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455B1 -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 Google Patents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455B1
KR101835455B1 KR1020170130146A KR20170130146A KR101835455B1 KR 101835455 B1 KR101835455 B1 KR 101835455B1 KR 1020170130146 A KR1020170130146 A KR 1020170130146A KR 20170130146 A KR20170130146 A KR 20170130146A KR 101835455 B1 KR101835455 B1 KR 10183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uning
acoustic
bridge
anomal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민
Original Assignee
조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민 filed Critical 조경민
Priority to KR102017013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를 이용하여 변칙튜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력이 형성된 다수의 기타줄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브릿지를 통해 바디 내부의 울림공간 내에서 증폭되어 사운드 홀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어쿠스틱 기타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기타줄의 진동에 영향을 주어 상기 사운드 홀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준튜닝에 의한 음향이 아닌, 변칙(變則)튜닝에 의한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변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An acoustic guitar}
본 발명은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를 이용하여 변칙튜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줄을 튕기면서 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른 악기에 비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타는 첼로나, 바이올린, 등과 같은 다른 현악기에 비하여 그 접근성이 용이하여 다른 현악기들에 비하여 비교적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기타는 크게 통기타, 어쿠스틱기타, 베이스기타, 클래식기타, 전기기타 등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특히, 어쿠스틱 기타나 통기타의 경우에는 크게 현(기타줄)에 의한 울림에 의하여 공명음이 발생되는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현을 이용하여 음계 및 화음 따른 코드를 잡을 수 있도록 현이 배치되는 네크(Neck)(20)와, 현에 대한 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네크의 단부에 접합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
또한, 통기타의 음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바디(10)는 그 특성상 가문비나무, 향나무 및 삼나무 등과 같이 곧은 결의 연질 목재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바디는 땅콩 형태의 측판(11)과, 이 측판의 상,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상판(12) 및 하판(13)으로 구성되며, 종래기술로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608559호나 국내등록실용 제20-0209908호 등이 많이 안출되어 있다.
종래의 기타들로는 현의 울림(음향)을 발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잦은 외력(튕김)을 가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음(표준코드)을 만들기 위해 현의 장력을 조절하는 튜닝(tuning)을 실시하게 되는데 기타의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근래에는 이러한 표준코드에 준하는 튜닝이 아닌, 사용자만의 독특한 음을 발하는 변칙튜닝이 성행하고 있다.
즉, 표준튜닝에 의한 코드인 미국식 E, A, D, G, B, E(미, 라, 레, 솔, 시, 미)가 아니라, [D, A, D, G, B, E]인 '드랍 D 튜닝', [D, A, D, F#, A, D]인 '오픈 D튜닝' 및 [D, A, D, G, A, D]인 '닷갓 튜닝' 등으로 변칙튜닝을 실시하여 색다른 음을 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칙튜닝으로 음반을 제작한 음악가로는 돈 로스(Don Ross), 오카자키 린텐(Okazaki Rynten), 코타로 오시오(Kotaro Oshio)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타는 변칙튜닝을 낼 수 있을 만한 구성으로 이루어진게 없어 기존 기타의 구성들로만 변칙튜닝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것으로,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는 장력이 형성된 다수의 기타줄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브릿지를 통해 바디 내부의 울림공간 내에서 증폭되어 사운드 홀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어쿠스틱 기타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기타줄의 진동에 영향을 주어 상기 사운드 홀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준튜닝에 의한 음향이 아닌, 변칙(變則)튜닝에 의한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변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변환수단은 제1변칙튜닝부재 또는 제2변칙튜닝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변칙튜닝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에 구비된 브릿지 핀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다수가 소정거리 이웃하게 빗살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변칙튜닝부재는 양측이 개방되되 내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중공부가 형성된 삽입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삽입관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나사는 상기 삽입관과 나사 결합한 이후에 상기 브릿지에 고정설치된 새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기타줄의 튕김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브릿지에 전달되되 상기 브릿지에 전달된 진동의 세기에 간섭을 주어 바디의 울림에 의해 사운드 홀로 파생되는 음향에 변칙적인 영향을 주는 제1변칙튜닝부재 또는 상기 제1변칙튜닝부재와 동일하게 브릿지에 전달되는 진동의 세기는 물론, 기타줄과 접촉하는 새들 외면의 가압을 통해 상기 사운드 홀로 파생되는 음향에 또 다른 변칙적인 영향을 주는 제2변칙튜닝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사용한 음향변환수단에 의해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를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독특한 변칙튜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의 제1변칙튜닝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의 제2변칙튜닝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 설명하는 기타란 기타줄, 브릿지, 사운드 홀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와 소정길이의 넥으로 연결되되 상기 기타줄의 장력을 조절하는 너트가 구비된 헤드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인 연결이 불가능한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acoustic guitar)를 예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가 흐려지지 않도록 통상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본 발명의 요부인 음향변환수단(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의 음향변환수단(1)은 통상의 기타로 표현이 가능한 표준튜닝(미(E),라(A),솔(D),레(G),시(B),미(E))가 아닌, 브릿지(11)에 형성된 삽입홈(13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변칙튜닝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변칙튜닝부재(100) 또는 제2변칙튜닝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변칙튜닝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및 돌기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브릿지(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여기서, 몸체(110)는 금속은 물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와 같이, 브릿지(11)에 삽입되어 기타줄(17)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3a)과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아울러 몸체(110) 외면 즉, 후술하는 돌기부(120)와 대칭되는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톱 등으로 삽입홈(13a)에 삽입된 몸체(11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3a)과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기타(10)를 사용시에 상기 삽입홈(13a)에 삽입된 몸체(11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돌기부(120)는 몸체(110) 일측에 다수 돌출형성되되 그 사이사이에 공간부(12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게 빗살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몸체(110)와 함께 삽입홈(13a)에 형상맞춤으로 삽입된다.
이때, 공간부(121)의 폭은 삽입홈(13a)에 삽입된 각각의 돌기부(120)가 기타줄(17)을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갖게 서로 이웃하게 브릿지(11)에 구비된 브릿지 핀(19)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돌기부(120)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기타줄(17)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브릿지(11)에 전달시에 서로 다른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정해지지 않은 변칙튜닝이 가능하여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10)를 이용하여 예상하지 못한 변칙튜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여 브릿지(11)에 전달되는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변칙튜닝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변칙튜닝부재(100)와 동일하게 브릿지(11)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기타줄(17)을 통해 브릿지(11) 또는 상기 브릿지(11)에 구비된 새들(15)에 전달되는 진동의 세기를 달리하여 변칙적인 튜닝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삽입관(210) 및 결합나사(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변칙튜닝부재(200)가 결합하는 브릿지(11)는 후술하는 삽입관(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형상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13b)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13b)은 상술한 삽입홈(13a)과 같이, 브릿지 핀(19)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브릿지(11)에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결합나사(220)가 새들(15)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변칙튜닝부재(200)는 브릿지(11) 또는 상기 브릿지(11)에 구비된 새들(15) 외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진동의 세기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함으로써, 새로운 변칙튜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삽입관(210)은 양측이 개방되되 내부에는 중공부(211)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갖는 통상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면에는 후술하는 결합나사(220)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삽입관(210) 외면에는 삽입공(13b) 내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미도시)와 서로 끼움 결합하여 삽입공(13b)에 삽입된 삽입관(210)의 중공부(211)에 결합나사(220)가 나사 결합시, 상기 삽입관(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홈(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나사(220)는 소정길이를 갖되 그 외면에는 중공부(211)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통상의 볼트(BOLT)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합나사(220)의 양단 길이는 삽입관(210)의 양단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나사(220)가 상기 삽입관(210)과 나사 결합한 이후에 새들(15) 외면과 면 접촉하여 기타줄(17)의 진동세기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나사(220)는 기타줄(17)과 면 접촉하는 새들(15) 외면에 직접적인 접촉을 실시하여 상기 기타줄(17)의 진동에 변화를 줌과 동시에 브릿지(11)에도 영향을 주어 바디 내부에서의 진폭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의 음향변환수단(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기타줄(17)의 튕김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브릿지(11)에 전달되되 상기 브릿지(11)에 전달된 진동의 세기에 간섭을 주어 바디의 울림에 의해 사운드 홀로 파생되는 음향에 변칙적인 영향을 주는 제1변칙튜닝부재(100) 또는 상기 제1변칙튜닝부재(100)와 동일하게 브릿지(11)에 전달되는 진동의 세기는 물론, 기타줄(17)과 접촉하는 새들(15) 외면의 가압을 통해 상기 사운드 홀로 파생되는 음향에 또 다른 변칙적인 영향을 주는 제2변칙튜닝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사용하여 통상의 어쿠스틱 기타를 이용하여 사용자만의 독특한 변칙튜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100: 제1변칙튜닝부재 110: 몸체
120: 돌기부 121: 공간부
200: 제2변칙튜닝부재 210: 삽입관
220: 결합나사 10: 기타
11: 브릿지 13a: 삽입홈
13b: 삽입공 15: 새들
17: 기타줄 19: 브릿지 핀

Claims (3)

  1. 장력이 형성된 다수의 기타줄(17)에서 전달되는 진동이 브릿지(11)를 통해 바디 내부의 울림공간 내에서 증폭되어 사운드 홀을 통해 음향이 출력되는 어쿠스틱 기타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1)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13a)이 서로 이격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13a)에는 상기 기타줄(17)의 진동에 영향을 주어 상기 사운드 홀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준튜닝에 의한 음향이 아닌, 변칙(變則)튜닝에 의한 음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변환수단(1)이 구비되되,
    상기 음향변환수단(1)은 제1변칙튜닝부재(1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변칙튜닝부재(1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13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브릿지(11)에 구비된 브릿지 핀(19)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다수가 소정거리 이웃하게 빗살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빗살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20)는 다른 돌기부(120)와 돌출된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70130146A 2017-10-11 2017-10-11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KR10183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146A KR101835455B1 (ko) 2017-10-11 2017-10-11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146A KR101835455B1 (ko) 2017-10-11 2017-10-11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455B1 true KR101835455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146A KR101835455B1 (ko) 2017-10-11 2017-10-11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4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9298A1 (en) * 1996-08-15 2003-02-13 Feiten Howard B.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providing tempered intonation for stringed, fretted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djustments to the rule of 18
JP2007279647A (ja) * 2006-04-10 2007-10-25 Mineo Harada コード演奏が可能なハープ及びハープ用コードバー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9298A1 (en) * 1996-08-15 2003-02-13 Feiten Howard B.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y adjusting and providing tempered intonation for stringed, fretted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djustments to the rule of 18
JP2007279647A (ja) * 2006-04-10 2007-10-25 Mineo Harada コード演奏が可能なハープ及びハープ用コードバー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252A (en) Acoustic arm
US7378582B2 (en) Stringed instrument nut and stringed instrument
US7863507B2 (en) Semi-hollow body for stringed instruments
WO2006071999A3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US7659464B1 (en)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953435A (en) Rear-access trussed neck construction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9472170B2 (en) Guitar
KR101835455B1 (ko) 변칙튜닝이 용이한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변환수단 구조
AU2007315930A1 (en) Chin-rest for a violin
US20140144307A1 (en) Guitar
KR20230029482A (ko) 현악기에서 종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새들 및 브리지
US20020162442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soundbox extension
US10311837B1 (en) Enhanced string instrument
US20150082966A1 (en) Compani Fingerboard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66049A (en) Violin.
US5883318A (en) Device for changing the timbre of a stringed instrument
US20110174133A1 (en) Headstock for Altering Tonal Quality of a Stringed Instrument
US3478631A (en) Curved finger board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210295804A1 (en) Accessory assembly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KR101543653B1 (ko) 전자 기타
US9984665B2 (en) Electrically amplified stringed instrument
CN111226273A (zh) 具有可将指板分成独立可分离片段的相互连接琴格的弦乐器
US1329594A (en) Violin
US11663995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translated strings with adjustable tension
US896790A (en) Viol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