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903B1 -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 Google Patents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903B1
KR101834903B1 KR1020170126674A KR20170126674A KR101834903B1 KR 101834903 B1 KR101834903 B1 KR 101834903B1 KR 1020170126674 A KR1020170126674 A KR 1020170126674A KR 20170126674 A KR20170126674 A KR 20170126674A KR 101834903 B1 KR101834903 B1 KR 10183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mage
coordinate
information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9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update system of error data in a digital map according to right position edit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error of a digital map of a previous version by recognizing an error of a collected image and automatically searching an error poi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gital map managing unit (100) which includes storage means such as a digital map DB (110), a block DB (120), a structure DB (130), and an image DB (190), a data management module (140) of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storage means, an error data recognizing module (170) of scanning and comparing an image of a previous version with an image of a new version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ing unit (300) and confirming error point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GPS coordinates, a search module (180) of searching a block image layer (M) corresponding to the error point coordinates through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50) of extracting data to generate a digital map image (MAP) by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site blocks and site structures collected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00),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160) of generating a block image layer (M) and a structure image layer (S) for producing and updating a digital map image (MAP) according to the extraction data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5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00) which collects GPS coordinates of corners of the site blocks and site structures and a measuring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rners.

Description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본 발명은 수집영상의 오류를 인식하고 상기 오류 지점을 자동 검색해서 이전 버전의 수치지도의 오류를 업데이트하는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error data in a digital map according to a precise position editing environment for recognizing an error in an acquired image and automatically searching for the error point and updating an error of a previous version of the digital map.

수치지도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고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A digital map means that digital terrain data obtained by surveying maps, aerial photographs, satellite images, etc. are interpreted and numerically edited to produce a digital map. Generally, the construction process of digital map is as follows.

먼저,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하여 수치지도의 형태의 도화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도화에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의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여,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First, digitization or scanning of a paper map is performed to generate an image of a digital map, and the converted image is converted into an actual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through coordinate conversion. Then, the attribute data is entered into the numerical map that establishes the topological structure for understanding the mutual position and association between the spatial objects. In this case, the attribute data includes various identifier information. For example, a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 feature of a digital map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feature, which is a single identifier indic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and other attribute information, is used to manage the feature, which is composed of the authority code, the leaf number, the feature identification code, It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to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for use or cross-reference between features.

그러나 전술한 절차로 생성된 수치지도의 도화이미지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의 판독을 통해 입력되므로,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했다.However, since the figure image of the digital map generated by the above procedure is input through reading of the aerial photograph and the satellite image,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feature figure of the drawing, and also the accuracy of the attribute data given to each feature There has been a difficult problem.

또한, 지형이 변하거나, 건축물의 신축과 철거 등이 빈번한 도심지 등의 수치지도에 변화를 빈번히 하므로, 이 또한 잦은 업데이트와 보정이 요구되었다.In addition, frequent updates and corrections were required because the terrain changed, and the numerical map of urban areas frequent such as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of buildings frequently changed.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075256호(2011.10.19 공고)Prior Art 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0-1075256 (published on October 19,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집영상으로부터 수치지도의 오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를 자동 검색해서 해당 블록에 대한 수정 및 업데이트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the error of a digital map from a collected im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error data in a digital map.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블록중심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수치지도DB(110);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중심좌표 정보와,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에 해당하는 현장 블록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블록코너좌표 정보와, 현장 블록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코너좌표와,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와 수치지도의 정위치 좌표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1벡터량 정보와, 상기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구조물중심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DB(120);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중심좌표 정보와, 상기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에 해당하는 현장 구조물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구조물코너좌표 정보와, 구조물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2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코너좌표와,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와 제1블록중심좌표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2벡터량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물DB(130); 수치지도DB(110)와 블록DB(120)와 구조물DB(130) 각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는 데이터 관리모듈(140); 영상수집기(30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 정보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상기 영상이미지 정보는 GPS좌표계(GPSC)에 합성되어 이루어지는 영상DB(190); 영상수집기(300)로부터 수신된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영상DB(190)에서 검색하고, 상기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스캔 비교해서 그래픽의 차이를 확인하고, 차이가 확인된 오류 지점의 GPS좌표에 해당하는 오차지점좌표 확인하는 오류데이터 인식모듈(170);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블록DB(120)에서 상기 오차지점좌표가 제1블록코너좌표(GP)의 범위에 있는 블록을 검색하고, 수치지도DB(110)에서 상기 블록의 블록 레이어 이미지(M)를 검색해 출력하는 검색모듈(180); 현장 블록에 대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 정보와 제1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를 연산해서 수치지도DB(110)에 저장하고, 현장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 정보와 제2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를 연산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고,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를 원점으로 하는 블록좌표계를 생성해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에 해당하는 제2블록코너좌표를 정의하며 블록DB(120)에 저장하고, 상기 GPS좌표계 대비 블록좌표계의 비율과 상기 제1실측거리정보 대비 제2실측거리정보에 맞춰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에 해당하는 제2구조물코너좌표를 산출하여 구조물DB(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1벡터량을 생성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며, 상기 제2벡터량을 생성해서 구조물DB(130)에 저장하는 위치정보 확인모듈(150); 상기 제1,2블록코너좌표 정보와 제1,2구조물코너좌표 정보에 따라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를 각각 작성하고,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를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 정보와 제1구조물중심좌표 정보 및 제1,2벡터량 정보에 따라 GPS 좌표계 기반으로 합성해서 수치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모듈(160);이 포함된 수치지도 관리기(100), 및A structure image layer, a block image layer, and a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center of gravity of the block image layer is defined as a coordinate value of a GPS coordinate system; Second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block image layer and GPS coordinate of at least three corners in the field block corresponding to the block image layer are position information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collected and formed by the collector 200 and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through a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rners of the spot block, A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 value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system and a first vector quantity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nd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and a true position coordinate of the digital map, A block DB (120) for storing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center of gravity of a structure image layer is defined as a coordinate value of a GPS coordinate system; A second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corresponding block image layer and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in a fiel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image layer are position information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collecting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or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corners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 value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and a second vector amount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nd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and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130); A data management module 140 for storing or retrieving information in the digital map DB 110, the block DB 120, and the structure DB 130, respectively; An image DB 190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or 300 by version, the image information being synthesized in a GPS coordinate system (GPSC); A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corresponding to the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collector 300 is searched in the video DB 190 and the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by scanning, An error data recognizing module 170 for identifying an error point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GPS coordinates of the error point at which the difference is confirmed; A block having the error point coordinates in the range of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s searched in the block DB 120 through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and the block layer image M) and outputting the search result; Calculate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on the basis of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situ block and stores the calculated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in the digital map DB 110 and stores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and a block coordinate system having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as the origin is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And stores the calculated coordinates in the block DB 120. The coordinates of the corner of the firs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oordinates of the firs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block coordinate system to the GPS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The second vector quantities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ructure DB 130. The second vector quantities are stored in the structure DB 130. The first vector quantities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Confirmation module 150; A block image layer and a structure image layer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block image layer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are divided in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An image processing module 160 for composing a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GPS coordinat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vector amount information,

상단부(212b)와 하단부(212a)가 서로 꺾여 이루어진 지지봉(212)과, 지지봉(2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손잡이(211)와, 지지봉(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안착링(213)과, 안착링(2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자기장을 일으키는 전자석(214)과, 손잡이(211)에 내설되며 전자석(214)과 통전하는 직류전원(215)과, 전자석(214)으로의 직류전류 인가와 직류전류의 통전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216)로 구성된 거치대(210); 안착링(213) 상에서 구르도록 안착되는 볼(221)과, 볼(221)로부터 상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넥(222)과, 넥(222)과 대칭하도록 하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바디(223)와, 무게중심이 하단에 위치하도록 바디(223)의 하단에 설치되는 중량체(224)로 구성된 스탠드(220); 넥(222)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이루며 안착링(213)과 대칭하도록 볼(2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마찰대(231)와, 마찰대(2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전자석(214)의 자기장 방향의 전환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극성이 상하로 배치된 영구자석(232)으로 구성된 캡(230); 라이다(242)와, 라이다(242)의 동작을 제어하며 표척과의 거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컨트롤러(241)와, 렌즈가 라이다(242)의 레이저광의 조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라이더(242) 상에 설치되는 망원체(243)로 구성된 계측기(240);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유체 저수가 가능한 용기 형상을 이루는 보울(251)과, 보울(251)에 저수된 유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며 상면에 과녁무늬가 형성된 타겟패널(252)과,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보울(251)을 덮어 폐구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253)로 구성된 기준대(250); 중량체(224)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260);가 포함된 위치정보 수집기(200)A support rod 212 having an upper end portion 212b and a lower end portion 212a bent to each other, a handle 211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 seat ring 213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n electromagnet 214 which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 ring 213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C power source 215 which is placed in the handle 211 and is energized with the electromagnet 214, A holder (210) composed of a direct current application and a switch (216) for switching the conduction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A ball 221 which is seated to roll on the seat ring 213, a neck 22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ll 221 to the upper end, a body 223 protruded to the lower en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neck 222, A stand 220 composed of a weight 22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23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 rubbing band 231 having a ring shape penetrating the neck 222 and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ll 22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eating ring 213 and an electromagnet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ubbing band 231, A cap 230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232 whose polarity is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permanent magnet 232; A controller 24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242 and sto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table chuck as data and a controller 2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ider 242 A meter 240 configured of a telescope 243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240; A bowl 251 having a curved inner surface and forming a container shape capable of fluid storage; a target panel 252 which floats horizontally on the fluid stored in the bowl 251 and has a target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ver 25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and covering the bowl 251; A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t 224 and including a laser 260 for emitting a laser beam,

를 포함하는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다.And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error data in a digital map according to a fixed-position editing environment.

상기의 본 발명은, 수집영상으로부터 수치지도의 오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를 자동 검색해서 해당 블록에 대한 수정 및 업데이트를 자동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the error of the digital map from the collected image, automatically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automatically correcting and updating the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수집영상에서 오류지점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별 수치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신규 구조물을 수치지도에 추가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업데이트한 수치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구조물별 블록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위치정보 수집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기준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망원체에 표척의 눈금이 보여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mage showing how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error point in an acquired image,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by-block digital map manag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automatic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ng a new structure to a digital map,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map updat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 map for each structure manag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of the automatic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reference fram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10 and 11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FIG. 12 is a view showing a scale of a mark of a mark on a telescop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FIG.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수집영상에서 오류지점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mage showing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an error point in an acquired image.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활용하여 현장 수집한 구조물 또는 블록 등의 관련 정보를 토대로, 수치지도 이미지(MAP)를 생성하고, 이와 더불어서 해당 지역의 부대정보를 수집해서 수치지도 이미지(MAP)에 합성시킨다. 또한 영상수집기(300)가 수집한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스캔해서 오차가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지점의 위치좌표를 검색해서 후속 업데이트 절차를 진행한다.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a digital map image (MAP)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structures or blocks collected on the spot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Map to a map image (MAP). Also, a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or 300 and a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are scanned to identify a point where there is an error,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oint are searched for a subsequent update procedure.

이를 위한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수치지도 관리기(100)는, 수치지도DB(110)와 블록DB(120)와 구조물DB(130)와 영상DB(190)의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수단을 제어 및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포함하며, 영상수집기(300)가 수집한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스캔 비교해서 GPS좌표에 해당하는 오차지점좌표를 확인하는 오류데이터 인식모듈(170)과,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상기 오차지점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이미지 레이어(M)를 검색하는 검색모듈(180)과, 위치정보 수집기(200)을 통해 수집된 현장 블록과 현장 구조물의 위치정보 정보들을 연산해서 수치지도 이미지(MAP)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도출하는 위치정보 생성모듈(150)과,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의 도출 데이터에 따라 수치지도 이미지(MAP) 제작 및 업데이트를 위한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1 ~ S10; 이하 'S')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M1 ~ M8; 이하 'M')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모듈(160)을 포함한다.The digital map manager 100 of the present automatic update system for this purpose includes a digital map DB 110, a block DB 120, a structure DB 130 and a storage unit for the image DB 190, And a data management module 140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means. The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or 300 is scann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to check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point corresponding to the GPS coordinates A retrieval module 180 for retrieving the block image layer M corresponding to the error point coordinates through the error data recognition module 170 and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for deriving data for generating a digital map image (MAP) by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ite block and the site structure; (MAP) production and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160 for generating structure image layers S1 to S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 for updating and block image layers M1 to M8 (hereinafter, 'M').

결국,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활용하여 현장 수집한 구조물 또는 블록 등의 관련 정보를 토대로, 이전 버전의 수치지도에서 신규 구조물 또는 소멸 구조물 등의 이미지를 생성 또는 삭제하거나, 현장 수집한 구조물 또는 블록 등의 관련 정보와 이전 버전의 수치지도에 기록된 관련 정보를 비교해서 오차 발생시 이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or deletes an image of a new structure or annihilation structure in a previous version of the digital map, based on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structure or a block collected in the field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 Th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the structures or blocks collected on site, and the 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evious version of the numerical map are compared and updated when the error occur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블록별 수치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신규 구조물을 수치지도에 추가하는 모습을 순차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이 업데이트한 수치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구조물별 블록지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lock-by-block numeric map manag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map updat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block map of each structure managed by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치지도DB(110)는,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M)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GPSC)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블록중심좌표(MCP1) 정보를 저장한다.The numerical map DB 110 stores the structure image layer S,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lock image layer M in the GPS coordinate system GPSC And store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formation defined by the coordinate values.

블록DB(120)는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M)의 블록좌표계(PC)에서 제1블록중심좌표(MCP1)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중심좌표(MCP2) 정보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M)에 해당하는 현장 블록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와, 현장 블록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PC)에서 제1블록코너좌표(GP)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코너좌표(P1 ~ P4; 이하 'P')와, 제1블록중심좌표(MCP1)와 수치지도의 정위치 좌표(CP)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1벡터량 정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GPSC)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를 저장한다. The block DB 120 stores second block center coordinate (MCP2) information, which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of the block image layer (M) M),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are collec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nd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formation formed by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rners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nd the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s (block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of the block image layer The first vector quantity information on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and the correct position coordinate CP of the digital map and the first vector quantity information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ructure image layer S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information defined by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GPS coordinate system (GPSC) The.

구조물DB(130)는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M)의 블록좌표계(PC)에서 제1구조물중심좌표(SCP)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에 해당하는 현장 구조물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구조물코너좌표(GMP) 정보와, 구조물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2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코너좌표(MP1 ~ MP4; 이하 'MP')와, 제1구조물중심좌표(SCP)와 제1블록중심좌표(MCP1)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2벡터량 정보를 저장한다.The structure DB 130 stores the second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which is the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of the corresponding block image layer M, (GMP) information obtained by collecting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in the on-sit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ite structure S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rners in the structure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and construc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nd the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MP1 to MP4 which are block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corresponding block image layer, And second vector quantity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tructure center point SCP and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영상DB(190)는 영상수집기(30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 정보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상기 영상이미지 정보는 GPS좌표계(GPSC)에 합성되어 이루어진다.The image DB 190 stores imag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or 300 by version, and the image image information is synthesized in a GPS coordinate system (GPSC).

데이터 관리모듈(140)는 수치지도DB(110)와 블록DB(120)와 구조물DB(130) 각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한다.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stores or retrieves information in the digital map DB 110, the block DB 120, and the structure DB 130, respectively.

오류데이터 인식모듈(170)은, 영상수집기(300)로부터 수신된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영상DB(190)에서 검색하고, 상기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스캔 비교해서 그래픽의 차이를 확인하고, 차이가 확인된 오류 지점의 GPS좌표에 해당하는 오차지점좌표 확인한다.The error data recognition module 170 searches the image DB 190 for a previous version of the imag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ew version of the imag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collector 300, The image is scanned and compared to check the difference of the graphics, and the coordinates of the error point corresponding to the GPS coordinates of the error point where the difference is confirmed are confirmed.

여기서 상기 영상이미지는 항공촬영 등을 통해 수집 및 편집해서 GPS좌표계에 적용한 수치지도 업계의 통상적인 이미지이며, 영상수집기(300)는 항공촬영 이미지에 각 지점별로 GPS좌표를 적용하는 통상의 영상편집 장치이다.Here, the image image is a typical image of the digital map industry, which is collected and edited through aerial photographing and applied to the GPS coordinate system. The image collector 300 is a typical image editing apparatus that applies GPS coordinates to each point of the aerial image, to be.

상기 영상이미지와 영상수집기(300)는 수치지도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video image and the image collector 300 are conventional in the field of digital map,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검색모듈(180)은,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블록DB(120)에서 상기 오차지점좌표가 제1블록코너좌표(GP)의 범위에 있는 블록을 검색하고, 수치지도DB(110)에서 상기 블록의 블록 레이어 이미지(M)를 검색해 출력한다.The search module 180 searches the block DB 120 for blocks having the error point coordinates in the range of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through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And searches and outputs the block layer image (M) of the block.

따라서 사용자는 수치지도 관리기(100)에 출력된 블록 레이어 이미지(M)와 제1블록코너좌표(GP)와 상기 오차지점좌표를 기초로 오류가 확인된 오류지점을 방문해서,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활용하여 현장 구조물의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와 제2실측거리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현장 구조물의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 생성과 수치지도 이미지(MAP)의 업데이트를 위한 후속 절차를 진행한다.Therefore, the user visits the error point where the error is confirmed based on the block layer image M,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GP and the error point coordinates outputted to the digital map manager 100, (GMP) and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on-site structure are collected by using the on-site structure to generate a structure image layer (S) of the on-site structure and a subsequent procedure for updating the numerical map image (MAP) Go ahead.

위치정보 확인모듈(150)은 현장 블록에 대한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와 제1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제1블록중심좌표(MCP1)를 연산해서 수치지도DB(110)에 저장하고, 현장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GMP) 정보와 제2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제1구조물중심좌표(SCP)를 연산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고, 제1블록중심좌표(MCP1)를 원점으로 하는 블록좌표계(PC)를 생성해서 제1블록코너좌표(GMP)에 해당하는 제2블록코너좌표(P)를 정의하며 블록DB(120)에 저장하고, 블록좌표계(PC)에서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에 해당하는 제2구조물코너좌표(MP)를 정의하며 구조물DB(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1벡터량을 생성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며, 상기 제2벡터량을 생성해서 구조물DB(130)에 저장한다.The pos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module 150 calculate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based on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GP) information and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field block and stores the calculated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 the digital map DB 110 (SCP) on the basis of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GMP)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on-site structure and stores the calculated first center coordinate (SCP) in the block DB 120, The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 P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GMP is defined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and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is defined as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MP)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GMP) in the structure DB 130, generates and stores the first vector quantities in the block DB 120, 2 vector quantities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ructure DB 130.

이미지 처리모듈(160)은 제1,2블록코너좌표(GP, P) 정보와 제1,2구조물코너좌표(GMP, MP) 정보에 따라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각각 작성하고,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제1블록중심좌표(MCP1) 정보와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 및 제1,2벡터량 정보에 따라 GPS 좌표계 기반으로 합성해서 수치지도 이미지(MAP)를 생성한다.The image processing module 160 generates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s GP and P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and MP, And generates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on the basis of the GPS coordinat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formation,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information, And generates a digital map image (MAP).

한편,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은, 현장 블록과 현장 구조물의 제1블록코너좌표(GP)와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와 코너와 코너 간에 거리를 실측한 제1,2실측거리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위치정보 수집기(200)는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updates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and the first and second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field block and the field structure And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esent positional information collecto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수치지도 이미지(MAP)는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GPS좌표계(GPSC)를 기반으로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가 조합되고,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블록좌표계(PC)를 기반으로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조합한다. 이때 블록 이미지 레이어(M)는 해당 블록별로 블록좌표계(PC)가 각각 생성되고, 해당 블록에 속하는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는 블록좌표계(PC)를 기반으로 조합 및 합성된다.The digital map image MAP is obtained by combining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based on the GPS coordinate system GPSC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Combine the structure image layer (S) based o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as shown. At this time, a block coordinate system PC is generated for each block of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s S belonging to the block are combined and synthesized based o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수치지도 이미지(MAP)의 제작과 업데이트 과정을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순차 설명한다.The process of producing and updating the digital map image (MAP)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based on 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우선, 위치정보 수집기(200)가 현장 블록을 실측해서 현장 블록의 코너와 코너간 제1실측거리정보와, 현장 블록당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값인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현장 구조물을 실측해서 현장 구조물의 코너와 코너간 제2실측거리정보와, 현장 구조물당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값인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를 수집한다.First, the positional information collector 200 measures a field block, and obtains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orner of the field block and the corner, and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formation (GPS coordinate value of at least three corners per field block) Lt; / RTI > Also, the on-site structure is measured to collect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corners and corners of the field structure and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formation, which is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per field structure.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한 정보를 모두 수집하면,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은 상기 정보들을 토대로 현장 블록의 제1블록중심좌표(MCP1) 정보와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를 각각 산출하고, 현장 구조물의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와 제1구조물코너좌표(GMP) 정보를 각각 산출해서, 해당 정보들을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블록DB(120) 및 구조물DB(130)에 각각 저장한다.When all the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set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formation and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GP) information of the spot block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SCP) information and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information of the on-site structur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o the block DB 120 and the structure DB 130, respectively.

참고로,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은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값과 코너와 코너 간에 실측거리를 통해 GPS좌표값이 확인되지 않은 기타 코너들의 GPS좌표값인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와 제1구조물코너좌표(GMP)를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제1블록코너좌표(GP) 정보와 제1구조물코너좌표(GMP)를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적용해서 제1블록중심좌표(MCP1) 정보와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generates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and GPS coordinates of other corners in which the GPS coordinate value is not confirmed through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corners and the corners (GP ) And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can be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nformation and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rmulas (1)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formation and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1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1

A : N각형의 면적A: Area of n square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2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2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3
Figure 112017095608224-pat00003

Cx : 중심좌표 X, Cx: center coordinate X,

Cy : 중심좌표 YCy: Center coordinate Y

N : N각형의 코너(꼭지점) 개수N: Number of N corners (vertices)

이렇게 산출된 제1블록중심좌표(MCP1) 정보와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정보에 따라 이미지 처리모듈(160)은 해당 블록과 구조물에 대한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각각 생성하고,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수치지도DB(110)에 저장한다.According 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information and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information thus calculate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60 calculates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And stores them in the digital map DB 110 through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

계속해서,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은 현장 블록의 제1블록중심좌표(MCP1)를 원점으로 하는 블록좌표계(PC)를 생성하고, GPS좌표계(GPSC) 대비 블록좌표계(PC)의 비율과 상기 제1실측거리정보 대비 제2실측거리정보에 맞춰서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에 해당하는 제2구조물코너좌표(MP)를 산출하고, 블록DB(120)에 저장한다.Next,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generates a block coordinate system PC having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of the field block as the origin,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relative to the GPS coordinate system GPSC, The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MP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ar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벡터량은 현장 블록과 수치지도 이미지에 설정된 정위치 좌표(CP)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값이며, 상기 제2벡터량은 현장 블록의 제1블록중심좌표(MCP1)와 현장 구조물의 제1구조물중심좌표(SCP)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값이므로, 이들을 기준으로 제2블록중심좌표(MCP2)와 제2구조물중심좌표(SCP') 간에 거리와 방향을 확인하고 오차 여부를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ector quantity is a value for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between the on-site block and the fixed position coordinates (CP) set in the digital map image, and the second vector quantity i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MCP1)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block center coordinate (MCP2) and the second structure center coordinate (SCP ')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s (SCP) .

이상의 과정을 통해 구조물DB(130)에는 구조물과 관련한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블록구조물(120)에는 블록과 관련한 위치정보가 저장되며, 이미지 처리모듈(160)은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합성해서 수치지도 이미지(MAP)를 생성한다.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ructure is stored in the structure database 130,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block is stored in the block structure 120, an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160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to generate a digital map image (MAP).

이를 통해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은 현장 구조물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현장 구조물이 속하는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만을 수정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2벡터량에 각각 맞춰서 수치지도에 합성하면 되므로, 수치지도 이미지(MAP)의 손쉬운 업데이트 및 오류 확인과 수정 처리가 가능하다.Accordingly, the automatic updat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corrects only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to which the on-site structure belongs when a change of the on-site structure occurs, , It is possible to easily update the numerical map image (MAP) and to check and correct the error.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은, 오류데이터 인식모듈(170) 및 검색모듈(180)의 구동을 통해 확인된 오차지점좌표를 근거로 확인된 현장 블록에 신생 구조물인 구조물11과 구조물12에 대해, 사용자는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활용해서 해당 구조물11과 구조물12의 각 코너의 제1구조물코너좌표(GMP)를 수집하고, 서로 이웃하는 코너 간의 제2실측거리정보를 수집한다.The automatic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blocks 11 and 12 which are new structures in the field blocks identified based on the error point coordinates confirmed through the driving of the error data recognition module 170 and the search module 180 , The user collects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at each corner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nd collects the second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neighboring corners.

제1구조물코너좌표(GMP) 정보와 제2실측거리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은 제1구조물코너좌표(GMP)를 기반으로 구조물11과 구조물12 각각의 제1구조물중심좌표(SCP)를 산출하고, GPS좌표계(GPSC) 대비 블록좌표계(PC)의 비율과 상기 제1실측거리정보 대비 구조물11과 구조물12 각각의 제2실측거리정보에 맞춰서 제1구조물코너좌표(GMP)에 해당하는 구조물11과 구조물12의 제2구조물코너좌표(MP11)와 제2구조물중심좌표(SCP11, SCP12)를 산출한다.When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GMP)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have been collected,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first structure center 12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of the structure 12 based on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And calculates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s GMP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to the GPS coordinate system GPSC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with respect to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MP11) and the second structure center coordinates (SCP11, SCP12)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al center (MP11).

계속해서 위치정보 생성모듈(150)은 구조물11과 구조물12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블록좌표계(PC)에 구조물11과 구조물12의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11, S12)를 생성하고 해당하는 블록 이미지 레이어(M5)에 합성한다.Subsequently,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50 generates the structure image layers S11 and S12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PC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11 and the structure 12, ).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의 위치정보 수집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기준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의 망원체에 표척의 눈금이 보여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of the automatic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reference fram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FIG. 9 is a view FIGS. 10 and 11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cale of a mark on a telescop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 이미지 레이어(M)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S)를 2D에 맞춰 정확히 형성 및 합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실측거리 정보와 제2실측거리 정보를 현장에서 수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점과 지점, 즉 코너와 코너 간에 거리와 방향 수집이 정확해야 하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수집기(200)가 반드시 요구된다.In order to accurately form and synthesize the block image layer M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must be collected in the field. In order to do this, the distance and direction must be accurate between the point and the point, that is, between the corner and the corn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for this is necessarily required.

본 실시의 위치정보 수집기(200)는, 상단부(212b)와 하단부(212a)가 서로 꺾여 이루어진 지지봉(212)과, 지지봉(2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손잡이(211)와, 지지봉(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안착링(213)과, 안착링(2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자기장을 일으키는 전자석(214)과, 손잡이(211)에 내설되며 전자석(214)과 통전하는 직류전원(215)과, 전자석(214)으로의 직류전류 인가와 직류전류의 통전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216)로 구성된 거치대(210); 안착링(213) 상에서 구르도록 안착되는 볼(221)과, 볼(221)로부터 상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넥(222)과, 넥(222)과 대칭하도록 하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바디(223)와, 무게중심이 하단에 위치하도록 바디(223)의 하단에 설치되는 중량체(224)로 구성된 스탠드(220); 넥(222)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이루며 안착링(213)과 대칭하도록 볼(2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마찰대(231)와, 마찰대(2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전자석(214)의 자기장 방향의 전환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극성이 상하로 배치된 영구자석(232)으로 구성된 캡(230); 라이다(242)와, 라이다(242)의 동작을 제어하며 표척과의 거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컨트롤러(241)와, 렌즈가 라이다(242)의 레이저광의 조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라이더(242) 상에 설치되는 망원체(243)로 구성된 계측기(240);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유체 저수가 가능한 용기 형상을 이루는 보울(251)과, 보울(251)에 저수된 유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며 상면에 과녁무늬가 형성된 타겟패널(252)과,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보울(251)을 덮어 폐구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253)로 구성된 기준대(250); 중량체(224)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260);를 포함한다.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rod 212 having an upper end portion 212b and a lower end portion 212a bent to each other, a handle 21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n electromagnet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at ring 213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C power source 214 installed in the handle 2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214, (210) composed of a switch (215), a switch (216) for switching between a direct current application to the electromagnet (214) and a direct current direction; A ball 221 which is seated to roll on the seat ring 213, a neck 22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ll 221 to the upper end, a body 223 protruded to the lower en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neck 222, A stand 220 composed of a weight 22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23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 rubbing band 231 having a ring shape penetrating the neck 222 and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ll 22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eating ring 213 and an electromagnet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ubbing band 231, A cap 230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232 whose polarity is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permanent magnet 232; A controller 24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242 and sto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table chuck as data and a controller 2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ider 242 A meter 240 configured of a telescope 243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240; A bowl 251 having a curved inner surface and forming a container shape capable of fluid storage; a target panel 252 which floats horizontally on the fluid stored in the bowl 251 and has a target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ver 25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and covering the bowl 251; And a laser 26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t 224 and emitting laser light.

거치대(21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쥐고 현장 블록과 구조물 등의 코너 지점을 정확히 조준할 수 있게 하며, 이때 해당 지점이 차량의 주차 또는 기타 각종 물품 등으로 채워져도 사용자가 간섭받지 않으면서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상단부(212b)와 하단부(212a)가 서로 꺾여 이루어진다.The cradle 210 allows the user to directly grasp the corner points of the on-site blocks and structures with his or her hand, and when the corresponding points are filled with parking or other various items of the vehicle, The upper end portion 212b and the lower end portion 212a are bent to fit each other.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210)는 지지봉(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안착링(213)과, 안착링(2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자기장을 일으키는 전자석(214)을 구성하며, 안착링(213) 상에는 스탠드(220)의 볼(2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된다. 이때 볼(221)의 하방으로는 바디(223)와 중량체(224)가 배치되므로, 스탠드(220)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편중된다. 결국 사용자가 거치대(210)를 들고 자세가 변하더라도 볼(221)은 스탠드(200)의 편중에 의해 항상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The holder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seating ring 213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nd an electromagnet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ating ring 213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all 221 of the stand 220 is seated on the seat ring 213 so as to be rotatable. At this time, since the body 223 and the weight 224 are disposed below the ball 221,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and 220 is downwardly biased. As a result, even if the user holds the cradle 210 and the posture changes, the ball 221 always maintains the upright state due to the bias of the stand 200.

한편, 안착링(213)의 둘레에는 전자석(214)이 배치되고, 손잡이(211)에는 전자석(214)과 통전하는 직류전원(215)이 내설된다. 또한 손잡이(211)에는 전자석(214)으로의 직류전류 인가와 직류전류의 통전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216)가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216)를 조작하면 전자석(214)이 직류전원(215)의 전력을 받아 통전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때 본 실시의 전자석(214)은 직류전원(215)이 인가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에 변화가 발생한다. 즉, 스위치(216)를 조작할 때마다 전자석(214)의 상단이 N극이 되거나 S극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magnet 214 is disposed around the seat ring 213, and a DC power source 215 for energizing the electromagnet 214 is installed in the handle 211. The handle 211 is also provided with a switch 216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application to the electromagnet 214 and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216, the electromagnet 214 receives the power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215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t this time, in the electromagnet 214 of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applied by th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215.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electromagnet 214 becomes the N pole or the S pole every time the switch 216 is operated.

계속해서, 캡(230)은 스탠드(220)의 넥(222)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이루며 안착링(213)과 대칭하도록 볼(2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마찰대(231)와, 마찰대(2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전자석(214)의 자기장 방향의 전환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극성이 상하로 배치된 영구자석(232)을 포함한다. 따라서 볼(221)은 하단이 안착링(213)에 걸쳐지고, 상단에 캡(230)이 걸쳐져서, 볼(221)을 중심으로 안착링(213)과 캡(230)이 서로 대칭한 배치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볼(221)의 상단 둘레를 감싸는 마찰대(231)의 둘레에는 영구자석(232)이 배치되는데, 이때 영구자석(232)의 극성은 상하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자석(214)에 통전되는 직류전류의 방향에 따라, 도 10과 같이 영구자석(232)과 전자석(214) 간에 척력이 발생하거나, 도 11과 같이 영구자석(232)과 전자석(214) 간에 인력이 발생한다.The cap 230 has a ring shape passing through the neck 222 of the stand 220 and has a friction band 231 seated on the top of the ball 22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eating ring 213, And permanent magnets 232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gnet 231 and arranged with the polarities up and down such that attractive force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electromagnet 214 in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Therefore, the ball 221 has a lower end on the seating ring 213 and a cap 230 on the upper end so that the seating ring 213 and the cap 23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the ball 221 Respectively. Here, a permanent magnet 232 is disposed around the friction pad 231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ball 221. The polarity of the permanent magnet 232 is arranged vertically. 10, a repulsive for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232 and the electromagnet 214 or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232 and the electromagnet 214 as shown in Fig. 11,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214, Manpower occurs.

결국, 사용자가 영구자석(232)에 척력을 가하도록 스위치(216)를 조작하면, 마찰대(231)는 볼(232)의 상방으로 부상해서 볼(221)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스탠드(220)의 위치가 정확히 맞춰지면 사용자가 영구자석(232)에 인력을 가하도록 스위치(216)를 조작해서 마찰대(231)가 볼(232)에 밀착하게 한다. 물론 안착링(213)과 마찰대(231)로부터 상하로 압력을 받는 볼(232)은 회전에 제한이 발생하므로, 현 위치를 유지한다.As a result,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216 to apply a repulsive force to the permanent magnet 232, the friction pad 231 floats above the ball 232 to enable smooth rotation of the ball 221,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216 to apply a force to the permanent magnet 232 so that the friction pad 231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ll 232. [ Of course, the ball 232, which receives pressure from the seating ring 213 and the friction pad 231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restrains rotation, and thus maintains the present position.

계속해서, 스탠드(22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260)가 설치되고, 이에 대응해서 현장 블록 또는 현장 구조물의 코너 위치에는 기준대(250)가 배치된다. A laser 260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downwar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and 220, and a reference bar 250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field block or the field structure.

여기서 기준대(250)는 레이저(260)의 레이저광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기준이 되는데,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유체 저수가 가능한 용기 형상을 이루는 보울(251)과, 보울(251)에 저수된 유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며 상면에 과녁무늬가 형성된 타겟패널(252)과,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보울(251)을 덮어 폐구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253)로 구성된다. 결국 기준대(250)는 배치되는 지점의 굴곡 등에 상관없이 보울(251)에 저수된 유체의 수면이 수평을 유지하고, 타겟패널(252)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이저(260)의 레이저광의 조사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맞춤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220)를 제 위치에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The reference bar 250 serves as a referen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of the laser 260. The reference bar 250 includes a bowl 251 having a curved inner surface and capable of fluid storage, And a cover 25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the bowl 251 and forming a curved surface inside the bowl 251. The target panel 252 has a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reof.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fluid stored in the bowl 251 maintains the horizontal level of the fluid stored in the bowl 251 and the target panel 252 is irradiated with the laser light of the laser 260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Of course, this alignment allows the user to position the stand 220 precisely in place.

계속해서, 계측기(240)는 스탠드(220)의 상단에 설치되며, 라이다(242)와, 라이다(242)의 동작을 제어하며 표척(R)과의 거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컨트롤러(241)와, 렌즈가 라이다(242)의 레이저광의 조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라이더(242) 상에 설치되는 망원체(243)로 구성된다.The meter 24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nd 220 and includes a controller 2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dder 242 and the controller 2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dder 242, And a telescopic member 243 provided on the rider 242 such that the lens is parallel to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of the laser 242. [

라이다(242)는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거리를 측정하며, 거리 측정 대상은 표척(R)이다. 결국, 계측기(240)는 현장 블록 또는 현장 구조물의 일 코너에 배치하고, 표척(R)은 상기 코너와 이웃하는 다른 코너에 배치시켜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 간에 실측거리를 수집하는 것이다. 즉, 현장 블록으로부터 제1실측거리정보를 수집하고, 현장 구조물로부터 제2실측거리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The laser 242 irradiates the laser light to measure the distance, and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the skew (R). As a result, the meter 240 is placed at one corner of the field block or field structure, and the barrel R is placed at another corner adjacent to the corner to collect the actual distance between adjacent corners. That is,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on-site block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on-site structure.

참고로 라이다(242)는 컨트롤러(241)에 의해 제어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버튼(241a)이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러(241)는 제1,2실측거리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듈(241b)을 구성하는데, 저장모듈(241b)은 일반적인 USB 등일 수 있다.The reference numeral 2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41 and constitutes a button 241a for the user's operation. The controller 241 constitutes a storage module 241b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first and second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storage module 241b may be a general USB or the like.

한편, 계측기(240)는 사용자가 라이다(242)를 표척(R)의 해당 지점에 정확히 조준하기 위한 망원체(243)를 구성한다. 망원체(243)는 원거리의 표척(R)을 시각적으로 확대해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망원체(243)의 렌즈(243a)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대된 표척(R)과 그 눈금(G)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측기(240)의 위치를 조정해서 조준점(AP)에 표척(R)의 해당 눈금(G)이 맞춰지도록 한다. 물론 이렇게 맞춰진 눈금(G)에 라이다(242)의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코너와 코너 간의 정확한 실측거리 수집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meter 240 constitutes a telescope 243 for accurately aiming the user 242 at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table R. The telescope 243 visually enlarges the remote scale R and displays it to the user. As shown in FIG. 12, the user can visually enlarge the enlarged scale R through the lens 243a of the telescope 243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cale (G). Accordingly,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240 so that the corresponding scale G of the table R is aligned with the aiming point AP. Of course, laser light of Lada 242 is irradiated on the scale G aligned in this way,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n accurate measured distance between the corner and the corner.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수치지도 관리기 110; 수치지도DB 120; 블록DB
130; 구조물DB 140; 데이터 관리모듈 150; 위치정보 생성모듈
160; 이미지 처리모듈 170; 오류데이터 인식모듈
180; 검색모듈 190; 영상DB
200; 위치정보 수집기 210; 거치대
211; 손잡이 212; 지지봉 213; 안착링
214; 전자석 215; 직류전원 216; 스위치
220; 스탠드 221; 볼 222; 넥
223; 바디 224; 중량체 230; 캡
231; 마찰대 232; 영구자석 240; 계측기
241; 컨트롤러 242; 라이다 243; 망원체
250; 기준대 251; 보울 252; 타겟패널
253; 커버 260; 레이저 300; 영상수집기
100; A digital map manager 110; A digital map DB 120; Block DB
130; Structure DB 140; Data management module 150;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60; An image processing module 170; Error Data Recognition Module
180; Search module 190; Video DB
200; Location information collector 210; holder
211; Handle 212; A support rod 213; Seat ring
214; Electromagnet 215; DC power source 216; switch
220; Stand 221; Ball 222; Neck
223; Body 224; Weight 230; cap
231; Friction band 232; A permanent magnet 240; Measuring instrument
241; A controller 242; Roda 243; Telephoto
250; Reference Base 251; Bowl 252; Target panel
253; Cover 260; Laser 300; Image collector

Claims (1)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와,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블록중심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수치지도DB(110);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중심좌표 정보와,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에 해당하는 현장 블록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블록코너좌표 정보와, 현장 블록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블록코너좌표와,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와 수치지도의 정위치 좌표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1벡터량 정보와, 상기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의 무게중심이 GPS좌표계의 좌표값으로 정의된 제1구조물중심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DB(120);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중심좌표 정보와, 상기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에 해당하는 현장 구조물에서 적어도 3개 이상 코너의 GPS좌표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1구조물코너좌표 정보와, 구조물에서 서로 이웃하는 코너들 간에 거리가 위치정보 수집기(200)를 통해 수집되어 이루는 제2실측거리정보와, 해당 블록 이미지 레이어의 블록좌표계에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에 해당하는 블록 좌표값인 제2구조물코너좌표와,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와 제1블록중심좌표 간에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제2벡터량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물DB(130); 수치지도DB(110)와 블록DB(120)와 구조물DB(130) 각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는 데이터 관리모듈(140); 영상수집기(30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 정보를 버전별로 저장하되, 상기 영상이미지 정보는 GPS좌표계(GPSC)에 합성되어 이루어지는 영상DB(190); 영상수집기(300)로부터 수신된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영상DB(190)에서 검색하고, 상기 신규 버전의 영상이미지와 이전 버전의 영상이미지를 스캔 비교해서 그래픽의 차이를 확인하고, 차이가 확인된 오류 지점의 GPS좌표에 해당하는 오차지점좌표 확인하는 오류데이터 인식모듈(170); 데이터 관리모듈(140)을 통해 블록DB(120)에서 상기 오차지점좌표가 제1블록코너좌표(GP)의 범위에 있는 블록을 검색하고, 수치지도DB(110)에서 상기 블록의 블록 레이어 이미지(M)를 검색해 출력하는 검색모듈(180); 현장 블록에 대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 정보와 제1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를 연산해서 수치지도DB(110)에 저장하고, 현장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 정보와 제2실측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구조물중심좌표를 연산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고,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를 원점으로 하는 블록좌표계를 생성해서 상기 제1블록코너좌표에 해당하는 제2블록코너좌표를 정의하며 블록DB(120)에 저장하고, 상기 GPS좌표계 대비 블록좌표계의 비율과 상기 제1실측거리정보 대비 제2실측거리정보에 맞춰서 상기 제1구조물코너좌표에 해당하는 제2구조물코너좌표를 산출하여 구조물DB(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1벡터량을 생성해서 블록DB(120)에 저장하며, 상기 제2벡터량을 생성해서 구조물DB(130)에 저장하는 위치정보 확인모듈(150); 상기 제1,2블록코너좌표 정보와 제1,2구조물코너좌표 정보에 따라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를 각각 작성하고, 상기 블록 이미지 레이어와 구조물 이미지 레이어를 상기 제1블록중심좌표 정보와 제1구조물중심좌표 정보 및 제1,2벡터량 정보에 따라 GPS 좌표계 기반으로 합성해서 수치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모듈(160);이 포함된 수치지도 관리기(100), 및
상단부(212b)와 하단부(212a)가 서로 꺾여 이루어진 지지봉(212)과, 지지봉(212)의 하단에 설치되는 손잡이(211)와, 지지봉(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안착링(213)과, 안착링(2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자기장을 일으키는 전자석(214)과, 손잡이(211)에 내설되며 전자석(214)과 통전하는 직류전원(215)과, 전자석(214)으로의 직류전류 인가와 직류전류의 통전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216)로 구성된 거치대(210); 안착링(213) 상에서 구르도록 안착되는 볼(221)과, 볼(221)로부터 상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넥(222)과, 넥(222)과 대칭하도록 하단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바디(223)와, 무게중심이 하단에 위치하도록 바디(223)의 하단에 설치되는 중량체(224)로 구성된 스탠드(220); 넥(222)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이루며 안착링(213)과 대칭하도록 볼(2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마찰대(231)와, 마찰대(2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전자석(214)의 자기장 방향의 전환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극성이 상하로 배치된 영구자석(232)으로 구성된 캡(230); 라이다(242)와, 라이다(242)의 동작을 제어하며 표척과의 거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컨트롤러(241)와, 렌즈가 라이다(242)의 레이저광의 조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라이더(242) 상에 설치되는 망원체(243)로 구성된 계측기(240);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유체 저수가 가능한 용기 형상을 이루는 보울(251)과, 보울(251)에 저수된 유체 상에 수평하게 부상하며 상면에 과녁무늬가 형성된 타겟패널(252)과, 내부가 곡면을 이루며 보울(251)을 덮어 폐구하는 투명 재질의 커버(253)로 구성된 기준대(250); 중량체(224)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260);가 포함된 위치정보 수집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위치 편집환경에 따른 수치지도 내 오류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A structure image layer, a block image layer, and a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center of gravity of the block image layer is defined as a coordinate value of a GPS coordinate system; Second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 the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block image layer and GPS coordinate of at least three corners in the field block corresponding to the block image layer are position information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collected and formed by the collector 200 and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through a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corners of the spot block, A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 value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system and a first vector quantity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nd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and a true position coordinate of the digital map, A block DB (120) for storing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center of gravity of a structure image layer is defined as a coordinate value of a GPS coordinate system; A second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of the corresponding block image layer and GPS coordinates of at least three corners in a fiel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image layer are position information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by collecting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or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corners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A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 value that is a block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 a block coordinate system and a second vector amount information about a distance and a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and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130); A data management module 140 for storing or retrieving information in the digital map DB 110, the block DB 120, and the structure DB 130, respectively; An image DB 190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mage collector 300 by version, the image information being synthesized in a GPS coordinate system (GPSC); A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corresponding to the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collector 300 is searched in the video DB 190 and the new version of the video imag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version of the video image by scanning, An error data recognizing module 170 for identifying an error point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GPS coordinates of the error point at which the difference is confirmed; A block having the error point coordinates in the range of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GP is searched in the block DB 120 through the data management module 140 and the block layer image M) and outputting the search result; Calculates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on the basis of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situ block, stores the calculated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in the digital map DB 110, and stores the first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and a block coordinate system having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s as the origin is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block corner coordinates And stores the calculated coordinates in the block DB 120. The coordinates of the corner of the firs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oordinates of the firs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block coordinate system to the GPS coordinate system and the second actual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tual distance information The second vector quantities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ructure DB 130. The second vector quantities are stored in the structure DB 130. The first vector quantities ar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block DB 120, Confirmation module 150; A block image layer and a structure image layer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 corner coordinat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block image layer and the structure image layer are divided into the first block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An image processing module 160 for composing a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GPS coordinat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structure center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vector amount information,
A support rod 212 having an upper end portion 212b and a lower end portion 212a bent to each other, a handle 211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 seat ring 213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212, An electromagnet 214 which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 ring 213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C power source 215 which is placed in the handle 211 and is energized with the electromagnet 214, A holder (210) composed of a direct current application and a switch (216) for switching the conduction direction of the direct current; A ball 221 which is seated to roll on the seat ring 213, a neck 22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all 221 to the upper end, a body 223 protruded to the lower en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neck 222, A stand 220 composed of a weight 22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23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 rubbing band 231 having a ring shape penetrating the neck 222 and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ll 22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eating ring 213 and an electromagnet 214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ubbing band 231, A cap 230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232 whose polarity is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permanent magnet 232; A controller 24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242 and sto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and the table chuck as data and a controller 24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ider 242 A meter 240 configured of a telescope 243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240; A bowl 251 having a curved inner surface and forming a container shape capable of fluid storage; a target panel 252 which floats horizontally on the fluid stored in the bowl 251 and has a target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ver 253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and covering the bowl 251; A position information collector 20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t 224 and including a laser 260 for emitting a laser beam,
And an automatic updating system for error data in a digital map according to a fixed-position editing environment.
KR1020170126674A 2017-09-29 2017-09-29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KR101834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74A KR101834903B1 (en) 2017-09-29 2017-09-29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74A KR101834903B1 (en) 2017-09-29 2017-09-29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903B1 true KR101834903B1 (en) 2018-03-06

Family

ID=6172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74A KR101834903B1 (en) 2017-09-29 2017-09-29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9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401B1 (en) 2018-06-27 2019-01-15 동아항업 주식회사 Digital drawing modification system for drawing a partial of updating region
KR102200783B1 (en) * 2020-07-07 2021-01-11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used by field resear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74B1 (en) 2012-11-30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Numerical understanding system with renewal map data according to point of gp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74B1 (en) 2012-11-30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Numerical understanding system with renewal map data according to point of gp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401B1 (en) 2018-06-27 2019-01-15 동아항업 주식회사 Digital drawing modification system for drawing a partial of updating region
KR102200783B1 (en) * 2020-07-07 2021-01-11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used by field resear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687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uter aided surveying for obtaining digital, 3d topographic information
KR101938402B1 (en) Drawing image compositing system for features in blind area
US8280117B2 (en) Virtual white lines for indica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n electronic images
KR101938401B1 (en) Digital drawing modification system for drawing a partial of updating region
US20090238414A1 (en) Virtual white lines for delimi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CN105973236A (en) Indoor positioning or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and map database generation method
KR1011824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ndoor photographing location information
JP6531051B2 (en) Equipment state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34905B1 (en) System amending the digital map for precision improvement based on gis
KR101834903B1 (en)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CN112700545B (en) Simul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sensing data
CN112614219A (en) Spatial coordinate conversion method based on identification points for map navigation positioning
JP4852006B2 (en)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generation device and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generation program
KR101938400B1 (en) Image drawing management system editing secure zone on 3d image
KR10102017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eld inspection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834900B1 (en) Auto-update system amending the error data in the digital map
TWI426237B (en) Instant imag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13206B1 (en) Operating system for digital map making system capable of real-time remote modification
KR101023836B1 (en)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212788B1 (en) Digital map system for combined vector mod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26203B1 (en) Syste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for generating geometric information of facility stored in physical medium
CN104964670A (en) Method for paperless photogrammetry by digital equipment
Dhruwa et al. Generation of 3-D Large-Scale Maps using LiDAR Point Cloud Data
KR10129192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ing portable serveying terminal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pproach
Yiguang et al. A panorama image and 3D laser point cloud integration approach for railway surve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