개수에 따라 IDList의 길이가 바이트 단위로 증가
: Device 0~8개 => 1 Byte
: Device 9~16개 => 2 Bytes
: Device 104~112개 => 14 Bytes
Base station operation mode setting command
- D-IDList is meaningful only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ode is started: Applies only to devices that have '1' checked in the ID list of the device.
- The length of the IDList is incremented by the number of byt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vices.
: Device 0 ~ 8 => 1 Byte
: Device 9 ~ 16 => 2 Bytes
: Device 104 ~ 112 => 14 Bytes
[Mode]
[D-IDList]
[Mode]
[D-IDList]
[Mode]
0x00 : Stand By
0x01 : Scan Start
0x02 : Tracking Start
0x03 : 전력전송-개별 모드 시작
0x04 : 전력전송-시분할 모드 시작
0x05 : 전력전송-동시 모드 시작
0x06 : 전력전송-듀얼 모드 시작
0x80 : 동작 중지
[D-IDList]
0x01 : ID=1 선택
0x02 : ID=2 선택
0x03 : ID=1 & 2 선택
….
0xFF : ID=1~8 선택 (Default)
[Mode]
0x00: Stand By
0x01: Scan Start
0x02: Tracking Start
0x03: Transmit power - start individual mode
0x04: Power Transfer - Start Time Division Mode
0x05: Power transfer - start simultaneous mode
0x06: Power Transfer - Start Dual Mode
0x80: Stop working
[D-IDList]
0x01: Select ID = 1
0x02: Select ID = 2
0x03: ID = 1 & 2 selection
... .
0xFF: ID = 1 ~ 8 Select (Default)
1One 00 1One 동작 모드 설정 후 상태 보고Status report after operation mode setting [Result][Result] 22 Dev 정보
[DevInform]
About Dev
[DevInform]
00 1One 1One Dev 정보 요청Requesting Dev information [D-ID][D-ID] [D-ID]
0x00 : All Devices
0x01 : Device ID = 1
0x02 : Device ID = 2

0x08 : Device ID = 8
(현재 8개로 한정)
[D-ID]
0x00: All Devices
0x01: Device ID = 1
0x02: Device ID = 2
...
0x08: Device ID = 8
(Currently limited to 8)
1One 1One 99 Dev 정보 응답
(독자적으로 Scan 명령 후 Dev 정보 올려줌)
Dev information response
(Unique Scan command and then upload Dev information)
[D-ID] [ComMod] [Distance] [RSSI] [Freq] [Priority] [BattPer] [MaxPwrValue] [Used][D-ID] [ComMod] [Distance] [RSSI] [Freq] [Priority] [BattPer] [MaxPwrValue] [Used]
33 통신 변조
[CommModul]
Communication modulation
[CommModul]
00 00 22 BS과 Dev 간의 통신 변조 방식 설정 명령Communication modulation type setting command between BS and Dev [D-ID] [ComMod][D-ID] [ComMod] [ComMod]
0x01 : BPSK (Mandatory)
0x02 : ASK
0x04 : Load Modulation

[Result]
0x1x : Fail
0x11 : Not Supported
0x12 : CRC Error
0x14 : TimeOut
0x01 : Success
0x08 : Waiting
[ComMod]
0x01: BPSK (Mandatory)
0x02: ASK
0x04: Load Modulation

[Result]
0x1x: Fail
0x11: Not Supported
0x12: CRC Error
0x14: TimeOut
0x01: Success
0x08: Waiting
1One 00 22 통신 변조 방식 설정 후 상태 보고Report status after setting communication modulation method [D-ID] [Result][D-ID] [Result] 00 1One 1One Dev에서 지원하는 통신 변조 방식 요청Requesting a communication modulation scheme supported by Dev [D-ID][D-ID] 1One 1One 22 Dev에서 지원하는 통신 변조 방식 응답Communication Modulation Response Supported by Dev [D-ID] [ComMod][D-ID] [ComMod] 44 통신 유효 거리
[CommDist]
Effective distance of communication
[CommDist]
00 1One 00 [ComMod]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통신 지원 가능한 거리 (Semi-Charging Zone) 요청Request a distance (Semi-Charging Zone) from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ComMod] -- [Distance]
0 ~ 255 (centi meter)
[Distance]
0 to 255 (centi meter)
1One 1One 1One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통신 지원 가능한 거리 보고Reporting distance supported by base station [Distance][Distance] 55 송신 주파수
[TxFreq]
Transmission frequency
[TxFreq]
00 00 22 전력전송 모드시 Dev와의 전력 전송 주파수 설정Power transmission frequency setting with Dev in power transmission mode [D-ID] [Freq][D-ID] [Freq] [Freq]
[7]=0: Fixed Freq
[6:0]=0x01 : LF1(80 KHz)
[6:0]=0x02 : LF2(88 KHz)
[6:0]=0x04 : LF3(128 KHz)
[6:0]=0x08 : MF1(370 KHz)
[6:0]=0x10 : MF2(1.7MHz)
[6:0]=0x20 : HF1(6.78 MHz)
[6:0]=0x40 : HF2(13.56 MHz)

[7]=1 : Step Freq
[6:5]=00,
[4:0] = Start Freq (KHz)
[6:5]=01,
[4:0] = Step (?)
[6:5]=11,
[4:0] = Step Number
[Freq]
[7] = 0: Fixed Freq
[6: 0] = 0x01: LF1 (80 KHz)
[6: 0] = 0x02: LF2 (88 KHz)
[6: 0] = 0x04: LF3 (128 KHz)
[6: 0] = 0x08: MF1 (370 KHz)
[6: 0] = 0x10: MF2 (1.7 MHz)
[6: 0] = 0x20: HF1 (6.78 MHz)
[6: 0] = 0x40: HF2 (13.56 MHz)

[7] = 1: Step Freq
[6: 5] = 00,
[4: 0] = Start Freq (KHz)
[6: 5] = 01,
[4: 0] = Step (?)
[6: 5] = 11,
[4: 0] = Step Number
1One 00 22 설정 결과 보고Reporting configuration results [D-ID] [Result][D-ID] [Result] 00 1One 1One Dev에서 지원하는 전력 전송 주파수 요청Power transmission frequency request supported by Dev [D-ID][D-ID] 1One 1One 22 Dev에서 지원하는 전력 전송 주파수 응답Power Supported in the Dev Frequency Response [D-ID] [Freq][D-ID] [Freq] 66 출력 방식
[TxCtrl]
Output method
[TxCtrl]
00 00 1One 전력전송 모드시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력 신호 출력 방식 설정Set the base station's power signal output method in power transmission mode [Type][Type] [Type]
0x00 : Inverter type
0x001 : Amp Type
[Type]
0x00: Inverter type
0x001: Amp Type
1One 00 1One 설정 결과 보고Reporting configuration results [Result][Result] 77 출력 파워
[TxPower]
Output power
[TxPower]
00 00 22 전력전송 모드시 Dev에 대한 베이스 스테이션의 출력 파워 설정Set the base station's output power to Dev in power transfer mode [D-ID] [PwrValue][D-ID] [PwrValue] [PwrValue]
? ~ ? (Watt)
[MaxPwrValue]
? ~ ? (Watt)
[PwrValue]
? ~? (Watt)
[MaxPwrValue]
? ~? (Watt)
1One 00 1One 설정 결과 보고Reporting configuration results [Result][Result] 00 1One 1One Dev 의 최대 수신 가능한 파워 세기 요청Dev's request for maximum power to be received [D-ID][D-ID] 1One 00 22 Dev에서 최대 수신 가능한 파워 세기 응답Maximum Power Acceptance Response from Dev [D-ID] [MaxPwrValue][D-ID] [MaxPwrValue] 88 유효 전력전송 거리
[ChrgDist]
Active power transmission distance
[ChrgDist]
00 1One 00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현재 설정된 송신주파수[TxFreq], 출력 방식[TxCtrl], 출력 파워[TxPower]에 따른 전력전송 가능 거리 (Charging Zone) 요청The base station requests power transmission distance (Charging Zone)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t transmission frequency [TxFreq], output method [TxCtrl], and output power [TxPower] --  
1One 1One 1One 전력전송 가능 거리 정보Power transmission distance information [Distance][Distance] 99 device 배터리 잔량
[DevBatt]
device battery level
[DevBatt]
00 1One 1One Dev 의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 요청Ask Dev for current battery level info [D-ID][D-ID] [BattPer]
0~100 (Percentage, %)
[BattPer]
0 to 100 (Percentage,%)
1One 1One 22 Dev 의 현재 배터리 잔량 정보Dev's current battery level information [D-ID] [BattPer][D-ID] [BattPer] 1010 device 우선순위
[DevPrio]
device priority
[DevPrio]
00 1One 1One Dev 의 우선 순위 정보 요청Requesting priority information from Dev [D-ID][D-ID] [Priority]
1~255 (작을 수록 우선 순위 높음)
[Priority]
1 to 255 (the smaller the priority is, the higher the priority)
1One 1One 22 Dev 의 우선 순위 정보Priority information for Dev [D-ID] [Priority][D-ID] [Priority] 1111 Device 전력전송파워
[DevChaPwr]
Device Power Transmission Power
[DevChaPwr]
00 1One 1One Dev 에 수신되는 전력전송 신호 파워 요청Requesting Power Transmission Signal Power Received at Dev [D-ID][D-ID]  
1One 1One 22 Dev 에 수신되는 전력전송 신호 파워 정보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mission signal power received at Dev [D-ID] [PwrValue][D-ID] [PwrValue]   1212 Device RSSI
[DevRSSI]
Device RSSI
[DevRSSI]
00 1One 1One Dev 의 RSSI 정보 요청Requesting Dev's RSSI information [D-ID][D-ID]  
1One 1One 22 Dev 의 RSSI 정보Dev's RSSI information [D-ID] [RSSI][D-ID] [RSSI] [RSSI]
0~255 (dBm)
[RSSI]
0 to 255 (dBm)
1313 BS와 device 거리
[DistBSDev]
BS and device distance
[DistBSDev]
00 1One 1One 베이스 스테이션과 Device 간의 거리 정보 요청Request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device [D-ID][D-ID]  
1One 1One 22 베이스 스테이션과 Device 간의 거리 정보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device [D-ID] [Distance][D-ID] [Distance]   1414 작동 중인 Device
[DevUsed]
Device in action
[DevUsed]
00 1One 1One Dev 가 현재 (본래 목적으로) 작동 중인지 정보 요청Request information about whether Dev is currently running (for its intended purpose) [D-ID][D-ID] [Used]
0 : Not Used
1 : Used
[Used]
0: Not Used
1: Used
1One 1One 22 Dev 의 현재 작동 중인지 정보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behavior of Dev [D-ID] [Used][D-ID] [Used] 1515 현재 전력전송 device
[ActDevice]
Current power transfer device
[ActDevice]
00 1One 00 현재 전력전송되고 있는 Device ID 요청Device ID request currently being transmitted --  
1One 1One 1One 현재 전력전송되고 있는 Device IDDevice ID currently being transmitted [D-ID][D-ID]   1616 주파수별 전력전송 성능
[FreqChar]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by frequency
[FreqChar]
00 1One 00 Tracking 결과 보고 요청Tracking result report request --
1One 1One 1~X1 to X 주파수별 전력전송 성능 정보
([송신 주파수] 파라미터 참고)
- Fixed Freq 모드
: X = 7
: LF1~HF2의 성능을 순차적으로 보고
- Step Freq 모드
: X = (Step Number)
: Start Frequency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보고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information by frequency
(Refer to [Transmit frequency] parameter)
- Fixed Freq mode
: X = 7
: Reports the performance of LF1 to HF2 sequentially
- Step Freq mode
: X = (Step Number)
: Start frequency from start frequency
[FChar-1]
..
[FChar-X]
[FChar-1]
..
[FChar-X]
[FChar-X]
? (dbm ? V ? Load ? … )
[FChar-X]
? (dbm? V? Load? ...)
1717 오류
[Error]
error
[Error]
1One 1One 33 이전 데이터 요청에 대한 응답 오류 정보Error response to previous data request [Code] [Seq.Num^] [Error][Code] [Seq.Num ^] [Error] [Error]
0x1x : Error
0x11 : Code is Not Supported
0x12 : CRC Error
0x14 : TimeOut
0x01 : No Error
[Error]
0x1x: Error
0x11: Code is Not Supported
0x12: CRC Error
0x14: TimeOut
0x01: No Error
1818 이물질 탐지
[ObjDetect]
Foreign matter detection
[ObjDetect]
1One 00 1One 이물질 탐지 결과 알림Notice of foreign substance detection result [Alarm][Alarm] [Alarm]
0x00 : Off
0x01 : On
[Alarm]
0x00: Off
0x01: On

4. 무선전력전송 제어 인터페이스 절차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ntrol Interface Procedure

A. 일반 사항A. General Information

다수개의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 전력전송, 종료 등의 과정이 있다. 전력수신기를 인식하고 인증하며 구별된 차징존과 세미차징존에서 수행되어야 되는 절차들과 동시전력전송 및 시분할 전력전송을 포함한 전력전송모드에서 무선전력전송을 위해 수행되는 절차들과 전력전송종료를 위한 절차 및 무선전력전송 중에 돌발상황이 발생시 수반되어야 되는 과정들이 포함된다.There are processes such as authentication, power transmission, and termination to provi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s to a plurality of power receivers. The procedures to be performe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the power transmission mode including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and time division power transmission and procedures to be performed in the differentiated charging zones and semi-charging zones, Procedures and procedures that must be followed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event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 전력수신기 인식/인증, 차징존/세미차징존B. Power receiver recognition / authentication, charging zone / semi-charging zone

전력수신기 인식/인증, 차징존/세미차징존의 절차는 도 7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the power receiver recognition / authentication, charging zone / semi-charging zone is shown in Fig.

C. 동시전력전송C.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동시전력전송의 절차는 도 8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is shown in FIG.

D. 시분할전력전송D. Time-sharing power transmission

시분할전력전송의 절차는 도 9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time division power transmission is shown in Fig.

E. 돌발상황E. Unexpected situation

1) 이물질제거1) Remove foreign matter

이물질제거의 절차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foreign matter removal is shown in Fig.

2) 새로운 전력수신기의 등장 및 기존 전력수신기의 사라짐2) The emergence of new power receivers and the disappearance of existing power receivers

새로운 전력수신기의 등장 및 기존 전력수신기의 사라짐에 따른 절차는 도 11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for the emergence of a new power receiver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existing power receiver is shown in Fig.

3) 기존 전력수신기의 완충3) Buffering of existing power receiver

기존 전력수신기의 완충에 따른 절차는 도 12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according to the buffering of the existing power receiver is shown in Fig.

F. 전력전송종료F. Power transmission termination

전력전송종료의 절차는 도 13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power transmission termination is shown in Fig.

G. 기기간 전력전송G. Power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기기간 전력전송의 절차는 도 14에 나타나 있다.The procedure of power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is shown in Fig.

5. 무선전력전송 H/W 인터페이스5. Wireless Power Transmission H / W Interface

A. 일반 사항A. General Information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요소는 자기장 네트워크 내의 장치 관리 및 실제적인 무선전력전송을 행하는 전력송신기와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전송 및 전력으로 사용하는 전력수신기로 구성된다. 전력수신기는 시스템 구조에 따라서 한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hysical element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consist of a power transmitter that performs device management and actu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a magnetic field network and a power receiver that receives power and uses it as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The power receiver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than one, depending on the system structure.

1) 무선전력전송 주파수1)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equency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을 위하여 저주파 (Low frequency, 30 ~300kHz, LF) 및 중파 (Medium frequency, 300kHz~30MHz( 또는 3MHz), MF) 대역의 주파수를 단독 혹은 동시에 사용하며 코일 설계시 두 대역의 간섭의 영향이 -30dB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다.For the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frequencies of low frequency (30 ~ 300kHz, LF) and medium frequency (300kHz ~ 30MHz (or 3MHz), MF) are used singly or simultaneously. The influence is designed to be less than -30dB.

2) 통신 프로토콜2) Communication protocol

다수의 전자기기에게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시분할 기반의 스케줄링을 하며, 효율적인 스케줄링을 위하여 전력송신기는 전력수신기들로부터 기기 정보를 교환하고 전력송신기는 무선전력전송 환경 제어를 위해 전력수신기의 합류, 분리 및 해제를 관리하기 위해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며 In-band 자기장 통신, Bluetooth, Zigbee 등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한다.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ime-division-based scheduling is performed. For efficient scheduling, a power transmitter exchanges device information from power receivers, and a power transmitter controls the joining, It requires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o manage the separation and release, and use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In-band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and Zigbee.

3) 통신 주파수3) Communication frequency

In-band 자기장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무선전력전송과 같은 저주파대역(Low frequency, 30 ~300kHz, LF)을 사용한다. 더욱 자세한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Annex A를 참조한다.In case of using in-band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low frequency (30 ~ 300kHz, LF) such a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used for efficient use of radio resources. See Annex A for more detaile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4) 안테나4) Antenna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안테나는 저주파에서 상대적으로 구현이 간단하고 자기장 생성에 용이한 루프안테나를 사용한다.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es a loop antenna that is relatively simple to implement at low frequencies and is easy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5) 듀얼밴드 스위칭5) Dual band switching

무선전력전송 환경 및 상황에 따라 LF/MF 듀얼밴드 중 성능이 우수한 밴드를 스위칭하여 전력전송을 한다.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situation, it performs power transmission by switching the bands having high performance among the LF / MF dual bands.

B. 전력송신기B. Power Transmitter

1) 기본구조1) Basic structure

전력송신기는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MF/LF 안테나 유닛 (1차 코일), 효율적인 무선전력전송 환경을 위한 Multi-matching 유닛, AC 전력 생성을 위한 MF/LF power conversion 유닛, LF 자기장 통신 유닛, 환경 제어를 위한 제어 유닛 및 상위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유닛으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받으면 전력송신기의 제어 유닛은 MF/LF 전력 전송 및 통신 유닛들을 시분할 방식에 의거 조절하여,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 내의 전력수신기들에게 효율적인 정보 전달 및 전력 전송 환경을 제공한다.The power transmitter includes an MF / LF antenna unit (primary coil)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multi-matching unit for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nvironment, an MF / LF power conversion unit for AC power generation, an LF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unit, And a system unit for interlocking with an upper system. Upon receipt of the required command from the system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power transmitter adjusts the MF / LF power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units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manner to provide an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and power transmission environment to the power receivers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전력송신기의 기본구조는 도 15에 나타나 있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power transmitter is shown in Fig.

2) 입력 전압 및 전류2) Input voltage and current

전력송신기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과 전류에 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The voltage and current required for the power transmitter to operate are as follows.

- 전압- Voltage

- 전류- current

3) 전압/전류 체크3) Voltage / current check

무선전력전송 네트워크 상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와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부분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The components of the part for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in the antenna for detecting the change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network and the voltage to be applied are as follows.

- 전류센서 : 안테나의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전압의 크기로 나타낸다.- Current sensor: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tenna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 전압센서 : 안테나의 흐르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Voltage sensor: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flowing voltage of the antenna.

4) 커플러(Multi-Matching Unit)4) Coupler (Multi-Matching Unit)

거리에 따라 안테나가 최적의 성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Multi로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한다.The impedance of the antenna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to Multi so that the antenna has optimal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distance.

C. 전력수신기C. Power Receivers

1) 기본구조1) Basic structure

전력수신기 는 전력송신기에서 나오는 통신 신호 및 무선전력을 수집하여, 통신 정보 수집 혹은 전자기기 구동을 한다. 기본적인 전력수신기의 구조는 통신 및 전력전송을 위한 MF/LF 안테나 유닛 (2차 코일), 전력전송 효율을 위한 matching 회로, 수신 전력 처리를 위한 regulator, rectifier 및 load, 통신 환경을 위한 LF 자기장 통신 유닛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ower receiver collects communication signals and wireless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er and collects communication information or drives an electronic devi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power receiver consists of an MF / LF antenna unit (secondary coil) for communication and power transmission, a matching circuit for power transfer efficiency, a regulator for receiving power processing, a rectifier and load, an LF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t.

도 16에 전력수신기의 기본구조가 나타나 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power receiver is shown in Fig.

2) 입력 전압 및 전류2) Input voltage and current

전력수신기가 무선전력전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과 전류에 대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The voltage and current required for the power receiver to perfor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are as follows.

- 전압- Voltage

- 전류- current

3) 과전류 보호장치3)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디바이스에 유도된 기전력으로 인해 흐르는 전류가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한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시스템 보호를 위해 무선전력전송을 강제적으로 중단하는 과전류 보호장치가 필요하다.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is required that forcibly interrupt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protect the system if the current flowing due to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device exceeds the limits of the devices constituting the device.

4)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수신파워레벨4) Receive power level according to application

타겟으로 하는 전력수신기의 종류에 따라서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전력송신기로부터의 수신파워레벨(최소치)은 다음과 같다. The received power level (minimum value) from the power transmitter, which must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arget power receiver, is as follows.

-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 - Mobile multimedia devices

- 휴대용 태블릿 기기 - Portable tablet devices

- 노트북- laptop

5) 차폐5) Shielding

전력수신기의 고유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의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The components for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inherent functions of the power receiver, are as follows.

-흡수체 : 안테나의 자기장을 흡수하여 다시 안테나에 돌려줌으로써 안테나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Absorbent: Absorb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antenna and turning it back to the antenna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차폐제 : 디바이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기장 및 자기장을 차폐한다.- Shielding: Shields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that may affect the device.

6) 배터리6) Battery

배터리에서 전력전송을 위한 필요 조건이 되는 전압과 전류는 다음과 같다. (전력은 1W or 0.5W 이다. 각종 배터리마다 전압/전류조건이 다름으로 전력 제한이 맞을 것 같음, 전압으로 한다면 4V)The voltage and current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in a battery are as follows. (The power is 1W or 0.5W.) The power limit is correct because the voltage / current condition of each battery is different, 4V if voltage is applied)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반드시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embrace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7)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무선 충전기기를 포함하는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만 가능한 세미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부터 수신한 ID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무선전력전송 서비스의 대상인지 판별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기가 통신과 무선전력전송 모두 가능한 차징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무선 충전기기에게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는 동시 전력전송 모드 또는 시분할 전력전송 모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동시 전력전송 모드의 경우 모든 무선 충전기기를, 상기 시분할 전력전송 모드의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무선 충전기기에 대하여,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가 테스트 전력을 송신함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의 안테나에 흐르는 전압 및 전류를 센싱하고, 센싱된 전압 및 전류를 기반으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며, 상기 조절된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wireless charger is located in a semi-charging zone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harger is the targ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based on the ID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located in a charging zone capable of both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may be provided in a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or a time division power transmission mod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may be provided for all the wireless chargers in the simultaneous power transmission mode, for the wireless charger in the priority order in the time- The method includes sensing a voltage and current flowing through an antenna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test powe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based on the sensed voltage and current, And perform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rechar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은 합류 요청 슈퍼프레임, 전력 요구 요청 슈퍼프레임 및 전력 준비 요청 슈퍼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erframe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comprises a joining request superframe, a power request request superframe, and a power provision request super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를 위한 슈퍼프레임은 합류 요청 슈퍼프레임, 전력 요구 요청 슈퍼프레임 및 전력 준비 요청 슈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는 상기 전력 송신장치가 상기 합류 요청 슈퍼프레임의 요청 구간에서 응답 요청패킷을 전송함에 따라 시작되고, 상기 무선 충전기기는 상기 응답 요청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구간동안 응답 패킷을 전송하되,
상기 응답 요청패킷에는 응답 구간동안 응답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erframe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ncludes a join request superframe, a power request request superframe, and a power provision request superfram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starte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packet in a request interval of the merging request superframe, and the wireless recharging apparatus starts a response packet during a response period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request packet. Lt; / RTI >
Wherein the response request packet includes information about wireless charging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 response packet during a response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전력전송 모드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복수의 무선 충전기기로 테스트 전력 및 수신파워정보의 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측정된 수신파워를 수신하면,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조절된 공진 주파수를 산출된 효율에 기초하여 재조절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provided in the simultaneous power transfer mo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a request for test power and reception power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ers, and when receiving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And adjusts the adjusted resonant frequency based on the calculated efficiency to perfor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char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전력전송 모드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상기 차징존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기기들의 우선순위의 정보를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는 상기 우선순위 별로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수신파워정보의 요청을 전송함에 따라 측정된 수신파워를 수신하면,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효율을 산출하고, 상기 조절된 공진 주파수를 산출된 효율에 기초하여 재조절하여 상기 우선순위별로 할당된 시간동안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무선전력전송을 수행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is provided in the time division power transfer mo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priority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s located in the charging zon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lculates the efficienc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en receiving the measured reception power by transmitting the request of the reception power information to the wireless recharger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and outputs the adjusted resonance frequency to the calculated efficiency To perform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the wireless recharger for a time allocated for each of the priori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송신 장치의 안테나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센싱함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 제공 중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판별되되,
상기 돌발상황은 무선 전력전송의 효율을 변화시키는 이물질의 등장 상황, 새로운 무선 충전기기의 등장 상황, 기존 무선 충전기기의 사라짐 상황 및 기존 무선 충전기기의 완충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voltage and current of an antenna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herein the unexpected situ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mergence situation of a foreign matter changing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 appearance state of a new wireless charging device, a disappearance state of the existing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buffering state of the existing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서비스는 30~300kHz의 무선전력전송 대역 및 300kHz~30MHz의 무선전력전송 대역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상기 각 무선전력전송 대역의 간섭의 영향은 -30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ervice us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nd of 30 to 300 kHz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nd of 300 to 30 MHz,
Wherein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in each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nds is -30 dB or less.
KR1020110096069A 2011-09-23 2011-09-23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837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69A KR101837546B1 (en) 2011-09-23 2011-09-23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69A KR101837546B1 (en) 2011-09-23 2011-09-23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72A KR20130032472A (en) 2013-04-02
KR101837546B1 true KR101837546B1 (en) 2018-03-14

Family

ID=4843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69A KR101837546B1 (en) 2011-09-23 2011-09-23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922B1 (en) * 2013-05-15 2021-01-07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Multimedia system implementing wireless charge function installed in vehicle, method for replaying multimedia file using the sam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ed therein
US9882396B2 (en) 2014-07-07 2018-01-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022707B1 (en) 2014-11-03 2019-09-19 주식회사 위츠 Non contact typ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server and service system based location using the same
US10110030B1 (en) * 2018-04-09 2018-10-23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devices
KR102075343B1 (en) 2018-05-10 2020-02-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4399A (en) * 2006-01-18 2009-06-25 ナイジェル パワー エルエルシー.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via a wireless link
JP2010051137A (en) 2008-08-25 2010-03-04 Hitachi Lt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4399A (en) * 2006-01-18 2009-06-25 ナイジェル パワー エルエルシー.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via a wireless link
JP2010051137A (en) 2008-08-25 2010-03-04 Hitachi Lt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72A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529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01485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device charging
KR101831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ount of charging current for wireless power receiver
EP3917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042094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 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79070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9979439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mergency information in a wireless charging network
US20130181665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1837546B1 (en)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4696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wo-channel communica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KR101462993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device charging
US20210013745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110590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device charging
KR101462992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device charging
US20240154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utilizing coupling factor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202006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n basis of out-band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70130166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887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40186838A1 (en)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30179022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2401468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data transmission collis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230048919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method
US20230344281A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obtaining quality factor of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EP4372964A1 (en) Method and device relating to data communication reset and abor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3036946B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demodulation modu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