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97B1 -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997B1
KR101836997B1 KR1020170074227A KR20170074227A KR101836997B1 KR 101836997 B1 KR101836997 B1 KR 101836997B1 KR 1020170074227 A KR1020170074227 A KR 1020170074227A KR 20170074227 A KR20170074227 A KR 20170074227A KR 101836997 B1 KR101836997 B1 KR 10183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output
outputting
scintillator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자
최이레
이경범
이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광을 발생하는 섬광기와,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과,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와,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주증폭기,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다중채널분석기를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GAMMA-RAY DETECTION APPARATUS BASED ON SCINTILLATO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전치 증폭기의 출력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기에 포함된 광전자증배관(PMT: photomultiplier)은 입력된 전자를 증폭시키며 전압(voltage)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된 전압 신호를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 전압 민감형(Voltage sensitive) 방식이 적용된 전치증폭기(preamplifier)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주 환경 등의 온도가 극심하게 변하는 환경에서 종래의 전압 민감형 방식이 적용된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기에서는 일정한 전압 출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온도의 극심한 변화에 의해 검출기 내부의 다이오드 상에서의 누설전류(Leakage current)에 의해 고유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전압 민감형 방식이 적용된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기에서는 일정한 전압 출력을 얻을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10-152445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전치 증폭기의 출력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는 섬광을 발생하는 섬광기와,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과,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와,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주증폭기,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다중채널분석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전자증배관은 상기 섬광기의 섬광을 입력받아 전자 방출을 하는 광음극과, 방출된 상기 전자의 증배 작용을 하는 복수의 다이노드, 및 출력단이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며, 증배된 상기 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출력하는 애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치증폭기는 상기 광전자증배관으로부터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증폭기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와 피드백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은 섬광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전자 방출을 하는 단계와, 방출된 상기 전자의 증배 작용을 하는 단계, 및 광전자증배관의 출력단이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져 증배된 상기 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와 피드백 저항에 의한 감쇠기간 이후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은 섬광기의 섬광을 입력받아 전압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지 않고 증배된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 및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 및 잡음 제거하여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전치 증폭기의 출력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극심하게 변화하는 열악한 우주 환경에서 진행되는 행성 탐사용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기에서 잡음이 적고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전자증배관 및 전치증폭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전자증배관에 포함된 전압 분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치증폭기의 일정한 전압 출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전자증배관 및 전치증폭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광전자증배관에 포함된 전압 분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치증폭기의 일정한 전압 출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는 섬광기(10), 광전자증배관(PMT: photomultiplier)(30),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 주증폭기(70), 및 다중채널분석기(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중채널분석기(90)의 분류, 수집, 및 저장된 신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다중채널분석기(90)의 신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섬광기(10)는 감마선이 입사되면 섬광을 발생한다.
광전자증배관(30)은 입력된 섬광기(10)의 섬광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고 증배된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한다. 여기서, 섬광기(10)는 광전자증배관(3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광전자증배관(30)은 광음극(photocathode)(31), 복수의 다이노드(dynode)(33),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35), 및 애노드(anode)(37)를 포함한다.
이때, 광전자증배관(30)의 안정을 위해서는 고압전원(H)이 공급되어야 한다.
광음극(31)은 섬광기(10)의 섬광을 입력받아 전자 방출을 하는 음극이다. 즉, 광음극(31)은 광전효과에 의해 일정 주파수 이상의 빛을 받으면 전자 즉 광전자를 방출한다.
다이노드(33)는 전자류의 증배 작용을 하는 전극으로서, 2차 전자 방출 물질이 발라져 있는 극판이다.
다이노드(33)는 광음극(31)에서 방출된 광전자를 입력받아 2차 전자를 방출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증폭한다. 여기서, 다이노드(33)는 10~14단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양이 원형, 상자형, 블라인드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압 분배기(35)는 복수의 저항(R1 내지 R13) 및 복수의 캐패시터(C1 내지 C5)를 포함한 RC회로를 통해 고압전원(H)으로부터의 음전압을 분압한다. 여기서, 분압된 음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압 분배기(35)는 RC회로를 통해 분압된 음전압을 광음극(31)과 해당된 각 다이노드(Dy1 내지 Dy10)로 공급한다.
애노드(37)는 양극이다. 이때, 광음극(31)에서 방출된 광전자는 복수의 다이노드(33)를 거쳐 증폭되고, 애노드(37)에 이르러 외부 장비로 읽을 수 있는 정도로 증폭되고 출력한다.
이러한 광전자증배관(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37)의 출력단 즉 광전자증배관(30)의 출력단이 저항 없이 캐패시터(C5)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배된 광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캐패시터(C5)에 의해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는 저항 없이 캐패시터(C5)만으로 이루어진 출력단이 구성된 광전자증배관(30)을 포함함으로써, 광전자증배관(30)에서 증배된 광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캐패시터(C5)에 의해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하기 때문에, 광전자증배관(30)이 전압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지 않고 전하를 차아지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는 광전자증배관(30)으로부터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
즉,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는 연산증폭기(51), 연산증폭기(51)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을 포함한다.
이때,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는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에 의해 이득이 조절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에 의한 감쇠기간 이후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는 연산증폭기(51)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으로 구성된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을 포함함으로써, 광전자증배관(30)에서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에, 온도가 극심하게 변화하는 열악한 우주 환경에서도 잡음(noise)이 적고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주증폭기(70)는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에서 출력된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가우시안 형태의 펄스(Gaussian pulse shaping) 신호를 출력한다.
다중채널분석기(90)는 주증폭기(70)에서 출력된 가우시안 형태의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은 우선, 섬광기(10)에 감마선이 입사되면 섬광이 발생한다(S110).
이후, 섬광기(10)에서 발생된 섬광을 광전자증배관(30)에서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한다.
이때, 광전자증배관(30)은 출력단이 저항 없이 캐패시터(C5)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배된 광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캐패시터(C5)에 의해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한다(S130).
그 다음, 광전자증배관(30)에서 출력된 전하를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에서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S150).
이때,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는 연산증폭기(51)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53)와 피드백 저항(55)에 의한 감쇠기간 이후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한다.
그 후,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50)에서 출력된 일정한 전압을 주증폭기(70)에서 입력받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가우시안 형태의 펄스(Gaussian pulse shaping) 신호를 출력한다(S170).
계속해서, 주증폭기(70)에서 출력된 가우시안 형태의 펄스 신호를 다중채널분석기(90)에서 입력받아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한다(S170). 그리고 다중채널분석기(90)의 분류, 수집, 및 저장된 신호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은 섬광기의 섬광을 입력받아 전압 신호의 형태로 출력하지 않고 증배된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 및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 및 잡음 제거하여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은 차아지된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 및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를 포함함으로써, 온도가 극심하게 변화하는 열악한 우주 환경에서 진행되는 행성 탐사용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기에서 잡음이 적고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섬광기 30 : 광전자증배관
31 : 광음극 33 : 다이노드
35 : 전압 분배기 37 : 애노드
50 : 전하 민감형 전치증폭기 51 : 연산증폭기
53 : 피드백 캐패시터 55 : 피드백 저항
70 : 주증폭기 90 : 다중채널분석기

Claims (6)

  1. 섬광을 발생하는 섬광기;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주증폭기;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다중채널분석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전자증배관은,
    상기 섬광기의 섬광을 입력받아 전자 방출을 하는 광음극;
    방출된 상기 전자의 증배 작용을 하는 복수의 다이노드;
    출력단이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며, 증배된 상기 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출력하는 애노드;를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치증폭기는,
    상기 광전자증배관으로부터 출력된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증폭기;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와 피드백 저항;
    을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4. 섬광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전자 방출을 하는 단계;
    방출된 상기 전자의 증배 작용을 하는 단계;
    광전자증배관의 출력단이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루어져 증배된 상기 전자로 이루어진 전하를 차아지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연산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캐패시터와 피드백 저항에 의한 감쇠기간 이후에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방법.
KR1020170074227A 2017-06-13 2017-06-13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27A KR101836997B1 (ko) 2017-06-13 2017-06-13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27A KR101836997B1 (ko) 2017-06-13 2017-06-13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997B1 true KR101836997B1 (ko) 2018-03-12

Family

ID=6172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27A KR101836997B1 (ko) 2017-06-13 2017-06-13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719A (ko) * 2020-06-22 2021-12-29 한국원자력연구원 고 에너지 레이저 증폭기 시스템에서 레이저 에너지 계측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220A (ja) 2003-08-22 2005-04-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フラット・パネルx線検出器での読み出し時間を短縮して遅延を縮小する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192678B1 (ko) * 2012-08-02 2012-10-19 이성엔지니어링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방사선 감시 시스템용 전치증폭기의 온도보상 장치
KR101327540B1 (ko) * 2012-05-10 2013-11-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증배관 증폭률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광증배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220A (ja) 2003-08-22 2005-04-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アモルファス・シリコン・フラット・パネルx線検出器での読み出し時間を短縮して遅延を縮小する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27540B1 (ko) * 2012-05-10 2013-11-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증배관 증폭률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광증배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
KR101192678B1 (ko) * 2012-08-02 2012-10-19 이성엔지니어링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방사선 감시 시스템용 전치증폭기의 온도보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719A (ko) * 2020-06-22 2021-12-29 한국원자력연구원 고 에너지 레이저 증폭기 시스템에서 레이저 에너지 계측장치 및 그 방법
KR102376455B1 (ko) * 2020-06-22 2022-03-18 한국원자력연구원 고 에너지 레이저 증폭기 시스템에서 레이저 에너지 계측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3970B2 (en) Photomultiplier and detection systems
US9091772B2 (en) Scintillation detector gain control
US4893015A (en) Dual mode radiographic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8022355B2 (en) Scintillation detector gain control system using reference radiation
US8115176B2 (en) Detector for the measurement of ionizing radiation
US10048393B2 (en) Gain stabilization of photomultipliers
US20100288933A1 (en) Active Voltage Divider for Detector
US7619199B2 (en) Time-resolved measurement apparatus and position-sensitive election multiplier tube
CN110133710B (zh) 一种信号校正的方法及装置
US9817135B2 (en) Performance stabilization for scintillator-based radiation detectors
US2758217A (en) Automatic scintillation counter
KR101836997B1 (ko)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3800143A (en) Agc for radiation counter
US5367168A (en) Method for discrimination and simultaneous or separate measurement of single or multiple electronic events in an opto-electronic detector
US862419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photomultiplier gain drift and associated method
US3184597A (en) Stabilized scintillation detector
US6211664B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rise time of signals interfered with by noise from gamma or X radiation detectors
US2728863A (en) Radiation meter
US3218460A (en) Stabilized scintillation counter using photomultiplier
Eberhardt Noise in photomultiplier tubes
KR20210077966A (ko) 방사성 핵종 판별 장치 및 방법
Aguiló et al. Test of multi-anode photomultiplier tubes for the LHCb scintillator pad detector
Salomon et al. A multi-anode photomultiplier with position sensitivity
Nissilä et al.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ast preamplifiers in a positron lifetime spectrometer
US3025404A (en) Radiation detector pro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