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974B1 -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974B1
KR101835974B1 KR1020160063480A KR20160063480A KR101835974B1 KR 101835974 B1 KR101835974 B1 KR 101835974B1 KR 1020160063480 A KR1020160063480 A KR 1020160063480A KR 20160063480 A KR20160063480 A KR 20160063480A KR 101835974 B1 KR101835974 B1 KR 10183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ode
information
camera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505A (ko
Inventor
주용진
권광석
함창학
Original Assignee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유에스티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유에스티21 filed Critical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68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wo or more viewers
    • H04N13/0051
    • H04N13/04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96Synchronisation or controll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시점 동기화 방법은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VIEW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TERMINAL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본 발명은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내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형관측시스템의 발전으로 측정되는 지형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등고선이나 항공사진만으로는 심도 있는 지형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포인트클라우드(Point Cloud) 기반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레이저스캐너나 LiDAR 무인항공사진측량 등을 이용하여 수 밀리리터(mm) 또는 수 센티미터(cm) 수준의 점밀도를 가진 대용량의 육상 및 해저지형 관측자료가 측정되어 실제와 유사한 포인트클라우드가 생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이 대중화됨에 따라 몰입형 경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구글글래스, 오큘러스 리프트 및 갤럭시 기어VR 등과 같은 몰입형 가상현실 장치를 대중화하고, 관련 플랫폼을 선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의 성능이 발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기존의 PC 급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이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대용량의 자료를 표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단말 장치를 이용한 독립적인 가상현실환경으로 인해 사용자가 체감하는 몰입감은 증가하였으나 사용자간 의사소통 및 협업은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 일반 PC 수준에서의 대용량 지형자료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 및 복수의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하여 의사 소통하거나 협업하기 위한 시점 동기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내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가상현실 기반의 대용량 지형자료를 디스플레이 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 시점을 동기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방법은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자유(Free)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라 독립적인 위치 및 자세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따라가기(Follow)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일체화(Avatar)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서버가 수행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구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자유 시점 모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따라가기 시점 모드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는 일체화 시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방법은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공유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Free)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라 독립적인 위치 및 자세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Follow)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Avatar)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내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가상현실 기반의 대용량 지형자료를 디스플레이 하고 복수의 사용자들 간 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유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자유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따라가기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일체화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사용자 단말에서 시점 공유 모드 및 디스플레이 될 대상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는 공유 서버(110)와 제공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공유 서버(110)는 대용량의 지형관측자료(140)를 분산파일 시스템(130)을 통해 포인트클라우드(Point Cloud) 방식으로 제공받는 포인트클라우드 서버(111),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싱크(Sync) 서버(112) 및 상기 포인트클라우드 서버(111)와 싱크 서버(112)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 각각에 대응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서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스캐너 등을 통해 스캔 되는 지형들에 대한 지형관측자료(140)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수 밀리리터(mm) 또는 수 센티미터(cm) 수준의 점밀도를 가짐에 따라 대용량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용량의 지형관측자료(140)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저가 서버와 하드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상대적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분산파일 시스템(130)이 필요하다. 이때, 분산파일 시스템(130)에 저장되는 지형관측자료(140)는 X, Y, Z 및 R, G, B로 정의 되어지는 점들의 집합인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으로 수집될 수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 서버(111)는 포인트 클라우드 방식으로 수집되어 분산파일 시스템(130)에 저장된 지형관측자료(140)를 멀티 레벨(Multi-level)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지형관측자료(140)를 멀티 레벨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사용자 시선을 기준으로 가까운 지역은 자세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출하고, 멀리 있는 지역은 가까운 지역에 비해 적은 양의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지형관측자료(140)를 멀티 레벨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좁은 지역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출하고, 넓은 지역에 비해 적은 양의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멀티 레벨에 따라 지형관측자료(140)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적정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표출함으로써 빠른 렌더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클라우드 서버(111)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개수에 따라 지형관측자료(140)가 측정되는 지역을 분할하여 계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 클라우드 서버(111)는 지형관측자료(140)가 측정되는 지역에 존재하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개수가 특정 수량(1만개)를 넘는 경우, 해당 지역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내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개수가 특정 수량(1만개)를 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영역은 트리구조를 구성하여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를 인지할 수 있는 코드체계를 사용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싱크 서버(112)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에 디스플레이 될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카메라가 위한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즉,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 각각이 위치한 시점과 대응되는 지형관측자료(140)에 포함된 X, Y, Z의 집합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카메라의 자세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에 디스플레이 될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 각각에 포함된 자세 센서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영상 서버(113)는 포인트 클라우드 서버(111)로부터 제공받은 멀티 레벨에 따라 구분된 지형관측자료(140)와 싱크 서버(112)로부터 제공받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 각각에 대응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영상 데이터는 스트림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클라우드 서버(111), 싱크 서버(112) 및 영상 서버(113)는 하나의 서버에서 동작하거나 별도의 서버에 각각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은 영상 서버(113)에서 전송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은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 및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20)들 중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로 지칭하고,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 단말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유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서버(110)는 자세정보 수신부(210), 무선랜 안테나(220), 무선랜 액세스포인트(230), 디스플레이(240) 및 스트리밍 서버(250)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정보 수신부(2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정보 수신부(210)는 RF 기반의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랜 안테나(230)와 무선랜 액세스포인트(230)는 가상현실장치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간 시점을 동기화하기 위한 무선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공유 서버(110)가 통제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의 관리 정보(시점 공유 모드 또는 제공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2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할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는 스트리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2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GPU 스트리밍 서버를 구현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 적합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렌더링할 수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3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용량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모두 수신하여 메모리에 적재할 경우 높은 시스템 성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자료를 적재하는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다양한 위치와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포인트 클라우드를 표출하기 위해서 LOD(Level Of Detail)을 고려한 자료의 수신 및 표출환경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가 변경될 때 바로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트리밍 방식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리밍 서버(250)는 대용량 포인트 클라우드를 계층적인 타일구조로 분산할 수 있다. 이후 스트리밍 서버(250)는 사용자의 위치와 시점에 따라 상세도를 고려한 타일자료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가 바뀌면 신속하게 해당 스트림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250)는 각 타일마다 해당 레벨과 부모 노드 정보도 포함된 타일명을 부여하며 해당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들은 상위 포인트 및 하위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밍 서버(250)가 수행하는 스트리밍 방식이 기존 방식과 다른 점은 단순히 보여주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해당 포인트 클라우드를 선택하여 수정할 경우 해당 타일뿐만 아니라 부모 노드 및 자식 노드에 포함된 해당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속성 편집환경까지 확장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 수신부(310), 자세정보 송신부(320), 디스플레이(330) 및 정보 입력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스트리밍 서버(250)로부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은 물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시점 공유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자세정보 송신부(320)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정보 송신부(320)는 RF 기반의 송신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스트리밍 서버(250)로부터 수신된 PC급의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330)는 데이터 수신부(310)에 수신된 시점 공유 정보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정보 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330) 상에 별도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입력부(340)는 2차원 마우스로 조절이 어려운 3차원 가상현실환경에 적합하도록 3차원 공간을 인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부(340)는 3차원 마우스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자유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서로 같은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먼저 단계(410)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은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420~430)에서,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을 주 클라이언트로 설정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을 슬레이브 클라이언트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440~450)에서,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와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서버(110)는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구역 내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단계(460)에서,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의 공유 서버(110)는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들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응하는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고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470)에서, 시점 동기화 시스템(100)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전송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은 자신에게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에서 결정된 시점 공유 모드에 기초하여 공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시점 공유 모드는 자유(Free) 시점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은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자신에게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만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위치 및 자세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은 자유 시점 모드 하에서는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과는 별도의 시점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1, Y1, Z1)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A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2, Y2, Z2)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B방향을 가리킨다고 가정하자.
이때,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 시점 모드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은 자신에게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인 (X2, Y2, Z2)의 좌표값과 자세 정보인 B방향만을 고려하여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따라가기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서로 같은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은 공유 서버(11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시점 공유 모드는 따라가기(Follow) 시점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은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은 따라가기 시점 모드 하에서는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1, Y1, Z1)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A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2, Y2, Z2)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B방향을 가리킨다고 가정하자.
이때,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 시점 모드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X1, Y1, Z1)의 좌표값에서 B방향으로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동기화 시스템이 시점 공유 모드 중 일체화 시점 모드에 따라 시점을 동기화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시점 공유 모드에 따라 서로 같은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은 공유 서버(11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시점 공유 모드는 일체화(Avatar) 시점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은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은 일체화 시점 모드 하에서는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와 동일한 위치 및 자세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1, Y1, Z1)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A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는 (X2, Y2, Z2)의 좌표값을 가지고, 자세 정보는 B방향을 가리킨다고 가정하자.
이때,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 시점 모드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X1, Y1, Z1)의 좌표값에서 A방향으로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 시점 모드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3차원 영상의 데이터 스트림은 제1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3차원 영상의 데이터 스트림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사용자 단말에서 시점 공유 모드 및 디스플레이 될 대상을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은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제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은 클라이언트의 종류, 시점 공유 모드 및 디스플레이 되는 3차원 영상의 현황 정보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3차원 마우스와 같은 정보 입력부(340)를 통해 시점 공유 모드 및 디스플레이 되는 3차원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시점 공유 모드 및 3차원 영상은 제2 사용자 단말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시점 동기화 시스템
110 : 공유 서버
111 : 포인트클라우드 서버
112 : 싱크 서버
113 : 영상 서버
120 : 사용자 단말
130 : 분산파일 시스템
140 : 지형관측자료

Claims (13)

  1.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식별하여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서버는,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대용량의 지형관측자료를 계층적인 타일 구조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타일 구조 중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른 상세도(Level Of Detail, LOD)를 고려하여 선택된 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는 상위 포인트 및 하위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수정할 경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에 대한 부모 노드 및 자식 노드에 대응하는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함께 수정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자유(Free)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라 독립적인 위치 및 자세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따라가기(Follow)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공유 모드는,
    일체화(Avatar) 시점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 시점 모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7. 공유 서버가 수행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서버는,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대용량의 지형관측자료를 계층적인 타일 구조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른 상세도(Level Of Detail, LOD)를 고려하여 선택된 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는 상위 포인트 및 하위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수정할 경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에 대한 부모 노드 및 자식 노드에 대응하는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함께 수정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동일하게 표시될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 공유 모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자유 시점 모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따라가기 시점 모드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는 일체화 시점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 모드를 포함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10. 동작 모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공유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고,
    상기 공유 서버는,
    포인트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대용량의 지형관측자료를 계층적인 타일 구조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른 상세도(Level Of Detail, LOD)를 고려하여 선택된 타일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는 상위 포인트 및 하위 포인트를 검색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수정할 경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뿐만 아니라 상기 타일에 대한 부모 노드 및 자식 노드에 대응하는 타일에 포함된 포인트를 함께 수정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자유(Free)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에 따라 독립적인 위치 및 자세에 따라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따라가기(Follow)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시점 공유 모드가 일체화(Avatar) 시점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모두 공유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시점이 변화된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점 동기화 방법.
KR1020160063480A 2016-05-24 2016-05-24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83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80A KR101835974B1 (ko) 2016-05-24 2016-05-24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80A KR101835974B1 (ko) 2016-05-24 2016-05-24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05A KR20170132505A (ko) 2017-12-04
KR101835974B1 true KR101835974B1 (ko) 2018-03-08

Family

ID=6092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480A KR101835974B1 (ko) 2016-05-24 2016-05-24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14B1 (ko) * 2019-07-16 2020-07-08 주상현 대체현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228B1 (ko) 2018-10-18 2023-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90561B2 (en) * 2019-02-15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igning location for a shar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KR102298047B1 (ko) * 2019-12-19 2021-09-03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디지털 콘텐츠를 녹화하여 3d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37477A1 (en) * 2021-02-26 2024-04-25 Ad Connect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 by recording digital con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608A (ja) * 2002-08-05 2004-03-04 Canon Inc 仮想空間呈示装置及び情報管理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413011B1 (ko) * 2013-01-17 2014-07-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608A (ja) * 2002-08-05 2004-03-04 Canon Inc 仮想空間呈示装置及び情報管理装置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413011B1 (ko) * 2013-01-17 2014-07-02 국방과학연구소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14B1 (ko) * 2019-07-16 2020-07-08 주상현 대체현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10761A1 (ko) * 2019-07-16 2021-01-21 주상현 대체현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05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974B1 (ko) 가상현실환경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시점 동기화 장치 및 방법
JP7193163B2 (ja) 協調的3dマップデータ融合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その仮想世界システム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811920A (zh) 分布式姿势估计
US20170237789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virtual elements
CN107111996B (zh) 实时共享的增强现实体验
US101860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in panoramic images using voxel maps
KR102357355B1 (ko) 가상 오브젝트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6181202A1 (en) Generation, transmission and rendering of virtual reality multimedia
KR102454161B1 (ko) 전방향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221933A (zh) 海量地图数据与建筑信息模型融合的三维瓦片构建方法
US20150130814A1 (en) Data collection for multiple view generation
WO2020017134A1 (ja) ファイルの生成装置およびファイルに基づく映像の生成装置
KR101869605B1 (ko) 평면정보를 이용한 3차원 공간 모델링 및 데이터 경량화 방법
US20200132461A1 (en) Localisation of mobile device using image and non-image sensor data in server processing
US8624959B1 (en) Stereo video movies
CN113238583A (zh) 一种固定翼无人机密集编队飞行与防撞控制方法
CN111433822B (zh) 增强现实内容的行星规模定位
KR101835143B1 (ko) 병렬 처리 기반의 지형모델 생성 방법과 시스템
KR102522892B1 (ko) 가상 시점 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입력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선별 방법 및 장치
US20220113423A1 (en) Representation data generation of three-dimensional mapping data
JP6011567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379748B (zh) 一种点云全景分割方法和装置
US20190132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files associated with a virtual object to a user device based on different conditions
US20230169736A1 (en) Planet-scale position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CN115641404B (zh) 一种基于实景三维建模技术的移动快速建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