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522B1 -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522B1
KR101835522B1 KR1020170081560A KR20170081560A KR101835522B1 KR 101835522 B1 KR101835522 B1 KR 101835522B1 KR 1020170081560 A KR1020170081560 A KR 1020170081560A KR 20170081560 A KR20170081560 A KR 20170081560A KR 101835522 B1 KR101835522 B1 KR 10183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result
result inform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norm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17008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통신 두절 시, 지속적으로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 재개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된 통신 두절 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수리시설물들의 통신 두절시의 동작 결과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현장과의 통신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동운전 이력 정보의 손실없이 확인할 수 있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현장에서 자동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통신 두절과는 상관없이 관리자는 자동운전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통신 재개에 따른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A water installations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aining site data compens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통신 두절 시에도, 지속적으로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 재개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된 통신 두절 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는 수리시설물들의 통신 두절시의 동작 결과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현장과의 통신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동운전 이력 정보의 손실없이 확인할 수 있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리시설물을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원격지에 구성된 현장설비장치와 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중앙서버를 구성하여 원격지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때,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주로 유선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선 통신 방식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통신이 불가능하여 복귀될 때까지 데이터 전송을 중지시키어 갑작스런 이벤트 발생시 이에 대한 대책이 불가능하여 심각한 경제적 인명적 손해를 입힐 수도 있는 위험성을 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무선모뎀이나 공유기 등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무선모뎀이나 공유기 등이 고장 났을 경우에 지속적으로 리셋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유선 통신이 복귀되었어도 유선 통신으로 무선 통신을 절체시킬 수가 없어서 관리자가 무선모뎀이나 공유기의 전원을 차단한 후 유선 통신으로 다시 절체시키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어서 사용상의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통신 불능 상태에서 현장감시장치들은 자동적으로 현장 설비들에 대한 제어를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얘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하면 이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하여 심각한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0351645호(2002.09.10)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통신 두절 시에도, 지속적으로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저장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통신 재개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된 통신 두절 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함으로써, 통신 재개에 따른 데이터 중복 전송 방지가 가능하며, 관리자는 수리시설물들의 통신 두절시의 동작 결과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현장과의 통신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동운전 이력 정보의 손실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는,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며,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와 설정 시나리오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전원을 리셋시키며, 리셋 후 설정된 횟수만큼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에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동작 명령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 불능시점부터 임시 저장한 후, 통신 재개시, 임시 저장된 통신 불능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를 포함하여 현장의 수리시설물에 구성되는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와;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설정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 불능 이후에 통신 재개시,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임시 저장된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로 요청하여 해당 통신 불능 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매핑시켜 저장하기 위한 중앙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며,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
상기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는,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되,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여 미리 지정된 카운트 수만큼 지속적으로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에 리셋 명령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121):
통신부의 전원을 리셋하는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122):
리셋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재차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123):
상기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에 의해 재차 답변 신호를 체크해도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고장으로 판단하여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에 통신 고장 시점 이후의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명령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속 동작 명령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지속동작명령신호송출모듈(124):
상기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에서 지속 동작 명령 정보 수신 후, 처리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로 저장 처리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에 의해 제공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126):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에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주기적으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는 통신복구체크모듈(127):
답변 신호를 받을 경우에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28):을 포함한다.
또한, 중앙서버(20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설정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획득부(210),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을 참조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부에 해당 시간 이후에 지속동작결과저장부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220),
상기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에 의해 획득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누적(매핑)시키기 위한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동작결과정보디비(240)를 포함한다.
이때,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는,
통신이 두절된 시간 이전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의 엔드 포인트를 분석하여 엔드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통신 두절 전에 획득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삭제하고, 재차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며,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매핑시키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231):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의 매핑 동작시,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부(103)와 지속동작결과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요청 정보를 해당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설정 주기별로 삭제 처리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삭제처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통신 두절 시에도, 지속적으로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통신 재개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된 통신 두절 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제공함으로써, 통신 재개에 따른 데이터 중복 전송 방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관리자는 수리시설물들의 통신 두절시의 동작 결과 정보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장과의 통신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동운전 이력 정보의 손실없이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현장에서 자동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통신 두절과는 상관없이 관리자는 자동운전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신 재개에 따른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지속동작정보관리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중앙서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동작결과누적처리부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의한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 중앙서버(200) 및 담당자단말기(3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수리시설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는 수리시설물의 종류에는 배수문과 펌프가 일체형으로 설치 구성되는 펌프게이트, 댐이나 저수지 등에 설치 구성되는 취수탑, 입축펌프 또는 횡축펌프가 설치 구성되는 배수장, 양수장, 방조제에 배수문으로 설치 구성되는 배수갑문 등이 있다.
또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현장에 설치 구성된 각각의 수리시설물마다 설치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와 각각의 수시시설물 들 간의 통신은 유선 통신 혹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게 되며, 무선 통신일 경우에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RF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200)는 다수 개의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들과 주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여 현장의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되며, 해당 동작 결과 정보를 담당자단말기(300)에 제공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는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국지성 집중 호우 발생시, 배수갑문의 내수위계에 의해 측정된 수위가 관리수위 이상으로 측정되면 안내 방송 명령 정보를 안내방송장치로 자동으로 송출하고, 배수갑문의 수문을 자동으로 열어 집중 호우로 상승한 내수위를 낮추고 관리수위에 맞추어 자동으로 닫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사전에 미리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이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 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른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와 설정 시나리오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 정상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14)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은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며,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문을 개폐하는 모터로 개방 신호를 제공하고, 모터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은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은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14)은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 결과 정보에는 당연히 동작 명령 시간, 동작 결과 수신 시간 등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설정 주기별로 삭제 처리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삭제처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틀 단위로 삭제 처리하는 것으로 설정하게 되면, 2017년 6월 26일 오전 9시 1분에 삭제 처리하였다면, 2017년 6월 28일 오전 9시 1분에 이틀 동안의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삭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장에 구성된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은 데이터의 저장 용량이 한정적이므로 제어 데이터만 전송한다면 상관없지만, 전송 데이터가 음성, 영상 데이터일 경우에는 상당한 데이터 저장 용량 확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된 주기마다 정기적으로 삭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을 방지하는 효과와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는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의미하지만, 만약 통신이 두절되게 되면 상기 자동 운전은 현장에서 실시할 수도 있으나, 보통 중앙서버와 통신을 통해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 운전을 통해 관리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들은 통신 두절이 발생하면, 통신 두절 상태에서는 관리자가 해당 통신 두절 상태에서의 자동 운전 이력을 확인할 방법이 없어 관리 이력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를 구성함으로써,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무조건 고장을 판단하지 않고, 1차적으로 전원을 리셋시키며, 리셋 후에 설정된 횟수만큼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에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 불능시점부터 임시 저장하게 된다.
즉, 통신이 두절된 시간부터 통신이 재개될 때까지 자동 운전한 내용을 현장에서 자체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통신 재개시, 임시 저장된 통신 불능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원화된 저장 구조를 제공하게 되면, 통신 재개에 따른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 전송을 방지하게 된다.
즉, 통신 불능 후 통신 재개가 되면 통신 불능시점부터 통신 재개 시점까지의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중복 전송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상기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는,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121),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122),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123), 지속동작명령신호송출모듈(124),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126), 통신복구체크모듈(127), 지속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121)은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되,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여 미리 지정된 카운트 수만큼 지속적으로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에 리셋 명령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설정된 시간에 따라 현재 자신의 IP 주소를 DDNS 서버로 보내고 DDNS 서버는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로 ACK 신호를 줄 때 정상적인 통신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통신에 장애가 있을시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은 IP 주소를 DDNS 서버로 보내도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어 이런 경우을 통신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통신 이상 상태로 판단되게 되면, 미리 지정된 카운트 수만큼 예를 들어, 5초 동안으로 설정하게 되면 5초 안에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에 리셋 명령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122)은 통신부의 전원을 리셋하게 된다.
이후, 상기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123)은 리셋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재차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다시 한번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중복 체크를 통한 통신 두절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며, 단순히 통신부의 에러에 의해 통신 두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리셋 후 다시 한번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속동작명령신호송출모듈(124)은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에 의해 재차 답변 신호를 체크해도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고장으로 판단 결과를 내려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에 통신 고장 시점 이후의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명령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지속 동작 명령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문을 오픈하여 내수위를 낮춘 후, 내수위계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는 시점에 통신 고장으로 판단되면, 시나리오대로 라면, 내수위계에 측정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동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속 동작 명령 정보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자동 운전은 통신 두절 상태와는 상관없이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통신 두절이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플로우 이외에 시스템은 이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2차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2차 피해를 야기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의 심각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정상 동작 상태와 통신 두절 시점부터 재개 시점까지의 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저장하게 되며, 통신 두절 시점부터 재개 시점까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지속 동작 결과 정보로 정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은 지속동작명령신호송출모듈(124)이 송출한 지속 동작 명령 정보에 따라 처리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로부터 추출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로 제공하여 저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126)은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이 제공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은 평상시에는 동작 결과 정보들이 저장되지 않고, 통신 두절시점부터 통신 재개시점까지의 동작 결과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저장 프로세스의 이원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언제 통신이 재개되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통신복구체크모듈(127)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 통신복구체크모듈(127)은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이(124)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주기적으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고 중앙서버가 상기 답변요청신호에 대해 답변 신호를 전송하는지를 체크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중앙서버가 답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지속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28)은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126)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중앙서버(200)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서버(200)는, 정상동작결과정보획득부(210),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220),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 동작결과정보디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상동작결과정보획득부(21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설정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시키게 된다.
여기까지는 정상적인 동작 결과에 대한 저장 과정이지만, 통신 두절이 발생하면, 중앙서버에서는 현장으로부터 어떠한 동작 결과 정보도 획득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통신 두절 이후에 통신이 재개되면 현장으로부터 답변요청신호를 수신받게 될 것이며, 이때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220)는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을 참조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부에 해당 시간 이후에 지속동작결과저장부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즉, 지속동작결과저장부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 요청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는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에 의해 획득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누적(매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작결과정보디비(240)에는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231),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231)은 통신이 두절된 시간 이전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의 엔드 포인트를 분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패킷은 헤더, 바디, 엔드포인트를 포함하게 되는데, 만약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에 엔드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을 것이다.
즉, 전송하는 중간에 통신 두절이 발생하게 되면, 엔드포인트가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이때, 통신 두절 전에 획득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즉, 완전한 패킷 전송이 아니므로 중앙서버에서의 트래픽을 야기시킬 수도 있게 되므로 이를 삭제하게 된다.
그리고, 재차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여 통신 두절 시간 이전의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에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누적(매핑)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의 매핑 동작시,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부(103)와 지속동작결과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요청 정보를 해당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통신 불능의 상태는 데이터의 중복 전송을 야기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엔드포인트를 분석하게 되어 데이터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232)에 의해 매핑 동작시, 통신 정상 상태의 동작 명령 정보와 통신 불능 상태에서의 지속 동작 명령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므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들은 삭제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을 통해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부(103)와 지속동작결과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요청 정보를 해당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정상적인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통신 두절 시, 지속적으로 수리시설물의 제어를 설정된 시나리오로 자동으로 수행하여 동작 결과 정보를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
110 :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
120 : 지속동작정보관리부
200 : 중앙서버

Claims (5)

  1.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며,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와 설정 시나리오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전원을 리셋시키며, 리셋 후 설정된 횟수만큼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에 설정된 시나리오대로 동작 명령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임시 저장한 후, 통신 재개시, 임시 저장된 통신 불능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를 포함하여 현장의 수리시설물에 구성되는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와;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설정 시나리오 정보와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 재개시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통신 불능시점부터의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매핑시켜 저장하기 위한 중앙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서버(20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설정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획득부(210)와,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을 참조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부에 해당 시간 이후에 지속동작결과저장부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220)와,
    상기 지속동작결과정보요청부에 의해 획득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동작결과정보디비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에 포함된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누적 매핑시키기 위한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와,
    상기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동작결과정보디비(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작결과누적처리부(230)는,
    통신이 두절된 시간 이전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 내의 엔드 포인트를 분석하여 엔드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통신 두절 전에 획득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삭제하고, 재차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요청하며, 마지막 정상 동작 결과 정보에 마지막 저장 시간 이후에 추출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매핑시키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231),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중복체크모듈의 매핑 동작시,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부(103)와 지속동작결과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요청 정보를 해당 현장통신상태감시장치(100)로 송출하기 위한 저장정보삭제요청모듈(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수리시설 장치에 동작 명령 정보를 제공하며, 동작 결과 정보를 해당 수리시설 장치로부터 획득하기 위한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
    상기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로부터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
    상기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된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와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동작정보관리부(120)는,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되,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여 미리 지정된 카운트 수만큼 지속적으로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에 리셋 명령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중앙서버접속통신감시모듈(121):
    통신부의 전원을 리셋하는 통신전원리셋명령모듈(122):
    리셋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재차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123):
    상기 리셋후답변신호체크모듈에 의해 재차 답변 신호를 체크해도 답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신 고장으로 판단하여 설정시나리오별수리시설동작명령모듈(111)로 통신 고장 시점 이후의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동작 명령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지속 동작 명령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지속동작명령신호송출모듈(124):
    상기 지속 동작 명령 정보에 따라 처리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상기 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12)로부터 추출하여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로 저장 처리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에 의해 제공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126):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처리모듈(125)이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추출할 경우에 주기적으로 중앙서버의 아이피주소로 답변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답변 신호를 받는지를 체크하는 통신복구체크모듈(127):
    중앙서버로부터 답변 신호를 받을 경우에 상기 지속동작결과저장모듈에 저장된 지속 동작 결과 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지속동작결과정보전송모듈(1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별정상동작정보관리부(110)는,
    정상동작결과정보저장모듈(113)에 저장된 정상 동작 결과 정보를 설정 주기별로 삭제 처리하기 위한 정상동작결과정보삭제처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 데이터 보상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KR1020170081560A 2017-06-28 2017-06-28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KR10183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60A KR101835522B1 (ko) 2017-06-28 2017-06-28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60A KR101835522B1 (ko) 2017-06-28 2017-06-28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522B1 true KR101835522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60A KR101835522B1 (ko) 2017-06-28 2017-06-28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24B1 (ko) 2022-01-21 2023-03-21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자동유량관측시설 원격복구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239B1 (ko) * 2008-12-31 2009-07-31 주식회사 대영 분산 독립형 영상원격감시제어 시스템
KR101219192B1 (ko) *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239B1 (ko) * 2008-12-31 2009-07-31 주식회사 대영 분산 독립형 영상원격감시제어 시스템
KR101219192B1 (ko) *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624B1 (ko) 2022-01-21 2023-03-21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자동유량관측시설 원격복구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018B2 (en) Control plane devic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forwarding-control separation system
KR100755277B1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보조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장 위치 확인 및 복구 방법
EP3162001B1 (en) Network diagnostic device
CN102331751A (zh) 一种实时工业控制系统的监控方法及系统
CN111371584A (zh) 设备故障的处理方法、管理设备、家庭网关设备
KR101835522B1 (ko) 현장 데이터 보상 기능을 포함한 수리시설 원격제어장치
CN111083176B (zh) 一种监控摄像机云端自适应上线方法及装置
CN102932811A (zh) 检测丢失终端的方法及系统
JP7403324B2 (ja) サーバ、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34728B (zh) 定位失联原因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128366B1 (ko) 유동 ip환경에서 통신두절 자가 감지 및 자동 재개 기능을 갖춘 전천후 물관리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6748B1 (ko) OneM2M과 CCTV망에서의 다중경로 인접 원격관리시스템
US20140184419A1 (en) Alarm communication recovery system and method
AU2012268904B2 (en) Alarm communication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2433641B1 (ko) 안정적인 P2P IoT 통신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CN116095888B (zh) 公路隧道巡检机器人的应急控制方法及系统、设备、介质
KR102059369B1 (ko) 로라 기반의 원격 보안장비 관리 시스템
CN115225314B (zh) 一种配电终端加密模式检测方法及检测系统
KR10075477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 모듈을 관리하기위한 서버와 서버에 의해 제어 받는 해당 모듈의 동작 방법및 이를 이용한 무선망의 이상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CN114401325A (zh) 一种基于多链路融合的域外数据回传系统
KR100948739B1 (ko) 인도어 휴대 인터넷의 통신망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489154A (zh) 基于主备用通道切换技术的电网监控系统数据防丢失方法
KR20240047239A (ko) 물리적 망분리에 기반한 자료전송장치
EP2803183B1 (en) Using dns for security system event reporting
CN115622869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