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981B1 -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981B1
KR101835981B1 KR1020160080551A KR20160080551A KR101835981B1 KR 101835981 B1 KR101835981 B1 KR 101835981B1 KR 1020160080551 A KR1020160080551 A KR 1020160080551A KR 20160080551 A KR20160080551 A KR 20160080551A KR 101835981 B1 KR101835981 B1 KR 10183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ssword
input
electronic devic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49A (ko
Inventor
이석찬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08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81B1/ko
Priority to JP2017122146A priority patent/JP6955378B2/ja
Priority to US15/630,125 priority patent/US20170372087A1/en
Publication of KR2018000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8Usage controlling of secret information, e.g. techniques for restricting cryptographic keys to pre-authorized uses, different access levels, validity of crypto-period, different key- or password length, or different strong and weak cryptographi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007Encryption, En-/decode, En-/decipher, En-/decypher, Scramble, (De-)compress
    • G06F2211/008Public Key, Asymmetric Key, Asymmetric Encry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ATA MANAGEMENT}
아래의 설명은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사용 권한을 확인하거나, 전자 기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권한을 확인하거나 또는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366120호는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밀번호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패턴을 비밀번호로 이용하는 비밀번호 설정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비밀번호는 숫자, 문자, 특수기호,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전자 기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외부의 강압에 의해 비밀번호를 말할 수 밖에 없는 강압적인 상황 등에서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강압에 의한 데이터의 유출에 따라 더 큰 피해가 유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해당 데이터를 삭제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혹은 강압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데이터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참고자료: <PCT/KR/2014/010167, US20140019540A1, US20130332543A1, US20130260893>
전자 기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와 함께, 보호하고자 하는 특정 데이터의 삭제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제2 비밀번호의 입력 시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비밀번호를 말할 수 밖에 없는 강압적인 상황에서도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전자 기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와 함께, 보호하고자 하는 특정 데이터의 삭제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제2 비밀번호의 입력 시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비밀번호를 말할 수 밖에 없는 강압적인 상황에서도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과값의 백업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 및 비밀키 쌍을 이용하여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를 삭제하여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의 백업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 및 비밀키 쌍을 이용하여 키를 암호화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화면과 가상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비밀번호를 활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관리 방법은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로의 접근이나, 전자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 또는 전자 기기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숫자, 문자, 특수기호,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는 설정된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는 경우에만 전자 기기의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전자 기기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는 설정된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는 경우에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기기는 설정된 비밀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된 경우에만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는 전자 기기나,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와 함께, 다른 용도를 위한 제2 비밀번호가 더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로의 접근을 위해 설정된 제1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해당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됨으로써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로의 접근은 허용되기 때문에 전자 기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는 있지만, 해당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또는 해당 데이터로의 접근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을 위해 설정된 제1 비밀번호를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해당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이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은 허용되지만, 데이터 자체가 삭제되거나 접근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가 보호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로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막아 데이터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는 특정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상기 특정 키를 삭제함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로의 접근이 차단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그리고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영구 저장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100)는 프로세서(110), 버스(120), 메모리(130), 통신 모듈(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30) 또는 통신 모듈(140)에 의해, 그리고 버스(120)를 통해 프로세서(13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스(120)는 전자 기기(1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1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130)와 분리되어 별도의 영구 저장소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3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40)을 통해 메모리(13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30)에 로딩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전자 기기(110)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100)가 네트워크상의 다른 전자 기기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컴퓨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입출력 장치(16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장치(160)는 전자 기기(1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00)의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16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0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 기기(1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자 기기(100)의 프로세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 및 비밀번호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1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instruction)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110)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3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데이터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0 내지 34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전자 기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값(일례로, 숫자, 문자, 특수문자,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1 비밀번호로서 등록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밀번호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전자 기기(100)의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 전자 기기(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직접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와 유사하게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제2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값(일례로, 숫자, 문자, 특수문자,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2 비밀번호로서 등록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는 실행하고자 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는 특정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로의 직접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 받기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340)에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만약,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한 상태로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전자 기기(100)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410)가 저장된 전자 기기(10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4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로서 "1234"가 설정되고, 제2 비밀번호로서 "5678"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1234"인 경우에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됨에 따라 데이터(410)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5678"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410)를 삭제한 후에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 데이터(410)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되었다 하더라도 접근할 데이터(410)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410)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허용함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한 상태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함으로써,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비밀번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관리되는 데이터(510)가 저장된 전자 기기(10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전자 기기(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로서 "1234"가 설정되고, 제2 비밀번호로서 "5678"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1234"인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허용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510)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5678"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510)를 삭제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 데이터(510)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되었다 하더라도 접근할 데이터(510)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410)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특정 데이터로의 직접 접근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만약, 특정 데이터로의 직접 접근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특정 데이터(610)가 저장된 전자 기기(10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전자 기기(100)에 저장된 데이터(610)로의 접근을 위한 제1 비밀번호로서 "1234"가 설정되고, 제2 비밀번호로서 "5678"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데이터(610)에 접근하기 위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1234"인 경우에는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610)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5678"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610)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610)가 저장된 폴더가 암호화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비밀번호 "1234"가 입력됨에 따라 암호화된 폴더를 복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데이터(610)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비밀번호 "5678"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610)가 삭제된 폴더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610)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610)가 저장된 파일이 암호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비밀번호 "1234"가 입력됨에 따라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데이터(610)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비밀번호 "5678"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610)가 삭제된 빈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610)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를 삭제하는 예들을 설명하였다. 이후에서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단계(310)에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전자 기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임의의 문자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열을 이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문자열을 그대로 전자 기기(100)상에 저장하는 경우 문자열이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문자열과 제1 비밀번호를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제1 함수를 이용하여 제1 함수에 따른 연산의 결과값을 생성하여 전자 기기(100)상에 저장해둘 수 있다. 이때, 단계(330)에서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단계(340)에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1 비밀번호와 전자 기기(100)상에 저장된 상술한 결과값을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제2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함수와 제2 함수는 서로 역연산 관계를 갖는 연산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생성하거나 또는 문자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함수(A, B)는 A와 B간에 제1 연산(이해를 돕기 위한 간략한 예로, A 더하기 B의 연산)을 처리하여 결과값 C를 생성하는 함수일 수 있고, 제2 함수(C, B)는 C와 B간에 제1 연산과 역연산 관계에 있는 제2 연산(이해를 돕기 위한 간략한 예로, 더하기 연산과 역연산 관계에 있는 빼기 연산을 이용한 C 빼기 B의 연산)을 처리하여 A를 복원할 수 있는 함수일 수 있다.
이때,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복원한 문자열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문자열은 전자 기기(100)의 메모리상에서만 존재할 뿐, 별도로 전자 기기(100)에는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키로서 이용되는 문자열을 매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상에 저장된 상술한 결과값을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는 화면 잠금 기능이나 전자 기기(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은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된 결과값이 삭제됨에 따라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보호화를 위한 키인 문자열은 얻을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데이터로의 접근은 차단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 "1234"가 설정되는 경우, 임의의 문자열과 같은 키 "ABC"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ABC"를 이용하여 데이터(710)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720)만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간의 제1 연산(일례로,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함수 A)의 결과값 "XYZ"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값 "XYZ"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 + 결과값 "XYZ"](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밀번호 "1234"가 입력되면,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저장된 결과값 "XYZ"와 제1 비밀번호 "1234"간의 제2 연산(일례로, 결과값 "XYZ"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함수 B)의 결과값으로서 키 "ABC"를 복원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산과 제2 연산은 서로 역연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복원된 키 "ABC"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는 [데이터 + 결과값 "XYZ"](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를 통해 복호화된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 "1234"가 설정되는 경우, 임의의 문자열과 같은 키 "ABC"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ABC"를 이용하여 데이터(710)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720)만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간의 제1 연산(일례로,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함수 A)의 결과값 "XYZ"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값 "XYZ"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 + 결과값 "XYZ"](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제2 비밀번호 "5678"이 입력되는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저장된 결과값 "XYZ"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에는 암호화된 데이터(810)만이 남게 되며, 암호화된 데이터(810)를 복호화할 수 있는 수단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를 통한 데이터로의 접근이 차단되어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데이터의 완전한 삭제를 원하는 경우, 결과값 "XYZ"를 빠르게 삭제하여 암호화된 데이터(810)의 복호화를 막은 후, 암호화된 데이터(810)의 삭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가 이후로도 전자 기기(100)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강압적인 상황을 벗어난 후에는 암호화된 데이터(810)를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과값의 백업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결과값 "XYZ"를 삭제하면, 전자 기기(100)를 통한 데이터로의 접근이 차단되어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되나, 암호화된 데이터(810)를 복원할 수 없게 되어,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는 데이터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유실을 막기 위해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결과값 "XYZ"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생성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결과값 "XZY"를 생성하고, 생성된 "XYZ"를 저장한 후, 생성된 결과값 "XYZ"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결과값 "XYZ"를 백업해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의 설정시, 결과값 "XYZ"를 백업하기 위한 이메일 주소를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입력받고, 생성된 결과값 "XZY"를 입력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여 백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전자 기기(100)에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요청된 외부 저장 장치로 생성된 결과값 "XZY"를 전송하여 백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전자 기기(100)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연관하여 미리 설정된 서버로 생성된 결과값 "XZY"를 전송하여 백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강압적인 상황을 벗어난 후에, 백업된 결과값 "XYZ"를 다시 전자 기기(100)로 입력함에 따라 전자 기기(100)에서 결과값 "XYZ"가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제1 비밀번호 "1234"가 입력되면,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결과값 "XYZ"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이용하여 키 "ABC"를 복원할 수 있고, 암호화된 데이터(810)를 복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를 통한 데이터로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과값 "XYZ"를 삭제하지 않고도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 및 비밀키 쌍을 이용하여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 "1234"가 설정되는 경우, 임의의 문자열과 같은 키 "ABC"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ABC"를 이용하여 데이터(710)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720)만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간의 제1 연산(일례로,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파라미터로 갖는 기설정된 함수 A)의 결과값 "XYZ"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값 "XYZ"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 + 결과값 "XYZ"](7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제2 비밀번호 "5678"이 설정되는 경우,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 그리고 키 "ABC"와는 별도로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생성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생성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고, 공개키만을 전자 기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은 비밀키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전자 기기(100)와 연결되는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비밀키를 백업하고, 생성된 비밀키를 삭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생성된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 중 공개키만을 저장할 수 있고, 비밀키는 전자 기기(100)의 외부에 백업될 수 있다.
만약 제2 비밀번호 "5678"이 입력되면,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생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결과값 "XYZ"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 + 암호화된 결과값](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된 결과값을 복호화하기 위한 비밀키는 전자 기기(100)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기기(100)는 결과값 "XYZ"를 얻을 수 없고, 따라서 키 "ABC"를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없게 된다.
강압적인 상황을 벗어난 후에 사용자가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로 다운로드 받으면,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다운로드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결과값을 복호화하여 결과값 "XYZ"를 얻을 수 있고, 결과값 "XYZ"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이용하여 키 "ABC"를 얻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키 "ABC"로 복호화하여 데이터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키 "ABC"와 제1 비밀번호 "1234"를 이용하여 결과값 "XYZ"를 생성 및 활용하는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키 "ABC" 자체를 저장 및 활용할 수도 있다.
도 3의 단계(310)에서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는 제1 비밀번호의 값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제1 비밀번호의 값과는 무관하게 랜덤한 값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스트링(random string)이 상기 키로서 생성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계(340)에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앞서 생성된 키로 복호화하여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원래의 값을 복원할 수 없는 일방향 함수(일례로 해시함수)의 파라미터로 제1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연산을 처리한 연산결과를 키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술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복호화될 것이고, 복호화된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한편,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술한 키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키가 삭제되었기 때문에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으며, 따라서 데이터로의 접근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를 삭제하여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데이터(1110)가 저장된 전자 기기(10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기기(100)는 제1 비밀번호 "1234"가 설정되는 경우, "1234"를 이용하여 키 "ABC"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ABC"는 생성된 키의 명칭일 뿐, 키의 값은 제1 비밀번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된 키 "ABC"는 단순히 제1 비밀번호 "1234"와 연관지어질 뿐, 제1 비밀번호의 값인 "1234"와 무관하게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 스트링(random string)이 키 "ABC"로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생성된 키 "ABC"를 이용하여 데이터(1110)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포함하게 된다.
만약, 전자 기기(100)로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제1 비밀번호 "1234"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제1 비밀번호 "1234"와 연관된 키 "ABC"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복호화함으로써, 다시 데이터(1110)를 얻을 수 있고, 데이터(1110)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반면, 전자 기기(100)는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제2 비밀번호 "5678"인 경우, 생성된 키 "ABC"를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1120)로 접근할 방법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1110)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설정된 제2 비밀번호가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라면, 키 "ABC"의 삭제 후,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고, 설정된 제2 비밀번호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라면, 키 "ABC"의 삭제 후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1110)의 완전한 삭제를 위해 키 "ABC"를 삭제한 후, 암호화된 데이터(1120)의 삭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암호화된 데이터(1120)의 용량에 따라 암호화된 데이터(1120)가 삭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용량이 작은 키 "ABC"를 먼저 삭제함으로써,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자마자 데이터(1110)를 복구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데이터(1110)의 획득을 우선적으로 차단한 후에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안전하게 삭제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키 "ABC"가 완전히 삭제되는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1120)의 복구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강압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안전한 상황이 되는 경우를 위해 키 "ABC"의 삭제 이전에 키 "ABC"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백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생성된 키의 삭제 이전에 생성된 키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생성된 키를 백업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의 백업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생성된 키 "ABC"를 삭제 이전에 외부로 백업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키 "ABC"가 생성되고 제2 비밀번호가 설정되면, 제2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키 "ABC"가 삭제될 가능성이 생긴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생성된 키 "ABC"를 외부로 백업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는 생성된 키 "ABC"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키 "ABC"를 백업해둘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키 "ABC"가 삭제되더라도, 추후에 백업된 키 "ABC"를 다시 전자 기기(100)에 입력함으로써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데이터(1110)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키"ABC"를 삭제하지 않고도 데이터(1110)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 및 비밀키 쌍을 이용하여 키를 암호화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비밀번호 설정부(210)는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키 "ABC"를 생성하고, 생성된 키 "ABC"를 이용하여 데이터(1110)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제1 비밀번호인 경우, 전자 기기(100)는 키 "ABC"를 확인하고, 확인된 키 "ABC"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11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제2 비밀번호가 설정되는 경우에 제1 비밀번호 및 제2 비밀번호, 그리고 키 "ABC"와는 별도로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생성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생성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고, 공개키만을 전자 기기(1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은 비밀키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전자 기기(100)와 연결되는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비밀키를 백업하고, 생성된 비밀키를 삭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생성된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 중 공개키만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키 "ABC"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키 "ABC"로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1110)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키 "ABC"를 공개키로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복호화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공개키로 암호화된 키 "ABC"는 비밀키로 복원해야 얻을 수 있으나, 비밀키는 전자 기기(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키 "ABC"를 얻을 수 없고, 따라서 데이터(1110)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추후에 백업된 비밀키를 전자 기기(100)가 다시 획득하는 경우, 공개키로 암호화된 키 "ABC"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암호화된 데이터(1120)를 복호화하여 데이터(11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동안, 전자 기기(100)로의 입력에 대해 인터랙션 하지 않는 기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전자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실시예에서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상기 기설정된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삭제나 접근 차단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화면은 해당 화면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정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나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것으로 느끼도록 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화면과 가상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화면(1410)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화면(1410)을 통해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되어 전자 기기(100)의 메인 화면(또는 설정된 화면)이 표시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화면(1420)은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입력에 대해 인터랙션하지 않는 가상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됨에 따른 화면 잠금 기능의 해제나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의 해제는 데이터의 삭제나 접근 차단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화면 잠금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되기 전까지 임시로 상기 기설정된 가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가상 화면을 보는 사람이 정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나 화면 잠금 기능이 해제된 것으로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의 삭제나 접근 차단이 완료된 후에는 제2 화면(1420)이 화면 잠금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기능이 해제됨에 따른 실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방법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는 전자 기기(1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의 친구 관계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대화 내용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고 받은 사진이나 동영상, 링크, 파일,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구매기록에 대한 정보 등의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될 때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되다가 다시 포어그라운드로 실행되는 경우에도 비밀번호의 입력이 사용자에게 요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데이터 중 지정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제2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예에서 대화 내용에 대한 정보만을 제2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설정하거나 전체 데이터 중 특정 구간의 데이터 또는 특정 폴더에 포함된 데이터만을 지정하여 제2 비밀번호와 연계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제2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설정된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100)는 제2 비밀번호의 설정 시에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하는 데이터만을, 제2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삭제하거나 접근 차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데이터(1510)가 저장된 전자 기기(1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15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로서 "1234"가 설정되고, 제2 비밀번호로서 "5678"이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 데이터(1510) 중 삭제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파일 A(1520)를 지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서 "1234"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었기 때문에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고, 데이터(1110)로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 반면,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서 "5678"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2 비밀번호와 연계하여 지정된 파일 A(1520)를 삭제한 후에 화면 잠금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1110) 중 파일 A(1120)가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비밀번호 설정부(22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번호 처리부(24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은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cracking)을 막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자리 숫자를 비밀번호로 사용하는 경우, 0000부터 9999까지의 총 1만 개의 비밀번호가 존재할 수 있고, 공격자가 0000부터 순차적으로 또는 9999부터 역순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서 비밀번호의 해제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일이나 기념일 등과 같이 알려진 번호들을 이용하여 비밀번호의 해제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은 이러한 무차별 대입 공격에 따라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접근 차단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비밀번호를 활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제1 비밀번호가 "4567"로 설정되고,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인 제2 비밀번호 A가 "2345"로, 제2 비밀번호 B가 "6789"로 설정되었다 가정한다. 만약, 공격자가 0000부터 순차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면, "2345"를 "4567"보다 먼저 입력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비밀번호를 풀기 전에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접근 차단될 수 있다. 역으로 공격자가 9999부터 역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면, "6789"를 "4567"보다 먼저 입력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비밀번호를 풀기 전에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접근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형태의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cracking)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생일이나 기념일과 같이 공격자가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비밀번호들을 복수의 제2 비밀번호들로 설정함으로써, 쉽게 예상 가능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데이터가 삭제 또는 접근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와 함께, 보호하고자 하는 특정 데이터의 삭제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제2 비밀번호의 입력 시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해당 특정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비밀번호를 말할 수 밖에 없는 강압적인 상황에서도 제2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문자열로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임의의 문자열 및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1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과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2 연산의 결과로서 상기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키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연산과 상기 제2 연산은 역연산 관계를 가지며,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을 삭제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결과값의 삭제 이전에 상기 생성된 키를 기설정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저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서버로 업로드하여 상기 결과값을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결과값을 삭제한 후,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문자열로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임의의 문자열 및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1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와는 별도의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하여 상기 비밀키를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키만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을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키를 삭제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데이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와는 별도의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하여 상기 비밀키를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키만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1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동안, 상기 전자 기기로의 입력에 대해 인터랙션(interaction)하지 않는 기설정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될 때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제2 비밀번호들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는 상기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제2 비밀번호들 사이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밀번호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을 허용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 상기 전자 기기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허용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직접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문자열로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임의의 문자열 및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1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과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2 연산의 결과로서 상기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키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1 연산과 상기 제2 연산은 역연산 관계를 갖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을 삭제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문자열로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임의의 문자열 및 상기 제1 비밀번호간의 제1 연산의 결과값을 저장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와는 별도의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하여 상기 비밀키를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키만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결과값을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19.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생성된 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키를 삭제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0.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가 실행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삭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와는 별도의 공개키 및 비밀키의 쌍을 생성하여 상기 비밀키를 상기 전자 기기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공개키만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연관하여 생성된 키를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데이터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160080551A 2016-06-28 2016-06-28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83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51A KR101835981B1 (ko) 2016-06-28 2016-06-28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7122146A JP6955378B2 (ja) 2016-06-28 2017-06-22 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5/630,125 US20170372087A1 (en) 2016-06-28 2017-06-22 Method and system for data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51A KR101835981B1 (ko) 2016-06-28 2016-06-28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49A KR20180001749A (ko) 2018-01-05
KR101835981B1 true KR101835981B1 (ko) 2018-03-07

Family

ID=6067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51A KR101835981B1 (ko) 2016-06-28 2016-06-28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72087A1 (ko)
JP (1) JP6955378B2 (ko)
KR (1) KR101835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6533B2 (en) * 2016-02-05 2019-12-24 Mohammad Mannan Password triggered trusted encryption key deletion
GB2569398B (en) * 2017-12-18 2022-03-02 V Auth Ltd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826113A (zh) * 2018-08-09 2020-02-21 深圳市菲德越科技有限公司 数据安全存储方法和装置
TWI728355B (zh) * 2019-05-10 2021-05-21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密碼保護的資料儲存裝置以及非揮發式記憶體控制方法
US11546323B1 (en) * 2022-08-17 2023-01-03 strongDM, Inc. Credential management for distributed services
US11736531B1 (en) 2022-08-31 2023-08-22 strongDM, Inc. Managing and monitoring endpoint activity in secured networks
US11765159B1 (en) 2022-09-28 2023-09-19 strongDM, Inc. Connection revocation in overlay networks
US11916885B1 (en) 2023-01-09 2024-02-27 strongDM, Inc. Tunnelling with support for dynamic naming resolution
US11765207B1 (en) 2023-03-17 2023-09-19 strongDM, Inc. Declaring network policies using natural langu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6475A (ja) * 2008-12-22 2010-07-01 Nec Corp 携帯端末の情報漏洩防止システム、携帯端末の情報漏洩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14720B1 (ko) * 2013-04-11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모바일 단말기의 다중환경 제공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742A (ja) * 1995-03-30 1996-10-18 Hitachi Ltd データ漏洩防止システム
US6766456B1 (en) * 2000-02-23 2004-07-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uter system
US7948938B2 (en) * 2004-04-30 2011-05-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duress password protection and related method
US20060075230A1 (en) * 2004-10-05 2006-04-06 Baird Leemon C Iii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ccess to a network resource using multiple shared devices
JP2006139743A (ja) * 2004-11-14 2006-06-01 Yoshihiko Hata 認証装置
JP2007013484A (ja) * 2005-06-29 2007-01-18 Suri Kagaku Kenkyusho:Kk 非常時用データ復旧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65146B2 (en) * 2005-07-14 2010-02-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assword methods and systems for use on a mobile device
US7552467B2 (en) * 2006-04-24 2009-06-23 Jeffrey Dean Lindsay Security systems for protecting an asset
JP2008312001A (ja) * 2007-06-15 2008-12-25 Ntt-It Corp 秘匿データ生成読取システム及び秘匿データ生成読取方法
JP4785823B2 (ja) * 2007-12-11 2011-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メモリ装置およびメモリ書込み装置
JP2009253783A (ja) * 2008-04-09 2009-10-29 Nec Saitama Ltd 携帯端末、データ保護方法およびデータ保護用プログラム
US8214651B2 (en) * 2008-07-09 2012-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ology
JP5338306B2 (ja) * 2008-12-26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におけるデータ管理方法
JP2013506210A (ja) * 2009-09-30 2013-02-21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システムのバイオメトリックセキュリティの向上
JP4939621B2 (ja) * 2010-03-12 2012-05-3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785491B2 (en) * 2011-10-04 2017-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a certificate signing request in a dispersed storage network
US8555085B2 (en) * 2012-03-09 2013-10-08 Sap Ag Enhancing useability of mobile devices that securely store data
US9871787B2 (en) * 2016-02-23 2018-01-16 Assured Information Security, Inc. Authentication processing for a plurality of self-encrypting storag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6475A (ja) * 2008-12-22 2010-07-01 Nec Corp 携帯端末の情報漏洩防止システム、携帯端末の情報漏洩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14720B1 (ko) * 2013-04-11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모바일 단말기의 다중환경 제공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49A (ko) 2018-01-05
JP6955378B2 (ja) 2021-10-27
JP2018005906A (ja) 2018-01-11
US20170372087A1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981B1 (ko)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6462718B (zh) 存储设备的快速数据保护
Ahmad et al. Comparison between android and iOS Operating System in terms of security
KR101224749B1 (ko)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다수의 키를 관리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07431924B (zh) 将设备标识符和用户标识符相关联的设备盗窃防护
CN115048657B (zh) 用于保护密码密钥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01833625A (zh) 一种基于动态口令的文件及文件夹安全保护方法及系统
CN104253933A (zh) 拍摄的方法及设备
CN107040520B (zh) 一种云计算数据共享系统及方法
CN104618096A (zh) 保护密钥授权数据的方法、设备和tpm密钥管理中心
JP2009211407A (ja) 認証情報生成システム、認証情報生成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124279B (zh) 擦除终端数据的方法及装置
JP6756056B2 (ja) 身元検証による暗号チップ
US20140047557A1 (en) Providing access of digital contents to online drm users
CN104751028A (zh) 应用程序加密、解密的方法及装置
US11163892B2 (en) Buffering data until encrypted destination is unlocked
WO2015045512A1 (ja) データ暗号化装置、データ暗号化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暗号化方法
JP2008123070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及び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におけるクライアント端末の表示プログラム
CN110674525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文件处理方法
JP2007188307A (ja) データファイル監視装置
JP3867451B2 (ja) 文書セキュリテイ管理装置および文書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JP6644323B1 (ja) 電子認証における改ざん防止システム
JP2008287689A (ja) グループ用暗号化及び復号化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114894A (ko) 비밀키에 대한 암호화 함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Abedin et al. An advance cryptographic solutions in cloud computing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