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374B1 -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 Google Patents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374B1
KR101836374B1 KR1020140165343A KR20140165343A KR101836374B1 KR 101836374 B1 KR101836374 B1 KR 101836374B1 KR 1020140165343 A KR1020140165343 A KR 1020140165343A KR 20140165343 A KR20140165343 A KR 20140165343A KR 101836374 B1 KR101836374 B1 KR 10183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smart glasses
unit
displayed
loc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799A (ko
Inventor
이재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4016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3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은, 좌, 우안 가시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와,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센서부와, 스마트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스마트 안경의 가시부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잠금모드로부터 잠금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때에,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중심 기준영역과 함께 상기 기준영역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방향표시부가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방향표시부는 복수 개 형성되되, 각 방향표시부에는 숫자가 표시되며, 미리 지정된 위치로부터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기울이는 경우, 안경이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 안경을 제어하기 위해 안경 착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 버튼들을 조작할 필요 없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취해지는 동작을 인식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안경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생성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안경의 구성 및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보다 컴팩트한 외관의 스마트 안경 제조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OF IMPROVED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 없이 스마트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취해지는 동작을 인식하여 스마트 안경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 PDA,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수단이 개발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신속한 업무 수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존 휴대폰의 경우 구동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이 애초 제조사에 의해 저장 설치된 상태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단순히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등의 수동적인 작업만이 가능한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에 의해 기존 휴대폰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보여주는 증강현실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증간현실은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과 연동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실제 외부 영상에 가상의 영상을 혼합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경을 스마트 안경이라 하며 최근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안경 역시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개인에 관련된 정보들이 메모리부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스마트 안경의 경우 안경의 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의 폭이 좁아, 안경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 입력 버튼들을 프레임에 설치하기에 다소 부적합하다.
더욱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착용자가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조작 버튼을 직접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손으로 조작 버튼을 누르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가 직접 조작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서도, 안경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안경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7742 호(발명의 명칭: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안경을 제어하기 위해 안경 착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 버튼들을 조작할 필요 없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취해지는 동작을 인식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의 제어를 위한 제어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안경 내에 포함되는 제어버튼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성 및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은, 좌, 우안 가시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와,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센서부와, 스마트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스마트 안경의 가시부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잠금모드로부터 잠금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때에,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중심 기준영역과 함께 상기 기준영역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방향표시부가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방향표시부는 복수 개 형성되되, 각 방향표시부에는 숫자가 표시되며, 미리 지정된 위치로부터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기울이는 경우, 안경이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인식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경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향표시부의 색깔이 변경되도록 제어된다.
또는, 안경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향표시부에 표시된 숫자가 상기 기준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스마트 안경을 제어하기 위해 안경 착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 버튼들을 조작할 필요 없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취해지는 동작을 인식하여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안경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생성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경의 구성 및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보다 컴팩트한 외관의 스마트 안경 제조가 가능해진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3 은 상기 스마트 안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 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구성 블럭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은, 좌, 우안 가시부(10, 12)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가 결합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3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40)와, 전원공급부(6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부(32)를 포함하며,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센서부(70)와, 스마트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스마트 안경의 가시부(10, 12)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잠금모드로부터 잠금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때에,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중심 기준영역(2)과 함께 상기 기준영역(2)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방향표시부(4)가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방향표시부(4)는 복수 개 형성되되, 각 방향표시부(4)에는 숫자가 표시되며, 미리 지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기울이는 경우, 안경이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방향표시부(4)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수단의 확장적 기능을 위한 각종의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기존 일반 이동통신수단에서 가능하던 수동적 작업들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안경은 통신부(40)를 통해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독자적으로 와이파이 통신망에 접속되어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40)는 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 예를 들어, 알에프 통신신호 또는 블루투스(BT) 통신신호 등을 수신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80)로 전달하거나 외부의 통신서버와 3G 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마트 안경은 스마트폰 또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좌, 우안 가사부(10, 12)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0)에 한 쌍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2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부(60)가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안경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스위치(32)를 온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스마트안경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60)부는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많은 양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안경다리부(30)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스위치(32)는 상기 프레임부(20) 또는 안경다리부에 버튼의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통신부(4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안경다리부(20)에는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50)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50)는 마이크로 액정과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액정을 통해 표현되는 영상을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로 조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시야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를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좌, 우안디스플레이부(10, 12)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동시에 실제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20) 또는 안경다리부(30)에는 안경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센서부(70)가 설치된다.
상기 동작인식센서부(70)는 가속도 센서, 자기장 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또는 이외의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여러 센서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보다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20)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스마트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얼굴을 움직일 경우, 상기 동작인식센서부(70)를 통해 이러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은 안경의 미사용 상태가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유지될 경우,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잠금모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32) 또는 별도의 화면잠금 해제 스위치를 누를 경우, 상기 좌, 우안 가시부(10, 12)에 도 4 와 같은 화면 잠금 해제 모드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화면잠금 해제 모드 화면에는 중심부의 기준영역(2)과 상기 기준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표시되는 방향표시부(4)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표시부(4)에는 식별을 위한 숫자가 표시되며, 상기 기준영역(2)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화면 잠금 해제 모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스마트 안경 착용자가 고개를 상기 방향표시부 중의 어느 하나의 숫자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그 방향에 배치된 방향표시부 숫자가 선택된다.
이때, 상기 기준영역(2)에 표시된 원형을 안경 착용자에 의해 안경이 움직여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을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택된 숫자 부분은 선택되기 이전과는 다른 색깔로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따라서 스마트 안경 착용자는 본인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선택한 숫자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숫자 부분의 색깔을 변경함과 함께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영역(2)에 선택된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면잠금 해제를 위해 스마트 안경 사용자가 미리 입력 저장한 복수 개의 숫자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선택된 복수 개의 숫자들이 미리 입력 저장된 숫자들과 일치되는 경우에 화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리 입력 저장된 숫자들은 스마트 안경의 화면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설정 저장한 임의 개수의 숫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개 또는 4 의 숫자들로 설정 저장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마트 안경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무단으로 안경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화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 스마트 안경 착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 버튼들을 조작할 필요 없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화면 잠금 모드 해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화면 잠금모드 해제 신호를 위한 버튼들을 상기 프레임부(20) 또는 안경다리부(30)에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체 안경의 구성 및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보다 컴팩트한 외관의 스마트 안경 제조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12: 좌, 우안 가시부
20: 프레임부
30: 안경다리부
40: 통신부
50: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
60: 전원공급부
70: 동작인식센서부
80: 제어부

Claims (4)

  1. 좌, 우안 가시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단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부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전원공급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헤드마운티드디스플레이부와;
    안경 착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센서부와;
    스마트 안경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스마트 안경의 가시부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잠금모드로부터 잠금모드를 해제하고자 하는 때에,
    상기 좌, 우안 가시부에 중심부의 기준영역과 함께 상기 기준영역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방향표시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방향표시부는 복수 개 형성되되, 각 방향표시부에는 숫자가 표시되며,
    미리 지정된 위치로부터 안경 착용자가 안경을 기울이는 경우, 안경이 기울어진 방향에 배치되는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안경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향표시부의 색깔이 변경되도록 제어되되,
    안경의 기울어짐에 의해 상기 방향표시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방향표시부에 표시된 숫자가 상기 기준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되며,
    안경 기울어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숫자들이 상기 스마트 안경 사용자가 화면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입력 저장한 복수 개의 숫자들과 일치하는 경우 화면 잠금 모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5343A 2014-11-25 2014-11-25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KR10183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43A KR101836374B1 (ko) 2014-11-25 2014-11-25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43A KR101836374B1 (ko) 2014-11-25 2014-11-25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99A KR20160062799A (ko) 2016-06-03
KR101836374B1 true KR101836374B1 (ko) 2018-03-12

Family

ID=5619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343A KR101836374B1 (ko) 2014-11-25 2014-11-25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7302A (zh) * 2020-08-21 202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及其交互方法和交互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910A (ja) * 2012-02-17 2013-08-29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制御プログラム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JP2014078814A (ja) * 2012-10-10 2014-05-01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910A (ja) * 2012-02-17 2013-08-29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制御プログラム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JP2014078814A (ja) * 2012-10-10 2014-05-01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99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4226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1638157B1 (ko) 디스플레이부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시스루 스마트안경
JP201810101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500867B2 (en) Head-tracking based selection technique for head mounted displays (HMD)
US20180246334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949055B2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CN108508603A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20151761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7182228A (ja) 入力装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9114049A (ja) 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62182A (ko) 큐알 코드를 이용하는 스마트 안경
KR101836374B1 (ko) 보안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안경
KR20150034895A (ko)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루 스마트 안경
JP2018055416A (ja) 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125918A (zh) 一种虚拟现实装置和虚拟现实分享系统
JP699611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40097742A (ko)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KR20160062971A (ko) 핸즈프리 유저인터페이스를 갖는 스마트 안경
JP693291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0502115A (zh) 交互方法、头戴设备和存储介质
CN205750130U (zh) 一种虚拟现实装置和虚拟现实眼镜盒子
KR20150062303A (ko) 카메라 영상 정합 기능을 갖는 시스루 스마트 안경
JP2018101293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バイスに仮想空間を提供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によって実行される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2017182460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160093777A (ko) 프로젝터부 연동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