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39B1 -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39B1
KR101836439B1 KR1020170111868A KR20170111868A KR101836439B1 KR 101836439 B1 KR101836439 B1 KR 101836439B1 KR 1020170111868 A KR1020170111868 A KR 1020170111868A KR 20170111868 A KR20170111868 A KR 20170111868A KR 101836439 B1 KR101836439 B1 KR 10183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data
demand load
load
algori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다
Priority to KR102017011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H02J2003/0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04S10/5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요 부하 데이터와 수요 부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정확도 높은 수요부하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피크 추정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시간대별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력 수용가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도입 시 더욱 효과적인 충방전 제어를 통해 경제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최적의 전력 수급을 제공하며, 전력 요금을 절감하는데 있다.
일례로, 전력 수용가를 대상으로 최근 일정 기간 내의 수요부하 데이터, 기후 데이터, 및 시간 및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부하에 대한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기반으로 수요부하 피크치를 추정하는 데이터 추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추정된 수요부하 피크치에 대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시간대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미리 설정된 수요부하 기준범위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비교를 수행하고,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생성하는 알고리즘 생성부; 및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추정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충방전 추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ESS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SYSTEM FOR PREDIC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LGORITHM OF ENERGY STORAGE SYSTEM INSTALLED POWER CONSUMER}
본 발명은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산업의 발달과 국가 제도적인 변화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이 늘어나고 에너지 체계가 분산화되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도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형 발전소 또는 관공서뿐만 아니라 상업시설 및 가정에도 에너지 저장 장치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등 에너지 가격체계의 변화로 인해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발전원이 발전한 전력을 단순히 저장하여 그 전력을 사용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전력 수급을 안정화하고 전력 피크 수요와 시간대별 수요를 조절함으로써 수요절감과 전력 요금 절감을 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도입하는 경우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도입한 소규모 분산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제어 및 예측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여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제어 및 예측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수요부하데이터 분석과 요금체계를 융합한 효과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 및 예측 기술은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9046호(공개일자: 2017년06월20일) 등록특허공보 제10-1639402호(등록일자: 2016년07월0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근 몇 년간의 수요 부하 데이터와 수요 부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정확도 높은 수요부하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피크 추정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시간대별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력 수용가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도입 시 더욱 효과적인 충방전 제어를 통해 경제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최적의 전력 수급을 제공하며,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은, 상기 전력 수용가를 대상으로 최근 일정 기간 내의 수요부하 데이터, 기후 데이터, 및 시간 및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부하에 대한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기반으로 수요부하 피크치를 추정하는 데이터 추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추정된 수요부하 피크치에 대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시간대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미리 설정된 수요부하 기준범위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비교를 수행하고,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생성하는 알고리즘 생성부; 및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추정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충방전 추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ESS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요부하 데이터는 전력 수요량을 포함하고, 상기 기후 데이터는 온도 값, 일사량 및 습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및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는, 주간 또는 야간 전력 수요량, 주말 또는 주중 전력 수요량, 주말을 제외한 휴일 전력 수요량, 및 겨울/봄 및 가을/여름철 전력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정부는, 일정시간간격으로 추출된 n개의 수요부하 데이터에 대한 벡터를 Y, n개의 상기 기후 데이터 및 상기 시간과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에 대한 벡터를 X, 독립변수의 영향계수에 대한 벡터를 β, 잔차항에 대한 벡터를 εi라고 할 때,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1
,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2
,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3
,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4
,
하기의 수식에 따른 다중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5
상기 yi는 상기 수요부하 예측치를 의미하고, 상기 x1은 상기 수요부하 데이터로서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2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온도 값을 의미하고, 상기 x3은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일사량을 의미하고, 상기 x4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습도 값을 의미하고, 상기 x5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간 또는 야간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6은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 또는 주중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7은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을 제외한 휴일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8-10은 상기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겨울/봄 및 가을/여름철 전력 수요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시간대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상기 수요부하 기준치에 따라 분류하는 수요부하 분류부; 상기 수요부하 분류부를 통해 각각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를 비교하는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 및 상기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를 통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ESS의 방전량이 증감되도록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구현하되,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또는 가격 수요 반응 체계에 따른 시간대로 이동하도록 구현하는 알고리즘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에 따른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산출하는 전력감축예정용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감축예정용량 산출부는, 상기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의 충방전 알고리즘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의 수요 부하 데이터와 수요 부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정확도 높은 수요부하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피크 추정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시간대별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력 수용가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도입 시 더욱 효과적인 충방전 제어를 통해 경제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최적의 전력 수급을 제공하며,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회귀분석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ESS 충방전 제어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회귀분석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 생성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100)은,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예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수집부(110), 데이터 추정부(120), 데이터 설정부(130), 전력감축용량 산출부(140), 알고리즘 생성부(150) 및 데이터 생성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대형 발전소, 관공서, 상업시설, 가정 등을 포함하는 전력 수용가를 각각 대상으로 하여, 최근 일정 기간 내의 수요부하 데이터, 기후 데이터, 및 시간 및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후술하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의 변수로서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 일정 기간은 최근 3년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해당 기간을 상황에 따라 1년 단위로 변경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최근 1~3년 간 수요부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요부하 데이터는 최근 1~3년 간 전력 수요량을 포함하고, 기후 데이터는 최근 1~3년 간 온도 값, 일사량 및 습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요부하 데이터와 기후 데이터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시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간 및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는, 시간 별/계절별 전력 소비자의 전력 소비 행동에 대한 패턴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간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와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 구분되며, 이 중 시간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는 최근 1~3년 간 주간 또는 야간 전력 수요량 및 주말 또는 주중 전력 수요량, 주말을 제외한 휴일 전력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는 겨울/봄 및 가을/여름철 전력 수요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과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시, 더미변수(dummy variable)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추정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통해 미래 수요부하에 대한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기반으로 수요부하 피크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추정부(120)를 통해 수요부하 예측치 또는 예측값을 추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에서 일정시간간격(예를 들어 15분 간격)으로 추출된 n개의 수요부하 데이터(전력 수요량)에 대한 벡터를 Y라고 했을 때 벡터 Y는 하기의 수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6
...(1)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에서 n개의 기후 데이터 및 상기 시간과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에 대한 벡터를 X라고 했을 때 벡터 X는 하기의 수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7
...(2)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에서 독립변수의 영향계수의 벡터를 β라고 했을 때, 벡터 β는 하기의 수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8
...(3)
또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에서 잔차항 벡터를 εi라고 할 때, 벡터 εi는 하기의 수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09
...(4)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에 대한 전체 모델은 하기의 수식 (5)와 같이 간략히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0
...(5)
상기의 수식 (5)를 상기의 수식 (1) 내지 (4)에 따라 벡터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1
...(6)
여기서, β 값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수식 (7)를 최소화해야 한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2
...(7)
이에 따라, β 값의 추정치인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3
은 하기의 수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4
...(8)
상기와 같은 수식들을 적용한 최종적인 다중회귀분석모델은 하기의 수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150618-pat00015
...(9)
상기 수학식 (9)에서, yi는 상기 수요부하 예측치를 의미하고, x1은 상기 수요부하 데이터로서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x2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온도 값을 의미하고, x3은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일사량을 의미하고, x4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습도 값을 의미하고, x5는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간 또는 야간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x6은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 또는 주중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x7은 상기 시간대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을 제외한 휴일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x8-10은 상기 계절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겨울/봄 및 가을/여름철 전력 수요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추정부(120)는 수식 (9)에 따른 다중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여 수요부하 예측치(yi)를 시간대별로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yi)를 기반으로 수요부하 피크치 또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설정부(130)는 데이터 추정부(120)를 통해 추정된 수요부하 피크치에 대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는 추정된 수요부하 피크치가 일정비율로 감축되도록 설정되거나,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또는 가격 수요 반응 체계에 따라 감축할 적정치를 산출한 후 해당 적정치만큼 감축된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력감축용량 산출부(140)는, 데이터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에 따른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알고리즘 생성부(150)의 충방전 알고리즘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감축예정용량은 수요부하 피크치와 수요부하 목표치 간의 차이에 대한 전력량으로서 예상되는 피크치에서 목표치까지 감축할 때 얼마의 전력량이 감축되는지를 의미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150)는, 데이터 추정부(120)를 통해 시간대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미리 설정된 수요부하 기준범위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데이터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비교를 수행하며,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 생성부(150)는 수요부하 분류부(151),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152) 및 알고리즘 구현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부하 분류부(151)는 데이터 추정부(120)를 통해 시간대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미리 설정된 수요부하 기준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부하 분류부(151)는 수요부하 예측치를 수요부하 기준치에 따라 경부하와 중대부하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152)는 수요부하 분류부(151)를 통해 각각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데이터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152)는 수요부하 분류부(151)를 통해 경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데이터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제1 대소 비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대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데이터 설정부(130)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제2 대소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수요부하 예측치와 목표치 간은 대소 비교는 시간대별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 구현부(153)는,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152)를 통한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수요부하 예측치의 수요부하 피크치가 감축되도록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 구현부(1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큰 경우 경부하치를 기준으로ESS의 방전량을 증가되시키는 방향으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고, 경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경부하치를 기준으로 ESS의 방전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중대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큰 경우 해당 중대부하치를 기준으로 ESS의 방전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중대하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큰 경우 해당 중대하치를 기준으로 ESS의 방전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알고리즘 구현부(154)는 각각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크면 ESS의 방전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수요부하 예측치가 목표치보다 작으면 ESS의 방전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충방전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알고리즘 구현부(154)는, 상기와 같이 충방전 알고리즘을 구현하되,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Time of Use) 또는 가격 수요 반응 체계(Pricing Demand Response)에 따른 시간대로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에서 피크치 자체를 감축(Peak Cut)시키거나 비교적 전력 사용량이 낮은 즉 전기 사용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간대로 이동(Peak Shifting)할 수 있도록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조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160)는 알고리즘 생성부(150)를 통해 생성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ESS의 충방전 추정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충방전 추정치를 기반으로 ESS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ESS에 적용시켜 충방전 제어 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10)는 에너지 발전원(11), 발전기(12), 직류 전력 분배기(13) 및 저장 장치(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전원(11)은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너지를 발전기(12)를 통해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직류 전력 분배기(13)는 에너지 발전원(11)로부터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 받아 저장 장치(14)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지령이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100)을 통해 설정된 제어 데이터를 반영하여 저장 장치(14)에 저장된 에너지를 발전기(12)를 통해 전력 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ESS 충방전 제어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ESS 충방전 제어 회로부(200)는 충전 제어 회로부(210)와 방전 제어 회로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SS 충방전 제어 회로부(200)는,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100)을 통해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충전 제어 회로부(210)와 방전 제어 회로부(220)에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ESS(10)가 최적의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지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충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요 부하 데이터뿐만 아니라 수요부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한 수요부하 데이터의 추정을 통해 피크(Peak)가 나타나는 시점과 피크부하 값을 예측함으로써 추후 피크 감축(Peak Cut) 및 피크 이동(Peak Shifting)에 대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ESS의 전체적인 충방전 시나리오를 예측함으로써, 전력 수용가가 적용하고 있는 시간별 차등 요금제(Time of Use) 혹은 가격 수요 반응(Pricing demand response) 체계에 따라 최적의 전력 에너지 차익거래(Energy Arbitrage)를 하여 ESS를 설치한 전력 수용가들의 경제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110: 데이터 수집부
120: 데이터 추정부
130: 데이터 설정부
140: 전력감축용량 산출부
150: 알고리즘 생성부
151: 수요부하 분류부
152: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
153: 알고리즘 구현부
160: 데이터 생성부
200: ESS 충방전 제어 회로부
210: 충전 제어 회로부
210: 방전 제어 회로부
10: ESS
11: 에너지 발전원
12: 발전기
13: 직류 전력 분배기
14: 저장 장치

Claims (5)

  1.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전력 수용가를 대상으로 최근 일정 기간 내의 수요부하 데이터, 기후 데이터, 시간대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 및 계절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일정시간간격으로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미래 수요부하에 대한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기반으로 수요부하 피크치를 추정하는 데이터 추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추정된 수요부하 피크치에 대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시간대 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미리 설정된 수요부하 기준범위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의 대소비교를 수행하고,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생성하는 알고리즘 생성부; 및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충방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ESS의 충방전 추정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충방전 추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ESS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추정부는,
    분 단위의 일정시간간격으로 추출된 n개의 수요부하 데이터에 대한 벡터를 Y, 분 단위의 일정시간간격으로 추출된 n개의 상기 기후 데이터, 상기 시간대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 및 상기 계절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에 대한 벡터를 X,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내는 회귀계수에 대한 벡터를 β, 잔차항에 대한 벡터를 εε라고 할 때,
    Figure 112017125035413-pat00027
    ,
    Figure 112017125035413-pat00028
    ,
    Figure 112017125035413-pat00029
    ,
    Figure 112017125035413-pat00030

    하기의 수식에 따른 다중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수요부하 예측치를 추정하고,
    Figure 112017125035413-pat00031

    상기 yi는 분 단위의 일정시간간격의 전력수요부하에 대한 순시치인 상기 수요부하 예측치를 의미하고, 상기 x1은 상기 수요부하 데이터로서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2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온도 값을 의미하고, 상기 x3은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일사량을 의미하고, 상기 x4는 상기 기후 데이터로서 습도 값을 의미하고, 상기 x5는 상기 시간대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간 또는 야간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6은 상기 시간대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 또는 주중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7은 상기 시간대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주말을 제외한 휴일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x8-10은 상기 계절 별 전력소비패턴 데이터로서 겨울/봄 및 가을/여름철 전력 수요량을 의미하고,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추정부를 통해 시간대 별로 추정된 수요부하 예측치를 경부하에 해당하는 제1 수요부하범위와 중부하 또는 최대부하에 해당하는 제2 수요부하범위를 포함하는 수요부하 기준범위에 따라 분류하는 수요부하 분류부;
    상기 수요부하 분류부를 통해 각각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와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 간을 대소 비교하는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 및
    상기 수요부하 대소 비교부를 통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ESS의 방전량이 증감되도록 충방전 알고리즘을 각각 구현하되, 시간대 별 차등 요금제 또는 가격 수요 반응 체계에 따른 시간대로 이동하여 전력 요금 절감액이 최대가 되도록 구현하는 알고리즘 구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대 별 차등 요금제는, 경부하 시간대, 중부하 시간대 및 최대부하 시간대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이 결정되는 전기 요금제를 의미하고,
    상기 가격 수요 반응 체계는 전기사용자가 전기를 절약한 만큼 전력시장에 판매하여 금전적으로 보상받는 요금 제도를 의미하고,
    상기 알고리즘 구현부는,
    상기 제1 수요부하 기준범위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경부하치를 기준으로 상기 ESS의 방전량을 증가시키는 상기 ESS에 대한 제1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수요부하 기준범위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보다 작은 경우 미리 설정된 경부하치를 기준으로 상기 ESS의 방전량을 감소시키는 상기 ESS에 대한 제2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수요부하 기준범위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중부하 또는 최대부하치를 기준으로 상기 ESS의 방전량을 증가시키는 상기 ESS에 대한 제3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수요부하 기준범위으로 분류된 수요부하 예측치가 수요부하감축 목표치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중부하 또는 최대부하치를 기준으로 상기 ESS의 방전량을 감소시키는 상기 ESS에 대한 제4 충방전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수요부하감축 목표치에 따른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산출하는 전력감축예정용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감축예정용량 산출부는,
    상기 전력감축예정용량을 상기 알고리즘 생성부의 충방전 알고리즘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KR1020170111868A 2017-09-01 2017-09-01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KR10183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68A KR101836439B1 (ko) 2017-09-01 2017-09-01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68A KR101836439B1 (ko) 2017-09-01 2017-09-01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439B1 true KR101836439B1 (ko) 2018-03-09

Family

ID=6172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68A KR101836439B1 (ko) 2017-09-01 2017-09-01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4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51B1 (ko) * 2020-01-16 2020-07-27 주식회사 텔다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에너지 에이전트를 활용한 전력거래시스템 및 방법
KR102164212B1 (ko) * 2020-03-20 2020-10-12 주식회사 시너지 Ess 충방전 스케쥴 관리장치
CN112132638A (zh) * 2020-10-22 2020-12-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上网定价系统及方法
KR20210080020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기 전력 소비량을 이용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전력 충·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4020112A (zh) * 2021-10-27 2022-02-08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计量中心) 一种基于激励型的主要行业电力需求侧响应潜力评估方法
KR20220040698A (ko) * 2020-09-24 2022-03-3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저장장치 충방전 스케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4010131A1 (ko) * 2022-07-06 2024-01-1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디지털트윈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495B1 (ko) * 2012-12-14 2014-02-20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전력사용량 예측기술을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495B1 (ko) * 2012-12-14 2014-02-20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전력사용량 예측기술을 활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0020A (ko) * 2019-12-20 2021-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기 전력 소비량을 이용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전력 충·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85496B1 (ko) * 2019-12-20 2023-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기 전력 소비량을 이용해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전력 충·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37751B1 (ko) * 2020-01-16 2020-07-27 주식회사 텔다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에너지 에이전트를 활용한 전력거래시스템 및 방법
KR102164212B1 (ko) * 2020-03-20 2020-10-12 주식회사 시너지 Ess 충방전 스케쥴 관리장치
WO2021187739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시너지 Ess 충방전 스케쥴 관리장치
KR20220040698A (ko) * 2020-09-24 2022-03-3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저장장치 충방전 스케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85041B1 (ko) 2020-09-24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저장장치 충방전 스케쥴링 시스템 및 방법
CN112132638A (zh) * 2020-10-22 2020-12-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上网定价系统及方法
CN112132638B (zh) * 2020-10-22 2024-04-09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上网定价系统及方法
CN114020112A (zh) * 2021-10-27 2022-02-08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计量中心) 一种基于激励型的主要行业电力需求侧响应潜力评估方法
CN114020112B (zh) * 2021-10-27 2024-04-16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营销服务中心(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计量中心) 一种基于激励型的主要行业电力需求侧响应潜力评估方法
WO2024010131A1 (ko) * 2022-07-06 2024-01-1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디지털트윈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39B1 (ko) 전력 수용가에 설치된 ess의 충방전 알고리즘 예측 시스템
Hanna et al. Energy dispatch schedule optimization for demand charge reduction using a photovoltaic-battery storage system with solar forecasting
US11502534B2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with battery state-of-charge estimation
US8571720B2 (en) Supply-demand balance controller
US9153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management
Zargar et al. Development of a markov-chain-based solar generation model for smart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
Rigo-Mariani et al. Integrated optimal design of a smart microgrid with storage
Bennett et al. Development of a three-phase battery energy storage scheduling and operation system for low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US10530181B2 (en) Optimal distributed energy resource management system
Jamal et al. An energy flow simulation tool for incorporating short-term PV forecasting in a diesel-PV-battery off-grid power supply system
Zhang et al. The performance of a grid-tied microgrid with hydrogen storage and a hydrogen fuel cell stack
JP6543145B2 (ja) ピーク電力予測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ピーク電力予測方法
KR101597993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639402B1 (ko) 전력 수요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90105173A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가상 발전소
KR20140075614A (ko) 지능형 에너지 소비 지침 생성 방법
El-Baz et al. Impact of probabilistic small-scale photovoltaic generation forecast on energy management systems
Tahir et al. Optimal ESS size calculation for ramp rate control of grid-connected microgrid based on the selection of accurate representative days
Ye et al. Model-free real-time autonomous energy management for a residential multi-carrier energy system: 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
CN112311078B (zh) 一种基于信息融合的太阳能负载调节方法和装置
Azuatalam et al. Techno-economic Analysis of Residential PV-battery Self-consumption
Nam et al. Optimization mechanism of energy cluster for zero energy town
TW201727559A (zh) 再生能源電廠的管理方法與系統
Goto et al. Operation design of PV system with storage battery by using next-day residential load forecast
KR102284303B1 (ko) 이종 분산 자원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지능형 운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