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987B1 - Drilling Worktable - Google Patents

Drilling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987B1
KR101836987B1 KR1020170130285A KR20170130285A KR101836987B1 KR 101836987 B1 KR101836987 B1 KR 101836987B1 KR 1020170130285 A KR1020170130285 A KR 1020170130285A KR 20170130285 A KR20170130285 A KR 20170130285A KR 101836987 B1 KR101836987 B1 KR 101836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esent
drilling
wor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근
김재희
강현준
Original Assignee
이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근 filed Critical 이경근
Priority to KR102017013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worktable which drills and processes a workpiece having various shapes. More specifically, the drilling worktable comprises: a base unit fixing a workpiece; a transfer unit horizontally moving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and a process unit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nd drilling the workpiece.

Description

드릴링 작업대{Drilling Worktable}Drilling Worktable

본 발명은 공작물을 가공하는 드릴링 작업대에 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workbench for machining a workpiece.

특허문헌 001은 통상의 드릴링-머신에 공작물을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드릴링 작업(천공작업)을 할 시에 공작물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작업 중 안전사고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드릴링-머신의 공작물 클램핑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Patent Document 001 discloses a workpiece clamping device for drilling-machine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ring work while preventing workpiece flow when a workpiece is placed on a workbench and a drilling operation .

특허문헌 002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인가되는 스핀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스핀들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 공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정밀가공이 가능하게 하는 탁상 드릴링 머신의 스핀들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Patent Document 002 discloses a spindle support apparatus for a table drilling machine that supports a spindle to which a drive force of a drive motor is applied so as not to be shaken and stably supports a cutting tool mounted on a spindle to machine the workpiece, .

특허문헌 003은 드릴링작업과 탭핑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작업대(4)상의 고정판(6)에 드릴링머신(8)과 탭핑머신(10)을 장치하되, 고정판(6)에 형성되며 각기 핸들(14a)(14b)을 갖는 두개의 칼럼브라켓(12a)(12b)이 드릴링머신(8)의 지지축대(16a)와 탭핑머신(10)의 지지축대(16b)를 승강가능케 위치고정하도록 구성하고, 두개의 칼럼브라켓(12a)(12b)의 앞측의 고정판(6)상에는 축회전 가능한 테이블(34)이 장치된 리니어슬라이드(32)가 좌우로 연장설치되고 리니어슬라이드(32)는 작동실린더(38)의 로드(38a)와 연결되게 구성한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장치(2)를 구현한 것으로, 작업자가 드릴링과 탭핑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Patent Document 003 is to provide a drilling and tapping vertic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vely performing a drilling operation and a tapping operation. A drilling machine (8) and a tapping machine (10) are mounted on a fixing plate (6) on a work table (4) and two column brackets (12a 12b are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shaft 16a of the drilling machine 8 and the support shaft 16b of the tapping machine 10 so that they can be lifted and lowered and fixed to the front side fixing plate 16b of the two column brackets 12a, And a linear slide 32 equipped with an axially rotatable table 34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and a linear slide 32 is connected to the rod 38a of the operation cylinder 38 Implementation of the device 2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drilling and tapping operations collectively.

특허문헌 004는 작업대에 고정 설치된 공작물에 장착된 공구의 종류에 따라 드릴링(drilling), 태핑(tapping), 리밍(reaming), 보링(boring), 스폿 페이싱(spot-facing),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탁상 드릴링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드릴 등의 공구가 장착되는 드릴척의 상부 본체에 리미트스위치와 마그네틱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작업 중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는 탁상 드릴링머신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Patent Document 004 discloses a method of drilling, tapping, reaming, boring, spot-facing, counter sinking,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ool mounted on a workpiece fixed to a work t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op drill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a limit switch and a magnetic brake on an upper body of a drill chuck to which a tool such as a drill is mounted to prevent a worker's body from being damaged during operation And to provide a tabletop drilling machine having a safety device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KR 10-0890831 B1(2009년03월20일)KR 10-0890831 B1 (March 20, 2009) KR 10-1014306 B1 (2011년02월07일)KR 10-1014306 B1 (February 07, 2011) KR 10-2010-0133250 A (2010년12월21일)KR 10-2010-0133250 A (December 21, 2010) KR 10-2008-0025598 A (2008년03월21일)KR 10-2008-0025598 A (March 21, 2008)

본 발명은 드릴링 작업대에 대한 기술이며, 다양한 형상의 공작물을 타공하여 가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workbench, and aims at machining a workpiece having various shapes.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공작물(10)을 고정하는 기초부(1000);, 상기 기초부(1000)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송부(2000);, 상기 이송부(2000)에 의하여 이송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가공부(3000);를 포함한다.The drilling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000) for fixing a workpiece (10), a transfer part (2000) moving horizontally above the base part (1000) (2000), and a machining part (3000) for machining the work (10).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기초부(1000)는 상기 공작물(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부(1100);, 상기 수평부(1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10)이 고정되는 공작물지지부(1200);를 포함한다.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ar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art 1100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And a workpiece supporting portion 1200 to which the workpiece supporting portion 1200 is fixed.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공작물지지부(1200)는 내부에 액상 석고(1211)가 수용되는 유연용기(1210);, 상기 유연용기(1210)의 상단을 감싸며, 상기 공작물(10)과 접하는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220);, 상기 보호커버(12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공작물(10)의 상부에 하중을 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1300);를 포함한다.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piece support unit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flexible container 1210 in which a liquid gypsum 1211 is accommodated, an upper end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And a clamping device 1300 for applying a loa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stacked on the protective cover 1220 to fix the surface.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이송부(2000)는 상기 기초부(1000)의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100);, 상기 가이드레일(2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3000)를 이송시키는 이송휠(2200);을 포함한다.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art 2000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2100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part 1000 to guide the transfer part 2000, 2100, and a conveying wheel 2200 for conveying the processing part 300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의 상기 가공부(3000)는 상기 이송부(20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으로 길이가 확장되는 확장부(3100);, 상기 확장부(3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타공부(3200);를 포함한다.The drilling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processing part 3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nsion part 31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part 2000 and having a length extended to the front side, And a tread 3200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nd punches the workpiece 10.

상기 타공부(3200) 동력을 측정하여 상기 공작물(1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0);를 포함한다.And a controller (40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piece (10) by measuring the power of the tread (3200).

본 발명은 가공부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of workpieces can be machined by the machining portion.

본 발명은 기초부의 하부에 수평부가 구비되어 공작물을 타공할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so that balance can be maintained when the workpiece is pierced.

본 발명은 기초부의 하부에 웨이트부가 구비되어 저중심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ight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s formed with a low center of gravity, the horizontal portion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기로 기준점을 설정하고 공작물을 타공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타공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point is set by the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the work is punctured, so that the puncture can be performed at an accurate position.

본 발명은 형상이 가변되는 액상 석고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workpieces of various shapes by a liquid gypsum having a variabl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공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작물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side view of a drilling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ll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공작물(10)을 고정하는 기초부(1000);, 상기 기초부(1000)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송부(2000);, 상기 이송부(2000)에 의하여 이송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가공부(30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1 발명은 드릴링 작업대에 대한 발명으로서, 가공대상 공작물(10) 평면이 기초부(1000) 상단에 고정되며, 기초부(1000)는 공작물(10)을 안착시키는 상단과, 기초부(1000) 균형을 유지하는 하단으로 구분한다. 이송부(2000)는 기초부(1000) 상부에서 수평이동 되며, 정밀이송되어 공작물(10)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송부(2000) 전면에 장착된 가공부(3000)는 수평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공작물(1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공부(3000)는 이송부(2000) 전면에 구비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공작물(10)을 타공한다.(Example 1-1) A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000 for fixing a workpiece 10, a transfer part 2000 moving horizontally above the base part 1000, And a machining unit 3000 for machining the workpiece 10. Example 1-1 The invention is an invention relating to a drilling workbench wherein the plane of the workpiece 10 to be machined is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part 1000 and the base part 1000 has an upper end for seating the workpiece 10, (1000). The transfer part 2000 is horizontally moved above the base part 1000 and is precisely transferre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workpiece 10.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ing unit 3000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2000 can be horizontally or angularly adjusted, the workability of various shapes of the workpiece 10 can be improved. The machining unit 30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veying unit 2000, and is rotated by the power to puncture the workpiece 10.

(실시예 1-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10)은 알루미늄합금 또는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판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2 발명의 공작물(10)은 알루미늄 합금, 복합재료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항공기, 차량, 가공물 등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초부(1000)의 상단에 고정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항공기 부품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합금 또는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진 항공기 부품은 복잡한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체결용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용구멍은 위치가 다양하며, 크기가 다양한다. 따라서 상기 재질 및 형상이 다양한 체결용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Example 1-2)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orkpie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which is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 aluminum alloy or a composite material, and is formed in various shapes. Example 1-2 The workpie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 aluminum alloy and a composite material,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n aircraft, a vehicle, and a workpiece, but is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portion 1000. As a specific example, aircraft component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Aluminum alloy or a composite material. An aircraft component made of such a material is made of a complex plate material and forms various fastening holes. The fastening holes vary in location and vary in size. Therefore, it is intended to machine various fastening holes of the material and shape.

(실시예 1-3)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는 프레임 또는 박스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 1-3 발명의 기초부(1000)는 프레임 또는 박스구조로 형성되며, 금속판재 또는 금속각재, 또는 표준형강을 소재로 조립된다. (Embodiment 1-3)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Embodiment 1-1, the base portion 1000 is formed in a frame or box structure. Embodiment 1-3 The base par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rame or a box structure, and is made of a metal plate, a metal plate, or a standard shape steel.

(실시예 1-4)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 상단은 복수의 고정홀(1400)을 형성한다. 실시예 1-4 발명의 고정홀(1400)은 기초부(1000) 상단에 다수 구비되며, 't' 또는 'ㅗ'형으로 형성된다. 고정홀(1400)은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공작물을 어떠한 위치에서든지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Embodiment 1-4)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00 forms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400 in Embodiment 1-1. Embodiment 1-4 The fixing holes 1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00 and are formed in the 't' or 'ㅗ' shape. The fixing holes 14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workpiece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can be stably installed at any position.

(실시예 1-5)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1400)은 내측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5 발명의 고정홀(1400) 내측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암나사는 공작물지지부(1200) 및 공작물(10) 고정장치와 나사결합된다. 또는 나사결합을 치환할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치환가능하다. (Example 1-5)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hole 140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inner side. Example 1-5 The inner hole of the fixing hole 1400 of the invention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which is screwed with the workpiece support 1200 and the fixture of the workpiece 10. Or by other means capable of displacing the threaded connection.

(실시예 1-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와 상기 가공부(3000)는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10)이 사이에 구비된다. 실시예 1-6 발명은 기초부(1000)와 가공부(3000)의 간격이 벌어져 공작물(10)이 사이에 구비된다. 이 때, 기초부(1000)와 가공부(3000)의 간격은 조절됨에 따라 공작물(10)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도 타공이 가능하다.(Embodiment 1-6)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1000 and the machining part 300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workpiece 10 is interposed do. Embodiment 1-6 In the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ortion 1000 and the machining portion 3000 is widened, and the workpiece 10 is provided therebetween. At this time,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base part 1000 and the machining part 3000 is adjusted, it is possible to perforate even if the workpiece 10 is formed in various sizes.

(실시예 1-7)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는 하부로 다수가 돌출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지지부(1500)가 구비된다. 실시예 1-7 발명의 기초부(1000)는 하부로 다수가 돌출되는 지지부(1500)에 의하여 공작물(10) 및 이송부(2000) 또는 가공부(3000)의 하중을 분산시킨다. 지지부(1500)는 기초부(1000)의 하단에서 등간격 또는 모서리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기초부(1000)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다수의 지지부(1500)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Examples 1-7) In the drilling workbas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10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500 which are protruded downward to disperse a load. EXAMPLES 1-7 The base par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erses the loads of the workpiece 10 and the transfer part 2000 or the machining part 3000 by a support part 150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parts. The supporting part 1500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art 1000 at an equal interval or corner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1500 protrude in the same length so as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ase part 1000.

(실시예 1-8)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는 저중심 형성을 위해 웨이트부(1600)를 형성한다. 회전장치는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드릴링작업대는 공작물 상부의 가공부 회전에 의해 진동영향을 받는다. 진동영향을 받는 경우, 정밀작업이 불가능 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기초부는 고유진동수를 회피해야 하며, 일정한 웨이트부를 장착하여 진동수를 회피시켜야 된다. 또한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중심으로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웨이트부는 기초부의 하부에 장착되며, 전체무게의 80%이상이 웨이트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Examples 1-8)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1-1, the base portion 1000 forms a weight portion 1600 for forming a low center of gravity. The rotating device has a natural frequency.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vibration by the rotation of the workpiece on the workpiece. If vibration is affected, precision work is impossibl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base portion should avoid the natural frequency, and a constant weight portion should be mounted to avoid the frequency. It should also be formed with a low center of gravity to reduce the influence of vibration. Therefore, the weight portion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t least 80% of the total weight should be formed in the weight portion.

(실시예 1-9)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0)는 상기 기초부(100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송된다. 실시예 1-9 발명의 이송부(2000)는 기초부(1000)의 상부에서 동력이 전달되면 수평으로 이송된다. 이 때, 이송부(2000)를 기초부(100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랙&피니언(rack & pinion), 볼 스크류(ball screw) 등 다양한 이송장치를 활용한다. 또한 앞에서 제시한 이송장치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이송장치가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Examples 1-9)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1-1, the transfer part 2000 is horizontally convey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00. Examples 1-9 The transfer par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orted horizontally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00. At this time, various conveying devices such as a rack & pinion, a ball screw, and the like are utilized to horizontally convey the transfer unit 2000 from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part 1000. Also, a transfer device having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transfer device described above can be substituted and used.

(실시예 1-10)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0) 하단은 상기 기초부(1000)와 접하는 위치에 중공홀(2300)을 형성한다. 실시예 1-10 발명의 이송부(2000)는 기초부(1000)와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이송부(2000)의 중심은 기초부(1000)와 접하는 위치에 중공홀(2300)이 구비되어 이송부(2000)가 기초부(1000)에서 수평 이송부(2000)할 때 공작물(10)이 중공홀(2300)로 관통된다. 그에 따라, 가공부(3000)가 공작물(10)의 어느 위치나 이송되어 공작물(10)을 타공한다.(Examples 1-10)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art 2000 forms hollow holes 2300 at positions in contact with the base part 1000 in the 1-9. Example 1-10 The transfer par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ase part 10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enter of the transfer part 2000 is provided with a hollow hole 2300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se part 1000 So that the workpiece 10 is pierced into the hollow hole 2300 when the transfer unit 2000 moves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2000 from the base unit 1000. [ Accordingly, the machining unit 3000 is transferred to any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and the workpiece 10 is pierced.

(실시예 2-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000)는 상기 공작물(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부(1100); 상기 수평부(1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10)이 고정되는 공작물지지부(1200);를 포함한다. 항공기 부품은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며, 그 제작수량이 많지 않다. 금속으로 가공된 지그를 제작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동일한 공작물을 설치할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투입되며, 투입과정 중 설치오류에 따른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소량 반복조립을 위한 공작물지지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공작물지지부는 수평부와 공작물 사이에 결합된다. (Example 2-1) In the drilling work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art 1000 includes a horizontal part 1100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And a workpiece supporting part 120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100 to fix the workpiece 10. [ Aircraft parts are formed in complicated shapes, and the number of parts is not so large. When manufacturing a metal-processed jig, it is expensive. Also, when the same workpiece is installed,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so that a lot of time is taken for installation, and a failure may occur due to an installation error during the input process. To overcome this, a workpiece support for a small number of repeated assemblies is required. The workpiec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workpiece.

(실시예 2-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100)는 복수의 지지부(1500)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공작물의 정확한 가공을 위해, 기초부는 항상 수평을 유지해야 된다. 기초부 수평유지는 기초부 하부에 장착된 수평부를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는 지지부에 형성되며, 수평부 회전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된 높이에 의해 기초부의 수평을 형성한다. 수평부는 나사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거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를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수평계를 장착하여 수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초부는 전동장치를 장착하여 수평계의 수평정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한 후 자동으로 수평보정을 구현할 수 있다. (Example 2-2)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art 11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1500 in the embodiment 2-1. For accurate machining of the workpiece, the base must always be level. The horizontal holding of the base part is achieved by adjusting the horizontal part mounted on the bottom part of the base part.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horizontal portion. Therefore,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a horizontal shape by the changed height.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formed by a screw and may be used by replacing other structures that can adjust the height or change the height by rotation. A horizontal system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to confirm the horizontal position. The base unit can be horizontally corrected by automatically measuring the level of the horizontal system in real time by mount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실시예 2-3)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100)는 상기 지지부(1500)의 하단에 나선돌기로 형성된 결합바(1110)에 의하여 결합된다. 실시예 2-3 발명의 수평부(1100)는 지지부(1500)의 하단에 나선돌기로 형성된 결합바(1110)가 회전하며 지지부(1500)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한다.(Embodiment 2-3) In the drilling work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ortion 11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500 by a coupling bar 1110 formed as a spiral protrusion in Embodiment 2-2. Embodiment 2-3 In the horizontal part 1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ar 1110 formed by the spiral protrusion is rot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500, and the vertical part 1100 moves up and down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500.

(실시예 2-4)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500)는 상기 결합바(1110)의 상단이 나선결합되도록 나선홈이 구비된다. 실시예 2-4 발명은 수평부(1100)가 회전하며 승강하도록 지지부(1500)의 하단에 나선홈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나선돌기로 형성된 결합바(1110)가 나선홈에 나선결합되어 상하로 상승한다.(Example 2-4)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art 1500 is provided with a helical groov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bar 1110 is helically connected. Embodiment 2-4 In the invention, a spiral groov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500 so that the horizontal part 1100 is rotated and lifted. As a result, the coupling bar 1110 formed of the spiral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spiral groove and rises up and down.

(실시예 2-5)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100)는 지지부(15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실린더가 구비된다. 실시예 2-5 발명의 수평부(1100)는 실린더로 결합되어 동력 및 유압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하며 기초부(1000)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 때, 수평부(1100)는 수평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지지부(1500)를 각각 유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균형을 유지한다.(Example 2-5) In the drilling work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art 110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1500 and the cylinder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embodiment 2-2. Embodiment 2-5 The horizontal part 1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ylinder and is lifted up and down by power and hydraulic pressure to balance the base part 1000. At this time, the horizontal part 1100 automatically maintains the balance by holdi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1500 by the horizontal device.

(실시예 2-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지지부(1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작물(10)을 고정한다.(Embodiment 2-6)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2-1, the workpiece support part 1200 is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fixes the workpiece 10. [

(실시예 2-7)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지지부(1200)는 상기 공작물(10)의 접촉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단에 보호층이 형성된다. 실시예 2-7 발명의 공작물지지부(1200)는 공작물(10)과 접하는 접촉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단에 보호층이 형성된다. 보호층은 부직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공작물지지부의 형상은 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며, 공작물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공작물의 이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보호층은 공작물(10)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력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Embodiment 2-7)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2-6, the workpiece support part 1200 is formed with a protection layer at the upper part to protect the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10. [ Examples 2-7 The workpiece support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rotective layer at the top thereof to protect the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10. [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nonwoven fabric and synthetic resin. The shape of the workpiece support part is formed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backside shape of the workpiece for stable support of the workpiece.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workpiece 10. [

(실시예 3-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지지부(1200)는 내부에 액상 석고(1211)가 수용되는 유연용기(1210);, 상기 유연용기(1210) 상단에 접하며, 공작물(10) 접촉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220);, 상기 보호커버(1220)의 상부에 접촉되는 공작물(10) 상부에 하중을 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1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3-1 발명의 공작물지지부(1200)는 유연용기(1210)로 형성되며, 내부에 액상 석고(1211)를 수용하며, 공작물과 설치시 공작물(10) 형상에 따라 가변된후 형상을 따라 고형화된다. 유연용기(1210)는 얇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며, 공작물(10) 이면과 좁촉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공작물 설치과정 중 공작물 파손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호커버를 유연용기 일면에 형성한다. 공작물의 하부지지는 공작물지지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작물 상부지지는 클램핑장치(1300)에 의해 이루어진다. (Example 3-1)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upporting unit 1200 includes a flexible vessel 1210 in which a liquid gypsum 1211 is received, a flexible vessel 1210 And a clamping device 1300 for applying a loa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1220 to fix the workpiece 10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over 1220 do. Example 3-1 The workpiece support 1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flexible container 1210 and accommodates a liquid gypsum 1211 therein. The workpiece support 1200 includes a workpiece 1211, And solidified. The flexible container 1210 is formed of a thin polymer material and can be broken by a narrow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work 10. [ In addition, workpiece damage must be prevent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workpiece. To this end, a protective co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exible container. The lower support of the workpiece is made by the workpiece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of the workpiece is done by the clamping device 1300.

(실시예 3-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유연용기(1210)는 공작물(10) 후면형상에 따라 가변된다. 액상석고는 시간경과에 따라 고형화 되며, 높은 강도를 가지는 고체로 변형된다. 항공기 부품은 입체적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안정적 지지를 위해 입체적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지지면을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상석고를 이용하였다. 액상석고는 유연용기 내부에 수용되므로 액체상태에서 접촉되는 공작물의 후면 형상에 따라 형상을 유지하며, 고형화 된 후 공작물 후면형상고 동일한 고체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복잡하고 다양한 크기의 형상을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xample 3-2)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3-1, the flexible container 1210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rear surface of the work 10. Liquid gypsum solidifies over time and is transformed into a solid with high strength. Aircraft components take on a three-dimensional shape. Therefore, the support surface must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hree-dimensional shape for stable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liquid gypsum. Since the liquid gypsum is contained in the flexible container, the shape of the gypsum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ar surface of the workpiece contacting in the liquid state, and after solidification, the shape of the back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solid shape become the sa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implement complex and various sizes of shapes.

(실시예 3-3)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유연용기(1210) 하단은 상기 고정홀(1400) 상단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부(1000)와 고정된다. 실시예 3-3 발명의 유연용기(1210)는 기초부(1000) 상단에서 공작물(10)을 고정하며 클램핑장치(1300) 및 공작물(10)의 하중에 의하여 하단이 기초부(1000) 상단에 다수 구비되는 고정홀(1400)의 상단에 삽입된다. 이 때, 고정홀(1400)에 유연용기(1210)의 하단이 삽입된 후 액상 석고(1211)가 굳게 되므로 유연용기(1210)는 고정홀(1400)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고 기초부(1000) 상단에서 고정된다.(Example 3-3) In the drilling work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hole 1400 and fixed to the base part 1000 in the embodiment 3-2. Embodiment 3-3 A flexible container 1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piece 10 is fixed at an upper end of a base part 1000 and a low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00 by a load of a clamping device 1300 and a workpiece 10. [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1400. Since the liquid gypsum 1211 is hardened after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400, the flexible container 1210 does not move by the fixing hole 1400, .

(실시예 3-4)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220)는 상기 공작물(10)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가변된다. (Example 3-4)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rotective cover 1220 va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10 in the embodiment 3-3.

(실시예 3-5)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220)는 상기 유연용기(1210)가 접하는 상기 공작물(1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직포,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Example 3-5)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3-2, the protective cover 1220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a synthetic resin (synthetic resin)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10, As shown in Fig.

보호커버(1220)는 유연용기(1210) 상부에 부착되며, 공작물(10)을 지지한다. 클램핑장치(1300)에 의해 하중을 받으면 유연용기(1210)와 함께 동일한 형상으로 가변되어 공작물(10) 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부직포로 형성되거나 또는 폼으로 형성된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cover 122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and supports the workpiece 10. When the load is applied by the clamping device 1300, the flexible container 1210 and the flexible container 1210 are de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end of the work 10 from being damaged. The protective cover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a polymer formed of a foam. Or may be replaced with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실시예 3-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1300)는 상기 공작물(10)의 상부에서 하중을 가하는 하중판(1310);, 상기 하중판(1310)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클램프(1320);, 상기 클램프(1320)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중판(1310)이 관통되어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1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발명은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하여 유연용기(1210)의 형상을 가변시키며, 액상 석고(1211)가 굳을 때까지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한다. 하중판(1310)이 공작물(10) 상부에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일 단부가 공작물(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클램프(1320)는 하중판(1310)의 일 단부를 고정하여 하중판(1310)에서 공작물(10)로 가하는 하중의 양을 조절한다. 그리고 조절장치(1330)는 하중판(1310)의 타 단부와 클램프(1320) 사이에 구비되어 하중판(1310)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중판(1310)의 각도를 조절한다.(Example 3-6)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1, the clamping device 1300 includes a load plate 1310 for applying a loa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A clamp 1320 for fixing one end of the load plate 1310 to the clamp 1320 and a regulator 1330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lamp 1320 to adjust the angle of the load plate 1310. Example 3-6 The invention changes the shape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by applying a load to the workpiece 10 and applies a load to the workpiece 10 until the liquid gypsum 1211 is hardened. One end of the load plate 1310 extends outwardly from the workpiece 10 in order to apply a loa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The clamp 1320 fixes one end of the load plate 1310, Th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workpiece 10 is controlled. The adjusting device 1330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load plate 1310 and the clamp 1320 to support the load plate 1310 and adjust the angle of the load plate 1310.

(실시예 3-7)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하중판(1310)은 상기 공작물(10)에 접하는 타단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7 발명의 하중판(1310)은 일 단부가 클램프(1320)에 의하여 고정되며, 클램프(13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조절장치(1330)를 관통한다. 또한, 하중판(1310)의 타 단부는 하부로 절곡되어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한다.(Example 3-7)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load plate 13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10, is bent downward to load the workpiece 10 . Example 3-7 The inventive load plate 1310 is fixed at one end by a clamp 1320 and penetrates the adjusting device 13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clamp 1320. Further, the other end of the load plate 1310 is bent downward to apply a load to the workpiece 10.

(실시예 3-8)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하중판(1310)은 상기 공작물(10)에 접하는 단부에 보호커버(1220)가 구비된다. 실시예 3-8 발명의 하중판(1310)은 하부로 절곡되어 공작물(10)에 접하는 단부에 보호커버(1220)가 결합되며, 보호커버(1220)는 하중판(1310)에 의하여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할 때 공작물(10)이 파손되지 않도록 부지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Embodiment 3-8) In Embodiment 3-7,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1220 at an end portion of the load plate 13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ork 10. [ Embodiment 3-8 The load plate 1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downward and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load plate 1310 that contacts the workpiece 10 and the protective cover 1220 is coupled to the workpiece 10 ), It is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ite cloth and synthetic resin so that the work (10) is not damage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ork (10).

(실시예 3-9)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320)는 상기 하중판(1310)의 일 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홀(1400)에 결합되는 고정대(1321);, 상기 고정대(1321)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하중판(1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1322);를 포함한다. 실시예 3-9 발명은 하중판(1310)을 고정하며 하중판(1310)에 하중을 가중시키기 위하여 고정홀(1400)에 결합되는 고정대(1321)가 구비된다. 고정대(1321)는 나선돌기로 형성되어 고정홀(1400)에 하단이 결합되며, 상부는 조절너트(1322)가 구비됨에 따라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한다.(Embodiment 3-9)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1320 includes a clamping plate 1310 fixed to one end of the load plate 1310 and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0, And an adjustment nut 1322 spir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table 132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ading plate 1310. [ Embodiment 3-9 The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ixing table 1321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400 to load the load plate 1310 and to load the load plate 1310. The fixing base 1321 is formed as a spiral protrusion and has a lower end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0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provided with a control nut 1322 to apply a load to the workpiece 10.

(실시예 3-10)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9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320)는 상기 조절너트(1322)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작물(10)에 가하는 하중을 조절한다. 실시예 3-10 발명의 클램프(1320)는 고정대(1321) 상부에 조절너트(1322)가 다수 결합되어 공작물(10)에 가하는 하중을 조절한다. 조절너트(1322)는 적어도 하나 이상 나선결합되어 하중판(1310)을 상부 및 하부로 이동시켜 공작물(10)에 원하는 하중을 가한다.(Embodiment 3-10)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1320 adjusts a load applied to the workpiece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nut 1322 in the embodiment 3-9. Embodiment 3-10 In the clamp 13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djustment nuts 1322 ar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fixing table 1321 to control a load applied to the work 10. [ At least one adjustment nut 1322 is spirally engaged to move the load plate 1310 upward and downward to exert a desired load on the workpiece 10.

(실시예 3-1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1330)는 하단이 상기 고정홀(1400)에 결합된다. 실시예 3-11 발명의 조절장치(1330)는 하단에 나선돌기가 구비되어 고정홀(1400)에 나선결합된다. 그리고 조절장치(1330)는 고정홀(1400)에 결합되는 길이에 따라 하중판(1310)의 위치를 조절한다. (Examples 3-11)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device 1330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0 in the embodiment 3-6. Embodiment 3-11 The adjusting device 13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iral protrusion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spirally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0. The adjusting device 133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oad plate 131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oad plate 1310 coupled to the fixing hole 1400.

(실시예 3-1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11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1330)는 상기 하중판(1310)이 관통되는 관통홀(1331)이 구비된다. 실시예 3-12 발명의 조절장치(1330)는 하중판(1310)의 단부가 관통되어 클램프(1320)에 결합되도록 관통홀(1331)이 구비된다. 하중판(1310)이 관통홀(1331)에 관통됨에 따라 클램프(1320)에 의하여 하중판(1310)의 단부 위치가 상부로 올라가면 하중판(1310)의 타 단부는 하부로 내려가므로 공작물(10)에 하중을 가하며 공작물(10)의 이동을 방지한다.(Examples 3-12)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3-11, the adjusting device 13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331 through which the load plate 1310 passes. Examples 3-12 The inventive adjusting device 13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331 so that the end of the load plate 1310 penetrates and is coupled to the clamp 1320. When the end of the load plate 1310 is moved upward by the clamp 1320 as the load plate 13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31, the other end of the load plate 1310 goes down, So as to prevent the workpiece 10 from moving.

(실시예 4-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0)는 상기 기초부(1000)의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100);, 상기 가이드레일(2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3000)를 이송시키는 이송휠(2200);을 포함한다.(Example 4-1)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ill work station according to Example 3-1, wherein the transfer unit 2000 is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unit 1000, and guides the transfer unit 2000 And a feed wheel 220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100 and feeding the processed portion 3000. [

실시예 4-1 발명은 기초부(1000) 상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100)과, 가이드레일(2100) 상부에 안착되며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휠(2200)로 구분된다. 가이드레일(2100)은 기초부(1000)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부(2000)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기초부(1000)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홀(2300)로 공작물(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기초부(1000)와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시키는 이송휠(2200)이 구비된다.Embodiment 4-1 The invention is divided into a guide rail 210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000 and a conveying wheel 2200 placed at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2100 and horizontally conveyed. The guide rail 21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1000 so that the transfer part 2000 moves horizontally and the workpiece 10 can be passed through the hollow hole 2300 formed between the base part 1000 And a conveying wheel 2200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ase part 10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실시예 4-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0)는 상기 이송휠(220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0) 상부에서 회전하며 이송한다. 실시예 4-2 발명은 이송부(2000)의 양측면 하단에 이송휠(2200)이 구비되며, 이송휠(2200)은 가이드레일(2100) 상부에서 회전하며 이송함에 따라 이송부(2000)가 기초부(100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Example 4-2) In the drilling work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unit 2000 rotates and conveys the conveying wheel 2200 on the guide rail 2100 in the embodiment 4-1. Embodiment 4-2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veying wheel 22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a conveying part 2000 and the conveying wheel 2000 is rotated on the guide rail 2100, 10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실시예 4-3)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0)은 상기 기초부(1000)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4-3 발명의 가이드레일(2100)은 기초부(1000)의 양측면에서 각각 구비되며 상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Example 4-3) In the drilling work 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ail 2100 is formed protru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000 in the embodiment 4-2. Example 4-3 The inventive guide rails 21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art 1000 and protrude upward.

(실시예 4-4)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00)은 상단의 중심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양 측면이 사선으로 형성된다.(Example 4-4)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ail 2100 is formed with oblique lines on both sides so th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protrudes upward.

(실시예 4-5)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이송휠(2200)은 상기 이송부(2000)의 하단 양 측면에 회전축(2210)에 의하여 각각 구비된다. 실시예 4-5 발명의 이송휠(2200)은 이송부(2000)의 하단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축(2210)의 단부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00)의 상부에서 회전축(2210)의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가이드레일(2100)의 상부에서 수평 이동한다.(Embodiment 4-5) In the embodiment 4-4 of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wheel 2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nveying part 2000 by a rotary shaft 2210. Embodiment 4-5 The conveying wheel 2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ds of the rotary shaft 2210 protruded from both lower sides of the conveying unit 20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rotate the rotary shaft 2210 i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2100 And horizontally move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100.

(실시예 4-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210)은 상기 이송부(200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2400)에 의하여 회전한다. 실시예 4-6 발명은 회전축(2210)이 이송부(2000)의 구동장치(2400)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송부(2000)가 수평으로 이동하며, 구동장치(2400)는 렉&피니언, 볼 스크류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축(2210)을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회전축(2210)이 회전하여 이송휠(2200)이 회전한다.(Example 4-6)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2210 is rotated by the drive unit 2400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2000 in the embodiment 4-5. Embodiment 4-6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the rotating shaft 2210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2400 of the transfer part 2000, the transfer part 2000 moves horizontally, and the driving device 2400 is driven by a rack and pinion, And rotates the rotary shaft 2210 in various ways. As a result, the rotary shaft 2210 rotates and the conveying wheel 2200 rotates.

(실시예 4-7)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이송휠(2200)은 양측면에서 중심으로 향할수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7 발명은 가이드레일(2100) 상부에서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중심으로 향할수록 사선으로 형성된다. 이 때, 이송휠(2200)은 가이드레일(2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2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축(2210)의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레일(2100)에서 가이드되며 수평으로 이동한다.(Example 4-7) In the drilling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4-6, the feed wheel 2200 is formed diagonally so as to be oriented from both sides to the center. Embodiment 4-7 The inven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rotate on the guide rail 2100, and is formed diagonally from both sides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the conveying wheel 22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uide rail 2100 and is guided by the guide rail 2100 and moves horizontally as the rotation shaft 2210 rotates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guide rail 2100.

(실시예 5-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3000)는 상기 이송부(20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으로 길이가 확장되는 확장부(3100);, 상기 확장부(3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타공부(3200);를 포함한다. (Example 5-1)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1-1 or the embodiment 5-1, the processing part 30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part 2000, And a tread 3200 that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sion 3100 and punctures the work 10. [

기초부(1000) 상단에는 가공부(3000)가 위치하며, 상기 가공부는 이송부(2000)에 결합된 확장부에 결합된다. 확장부는 길이 및 각도가 가변된다. 타공부(3200)는 확장부(3100) 전면에 형성된 승강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하로 이동하며, 공작물을 가공한다. 즉, 복잡한 형상의 항공기 구조물에 다양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이송부의 이동, 확장부의 변형, 승강장치의 승강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된다. A processing unit 3000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unit 1000, and the processing unit is coupled to an extension unit coupled to the transfer unit 2000. The extension part is variable in length and angle. The rudder 3200 is coupled to an elevating devi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panding part 3100, and the elevating device moves up and down to machine the workpiece. In other words, it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portion, the deformation of the expanding portion,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 device to form various holes in the aircraft structure of a complicated shape.

(실시예 5-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3200)에 형성되며, 공작물 칩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장치(3300);를 포함한다. 공작물의 드릴가공시 발생된 칩은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한다.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은 칩은 공구를 손상시키거나, 공작물의 간접파손영향을 미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공시 배출된 칩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어야 하며, 본 발명은 드릴 바이트 인접위치에 형성된 흡입장치를 통해 배출된 칩을 실시간으로 배출한다. (Example 5-2) A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device 3300 formed in the tread 3200 and sucking and removing a workpiece chip in Example 6-1. The chip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the workpiece must be smoothly discharged. Chips that are not smoothly discharged can damage the tool or cause indirect damage to the workpie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quickly discharge the chips discharged during the perfo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chips discharged through the inhalation devic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rill bit in real time.

(실시예 5-3)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100)는 상기 이송부(2000)에 결합되는 제 1확장부(3110);, 제 1확장부(3110)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 2확장부(3120);, 상기 제 1확장부(3110)와 상기 제 2확장부(3120)를 연결하는 연결부(3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발명은 이송부(2000)의 상부 전면에 확장부(3100)가 제 1확장부(3110)와 제 2확장부(3120)로 구분된다. 연결부(3130)는 제 1확장부(3110)와 제 2확장부(3120)의 간격을 조절하며 제 2확장부(3120)의 단부에 결합된 가공부(3000)의 위치를 조절한다.(Example 5-3) A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rill work station according to Embodiment 6-1,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310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3110 coupled to the transfer portion 2000, And a connection part 3130 connecting the first extension part 31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20 to each other. Example 5-2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art 3100 is divided into a first extension part 311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art 2000. The connection part 313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31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20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rocessing part 3000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120.

(실시예 5-4)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130)는 상기 제 1확장부(3110)와 상기 제 2확장부(3120)의 각도를 조절하는 힌지를 구비한다. 실시예 5-4 발명의 연결부(3130)는 제 1확장부(3110)와 연결부(3130)가 접하는 위치 또는 제 2확장부(3120)와 연결부(3130)가 접하는 위치에 힌지가 구비되어 가공부(30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Embodiment 5-4)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6-3, the connection portion 3130 includes a hing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1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20, Respectively. Embodiment 5-4 The connecting part 3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xpanding part 3110 and the connecting part 3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 position where the second expanding part 3120 and the connecting part 3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30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실시예 5-5)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130)는 직경이 다른 다수의 연결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확장부(3110)와 상기 제 2확장부(3120) 간격을 조절한다. 실시예 5-5 발명은 직경이 다른 다수의 연결관이 겹치도록 결합되어 제 1확장부(3110)와 제 2확장부(3120)의 간격을 조절하며, 연결부(3130) 외측은 주름관으로 감싸며 형성된다.(Example 5-5)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313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3110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adjusts the spacing of portions 3120. Embodiment 5-5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overlapp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parts 3110 and 3120, and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art 3130 is surrounded by a corrugated tube do.

(실시예 5-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3200)는 상기 공작물(10)의 상부에 기준점을 타공하는 레이저 가공기(3210);, 상기 레이저의 후면에 구비되어 기준점을 타공하는 타공장치(3220);, 상기 타공장치(3220)에서 타공하는 위치를 측정하는 측정카메라(3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발명의 타공부(3200)는 공작물(10)의 타공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며, 타공장치(3220)가 원활히 공작물(10)을 타공하도록 공작물(10) 상부를 소정의 깊이로 타공하는 레이저 가공기(3210)를 구비한다. 레이저 가공기(3210)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공작물(10)의 상부에 기준점을 소정의 깊이로 청공하며, 이는 타공장치(3220)가 정확한 위치로 가공하도록 안내한다. (Example 5-6)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d 3200 includes a laser processing machine 3210 for drilling a reference point on the workpiece 10, And a measurement camera 3230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perforation device 3220. The measurement device 3220 may be a microprocessor, Embodiment 5-6 The tread 3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and accurately positions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10 at a predetermined depth so as to smoothly pierce the workpiece 10. [ And a laser processing machine 3210 that processes the laser beam. The laser processing machine 3210 is vertically formed to pierce the reference point at the top of the workpiece 10 to a predetermined depth, which guides the perforation device 3220 to be machined to the correct position.

(실시예 5-6)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타공장치(3220)는 상기 가공부(3000)의 하단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회전바(3221);, 상기 회전바(3221)를 동력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222);, 상기 회전바(3221)의 하단에 구비되어 공작물(10)을 타공하는 바이트(3223);를 포함한다.(Example 5-6)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the perforation device 3220 includes a rotation bar 3221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rocessing part 3000, A rotary motor 3222 for rotating the bar 3221 by the power and a bite 322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bar 3221 to bore the work 10. [

실시예 5-6 발명은 가공부(30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모터(3222)가 구비되며, 회전모터(3222)는 레이저 가공기(3210)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회전바(3221)는 회전모터(3222)에 상단이 결합되어 회전모터(3222)에 의하여 회전하며, 회전바(3221)의 하단에는 척(3224)이 구비됨에 따라 바이트(3223)를 하단에 결합시킨다. 바이트(3223)는 공작물(10)을 타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며 나선홈이 구비되어 공작물(10)을 원활하게 타공한다.Embodiment 5-6 The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case 3000 and includes a rotating motor 3222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is rotated by the power. The rotating motor 3222 is provided with a laser processor 3210, Respectively. The rotation bar 3221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motor 3222 and is rotated by a rotation motor 3222 and a chuck 3224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otation bar 3221, . The bite 3223 is formed to have various sizes in order to perforate the workpiece 10 and has a helical groove to smoothly work the workpiece 10.

(실시예 5-7)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측정카메라(3230)는 상기 타공장치(3220)의 하단과 상기 공작물(10)이 접하는 위치를 촬영하여 타공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다.(Example 5-7) In Example 6-6, the measuring camera 3230 photographs the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perforation device 3220 and the workpiece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실시예 5-7 발명의 측정카메라(3230)는 레이저 가공기(3210)에서 타공하는 기준점을 타공장치(3220)가 정확하게 타공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바이트(3223)의 하단과 공작물(10)이 접하는 위치를 촬영한다. 또한 가공중 발생된 문제를 감지하기 위해 측정카메라가 센서로서 활용된다. 상기 측정카메라는 비전센서로서 역활을 수행하며, 제어장치에 의해 프로그램된 장치로 부터 가공의 정확성을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Example 5-7 The measuring camera 3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o measure the position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cutting tool 3223 and the workpiece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puncturing device 3220 punctures the reference point punctured in the laser processing machine 3210 I shoot. In addition, a measuring camera is used as a sensor to detect problems occurring during machining. The measurement camera acts as a vision sensor and determines the accuracy of the machining from the device programmed by the control device in real time.

(실시예 5-8)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1 또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3300)는 상기 타공장치(3220)에서 타공하여 발생하는 상기 공작물(10)의 잔여물을 흡입한다. 실시예 5-8 발명은 타공장치(3220)에서 공작물(10)을 타공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타공장치(3220)의 바이트(3223)가 회전함에 따라 공작물(10)을 타공하며 발생하는 잔여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입장치(3300)는 이송부(2000)를 관통하여 이송부(2000)의 내부에 포집용기(3350)가 구비되어 잔여물이 이송부(2000)의 내부로 포집된다.(Embodiment 5-8)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6-1 or Embodiment 6-6, the inhalation device 3300 is installed on the workpiece 10 generated in the perforation device 3220, Inhalation of the residue. Embodiment 5-8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workpiece 10 is pierced in the percussion device 3220 so that the remainder generated by perforating the workpiece 10 as the bite 3223 of the percussion device 3220 rotates Can be inhaled. At this time, the suction device 3300 passes through the transfer unit 2000, and a collecting container 3350 is provided inside the transfer unit 2000 to collect the residue into the transfer unit 2000.

(실시예 5-9)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8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3300)는 타공장치(322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형성된다.(Examples 5-9)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devices 33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ion device 3220, respectively, in Examples 6-8.

(실시예 5-10)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8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3300)는 상기 공작물(10)의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3310);, 상기 흡입부(3310)를 개방 및 폐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3320);, 상기 조절밸브(3320)와 함께 상기 이송부(2000) 내부에 구비되어 잔여물을 흡입하는 펌프(3330);, 상기 조절밸브(3320)와 상기 펌프(3330)를 제어하는 제어기(3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5-10 발명은 공작물(10)이 타공될 때 발생하는 잔여물을 흡입하는 흡입부(3310)를 구비한다. 흡입부(3310)는 이송부(200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 단부가 공작물(10)과 바이트(3223)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조절밸브(3320) 및 펌프(3330)는 제어기(3340)에 의하여 조절되며 잔여물을 흡입하거나 차단한다. 이에 따라 공작물(10)을 타공할 때 발생하는 잔여물을 이송부(2000) 내부에 구비되는 포집용기(3350)로 흡입하여 이송시킨다.(Examples 5-10)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device 3300 includes a suction portion 3310 for suctioning the residue of the workpiece 10, a suction portion A pump 3330 provided in the transfer part 2000 together with the control valve 3320 to suck residue therein; a control valve 33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rol valve 3320; And a controller 3340 for controlling the pump 3330. Example 5-10 The invention has a suction portion 3310 for sucking the residue generated when the workpiece 10 is punctured. The suction portion 3310 extends outwardly through the transfer portion 2000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suction portion 3310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10 and the bite 3223. The control valve 3320 and the pump 333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340 to suck or block the residue. Accordingly, the residue generated when the workpiece 10 is punctured is sucked and transpor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3350 provided inside the transfer unit 2000.

(실시예 6-1)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6-1 또는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3200) 동력을 측정하며, 상기 공작물(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드릴가공시 발생되는 전류흐름을 계측하며, 정상작동 및 비정상 작동여부를 계측된 전류로 판단하고, 문제발생시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발명이다. (Example 6-1) A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Example 6-1 or Example 6-6, which measures the power of the tread 3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ork 10 (4000).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flow generated during drilling, judging whether normal operation or abnormal operation is a measured current, and controlling operation when a problem occurs.

(실시예 6-2) 본 발명의 드릴링 작업대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0)는 상기 타공장치(3220)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4100);, 상기 측정센서(4100)에서 측정한 전류에 따라 상기 타공장치(3220)를 제어하는 제어부(4200);를 포함한다.(Example 6-2) In the drill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4000 includes: a measurement sensor 4100 for measuring a current of the perforation device 3220; And a control unit 4200 for controlling the percussion device 3220 according to the current measured by the percussion device 3220.

전류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드릴장치에 장착된다. 상기 측정센서는 드릴의 공회전, 드릴의 초기작업, 드릴의 연속작업, 드릴의 후퇴과정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한다. 제어부는 정상작동시 발생되는 다양한 단계의 전류량을 기억하고 있으며, 측정된 신호와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감지한다. 이상신호 발생시, 제어부는 회전모터를 정지시켜 공작물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A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is mounted on the drilling device. The measurement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the idling of the drill,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drill,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drill, and the retraction of the drill. The controller memorizes the amount of current at various stages during normal operation and compares the measured signal with a real time signal to detect an abnormality.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can stop the rotation motor to prevent workpiece damage in advance.

가공중 회전모터가 정지되면,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가공상 문제가 존재함을 인지시킨다. 상기 알람은 부저, 경광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균등한 대상이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rotating motor is stopped during machining, an alarm is generated to the outside to recognize that there is a machining problem to the user. The alarm may be a buzzer, a beacon,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n equivalent object.

10: 공작물 1000: 기초부
1100: 수평부 1110: 결합바
1200: 공작물지지부 1210: 유연용기
1211: 액상 석고 1220: 보호커버
1300: 클램핑장치 1310: 하중판
1320: 클램프 1321: 고정대
1322: 조절너트 1330: 조절장치
1331: 관통홀 1400: 고정홀
1500: 지지부 1600: 웨이트부
2000: 이송부 2100: 가이드레일
2200: 이송휠 2210: 회전축
2300: 중공홀 2400: 구동장치
3000: 가공부 3100: 확장부
3110: 제 1확장부 3120: 제 2확장부
3130: 연결부 3200: 타공부
3210: 레이저 가공기 3220: 타공장치
3221: 회전바 3222: 회전모터
3223: 바이트 3224: 척
3230: 측정카메라 3300: 흡입장치
3310: 흡입부 3320: 조절밸브
3330: 펌프 3340: 제어기
3350: 포집용기 4000: 제어장치
4100: 측정센서 4200: 제어부
4300: 알람
10: workpiece 1000: base part
1100: Horizontal part 1110: Coupling bar
1200: workpiece support part 1210: flexible container
1211: Liquid gypsum 1220: Protective cover
1300: clamping device 1310: load plate
1320: Clamp 1321: Fixture
1322: Adjusting nut 1330: Adjusting device
1331: Through hole 1400: Fixing hole
1500: Support part 1600: Weight part
2000: transfer part 2100: guide rail
2200: Feed wheel 2210:
2300: hollow hole 2400: driving device
3000: machining part 3100: extension part
3110: first expanding part 3120: second expanding part
3130: Connection part 3200:
3210: Laser processing machine 3220: Piercing device
3221: Rotary bar 3222: Rotary motor
3223: Byte 3224: Chuck
3230: Measuring camera 3300: Suction device
3310: Suction section 3320: Regulating valve
3330: Pump 3340: Controller
3350: Collection container 4000: Control device
4100: Measuring sensor 4200:
4300: Alarm

Claims (6)

공작물(10)을 고정하는 기초부(1000);,
상기 기초부(1000)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송부(2000);,
상기 이송부(2000)에 의하여 이송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가공부(3000);,
상기 기초부(1000)는 상기 공작물(10)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부(1100);,
상기 수평부(1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작물(10)이 고정되는 공작물지지부(1200);를 포함하는 드릴링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지지부(1200)는 내부에 액상 석고(1211)가 수용되는 유연용기(1210);,
상기 유연용기(1210)의 상단을 감싸며, 상기 공작물(10)과 접하는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220);,
상기 보호커버(12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공작물(10)의 상부에 하중을 가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1300);를 포함하는 드릴링 작업대.
A base portion 1000 for fixing the workpiece 10;
A transporting part 2000 moving horizontally above the base part 1000;
A machining part 3000 conveyed by the conveying part 2000 and piercing the workpiece 10;
The base part 1000 includes a horizontal part 1100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And a workpiece supporting part 120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100 to fix the workpiece 10. In the drilling workbench,
The workpiece support unit 1200 includes a flexible container 1210 in which a liquid gypsum 1211 is received,
A protective cover 1220 that covers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container 1210 and protect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ork 10;
And a clamping device (1300) for applying a loa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ork (10) stacked on top of the protective cover (1220) to fix the work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0)는 상기 기초부(1000)의 상단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20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100);,
상기 가이드레일(2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가공부(3000)를 이송시키는 이송휠(2200);을 포함하는 드릴링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ance unit 2000 includes guide rails 2100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unit 1000 to guide the conveyance unit 2000;
And a conveying wheel (220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2100) for conveying the processing part (30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3000)는 상기 이송부(20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면으로 길이가 확장되는 확장부(3100);,
상기 확장부(3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공작물(10)을 타공하는 타공부(3200);를 포함하는 드릴링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unit 3000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31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2000 and having a length extending to the front,
And a tongue (3200)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3100) and punctures the work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3200) 동력을 측정하여 상기 공작물(10)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0);를 포함하는 드릴링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device (40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piece (10) by measuring the power of the tread (3200).
KR1020170130285A 2017-10-11 2017-10-11 Drilling Worktable KR101836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85A KR101836987B1 (en) 2017-10-11 2017-10-11 Drilling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285A KR101836987B1 (en) 2017-10-11 2017-10-11 Drilling Work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987B1 true KR101836987B1 (en) 2018-03-09

Family

ID=6172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285A KR101836987B1 (en) 2017-10-11 2017-10-11 Drilling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98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8B1 (en) * 2020-12-14 2021-06-24 이오석 Stone machining apparatus
KR102432441B1 (en) 2022-02-25 2022-08-16 주식회사 세아씨앤에스 Gate Hole Drilling System
KR102517202B1 (en) *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Aluminum square window cover processing b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8B1 (en) * 2020-12-14 2021-06-24 이오석 Stone machining apparatus
KR102432441B1 (en) 2022-02-25 2022-08-16 주식회사 세아씨앤에스 Gate Hole Drilling System
KR102517202B1 (en) *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Aluminum square window cover processing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987B1 (en) Drilling Worktable
US8458871B2 (en) Secondary positioning device for workpiece machining
CN105014113B (en) A kind of automobile pipe fitting multi-angle drilling device
KR200444504Y1 (en) Drill machine
WO2012172833A1 (en) Machine tool
US4121808A (en) Hole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92174B1 (en) Dril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orque control
CN211248460U (en) Adjustable drilling machine
CN108515200A (en) A kind of drilling hole machine tool
KR101308670B1 (en) Section shape steel processing apparatus
EP2719499B1 (en) Machining centre with unbalance measuring device
CN104646734A (en) Machining device of intersecting curved surface in aluminum circular tube
KR101804290B1 (en) Forming Equipment for tapping hole
KR20130101671A (en) Side machining apparatus of horizontal type
US7351019B2 (en) Clamping mechanism for an elongated workpiece
CN216421121U (en) Drilling machine
CN206425795U (en) A kind of self tapping bores all-in-one certainly
CN209792700U (en) Milling machine convenient for displacement control
CN112453480A (en) A drilling equipment that is used for new material panel production to have a locate function
CN218191926U (en) Pipe stamping device
CN220637161U (en) Machining drilling equipment
CN217799157U (en) Workpiece placing table for bench drilling machine
CN102528126B (en) Device for drilling section
CN220482687U (en) Automatic change carton cutting instrument
CN212191386U (en) Bench drill pos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