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50B1 -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 Google Patents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50B1
KR101836450B1 KR1020160047214A KR20160047214A KR101836450B1 KR 101836450 B1 KR101836450 B1 KR 101836450B1 KR 1020160047214 A KR1020160047214 A KR 1020160047214A KR 20160047214 A KR20160047214 A KR 20160047214A KR 101836450 B1 KR101836450 B1 KR 10183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ring
water
pipe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257A (ko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6004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345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8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piezoelectric devices,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2중 지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수도관의 연결부에서 1차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보수 계획을 세워 2차 누수(외부유출)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관(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관(20)의 단부에는 확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21) 내주면에는 제1고무링(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고무링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10) 외측에는 제1고무링(3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링(60)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60)에는 조임볼트(70)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볼트(70)의 단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21)의 외주면에는 지지링(80)이 결합되는 상수도관용 지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60)에는 제1고무링(30)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2고무링(40)이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고무링 안착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무링(30)과 제2고무링(40) 사이에는 압착력 전달을 위한 압착링(50)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60) 중단부에는 제1고무링(30) 에서의 누수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100)가 구성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100)에서의 감지신호는 송신부(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유, 무선으로 전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WATER LEAK SENSING SYSTEM OF DOUBLE WATERTIGHT PIPE}
본 발명은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파이프 연결부위를 이중으로 지수하고, 연결부 누수를 누수감지 센서로 감지하여 수치화함으로써 누수 여부의 정확도를 높이고, 외부로의 누수유출발생을 방지하며 누수의 사전 예측과 그에 따른 보수 계획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강관파이프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정수 된 물을 공급하고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도관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주철관 또는 피복강관을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수도관은 대부분이 매우 긴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로 시공되기 때문에 피복강관을 일정 길이만큼씩 설계된 상태로 제조하고 이를 시공거리에 맞추어 상호 조립하면서 시공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피복강관들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부분에는 별도의 압륜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도록 하면서 이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압륜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압륜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피복강관으로 이루어진 상수도관의 연결 상태가 결정되었으며, 이러한 체결력에 따라 상수도관의 누수가 방지되면서 수압에 따른 상기 상수도관의 시공 상태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었고, 상기 체결력의 저하로 인한 누수나 수압에 의해 상수도관의 조립상태가 이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강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지수 구조물의 종래 일 예로, 특허등록 제995105호에서는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이음관의 내에서 가압 되는 패킹의 구조변경을 통해 수밀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1개의 패킹이 이음관에 의한 직접적인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패킹의 파손 내지는 변형이 발생되어 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173592호에서는 매설관의 파손방지와 파손된 위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파손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감시테이프를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 및 자재비용의 증가, 파손지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오차범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설관부에 이격 설치되는 감시테이프에서 파손을 감지하면 감시장치부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파손이 검출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지아이에스(GIS) 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로 중앙관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그런데, 매설관과 이격 설치된 감시테이프가 설치된 환경이 지하 연결부이며 감시테이프와 매설관부 사이에 오염물질이 인입되어 전기적 오작동이 많이 발생하게되어 매설관의 파손 및 부식상태를 파악하는 데 있어 일부 오류가 발생하게 되며, 오동작일 경우 파손이 없더라도 파손으로 판단하여 해당 파손 매설관을 공사해야 하므로 많은 인건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등 비용낭비가 상당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고무링에 의한 상수관 외벽면과의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누수차단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중 지수구조물을 제공함과 함께 연결부 누수를 GPS 좌표값발생,또는 특정주파수가 발생 되는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누수위치 정확도와 압력값을 수치화함으로써 누수 여부의 정확도를 높이고, 누수의 경우 1차 누수 확인 또는 2차 누수의 예측과 그에 따른 보수 계획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강관파이프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누수감지 시스템은, 제1관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제2관의 단부에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 내주면에는 제1고무링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고무링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 외측에는 제1고무링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링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에는 조임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둘레에는 걸림턱부가 구성된 상수도관용 지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에는 제1고무링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2고무링이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고무링 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무링과 제2고무링 사이에는 압착력 전달을 위한 압착링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 중단부에는 제1고무링 에서의 누수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가 구성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에서의 감지신호는 현장점검부 (송신부)를 통해 관리자(통재실)에게 유,무선으로 전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센서는 누수된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는 GPS 좌표값 또는 일정의 주파수가 발생 되는 압력센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연결부에서 2중의 지수기능이 수행되어짐으로서 연결부 누수현상을 사전에 차단함과 함께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보수작업계획을 세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내부에서의 1차 누수만 발생이 되었는지 또는 2차 누수에 따른 외부 누출이 이루어졌는지를 단계적으로 예측이 가능하게 되므로, 현장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즉, 1차 누수만 발생되었을 때는 긴급 단수가 필요 없게 되므로 민원발생에 문제가 없는 적절한 시간에 보수를 하게 되고, 2차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는 긴급 단수 후 신속한 복구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 누수 단계에 따른 선택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누수의 감지를 압력에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하여 누수부의 압력을 수치화하여 확인할 수 있고, 누수 진행 방향에 따라 복수의 센서들이 단계적 계측이 가능하여 누수 여부 판단 및 누수위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수 초기 상태에서 완전 누수 상태까지의 진행 시간 모니터링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1차 누수 확인 및 2차 누수 예측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수의 정확한 위치확인 및 계획적인 보수공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단수 보수공사를 줄일 수 있고 광의적으로는 누수 관리를 통한 사전 누수방지가 가능하여 사전에 누수방지로 인한 엄청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강관 파이프용 이중 지수 구조물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 지수 구조물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누수감지 시스템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수관 연결부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의 고무링 상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고무링 결합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의 제1고무링 요부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2고무링측 요부 분리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의 제2고무링 결합부 단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수밀링 단면 상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수도관을 이루는 제1관(10)과 제2관(20)의 연결부위에는 제1관(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관(20)의 단부에는 확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21) 내주면에는 제1고무링(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고무링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10) 외측에는 제1고무링(3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링(60)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60)에는 조임볼트(70)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볼트(7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이 걸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21)의 외주면에는 지지링(80)이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지링(80)과 가압링(60) 사이에는 수밀성 향상을 위한 수밀링(85)이 구비되고, 가압링(60)에는 조임볼트(70)의 조임력에 의해 수밀링(85)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부(65)가 돌출 구성되었다.
그리고, 확관부(21)의 단부에는 수밀링(85)을 지지하기 위한 수밀링 지지부(23)가 연장 형성되었다. 이러한 수밀링 지지부(23)는 수밀링(85)의 정착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가압돌부(65)에 의한 가압력이 수밀링(85)에 가해졌을 때 수밀링(85)이 팽창되어지면서 수밀링 지지부(23)와 밀착이 이루어져 수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압링(60)에는 제1고무링(30)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2고무링(40)이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고무링 안착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무링(30)과 제2고무링(40) 사이에는 압착력 전달을 위한 압착링(50)이 끼워져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100)가 장착되어지게 되는데, 가압링(60) 중단부에 제1고무링(30) 에서의 누수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100)가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누수감지센서(100)는 수압 감지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GPS좌표값 또는 특정 주파수가 발생되는 압력센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수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압력값은 압력값 발생부(130)에서 발생되어 도 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송신부(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유,무선으로 전달되어지도록 함으로서, 관리자는 해당 위치의 관로 연결부에 1차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100)에는 GPS 좌표값 부여부(110)가 구성되거나 또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120) 및 압력값 발생부(130)가 선택적으로 구성됨으로써 송신된 수압값의 강관파이프 연결부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a는 신호 전달을 위해 누수감지센서(100)에 연결된 전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 지수 구조물은 상수도관의 시공 작업시 관 사이의 연결부위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가압링(60)의 가압력에 의해 제1관(10)과 제2관(2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관(10)의 일측에 가압링(60)과 제1,2고무링(30,40) 그리고 압착링(50)을 끼워놓은 상태에서, 제1관(10)의 단부를 제2관(20)의 확관부(21)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가압링(60)에 구비된 조임볼트(70)에 의한 조임력이 가해지도록 너트를 돌려주게 되면, 가압돌부(65)가 수밀링(85)을 가압시켜 줌으로서 틈새부위에 대한 수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확관부(21)측에서는 제1고무링(30) 및 제2고무링(40)에 의한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2고무링(40)이 제1관(10)의 외벽면과 밀착되어짐과 함께 가압링(60) 내벽면과의 밀착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되므로, 제1고무링(30)의 수밀성 저하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제2고무링(40)에 의해 2차적인 수밀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수도관 연결부에서의 누수방지효과가 극대화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고무링(30)과 제2고무링(40) 사이에 구비된 압착링(50)으로 인해 제1고무링(30)으로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압링(60)을 조여주는 가압력 전달과정에서 제1고무링(30)의 변형 내지는 손상 발생이 방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고무링(30)에 누수가 발생 되었을 때 이를 누수감지센서(100)가 감지하여 송신부(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신호가 전달 됨으로써 내부 누수가 발생된 것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때 누수위치 확인은 GPS좌표값 부여부(110)에서 부여된 값이 함께 송신되거나 또는 주파수 발생부(120)에서 특정 주파수(27khz, 33khz, 83khz, 334khz)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서 주파수 탐지장비(PL1000,SR20)를 이용하게 되면 어느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 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보수 부위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고무링(30)에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제2고무링(40)에 의해 외부 누수는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긴급단수를 하지 않고 민원 발생에 문제가 없는 적절한 시간을 선택하여 보수작업 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수가 발생되게 되면, 이를 누수감지센서(100)가 감지하여 송신부를 통해 유,무선으로 관리자에게 신호전달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관로 연결부에서 1차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1차 누수 때에는 신속한 복구를 필요로 하는 단계가 아니므로 긴급단수공사를 실시할 필요도 없으며 긴급 단수공사로 인한 민원 발생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관 연결부위에서 2중의 지수기능을 나타내게 되므로 누수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게 되며, 해당 관로 연결부 내부에서 1차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 정확하게 확인 가능하게 되며, 2차 누수발생 전에 선택적으로 복구공사 계획을 세워 복구 작업을 실시하여 상수도의 외부 누출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압착링(50)의 양측벽은 볼록곡률부(51)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곡면부(51)와 대응되는 제1고무링(30) 및 제2고무링(40)의 측벽면에는 오목곡면부(31,41)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볼록곡률부(51)의 곡률(R)은 오목곡률부(31,41)의 곡률(r)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볼록곡률부(51)에 의한 가압 작용시 오목곡률부(31,41)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 하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가압링(60)에 의한 가압력 작용시 제2고무링(40)과 압착링(50) 그리고 제1고무링(30)에 순차적으로 가압력이 전달되어지게 되며, 이때 상호간의 곡률가압면에서 압착 작용으로 인해 제1고무링(30) 및 제2고무링(40)의 상,하부 구조물과의 밀착력이 증대되어지게 된다.
즉, 압착링(50)의 볼록곡률부(51)와의 압착시 오목곡률부(31,41)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 하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하부는 제1관(10)의 외벽면과, 그리고 상부는 가압링(60) 및 확관부(21)의 내벽면과 밀착력이 극대화되어짐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고무링(30)에는 확관부(21) 내벽면의 제1고무링 안착부(22)와 대응되는 측벽면에 수압팽창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수압팽창홈(31)의 입구 양측에는 내부 수압에 의해 제1고무링 안착부(22)와 밀착이 가능하도록 팽창돌부(31a,31b)가 대칭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제1관(10)과 제2관(20) 연결부에서 누수된 물이 제1고무링(30)과 제1고무링 안착부(2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압팽창홈(31)으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이때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입구측에 형성된 팽창돌부(31a,31b)의 팽창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제1고무링 안착부(22)와의 수밀성이 극대화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압팽창홈(31) 형성부위에서 더이상의 누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누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요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고무링 안착부(61)에는 돌출턱(6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62)과 대응되는 제2고무링(40)의 측벽면에는 돌출턱(62)을 통한 수평 가압력이 전달되어 질 수 있도록 수직벽 형상을 이루는 수직턱(4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제2고무링 안착부(61)의 경사면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과 돌출턱(62)에 의하여 수평방향을 미는 힘이 함께 제2고무링(40)에 작용되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2고무링(40)의 수평 이동력이 증대되어 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제1고무링(30)측으로의 가압력 전달효율이 향상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밀링(85) 내부에는 다수의 보강판(86)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보강판(86)은 탄성스프링(87)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가압돌부(65)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수밀링(85) 내부에서 보강판(86)에 의해 균일하게 전달되어지게 되므로 지지링(80) 내벽면과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보강판(86) 상호 간에는 탄성스프링(87)이 연결된 구성을 이룸으로써, 탄성스프링(87)의 탄성 작용이 각 보강판(86)에 전달되어짐으로써 효과적인 누수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상수도관용 누수감지 시스템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 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제1관 20 : 제2관
21 : 확관부 22 : 제1고무링 안착부
30 : 제1고무링 40 : 제2고무링
41 : 수직턱 50 : 압착링
60 : 가압링 61 : 제2고무링 안착부
62 : 돌출턱 70 : 조임볼트
80 : 지지링 85 : 수밀링
90 : 패킹재 100 : 누수감지센서
110 : GPS 좌표값 부여부 120 : 주파수발생부
130 : 압력값 발생부 200: 현장점검부(송신부)

Claims (10)

  1. 제1관(1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제2관(20)의 단부에는 확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21) 내주면에는 제1고무링(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1고무링 안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10) 외측에는 제1고무링(3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링(60)이 끼워져 구성되고;
    상기 가압링(60)에는 조임볼트(70)가 체결되며;
    상기 조임볼트(70)의 단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21)의 외주면에는 지지링(80)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링(80)과 가압링(60) 사이에는 수밀성 향상을 위한 수밀링(85)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링(60)에는 제1고무링(30)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2고무링(40)이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제2고무링 안착부(6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무링(30)과 제2고무링(40) 사이에는 압착력 전달을 위한 압착링(50)이 끼워져 구성되며;
    상기 가압링(60) 중단부에는 제1고무링(30) 에서의 누수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센서(100)가 구성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100)에서의 감지신호는 송신부(2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유,무선으로 전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100)는 GPS좌표값이 입, 출력이 가능한 압력센서 또는 특정주파수가 발생되는 압력센서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센서(100)에는 현재 위치의 GPS 좌표값을 부여하는 GPS 좌표값 부여부(110)와,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발생부(120) 및 압력값을 발생시키는 압력값 발생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발생부(120)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서 송신부(200)에 의해 관리자에게 송신되어 강관파이프 연결부 위치를 관리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50)의 양측벽은 볼록곡률부(51)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곡률부(51)와 대응되는 제1고무링(30) 및 제2고무링(40)의 측벽면에는 오목곡면부(31,41)가 형성되되, 상기 볼록곡률부(51)의 곡률(R)은 오목곡률부(31,41)의 곡률(r)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무링(30)에는 확관부(21) 내벽면의 제1고무링 안착부(22)와 대응되는 측벽면에 수압팽창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수압팽창홈(31)의 입구 양측에는 내부 수압에 의해 제1고무링 안착부(22)와 밀착이 가능하도록 팽창돌부(31a,31b)가 대칭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무링 안착부(61)에는 돌출턱(6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62)과 대응되는 제2고무링(40)의 측벽면에는 돌출턱(62)을 통한 수평 가압력이 전달되어 질 수 있도록 수직벽 형상을 이루는 수직턱(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밀링(85) 내부에는 다수의 보강판(86)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보강판(86)은 탄성스프링(87)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21)의 단부에는 수밀링(85)을 지지하기 위한 수밀링 지지부(23)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의 누수감지 시스템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이프.

KR1020160047214A 2016-04-18 2016-04-18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KR10183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214A KR101836450B1 (ko) 2016-04-18 2016-04-18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214A KR101836450B1 (ko) 2016-04-18 2016-04-18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57A KR20170119257A (ko) 2017-10-26
KR101836450B1 true KR101836450B1 (ko) 2018-04-19

Family

ID=603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214A KR101836450B1 (ko) 2016-04-18 2016-04-18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0315B (zh) * 2018-07-05 2024-05-14 襄阳群龙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线束气密性能的检测仪器的检测方法
CN112378588B (zh) * 2021-01-13 2021-08-10 胡佳威 一种可防振缓冲的合成橡胶制品气密性旋转检测台
KR102599517B1 (ko) 2023-09-06 2023-11-07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배관 시스템 및 배관 시스템의 누수 검지 방법
KR102599535B1 (ko) 2023-09-06 2023-11-07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배관 시스템 및 배관 조인트의 누수 검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90B1 (ko) 2010-03-09 2010-10-26 민승관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JP2010281359A (ja) 2009-06-03 2010-12-16 Bridgestone Corp 管継手
KR101673451B1 (ko) 2015-07-14 2016-11-07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상수도관용 이중 지수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1359A (ja) 2009-06-03 2010-12-16 Bridgestone Corp 管継手
KR100989990B1 (ko) 2010-03-09 2010-10-26 민승관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101673451B1 (ko) 2015-07-14 2016-11-07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상수도관용 이중 지수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57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50B1 (ko)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KR101895441B1 (ko) 이중지수 주철관 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주철관파이프
US8261596B2 (en) Seal assembly with leak monitoring
JP2018537638A (ja) センサを備えた管継手
KR101855162B1 (ko) 외압을 이용하여 실시간 수밀성 점검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누수감지 점검방법
KR101535286B1 (ko)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615146B1 (ko)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JP4948081B2 (ja) 水圧試験装置
KR20140015935A (ko) 배관 연결부 누설검사장치
KR20160120459A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CA3169109A1 (en) In line inspection strai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 line joint inspections
US7118137B2 (en) Testable pipe joint
CN103912017A (zh) 一种用于沉管隧道的纠偏方法
KR101676347B1 (ko)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KR102313208B1 (ko)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20160106927A (ko) 플랜지 연결부의 누설압력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8237B1 (ko) 에어컨용 압력계 고정장치
KR20150114192A (ko) 고무확장조인트에 대한 내압성능 시험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948082B2 (ja) 水圧試験装置
EA006924B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испытания иллюминаторов
KR20160085117A (ko) 상수도관의 누수검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212158969U (zh) 一种液压防喷器内漏检测装置
KR101923498B1 (ko) 지하 배관망 위치 확인시스템과 지하 배관망 위치 확인방법
CN213452908U (zh) 建筑供排水管道自主探测设备
KR102394363B1 (ko) 비금속관 이음부의 내진성능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