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471B1 -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471B1
KR101835471B1 KR1020170140030A KR20170140030A KR101835471B1 KR 101835471 B1 KR101835471 B1 KR 101835471B1 KR 1020170140030 A KR1020170140030 A KR 1020170140030A KR 20170140030 A KR20170140030 A KR 20170140030A KR 101835471 B1 KR101835471 B1 KR 10183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cy
information
pregnant
pregnant wom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윤
안태규
전민희
남유정
안보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43Pregnancy and labour monitoring, e.g. for labour onse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ket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HWANG법)에 있어서, 상기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들에 대한 임신주기별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는 임신주기에 따라 종래의 산부인과에서 수행하는 검사결과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관리서비스의 종류가 판단되므로 병원의 접근이 어려운 분만 취약지 임산부들에 대한 적절한 출산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임신주기에 따른 현재임신정보, 내과적 질환정보,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WANGS법에 의해 정산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해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된 발병률에 따라 정상 임산부와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함으로서,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들이 임신주기에 따라 적절한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 취약지의 임산부들에게 산부인과 병원 접근이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고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기까지 임신주기에 상관없이 선제적이며 지속적인 안전한 출산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가 안심하고 안전한 출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High Risk Pregnant Women Assessment Grading System, Method, and Appratus}
본 발명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에 시작된 저출산 고령화 시대는 기존에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던 여러 사회 인프라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먼저는 출산 인프라의 붕괴이다. 출산율 저하와 병원 경영이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산부인과 병원의 폐업은 2000년대 중반부터 속출하여 2004년 1,311개의 분만 병원이 2015년에는 617개로 절반이하로 감소하였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분만병원의 폐업이 출생아수가 적은 농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사회 경제적인 이유로 늦은 결혼과 고령임신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고위험 임신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고위험 임신부는 신생아 사망과 산모 사망과 직접 연결되어서 정상임신부에 비하여 더욱 더 많은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지만 전국적으로 분만 인프라의 붕괴가 되고 있는 국내 현실에서 고위험 임산부에게 적정한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힘들고 특히 분만취약지에서 고위험 임산부의 진단 및 치료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그 결과 2013년도에는 분만취약지에 근무하던 여군 장교가 임신중독증으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
정부에서는 관내 분만율이 30%미만이고 분만 가능한 병원으로부터 1시간 이상 소요되는 취약지 면적이 30% 이상인 시군구를 분만 취약지로 지정하여 2013년도부터 지원을 하고 있지만 2017년 1월 현재 34개 시군이 여전히 분만 취약지이다. 분만 취약지가 해소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분만취약지 근무를 원하는 산부인과 전문의의 부족이다. 분만취약지 근무를 꺼리는 산부인과 전문의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고위험 임산부의 진단, 치료 및 응급 상황 때의 이송 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한 의료분쟁의 증가를 꼽고 있다.
이에 강원도의 유일한 거점병원인 강원대학교병원에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강원도 분만취약지 임산부들에게 적용하므로 상기 분만취약지의 임산부가 안전한 출산을 이루기까지 체계적인 의료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임산부가 최초로 방문하는 지역보건소 또는 보건원에서 설문지를 작성하고 고위험 임산부 자동 선별 시스템(High-risk Pregnant Women Assessment Grading System, HWANGS)을 통해 임산부가 가지고 있는 임신성 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한다. 상기 HWANGS는 상기 예측된 위험도에 따라 임산부를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산임산부로 선별하고 각각의 임산부들에 대해 맞춤형 임신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산부인과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분만취약지의 임산부들에 대해 안전한 출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HWANGS는 임신초기의 설문만으로 추후 임신질환위험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안전한 출산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HWANGS는 최초 내원한 보건소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하고 상기 고위험 임산부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 HWANGS만으로는 정상임산부의 임신주기에 따른 위험도의 증가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 임산부들은 임신주기에 따른 임신성 질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의 진단결과에 따라 치료 및 관리를 수행하는 종래의 임산부 관리시스템에 의해만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등록특허 10-1592021 한국출원특허 10-2017-0036708
Ahn TG, Hwang JY. Maternity care system for high risk pregnant women in obstetrically underserved area. J Korean Med Assoc. 2016;59(6):436-442. Berg CJ, Callaghan WM, Syverson C, Henderson Z. Pregnancy-relate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1998 to 2005. Obstet Gynecol. 2010;116(6):1302-9. Creanga AA, Berg CJ, Syverson C, Seed K, Bruce FC, Callaghan WM. Pregnancy-relate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2006-2010. Obstet Gynecol. 2015;125(1):5-12. Hwang JY. Comprehensive care of high-risk pregnancy for reducing maternal mortality a proposal to establish a Korean pregnancy and birth registr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5;19(2):163-171. Hwang JY. The survey on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 in Korea. Training lectures for OBGY resident conducted from Korean society of maternal fetal medicine, Seoul, 2014.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evaluation of supporting methods for reliable antenatal care and birth for pregnant women in obstetrically underserved area.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view report of Japanese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2.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 new classification of high risk pregnancy .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6. Lee GY. Establishment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integrated center for high-risk pregnant women and neonates and the maternity care in the underserved a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Lee YJ, Kim SH, Seol HJ, Chung SH, Choi YS, Lee KS et al. Changes in Statistics of Maternal Death in Korea (1995-2010). Korean J Perinatol. 2012;23(3):179-187. Oh SY. The collapse of infrastructure for childbirth : causes and consequences. J Korean Med Assoc. 2016;59(6):417-423. Sandall J, Murrells T, Dodwell M, Gibson R, Bewley S, Coxon K et al. The efficient use of the maternity workforce and the implications for safety and quality in maternity care: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Health Serv Deliv Res. 2014;2(38). [cited 2014 Oct]. Available from . WHO, WHO safe childbirth checklist implementation guide: improving the quality of facility-based delivery for mothers and newborns, 2016. OECD Health at a Glance: Asia/Pacific 2016 Measuring Progress towards Universal Health Coverage 2016; 28-29. [cited 2016 Nov 23]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HWANG법)에 있어서, 상기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들에 대한 임신주기별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는 임신주기에 따라 종래의 산부인과에서 수행하는 검사결과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관리서비스의 종류가 판단되므로 병원의 접근이 어려운 분만 취약지 임산부들에 대한 적절한 출산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임신주기에 따른 현재임신정보, 내과적 질환정보,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WANGS법에 의해 정산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해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된 발병률에 따라 정상 임산부와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함으로서,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들이 임신주기에 따라 적절한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하는 제 1 단계;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단계;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산출된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결과를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등록부(433)에 전달하는 제5단계;
상기 임산부 등록부(433)가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거나 상기 선별된 정상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 관리부(44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410);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부(420);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고;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는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432), 및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임산부 등록부(433)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부(430);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유지하고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입력하여 유지하며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한 후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여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고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주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별결과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HWANG법)에 의해 선별된 분만 취약지의 정상임산부들에 대하여 임신주기에 따른 현재임신정보, 내과적 질환정보,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된 발병률에 따라 정상 임산부와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함으로서,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들이 임신주기에 따라 적절한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하는 제 1 단계;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단계;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산출된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결과를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등록부(433)에 전달하는 제5단계;
상기 임산부 등록부(433)가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거나 상기 선별된 정상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 관리부(44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 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전치태반정보, Rh-혈액형정보, 간질정보, 심부전정보, 만성고혈압정보, 당뇨병정보, 신장 질화정보, 갑상선 질환정보, 자가면역질환정보, 폐질환정보, 정신과적 문제정보, 혈전증정보, 난소종양정보, 클라미디아정보, 다낭성 난포 증후군정보, 마이코플라즈마정보, 자궁 선근증정보, 자궁기형정보, 자궁 내막증정보, 매독정보 또는 질염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임신 14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또는 Rh-혈액형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Rh-혈액형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다태임신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또는 전치태반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는 간질, 심부전, 만성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질환, 폐질환, 정신과적 문제, 및 혈전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는 난소 종양, 클라미디아, 다낭성 난포 증후군, 마이코플라즈마, 자궁 근종, 유리아플라즈마, 자궁 선근증, 자궁기형, 자궁 내막증, 매독, 및 질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단계는,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데이터1과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제4-1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에 대해 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는 제4-2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3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는 하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410);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부(420);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고;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는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432), 및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임산부 등록부(433)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부(430);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
또한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는 하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유지하고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입력하여 유지하며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한 후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여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고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 및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
본 발명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HWANG법)에 있어서, 상기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들에 대한 임신주기별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는 임신주기에 따라 종래의 산부인과에서 수행하는 검사결과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관리서비스의 종류가 판단되므로 병원의 접근이 어려운 분만 취약지 임산부들에 대한 적절한 출산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임신주기에 따른 현재임신정보, 내과적 질환정보,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WANGS법에 의해 정산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해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예측된 발병률에 따라 정상 임산부와 고위험 임산부를 선별함으로서,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들이 임신주기에 따라 적절한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HWANGS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 취약지의 임산부들에게 산부인과 병원 접근이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고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기까지 임신주기에 상관없이 선제적이며 지속적인 안전한 출산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분만취약지의 임산부가 안심하고 안전한 출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에게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3은 고위험군 임산부를 위한 고위험군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의 맞춤형 의료기 및 임산부 스마트폰의 임신관리 모바일앱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의 패널 A는 HWANGS를 이용하여 임신중독증의 고위험군으로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의 결과를 보여주는 모바일앱 화면이다. 패널 B는 HWANGS를 이용하여 임신성 당뇨의 고위험군으로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의 결과를 보여주는 모바일 앱 화면이다. 패널 C는 실제 임신 제 1삼분기에 HWANGS의 결과를 보여주는 모바일앱 화면이다.
도 6은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에서 분류한 강원도 분만 취약지의 고위험군 임산부 및 정상임산부 현황을 나타낸 홈페이지(https://monitoring.iespc.co.kr/PR.do)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1)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본 발명의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는 한국출원특허 10-2017-0036708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시스템 및 장치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는 상기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시스템의 제공방법에 의해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분만취약지 임산부가 임신주기별 출산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인 병원방문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출산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별된 정상인삼부의 임신주기별 현재임신정보, 내과적 질환정보,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를 수득하고 이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통해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한 후 임신주기에 따른 임신위험도에 따라 다시 정상임산부와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분만취약지 임산부가 정기적인 산부인과의 방문 없이도 선제적으로 맞춤형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1, 110-2, 110-3, ..., 110-N) 및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110-1)는 분만 취약지에 위치한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의 단말기이며 상기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에서 분만취약지 임산부의 개인정보 및 고위험 임신 선별검사지 작성 결과를 획득하는데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상기 단말기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PDA,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이동통신 단말 등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산부의 고위험 임신 선별검사지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에 대한 설문으로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또는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110-1)는 상기 획득한 임산부의 개인정보 및 고위험 임신 선별검사지 작성 결과를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110-2)는 분만취약지 임산부의 개인단말기(310)이며 상기 개인단말기는 임산부의 건강지표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위급상황관리를 위한 실시간응급상담 및 119 호출이 가능하다. 상기 건강지표는 혈당, 혈압, 체중, 단백뇨, 태아심음 및 진료일이다. 상기 건강지표 중 혈당, 혈압, 체중, 단백뇨 및 태아심음지표는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로 송신되고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에서 클라이언트 3(산부인과)의 단말기(110-3)에 송신되어 담당 의료인에 의해 모니터링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110-2)는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로부터 임신 기간 동안 산부인과 전문의의 의료 상담 및 결과를 수신 할 수 있으며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의 경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정상 임산부 또는 고위험 임산부 선별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는 태아심음측정기, 혈당측정기, 및 혈압측정기의 측정결과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되어 입력되거나 수동으로 입력된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별결과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와 통신 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는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 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 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 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1)에 유지하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110-1)로부터 임산부의 개인정보 및 고위험 임신 선별검사지 작성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수행시킨다.
상기 데이터1은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 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전치태반정보, Rh-혈액형정보, 간질정보, 심부전정보, 만성고혈압정보, 당뇨병정보, 신장 질화정보, 갑상선 질환정보, 자가면역질환정보, 폐질환정보, 정신과적 문제정보, 혈전증정보, 난소종양정보, 클라미디아정보, 다낭성 난포 증후군정보, 마이코플라즈마정보, 자궁 선근증정보, 자궁기형정보, 자궁 내막증정보, 매독정보 또는 질염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2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확률에 대한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의 가중치이며 상기 프로그램1은 전자간증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자간증 자동 예측프로그램, 임신성 고혈압 자동 예측 프로그램, 조기양막파열 자동 예측 프로그램, 조기진통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임신성 당뇨 자동 예측프로그램, 자궁경관 무력증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자궁내 태아 성장 지연 자동 예측프로그램, 전치태반 자동 예측 프로그램, 태반 조기박리 자동 예측프로그램 또는 산후 출혈 자동 예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은 상기 수신한 임산부의 개인정보 및 고위험 임신 선별검사지 작성 결과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0, 1, 또는 2로 수치화 한 후 상기 수치에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를 곱하여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발병요인을 모두 합한다. 상기 합하여 계산된 수치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변수(x)이며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변수(x)는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산출된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에 있어서 전체 합병증 임신 질환 중 어느 하나라도 50%를 초과하면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하여 고위험임산부리스트에 등록하고 전체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확률이 50%이하이면 정상임산부로 선별하여 정상임산부리스트에 등록한다. 상기 고위험임산부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들에게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정상임산부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들에게는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는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입력하여 유지하며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한 후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여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고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를 장치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410);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부(420);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고;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는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432), 및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임산부 등록부(433)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부(430);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110-3)는 산부인과의 단말기이며 상기 단말기는 산부인과에 수행한 임산부에 대한 임신증독증 혈액검사결과, 임신 초음파 검사결과, 현재 임신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개인용 단말기이다. 상기 개인용 단말기는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에 상기 입력된 결과를 송신한다. 상기 단말기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PDA,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이동통신 단말 등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110-3)는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여 임산부에 대한 관리정보를 산부인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400)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400)는 통신부(410), 데이터베이스부(420), 정보관리부(430),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정산 임산부 관리부(450), 및 출산관리부(460) 및 정상 임산부 관리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통신부(41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통신 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수신부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와 전송부는 정보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는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400)에 입력된 정보들을 보관하고 정보의 분석을 위한 합병증 임신 질환별 기준 데이터(데이터 1), 합병증 임신 질환별 상수 데이터(데이터 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프로그램(프로그램 1)을 보관하고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은 상기 정보관리부(430)에서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분류하고 저장한다.
상기 정보관리부(430)는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 임산부 선별부(432) 및 임산부 등록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으로부터 수신한 임산부의 정보 및 검사결과를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에서 임산부 및 질병요인별로 분류하여 입력하고 임산부 선별부(432)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로부터 합병증 임신 질환별 기준 데이터(데이터 1)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상수 데이터(데이터 2)를 각각의 질병에 따라 추출한 후 이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프로그램(프로그램 1)이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서 임산부를 선별한다. 상기 임산부 선별부는 발병요인 분석부,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 산출부,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병요인 분석부는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의 발병요인 검사 결과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수치화하며,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 산출부는 상기 수치화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의 검사결과에 대해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고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의 수식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는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선별된 임산부는 임산부 등록부(433)에서 고위험 임산부와 정상임산부로 등록한다. 상기 임산부 등록부(432)는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임산부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한다. 상기 임산부 등록부에서 작성된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임산부 리스트는 각각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및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에서 고위험 임산부의 집중관리 서비스 및 정상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을 위한 관리 서비스에 활용된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는 맞춤형 의료기 관리부(441) 및 고위험 임신관리앱 관리부(442) 및 24시간 긴급 의료 서비스부(4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상 임산부 관리부는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 임산부 선별부(452), 및 임산부 등록부(453)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는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들에게 맞춤형 의료기를 무료로 대여하고 이를 관리한다. 상기 맞춤형 의료기는 혈당측정기(320), 태아심음측정기(330) 및 혈압측정기(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위험 임신관리 앱 관리부(442)는 상기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에서 고위험 임산부에게 무료로 대여한 의료비로부터 측정된 검사결과 값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110-2)에 입력되고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장치(120)의 통신부(410)로 수신되면 이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하고 상기 결과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0-3)에 송신하여 산부인과에서 상기 결과값들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산부인과의 판독결과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0-3)을 통해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로 수신되면 상기 결과를 임산부별로 분류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저장 한 후 상기 판독 결과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110-2)의 고위험 임신 관리 앱(310)에 송신한다.
24시간 긴급의료 서비스부(443)은 고위험 임산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110-2)의 고위험 임신 관리 앱(310)을 통해 긴급의료 서비스 신청을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로 송신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0-3) 또는 산부인과의 무선 또는 유선 전화로 직접 연결시켜주어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은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 임산부 선별부(452) 및 임산부 등록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는 주기적인 임신 혈액검사 및 임신 초음파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검사결과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부(420)의 합병증 임신 질환별 기준 데이터(데이터 1)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상수 데이터(데이터 2)를 각각의 질병에 따라 추출한 후 이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프로그램(프로그램 1)이용하여 비교분석함으로서 정상 임산부가 고위험 임산부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선별과정은 3차례에 걸쳐 수행되며 3차의 선별과정 중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되면 고위험 임산부 관리부(440)로 등록되어 고위험 임산부로서 집중관리를 받게 된다.
상기 관리를 통해 출산시기가 도래한 임산부들은 출산관리부(460)을 통해 가장 가까운 병원정보 및 응급분만 대비 의료서비스 지원을 받게 되므로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 받게 된다. 상기 출산관리부(460)는 추가적으로 출산한 산모 및 아기의 건강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입력하여 저장하므로 추후 산모와 아기의 건강관리에 활용한다.
2)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분만 취약지 임산부에게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및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임산부가 소재지에서 가까운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 1)에 방문하여 임산부 개인정보와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를 작성한다(220).
상기 임산부 개인정보는 산모기본정보로서 이름,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키, 임신후 체중, 임신전 체중, BMI지수, 국적, 또는 이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또는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작성된 개인정보와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는 클라이언트 1의 단말기(110-1)에 입력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단말기(110-1)는 안전한 출산 환경제공장치(120)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정보와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제공장치(120)에 입력한다(210).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제공장치(120)는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1)에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 기준데이터(데이터 1, 211), 합병증 임신질환 발병요인 상수데이터(데이터 2, 212) 및 합병증 임신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211, 212). 상기 데이터 1(211)은 산부인과 학회에 제시된 발병요인에 따른 합병증 임신질환 발병률을 조사하고 상기 발병률을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발병률이 90%를 초과하는 기준, 발병률이 50% 이상 90%미만인 기준, 발병률이 50% 미만인 기준으로 분류한다.
상기 입력된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의 값이 발병률 90%를 초과하는 기준이면 2의 기준값을 주고, 상기 입력된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의 값이 발병률 50% 이상 90%미만인 기준이면 1의 기준값을 주고, 상기 입력된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의 값이 발병률 50% 미만인 기준이면 0의 기준값을 준다(표 1 참조).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주기가 14주 또는 28주 내지 36주인 임산부는 상기 임신주기에 소재지에서 가까운 산부인과(클라이언트 3)를 방문하여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클라이언트3에게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110-3)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3은 상기 임신주기의 임산부에 대하여 내과적 질환검사 및 산부인과적 질환검사를 직접 수행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산기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110-3)의 메모리에 저장 할 수 도 있다(280).
상기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3은 임신 14주인 임산부와 임신 28주 내지 36주인 임산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임신 14주 임산부에 대한 데이터3은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또는 Rh-혈액형정보를 포함하며 임신 28주 내지 36주인 임산부에 대한 데이터3은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Rh-혈액형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다태임신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또는 전치태반정보를 포함한다. 임신 14주에 비해 임신 28주 내지 36주에 대한 데이터3의 정보량이 더 많은 이유는 출산이 가까워질수록 태아에 대한 검사결과가 축적되므로 이를 적절히 반영하여 임신 위험도의 예측을 더 정확히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데이터4 및 데이터5는 임신주기에 걸쳐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4는 간질, 심부전, 만성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질환, 폐질환, 정신과적 문제, 및 혈전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난소 종양, 클라미디아, 다낭성 난포 증후군, 마이코플라즈마, 자궁 근종, 유리아플라즈마, 자궁 선근증, 자궁기형, 자궁 내막증, 매독, 및 질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된 데이터3, 4 내지 5에 포함된 정보는 임산부의 질환여부 및 태아의 이상여부에 대한 정보들이다. 따라서 각각의 데이터에서 상기 정보가 하나라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준값 1을 주고 전혀 없으면 기준값 0을 준다(표 1 참조).
기준데이터
(변수)
기준데이터명
(변수명)
기준값
2 1 0
연령 s1_hage 1 vs 0 - 35세이상 35세미만
체질량지수 s1_hbmi 1 vs 0 - 30이상 30미만
출신국가 s1_hnation 1 vs 0 - 외국인 내국인
산모교육수준 s1_medu 0 vs 1 - 중졸이하 고졸이상
산모직업 s1_moccp 1 vs 0 - 있음 없음
임신방법 s1_pmethod 0 vs 1 - 그외 자연임신
임신중출혈 s1_bleeding 1 vs 0 - 있음 없음
수술기왕력 s1_oppast_yn 1 vs 0 - 있음 없음
가족력 s1_family 1 vs 0 - 있음 없음
알레르기 s1_allergy 1 vs 0 - 있음 없음
흡연 s1_smoking 1 vs 0 임신중 흡연 임신전 흡연 임신중 비흡연
음주 s1_drinking 1 vs 0 임신중 음주 임신전 음주 임신중 비음주
수면시간 s1_sleep 1 vs 0 - 7시간미만 7시간이상
약물복용 s1_taking 1 vs 0 - 비타민섭취 섭취안함
과거임신정보 s2_past_pregnanacy 1 vs 0 - 있음 없음
내과적 질환정보
(임신14주)
s2_im 1 vs 0 - 있음 없음
산부인과적 질환정보(임신 14주) s2_obgy 1 vs 0 - 있음 없음
현재임신정보
(임신14주)
s2_npregg 1 vs 0 - 있음 없음
내과적 질환정보
(임신28 내지 36주)
s4_im 1 vs 0 - 있음 없음
산부인과적 질환정보(임신28 내지 36주) s4_obgy 1 vs 0 - 있음 없음
현재임신정보
(임신28 내지 36주)
s4_npregg 1 vs 0 - 있음 없음
상기 임산부의 연령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연령이 35세 이상이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연령이 35세 미만이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체질량지수가 30이상이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체질량지수가 30미만이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는 본 발명자들의 자체 연구결과에 따른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외국인이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가 내국인이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는 본 발명자들의 자체 연구결과에 따른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가 중졸이하이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가 고졸이상이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직업정보는 본 발명자들의 자체 연구결과에 따른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직업이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가 직업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는 종래의 선행연구자료들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임신방법이 자연임신이 아니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임신방법이 자연임신이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이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이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이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의 알레르기가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의 알레르기가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흡연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임신중 흡연한 사실이 있으면 기준값 2를 주고, 임산부가 임신전 흡연한 사실이 있으면 기준값 1를 주고, 임산부가 흡연한 경력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음주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임신중 음주한 사실이 있으면 기준값 2를 주고, 임산부가 임신전 음주한 사실이 있으면 기준값 1를 주고, 임산부가 음주한 경력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는 대한산부인과학회의 고위험 산모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과거 임신한 사실이 있으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가 과거 임신한 사실이 없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는 종래의 선행연구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7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하면 기준값 1을 주고, 임산부가 7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하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는 임신 기간중에 엽산제 및 철분약을 제외한 약물을 복용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연구자의 자체 연구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임산부가 임신 중 약물 복용을 하였으면 기준값을 1을 주고, 임산부가 약물 복용을 하지 않았으며 기준값을 0을 주었다.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는 간질, 심부전, 만성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질환, 폐질환, 정신과적 문제, 및 혈전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심각한 임신성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출산시 위험도가 상승시키고 태아의 건강상태가 심각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기준값 1을 주고 하나도 해당하지 않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는 난소 종양, 클라미디아, 다낭성 난포 증후군, 마이코플라즈마, 자궁 근종, 유리아플라즈마, 자궁 선근증, 자궁기형, 자궁 내막증, 매독, 및 질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심각한 임신성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출산시 위험도가 상승시키고 태아의 건강상태가 심각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기준값 1을 주고 하나도 해당하지 않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신 14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또는 Rh-혈액형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심각한 임신성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출산시 위험도가 상승시키고 태아의 건강상태가 심각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기준값 1을 주고 하나도 해당하지 않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Rh-혈액형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다태임신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또는 전치태반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심각한 임신성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출산시 위험도가 상승시키고 태아의 건강상태가 심각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기준값 1을 주고 하나도 해당하지 않으면 기준값 0을 주었다.
상기 데이터 2(212)는 강원도 화천군, 강원도 홍천군, 강원도 양구군에 거주하는 분만 취약지의 임산부 884명에 대한 합병증 임신질환 발병률을 조사하고 상기 발병률을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합병증 임신질환에 따른 각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의 중요도를 가중치의 형식으로 정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질환은 전자간증, 자간증, 임신성 고혈압, 조기양막파열, 조기진통, 임신성 당뇨, 자궁경관 무력증, 자궁내 태아 성장 지연,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또는 산후 출혈을 포함하며 상기 합병증 임신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은 각각의 질환에 대한 자동 예측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전자간증에 대한 합병증 임신질환별 발병요인별 가중치는 하기 표 2, 3 및 4에 기재되어 있다.
연령 체질량지수 출신 국가 교육 수준 직업 임신 방법 임신중 출혈 수술기왕력
전자간증 -0.901 6.180 0.472 4.884 1.033 -6.156 6.168 -6.141
자간증 -0.728 -0.479 -1.853 1.654 -1.417 -0.561 4.083 4.326
임신성 고혈압 0.258 1.165 5.299 -0.531 -0.659 0.426 -0.452 0.211
조기양막파열 0.208 0.245 -0.304 0.057 -0.085 0.407 0.277 0.052
조기진통 -0.348 -0.299 -0.072 -0.027 -0.160 -6.238 0.349 -0.171
임신성 당뇨 0.649 0.440 5.432 -0.021 -0.167 0.228 -5.636 0.380
자궁경관 무력증 -0.477 0.827 5.290 0.132 -0.203 0.972 -5.130 0.305
자궁내 태아성장 지연 -0.254 0.091 5.440 -0.259 0.513 -5.604 0.488 -0.558
전치태반 0.385 -5.314 5.357 0.252 -0.166 -5.171 -5.244 -0.525
태반 조기박리 -3.646 1.479 -0.052 -4.367 0.299 -3.899 -3.608 5.151
산후 출혈 -0.023 -0.248 -0.213 0.387 0.179 -0.182 0.389 0.317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 알레르기 흡연 음주 수면 시간 약물복용 과거 임신력
전자간증 -0.787 0.105 -1.562 1.250 -0.412 0.674 -0.968
자간증 -0.975 -0.216 -0.532 3.997 3.446 -0.110 -3.206
임신성 고혈압 -0.236 0.049 0.410 0.324 -0.496 0.971 0.322
조기양막파열 0.224 0.220 0.111 0.176 -0.061 -0.101 0.165
조기진통 0.010 0.399 -6.364 0.041 -0.113 -0.204 0.577
임신성 당뇨 0.426 -5.586 0.073 0.138 -0.124 0.540 0.358
자궁경관 무력증 -0.772 0.828 -0.111 0.233 0.387 0.172 -5.177
자궁내 태아 성장 지연 0.064 0.006 0.869 0.130 -0.077 -0.479 1.043
전치태반 0.220 0.279 0.424 0.329 -0.013 -5.237 0.241
태반 조기박리 -4.921 -3.934 -4.294 4.911 0.049 -3.411 -3.524
산후 출혈 -0.075 0.290 0.273 -0.521 -0.526 0.324 0.265
현재임신정보
(임신14주)
내과적 질환정보
(임신14주)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임신14주)
현재임신정보
(임신28 내지 36주)
내과적 질환정보
(임신28 내지 36주)
산부인과적 질환정보
(임신28 내지 36주)
전자간증 6.633 -4.974 -4.995 5.776 -4.551 -4.267
임신성 고혈압 0.142 0.935 -5.896 -0.339 0.297 -5.649
조기양막파열 0.516 0.184 0.137 0.306 -0.036 0.343
조기진통 -0.151 0.220 0.578 0.484 0.123 0.130
임신성 당뇨 -5.961 0.589 0.082 -5.981 0.579 0.406
자궁경관 무력증 0.288 0.343 0.072 -4.269 -4.561 5.805
자궁내 태아 성장 지연 -0.055 -6.115 0.440 0.739 0.423 -0.012
전치태반 -5.249 -5.430 1.026 7.319 0.412 0.155
태반 조기박리 -4.296 -4.093 -4.487 -4.959 -4.520 -4.944
산후 출혈 -5.943 -5.850 -0.519 -0.201 -5.492 -0.162
분만 취약지 임산부에게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표 1, 2, 및 3에 제시된 기준값과 상수값을 곱하여 각 발병요인에 대한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고 상기 발병확률(x)를 발병확률 계산식, 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각 합병증 임신질환의 발병확률을 산출한다(230).
상기 모든 합병증 임신질환에 대하여 하나라도 50%이상의 발병확률을 보이는 임산부는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230)하고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기재(241)하여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서비스를 제공(240)한다. 상기 모든 합병증 임신질환의 발병확률이 50% 미만인 임산부는 정상 임산부로 선별(230)하여 정상임산부 리스트에 기재(251)하고 안전한 출산 관리서비스를 제공(250)한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서비스(240)는 합병증 임신 예방 및 위험 조기 경보 서비스(243),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을 통한 24시간 의료인 상담 서비스(244), 및 응급 분만 발생 시 사전상담을 통한 24시간 의료 준비 서비스(245)를 포함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예방 및 위험 조기 경보 서비스(243)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 및 정기적인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서비스된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에게 무료 대여된 혈당측정기(320), 태아심음측정기(330), 및 혈압측정기(340)로부터 측정된 임산부의 측정결과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에 직접 입력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은 상기 입력된 결과를 무선통신을 통해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에 송신하게 되고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는 상기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0-3) 송신하여 산부인과의 전문의료인에 의해 합병증 임신 위험정도가 판단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위험정도가 증가하거나 합병증 임신이 의심되면 상기 산부인과는 상기 고위험 임산부에게 연락을 취하여 합병증 임신 위험정도를 통지하고 산부인과 진료를 받도록 유도한다. 상기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을 통한 24시간 의료인 상담 서비스(244)는 고위험 임산부가 자신의 몸이나 태아에 이상을 느낄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의 실시간 응답상담 메뉴를 선택하여 24시간 및 실시간으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응급 분만 발생 시 사전상담을 통한 24시간 의료 준비 서비스(245)는 응급분만 상황에 처한 고위험 임산부를 위하여 24시간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돕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고위험 임산부가 응급 분만의 상황에 처했을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의 119연결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2의 임신 관리 모바일 앱(310)은 119 상황실 및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에 상기 고위험 임산부의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의 정보를 수신한 119상황실은 상기 고위험 임산부의 정보에 기반한 응급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 고위험 임산부의 정보를 수신한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는 상기 정보를 산부인과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산부인과는 24시간 응급분만이 가능하도록 의료서비스를 준비(245)하여 이를 고위험 임산부에게 제공하여 안전한 출산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260)한다.
상기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250)는 정상 임산부에게 정기적인 고위험 임산부 선별 검사 서비스(253, 254, 255)를 제공하고 검사결과,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되면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241)하여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24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상임산부로 등록된 임산부에 대하여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출원특허 10-2017-0036708에는 상기 정상 임산부로 선별되어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251)된 임산부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 3)에서 임신 14주, 임신18 내지 22주, 및 임신 28 내지 36중에 임신관련검사를 수행하여 현재임신정보와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 1)을 이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발병확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로 다시 선별하는 과정(253)을 수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출원특허 10-2017-0036708에는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에 대한 정확한 기준, 임신관련검사결과의 수치화를 통한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을 이용한 발병확률의 산출방법에 관련하여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한국출원특허 10-2017-0036708에서 언급한 선별된 정상임산부에 대한 재선별 단계에 대한 발명이며 이에 대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한다.
먼저 임산부에 대하여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초기 임신성 질환 발병률에 따른 고위험 임산부와 정상 임산부를 선별한다.
상기 선별과정은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하는 단계;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110-1)가 임산부에 대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110-1)가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는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로부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통해 예측된 발병률이 50%를 초과하면 고위험임산부로 선별하고 50%이하이면 정상임산부로 선별한다.또한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 또는 과거임신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의 발병요인에 대한 결과를 데이터1과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수치화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의 각 결과에 대해 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는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250)를 제공받으면서 임신주기(14주 또는 28주 내지 36주)에 따라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내과적 질환정보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를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에게 제공하며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는 상기 정상임산부로부터 제공받은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에 전달되고 상기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한다.
상기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며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는 상기 산출된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결과를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등록부(433)에 전달한다.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데이터1과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에 대해 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임산부 등록부(433)가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거나 상기 선별된 정상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시키며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 관리부(44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정상으로 선별되어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250)가 제공되는 임산부는 임신 18-22주 사이에 임신 초음파 검사(272)를 수행한다. 상기 임신 초음파 검사결과는 수치화된 도플러 이상소견 결과 및 자궁경관길이 감소 결과로 변환되고 합병증 임신질환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합병증 임신질환의 발병확률변수 및 발병확률을 산출함으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254)에 사용된다.
상기 임신 초음파 검사결과를 이용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254)결과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되면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241)되고 임신 주수에 맞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임신 초음파 검사결과를 이용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254)결과 정상임산부로 선별되면 계속적인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250)를 제공한다.
상기 정상으로 선별되어 안전한 출산관리 서비스(250)가 제공되는 임산부는 임신 28-36주 사이에 임신중독등 혈액검사, 임신초음파검사를 수행하고 현재 임신정보를 작성(272)한다. 상기 임신 28-36주 사이에 수행한 임신중독증 혈액검사결과, 임신초음파 검사결과 및 임신정보(271)는 각각 수치화된 내과력, 산부인과력 및 현재임신정보로 변환되고 각각의 합병증 임신질환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발병확률변수 및 발병확률을 산출을 산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발병확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여부를 판단하고 고위험 임산부로 선별되면 상기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241)되고 임신 주수에 맞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서비스(250)를 제공한다.
적용예
1) 분만취약지 거주 고위험 산모의 조기 발굴로 인한 의료진 및 산모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
강원도는 대표적인 분만 취약지로 화천군과 양구군, 홍천군은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가 아예 없어서 고위험 산모들이 치료 받지 못하는 비율은 동 지역은 1.7%, 읍면 지역의 산모들은 6.7%로 약 4배에 달했다. 부족한 분만 인프라는 고위험 산모의 안전과 직결되어서 2013년도에는 강원도의 모성 사망율은 전국 평균의 2배, 수도권의 약 4배를 차지하고 있다.
분만취약지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위험 산모의 진단, 치료 응급 이송의 애로 사항 등으로 인한 의료 분쟁의 우려 때문에 산부인과 전문의의 분만 취약지 근무 기피는 심화되었다.
이에 강원도에서는 강원대학교병원과 화천군, 양구군, 홍천군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지역 내 고위험 산모를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인 HWANGS를 이용하여 발굴하고, 고위험 산모에게는 직접적인 예방 교육을 시키고 관내 협력 산부인과 병원에 근무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들에게는 고위험 산모가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강원대학교병원으로 안전한 이송 수단을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개군에 산부인과 전문의 충원이 이루어졌으며 고위험 산모에게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2. 선별 검사에서 임신중독증으로 선별된 산모 A의 사례
의정부시에 거주하다 남편 직장으로 화천에 이주한 산모 A씨는 10년만에 가진 둘 때 임신에 매우 기뻤지만 의정부와는 다르게 근처에 산부인과 병원이 없어서 춘천까지 1시간 동안 이동을 해서 가는데 매우 불편했다. 그리고 기다리던 아이였고, 첫 번째 출산을 한 경험이 있어서 본인은 정상 임산부라고 여기고 병원을 잘 방문하지 않았다.
임신 초에 보건소에 방문하여 시행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인 HWANGS에서 임신 중독증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을 들었지만 개의치 않고 있었다.
다만 꾸준한 선별 검사 결과를 통보받고 교육 문자 및 안내 문자를 규칙적으로 받아서 마음 한 구석에는 임신 중독증을 걱정이 드는 마음은 있었다. 화천 집에 있던 어느날 갑자기 심해진 두통으로 야간 응급 상담을 통해서 근처 산부인과 병원을 방문을 권유받고 임신 중독증 초기라는 말에 즉시 강원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입원 치료를 받았다.
평상시 HWANGS의 선별검사 결과 임신 중독증의 고위험군이라는 말에 몸에 이상이 있을 때 즉시 근처 협력병원을 방문하여 임신중독증을 빨리 진단받고 치료하여 10년만의 귀중한 아이와 산모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3. HWANGS에서 조기진통 및 임신성 당뇨 고위험 군으로 선별 검사된 산모 B 씨 사례
홍천군 물길리에 거주하는 산모 B씨는 늦은 나이에 가진 임신이 매우 불안하였다. 특히 남편이 일을 하러나가는 경우에는 홍천읍이나 춘천으로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 힘들게 이동하여 방문한 산부인과 선생님들은 바빠서 친절한 설명을 기대할 수 없어서 본인의 임신 상태에 매우 걱정이 많이 되었다.
임신 및 육아 지원 상담을 위하여 방문한 보건소에서 시행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인 HWANGS의 1차 선별검사에서 조기진통 및 임신성 당뇨의 발생 위험이 높은 고위험 군으로 통보가 되어서 걱정 가득하였다.
하지만 홍천군 보건소 및 강원대학교 병원, 다니는 춘천의 협력 산부인과에서는 HWANGS의 정확성과 응급 상황 발생시 이송 체계 구축을 설명해 주었다.
춘천의 협력 산부인과에서 2차, 3차, 4차 검사를 진행하며 선별검사에서 예측한 대로 임신성 당뇨와 조기진통이 발생하여 즉시 강원대학교병원으로 응급 이송 후 34주에 조산으로 안전하게 출산을 하였다.
산모 B씨의 출산으로 인하여 홍천군 물길리에서는 10년만에 아이가 태어나는 경사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적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하는 제 1 단계;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단계;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110-3)가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검사결과 입력부(451)는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산출된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결과를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의 임산부 등록부(433)에 전달하는 제5단계;
    상기 임산부 등록부(433)가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거나 상기 선별된 정상 임산부를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시키는 제6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고위험 임산부 집중 관리부(44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가 상기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유지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한 정상임산부의 선별은,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가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안전 출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1)에 유지하는 제8단계;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110-1)가 임산부에 대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9단계;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110-1)가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에 전달하고 상기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는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에 저장하는 제10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의 정보관리부(430)의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로부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제1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위험 임산부 또는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제12단계는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가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통해 예측된 발병률이 50%를 초과하면 고위험임산부로 선별하고 50%이하이면 정상임산부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 또는 과거임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11단계는,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설문결과의 발병요인에 대한 결과를 데이터1과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제11-1단계;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수치화된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의 각 결과에 대해 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는 제11-2단계; 및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11-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요인인 임산부의 연령정보,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정보, 임산부의 출신국가정보, 임산부의 교육수준정보, 임산부의 직업정보, 임산부의 임신방법정보, 임산부의 임신중 출혈정보, 임산부의 수술기왕력정보, 임산부의 임신질환에 대한 가족력정보, 임산부의 알레르기정보, 임산부의 흡연정보, 임산부의 음주정보, 임산부의 과거임신력정보, 임산부의 수면시간정보, 임산부의 약물복용정보,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 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전치태반정보, Rh-혈액형정보, 간질정보, 심부전정보, 만성고혈압정보, 당뇨병정보, 신장 질화정보, 갑상선 질환정보, 자가면역질환정보, 폐질환정보, 정신과적 문제정보, 혈전증정보, 난소종양정보, 클라미디아정보, 다낭성 난포 증후군정보, 마이코플라즈마정보, 자궁 선근증정보, 자궁기형정보, 자궁 내막증정보, 매독정보 또는 질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는 합병증 임신 질환의 발병확률에 대한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의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은 전자간증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자간증 자동 예측프로그램, 임신성 고혈압 자동 예측 프로그램, 조기양막파열 자동 예측 프로그램, 조기진통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임신성 당뇨 자동 예측프로그램, 자궁경관 무력증 자동 예측 프로그램, 자궁내 태아 성장 지연 자동 예측프로그램, 전치태반 자동 예측 프로그램, 태반 조기박리 자동 예측프로그램 또는 산후 출혈 자동 예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 14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다태임신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태아기형정보, 또는 Rh-혈액형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에 대한 현재임신정보는 빈혈정보, 방광염정보, 신우신염정보, 바이러스성 질환 감염정보, 임신성 당뇨정보, 색전증정보, Rh-혈액형정보, 전자간증정보, 자간증정보, 조기진통정보, 자궁경관무력증정보, 조기양막파수정보, 임신성고혈압정보, 다태임신정보, 비정상태위정보, 거대아정보, 자궁내성장제한정보, 태아부정맥정보, 태아기형정보, 양수과다증정보, 양수과소증정보, 웅모양막염정보, 20주 이후 질출혈정보, 또는 전치태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는 간질, 심부전, 만성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자가면역질환, 폐질환, 정신과적 문제, 및 혈전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임산부에 대한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는 난소 종양, 클라미디아, 다낭성 난포 증후군, 마이코플라즈마, 자궁 근종, 유리아플라즈마, 자궁 선근증, 자궁기형, 자궁 내막증, 매독, 및 질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단계는,
    상기 임산부선별부(432)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데이터1과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제4-1단계;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에 대해 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는 제4-2단계; 및
    상기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장치(120)가 상기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는 제4-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14.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410);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부(420);
    상기 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고; 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데이터3, 데이터4 및 데이터5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입력하는 임산부 정보 및 검사결과 입력부(431),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하고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산부 선별부(432), 및 상기 선별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는 임산부 등록부(433)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부(430);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부(440);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상 임산부 관리부(4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는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선별부(432)는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및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와 비교하여 수치화하는 발병요인 분석부(432-1);
    상기 수치화된 상기 데이터3, 4, 및 5에 대해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를 도입하고 이를 합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확률변수(x)를 산출하고 상기 발병확률변수(x)를 계산수식(발병확률=(ex/(1+ex)))의 수식에 대입하여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률을 산출하는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 산출부(432-2); 및
    상기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는 임신위험도 판단부(43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17.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기준 데이터(데이터1), 합병증 임신 질환별 발병요인 상수 데이터(데이터2) 및 합병증 임신 질환별 자동 예측 프로그램(프로그램1)을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유지하고 보건소 또는 보건의료원(클라이언트1)의 디바이스, 임산부(클라이언트2)의 디바이스 또는 산부인과(클라이언트3)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20)에 입력하여 유지하며 상기 데이터1, 데이터2, 데이터3, 데이터4, 데이터5 및 프로그램1을 이용하여 상기 정상임산부의 합병증 임신 질환 발병률을 산출한 후 상기 발병률을 기반으로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를 선별하여 각각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 및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하고 고위험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는 고위험 임산부 집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상 임산부 리스트에 등록된 임산부에게 안전 출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임산부의 신상정보 및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지 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1의 디바이스;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 및
    임신 14주차 또는 임신 28 내지 36주차인 정상임산부의 현재임신정보(데이터3), 내과적 질환정보(데이터4), 산부인과적 질환정보(데이터5)를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는 상기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2의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고위험 임신 관리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고위험 임산부 및 정상 임산부 선별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별결과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3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에 의하여 정상임산부로 선별된 임산부에 대한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140030A 2017-10-26 2017-10-26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35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0A KR101835471B1 (ko) 2017-10-26 2017-10-26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0A KR101835471B1 (ko) 2017-10-26 2017-10-26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471B1 true KR101835471B1 (ko) 2018-03-08

Family

ID=6172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30A KR101835471B1 (ko) 2017-10-26 2017-10-26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4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0320A (zh) * 2018-05-10 2018-10-09 北京大学 一种基于医保大数据测算疾病患病率的方法
KR102275150B1 (ko)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31183A (ko) 2020-04-23 2021-11-02 양동진 지원사업 연계 비즈니스 방법
WO2022131544A1 (ko) * 2020-12-16 2022-06-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위험 임신성 당뇨병 예측모델 설계 방법 및 장치
KR20230072526A (ko) 2021-11-16 2023-05-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모의 자연분만 가능성 산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7352170A (zh) * 2023-10-07 2024-01-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社区产妇产科信息分析方法及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0320A (zh) * 2018-05-10 2018-10-09 北京大学 一种基于医保大数据测算疾病患病率的方法
CN108630320B (zh) * 2018-05-10 2021-07-09 北京大学 一种基于医保大数据测算疾病患病率的方法
KR20210131183A (ko) 2020-04-23 2021-11-02 양동진 지원사업 연계 비즈니스 방법
WO2022131544A1 (ko) * 2020-12-16 2022-06-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위험 임신성 당뇨병 예측모델 설계 방법 및 장치
KR102275150B1 (ko) 2021-01-26 2021-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제공을 위한 응급 산모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72526A (ko) 2021-11-16 2023-05-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모의 자연분만 가능성 산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7352170A (zh) * 2023-10-07 2024-01-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社区产妇产科信息分析方法及系统
CN117352170B (zh) * 2023-10-07 2024-04-0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社区产妇产科信息分析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471B1 (ko)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임신주기별 고위험 임산부 선별검사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lanson et al. Causes of perinatal mortality and associated maternal complications in a South African province: challenges in predicting poor outcomes
Stanton et al. Global maternal and child health outcomes: the role of obstetric ultrasound in low resource settings
Sugiura-Ogasawara et al. Does surgery improve live birth rates in patients with recurrent miscarriage caused by uterine anomalies?
Ip et al. A case–control study of preterm delivery risk factors according to clinical subtypes and severity
Okereke et al. Evaluation of some anthropometric indices for the diagnosis of obesity in pregnancy in Nigeria: a cross-sectional study
Bahlmann et al. Cranial and cerebral signs in the diagnosis of spina bifida between 18 and 22 weeks of gestation: a German multicentre study
Kortekaas et al. Effects of induction of labour versus expectant management in women with impending post-term pregnancies: the 41 week–42 week dilemma
Saputri et al. Analysis of causes of maternal mortality in Sukabumi West Java
Bar‐Zeev et al. Use of maternal health services by remote dwelling Aboriginal women in northern Australia and their disease burden
Napolitano et al. Sensitivity of higher, lower and mean second‐trimester uterine artery Doppler resistance indices in screening for pre‐eclampsia
Habte et al. Determinants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mong pregnant women admitted to public hospitals in Southern Ethiopia, 2020: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Ma et al. Low incidence of maternal near-miss in Zhejiang, a developed Chinese province: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WHO approach
Lovelace Congenital uterine anomalies and uterine rupture
Chen et al. The impact of unicornuate uterus on perinatal outcomes after IVF/ICSI cycles: a match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KR101816538B1 (ko)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안전한 출산 환경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Andarge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re-eclampsia among pregnant women at antenatal booking in the Halaba Kullito General Hospital, Southern Ethiopia
Yang et al. Is ultrasound measured fetal biometry predictive of intrapartum caesarean section for failure to progress?
Honest et al. Accuracy of absence of fetal breathing movements in predicting preterm birth: a systematic review
Masina et al. Factors affecting vbac success at a tertiary level hospital in pretoria, south africa
Kilcullen et al. Stillbirth risks and rates for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women and their babies in North Queensland
RU2605809C1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перинатальной гибели плода
Gillor et al. Can assessing the angle of progression before labor onset assist to predict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A prospective cohort observational study
Mohammed-Ahmed et al. Magnitude and associated factors of stillbirth among women who gave birth at Hiwot Fana Specialized University Hospital, Harar, eastern Ethiopia
Meaney et al. Planned Home Births in Ireland: Annual Report 201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