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17B1 -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817B1
KR101834817B1 KR1020170052547A KR20170052547A KR101834817B1 KR 101834817 B1 KR101834817 B1 KR 101834817B1 KR 1020170052547 A KR1020170052547 A KR 1020170052547A KR 20170052547 A KR20170052547 A KR 20170052547A KR 101834817 B1 KR101834817 B1 KR 10183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er
heater unit
driv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상구
Original Assignee
(주)언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언일전자 filed Critical (주)언일전자
Priority to KR102017005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30Automatic controllers with an auxiliary heating device affecting the sensing element, e.g. for anticipating change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ceramic component, e.g. heater, styling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comprising: a body unit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and having heating plates for gripping hair in a form of tongs on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formed inside the body unit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to heat up the heating plates;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detect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detecting cycl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ycle to detect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nd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the detecting cycle to generate a failur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responses to the failure event to control the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to prevent the heater unit from overheating.

Description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0001]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0002]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동작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hair style device is operating.

일반적으로, 미용의 목적으로 헤어의 스타일링을 위한 기구 및 장치는 다양하게 제품화 되어 있다. 그 중, 특히 헤어드라이어나 헤어아이론과 같은 제품은 대부분의 가정에 구비되어 있을 정도로 필수 생활용품으로 자리잡고 있다.Generally, apparatuses and apparatuses for hair styling for the purpose of beauty are variously commercialized. Especially, products such as hair dryers and hair irons are essential household items for most households.

헤어드라이어 및 헤어아이론은 고온의 바람 또는 고온의 발열판을 통해 사용자의 모발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원하는 스타일의 헤어로 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헤어드라이어는 스타일링 외에도 모발을 건조 시키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Hair dryers and hair irons are used to direct a user's hair directly to a desired style hair through hot or hot heating plates. In addition to hair styling, hair dryers are often used to dry hair.

통상적으로 헤어드라이어 및 헤어아이론은 크게 손잡이를 포함한 몸체와 모발을 스타일링 하기 위해 고온이 발생하는 히터 그리고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동작한다.Generally, a hair dryer and a hair iron operate through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heater and a heater, in which a high temperature is generated to stylize a body and a hair largely including a handle.

이렇게 구성되는 헤어드라이어 및 헤어아이론은 히터를 동작시켜 고온의 열원을 발생시키고, 히터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체크하여 미리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의 동작을 중단하고,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내려가면 히터를 다시 동작 시키는 방식으로 히터의 동작을 ON/OFF 시켜 열원의 온도 변동 폭을 최소화 하면서 유지한다.The hair dryer and the hair iron constructed in this manner generate a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by operating the heater, check the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heater,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when the preset temperature is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s turned on / off so that the temperature fluctuation width of the heat source is minimized and maintained.

그러나, 이와 같이 온도에 의해 히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온도 검출 장치가 고장남에 따라 히터의 동작을 중지 시켜야 할 때에도 히터가 계속해서 동작 하면서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의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system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heater is operated by the temperature in this way is a system in which,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s stopped due to failure of the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the heater continues to operate and the risk of damaging the user's hair or scalp Can occur.

특히 온도 검출기를 이용해서 히터의 동작 여부를 검출할 경우에는 히터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저항값에 따라 결과치가 상이하고, 히터 저항 값마다 별도의 세팅 작업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른 오작동이 많이 발생한다.Particularly, when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heater is operated by using the temperature detector, it is inconvenient that the resul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generated when the heater operates, and that a separate setting operation is required for each heater resistance value, Many occur.

이렇게 온도 검출기가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히터가 계속해서 동작함에 따라 온도가 계속해서 올라갈 경우, 헤어드라이어 및 헤어아이론의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사용을 중지시켜 큰 피해는 면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타인에게 사용할 때에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heater continues to operate due to a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temperature detector, the user of the hair dryer and hair iron will immediately stop using the device, There are drawbacks that can lead to accidents.

다시 말해서, 미용실과 같이 사용자가 타인의 모발을 건조시키거나 헤어를 스타일링 할 경우에는 타인이 헤어드라이어 또는 헤어아이론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원으로 인해 통증을 느끼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user, such as a hairdresser, is drying or hair styling of another person's hair, even if the other person feels pain due to the hot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air dryer or hair iron, have.

즉, 적정 온도가 아닌 높은 온도의 열원으로 인해 모발 또는 두피에 손상이 입을 위험에 처하더라도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타인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ven if you are at risk of damaging your hair or scalp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but not the right temperatur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spond immediately and there is a risk of injury to others.

따라서, 히터의 동작 여부를 검출하는 방식에 있어서 히터의 구동 주기에 따라 히터의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을 검출하는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a method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 method of detecting the normal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heat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cycle of the heater is required.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45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1395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18457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51395 disclos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8457호(2006년 3월 02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18457 (March 02,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1395호(2008년 8월 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51395 (August 4, 2008)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 기기에 사용되는 히터의 구동 주기에 대응하는 검출주기로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ir style device driving system for detecting whether a heater is driven by a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a driving cycle of a heater used in a hair style device.

또한, 헤어스타일 기기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ir style device driv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timer for setting an operation time of a hair style device is faulty.

또한, 헤어스타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원이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 센싱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ir style device driv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 failure of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cuts off a power source when a heat source generated by a hair style device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모발을 집게 형태로 잡기 위한 발열판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hair-style device driving system comprising: a body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heating plate for holding the hair in the other direction; A heater unit formed inside the body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ing plat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the drive cycle to generate a failure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바람을 발생하기 위한 송풍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람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와 상기 송풍부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on one side and an exhaust port on the other side; A blowing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for generating wind; A heater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i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the drive cycle to generate a failure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unit and the blower uni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And controls the operation mo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열원이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초기 구간 동안 제1 구동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열원이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 구간 동안 제2 구동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unit in a first drive period during an initial period in which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heater unit in a second drive period during a period after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구동주기 및 상기 제2 구동주기에 대응하는 제1 검출주기 및 제2 검출주기로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cting unit detects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with a first detection period and a secon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period and the second driving perio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구동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period according to the target tempera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생성된 고장 발생 이벤트를 기초로 상기 히터부 및 송풍부를 모두 동작시키는 제1 구동모드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송풍부만 동작시키는 제2 구동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e mode for operating both the heater unit and the blower unit based on a failure occurrence event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 second drive mode for shutting down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on unit and operating only the blow-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히터부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히터부를 가변된 구동주기로 동작시키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변된 구동주기에 대응하는 상기 검출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heater unit at a variable driving cycle as the at least one of the use period or the use time of the heater unit elapses, and the detecting unit detects the heater unit at the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driving cycle It is preferable to detect it.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열원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를 가지며, 상기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의 구동 동작 모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eater unit that receives a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heat sourc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target temperature; And a detection unit hav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nd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the detection period to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And controls a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section in response to a failure occurrence ev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원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히터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가 동작한 이후 예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시간 초과 이벤트를 생성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타이머부에서 생성된 시간 초과 이벤트를 기초로 상기 히터부의 동작을 차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예정된 시간이 초과한 이후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타이머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timer unit for generating a timeout even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heater unit is operated. The controller may block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based on the timeout event generated by the timer unit, Preferably, the detecting unit detects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detects whether the timer unit has failed.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driving system of the hair sty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 기기에 사용되는 히터의 구동 주기에 대응하는 검출주기로 히터의 구동 여부를 검출 함으로써 온도 검출 방식에서의 히터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값의 차이에 대한 별도의 세팅 작업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a heater is driven by a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a driving period of a heater used in a hair style device, thereby eliminating a separate setting operation for a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 caused by the heater driving in the temperature detecting method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 기기의 동작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작동을 멈추지 않아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작동 중지되는 타이머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etecting the failure of a timer that stops operating after a set time even if the user does not inadvertently stop the operation by set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hair style device.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원이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여 고온으로 인한 사용자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failure of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hutting off a power source when a heat source generated in a hair style devic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a user accident due to a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의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주기 및 검출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e system of a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for explaining a driving period and a detection peri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또는 도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or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주기 및 검출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graph for explaining a driving cycle and a detection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또는 도 4를 참고하면,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모발을 집게 형태로 잡기 위한 발열판(11)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판(11)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20); 상기 히터부(20)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30);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30)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20)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or FIG. 4,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includes a body 10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heating plate 11 for holding the hair in a direction of the other side; A heater part 20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ing plate 11; A control unit (30)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20) at a predetermined drive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 detecting unit (40)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20)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ycle to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30) And controls the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20) in response.

본 발명의 헤어스타일 기기는 편의상 고데기로 불리우는 헤어아이론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The hair sty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hair iron called a hair iron for convenience.

일반적으로 헤어아이론은 사용자가 미용의 목적으로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기기로 헤어아이론에 발생하는 고온의 열원을 통해 모발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모발을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는 기기이다.Generally, a hair iron is a device for hair styling for a cosmetic purpose, and it is a device which can direct hair to a desired style by directly contacting the hair through a heat source generated by a hair iron.

헤어아이론의 몸체부(10)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에는 모발을 잡기 위한 발열판(11)이 형성될 수 있다. 발열판(11)은 손잡이의 길이 방향의 직선상에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손잡이와 발열판(11)은 2 개수로 형성되며, 손잡이의 일측에서 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발열판(11)을 통해 집게 형태로 모발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hair iron and a heating plate 11 for holding the hair on the other side. The heating plate 11 may be formed o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The heating plate 11 is formed by two pieces of the handle and the heating plate 11, So that the hair can be gripped in the form of a forceps.

몸체부(10)의 내부에는 모발과 접촉하는 발열판(11)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시키는 히터부(20)와 히터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부(30) 및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A heating section 20 for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ing plate 11 in contact with the hair and a control section 30 for controlling the heater section 20 and a heater section 20 for controlling the heater section 20 are provided in the body section 10, A detection unit 4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it is driven may be formed.

히터부(20)는 발열판(11)의 일측과 연결되고, 컨트롤부(3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열원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원은 일측에 연결된 발열판(11)으로 전도되어 발열판(11)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heater unit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ing plate 11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to generate a heat source. The generated heat source is conducted to the heating plate 11 connected to one side, Can be increased.

컨트롤부(30)는 사용자가 헤어 스타일 연출을 위한 발열판(11)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히터부(20)를 온(on)하여 열원의 온도를 목표 온도에 도달 시키고, 열원이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히터부(20)를 온/오프(on/off) 교번시켜 열원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heater unit 20 to turn 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late 11 for the hair styl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can be maintained by alternately turning on / off the heater unit 20 after the temperature is reached.

다시 말해서, 컨트롤부(30)는 열원의 목표 온도까지 도달하기 위해 히터부(20)를 연속적으로 동작시켜 온도가 상승하는 초기 구간의 제1 구동주기(t1)와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부터의 구간에서 히터부(20)를 예정된 주기로 온/오프 하여 열원의 온도가 상승 구간과 하강 구간을 가지는 제2 구동주기(t2)로 히터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operates the heater unit 20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so that the first driving period t1 of the initial period in which the temperature rises and the perio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20 at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has the rising period and the falling period, by turning the heater unit 20 on and off at predetermined intervals.

여기서, 히터부(20)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제1 구동주기(t1)는 제2 구동주기(t2)와 마찬가지로 히터부(20)가 예정된 주기로 동작할 수 있지만 편의상 목표 온도로 도달할 때까지 오프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 as in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the first driving period t1 in which the heater unit 20 continuously operates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but the heater unit 20 may operate in a predetermined cycle. However,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즉, 컨트롤부(30)는 히터부(20)가 온 되어 작동하는 시간과 오프되어 작동하지 않는 시간을 한 주기로 하는 구동주기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열원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by continuously repeating the driving period in which the heater unit 20 is turned on and off and the off period is set to be one cycle.

그리고, 컨트롤부(30)는 열원의 목표 온도를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단계의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제1 구동주기(t1)와 목표 온도를 유지하는 제2 구동주기(t2)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set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step by step and may set the first driving period t1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stage to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maintaining the target temperature differently Can be set.

여기서, 목표 온도가 단계별로 다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다르게 초기 구간에 히터부(20)가 연속적으로 온 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초기구간에 제2 구동주기(t2)와 같이 히터부(20)가 온/오프로 동작하는 주기로 설명한다.Her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different in steps, the heater unit 20 is not continuously turned on during the initial period, but the heater unit (not shown) 20 are operated on / off.

만약, 컨트롤부(30)는 히터부(20)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목표 온도를 각각 100℃, 200℃로 설정한 상태에서, 목표 온도가 200℃일 때의 초기 구간에는 히터부(20)가 한번 오프 되는 주기로 동작하고, 목표 온도가 100℃일 때의 초기 구간에는 히터부(20)가 두 번 오프 되는 주기로 동작할 수 있다.If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20 is set at 100 ° C and 200 ° C respectively and the heater unit 20 is in an initial period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200 ° C The heater unit 20 can be operated at a cycle in which the heater unit 20 is turned off twice in the initial period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100 ° C.

마찬가지로, 컨트롤부(30)는 히터부(20)에서 발생하는 열원이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목표 온도를 유지하는 제2 구동주기(t2)를 각각의 목표 온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Likewise, the control section 30 can set the second drive period t2 for maintaining the target temperature after the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eater section 20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spective target temperatures.

예컨대, 열원의 목표 온도가 100℃일 경우와 200℃일 경우에 100℃에서 1℃가 상승하거나 1℃가 하강하는데 필요한 열원의 양은 200℃에서 1℃가 상승하거나 1℃가 하강하는데 필요한 열원의 양과 다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is 100 ° C or 200 ° C, the amount of heat source required for 1 ° C rise or 1 ° C decrease at 100 ° C is 1 ° C at 200 ° C or 1 ° C It may be different from quantity.

따라서, 컨트롤부(30)는 열원의 목표 온도가 100℃일 때와 200℃일 때의 제2 구동주기(t2)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목표 온도의 변동폭을 최소화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30 can set the second drive period t2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is 100 DEG C and the second drive period t2 when the temperature is 200 DEG C, respectively, so that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arg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m can be minimized have.

한편, 검출부(40)는 히터부(20)가 동작하는 제1 구동주기(t1)와 제2 구동주기(t2)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검출주기(d1)와 제2 검출주기(d2)로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first detection period d1 and the second detection period d2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eriods t1 and t2 in which the heater unit 20 operates, ,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heater section 20 is driven.

검출부(40)는 구동주기와 대응하는 검출 주기를 기초로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한 후 히터부(20)의 구동 주기와 상이한 구동 여부가 검출되면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장 발생 이벤트를 컨트롤부(30)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tecting unit 40 detects whether the heater unit 20 is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generates a fault occurrence ev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riving period is different from the driving period of the heater unit 20, And provides the fault occurrence event to the control unit 30.

검출부(40)가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히터부(20)가 동작하는 구동주기를 계속해서 검출할 수 있지만 히터부(20)가 동작하는 제1 구동주기(t1)가 종료되는 시점과 제2 구동주기(t2)가 종료되는 시점만 검출하여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method of detecting whether the detecting unit 40 drives the heater unit 20 can continuously detect the driving cycle in which the heater unit 20 operates. However, in the first driving cycle t1 in which the heater unit 20 operates, It may be prefera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heater unit 20 is driven by detecting only the time point at which the heater unit 20 ends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 drive cycle t2 ends.

여기서,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초기구간에 제1 검출주기(d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까지 히터부(20)가 연속적으로 온 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열원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는 시점에 검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 assuming that the heater unit 20 is continuously turned on until the target temperature is reach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etection period d1 in the initial period in which the target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Is defined as detecting at a point in time.

그리고, 제2 검출주기(d2)는 히터부(20)의 제2 구동주기(t2)를 기초로 히터부(20)가 동작을 오프하는 시점에서 히터부(20)의 오프를 검출하고, 히터부(20)의 오프가 검출되면 정상으로 판단하며, 히터부(20)의 오프가 검출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 후 컨트롤부(30)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detection period d2 detects the OFF state of the heater unit 20 at the time when the heater unit 20 is turned off based on the second drive period t2 of the heater unit 20,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ter unit 20 is off. If the heater unit 20 is not detected to be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ter unit 20 is out of order, and a fault occurrence event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30.

이어서, 컨트롤부(30)는 검출부(40)에서 생성된 고장 발생 이벤트를 제공받고, 고장 발생 이벤트를 기초로 히터부(2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고장에 의해 열원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40, and controls whether the heater unit 20 is operated based on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continuously rises due to the failure Can be prevented.

또한, 검출부(40)는 단계별로 설정된 열원의 목표 온도에 따라 각각 설정된 제1 구동주기(t1) 및 제2 구동주기(t2)를 컨트롤부(30)를 통해 제공받고, 제1 구동주기(t1) 및 제2 구동주기(t2)에 대응하는 제1 검출주기(d1) 및 제2 검출주기(d2)로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The detecting unit 40 receives the first driving period t1 and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that are set according to the target temperatures of the heat sources set in the stepwise manner through the control unit 30 and receives the first driving period t1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heater unit 20 is driven by the first detection period d1 and the second detection period d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period t2 and the second driving period t2.

한편, 히터부(20)는 히터부(20)의 사용 기간 및 사용 시간에 따라 열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부(20)를 오랜 시간 연속적으로 가동할 경우 히터부(20) 자체에 높은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승한 열원의 온도가 하강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히터부(20)를 오랜 기간 사용함으로써 히터부(20)의 노후로 인한 열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tim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use period and the use time of the heater unit 20. For example, when the heater unit 20 is continuously operated for a long time,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er unit 20 itself, and accordingly, the time f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d heat source to descend may be prolonged. Further, by using the heater unit 20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im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due to the aging of the heater unit 20 can be prolonged.

따라서, 검출부(40)는 히터부(2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제1 검출주기(d1) 및 제2 검출주기(d2)를 조절하여 히터부(20)의 제1 구동주기(t1) 및 제2 구동주기(t2)에 대응하여 히터부(2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detection unit 40 adjusts the first detection period d1 and the second detection period d2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heater unit 20, thereby controlling the first drive period t1 and the second drive period t2 of the heater unit 2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heater section 20 is driven corresponding to the two-drive period t2.

다른 한편으로,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히터부(20)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voice recognition unit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for recognizing the voice of the user and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20 may be further included.

예를 들어, 음성 인식부는 사용자의 음성 중 아!, 어!, 앗뜨거! 등의 음성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이 인식되면 히터부(20)의 동작을 차단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voice recognition unit can recognize a user's voice, And if the voice is recognize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20 is cut off,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user.

또 다른 한편으로, 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모발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모발 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air sensing unit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for 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user's hair.

예를 들어, 모발 센싱부는 사용자 모발의 수분량 등의 상태를 체크하고, 컨트롤(30)부는사용자의 모발 센싱부에서 체크한 모발 상태에 따라 히터부(20)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온도를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30)부는 모발의 상태가 나쁘면 모발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히터부(20)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온도를 한 단계 낮춰서 동작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hair sensing unit checks the state of the user's hair, such as the amount of water, an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20 according to the hair condition checked by the user's hair sensing unit, can do. That is, if the state of the hair is bad, the control unit 30 can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20 by one step so as to avoid damaging the hair.

도 2은 본 발명의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ing system of the hair sty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고하면,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부(50); 상기 몸체부(50)의 내부에 형성되고, 바람을 발생하기 위한 송풍부(51); 상기 몸체부(5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람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60); 상기 히터부(60)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70);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6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80)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70)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60)와 상기 송풍부(51)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system of the hair style device includes a body portion 50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and an exhaust port on the other side; A blowing part 51 formed inside the body part 50 for generating wind; A heater unit 60 formed inside the body part 50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ind; A control unit 70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60 at a predetermined drive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 detecting unit (80)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60)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and generating a fault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70) And controls a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60) and the blowing unit (51)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여기서, 헤어스타일 기기는 편의상 헤어드라이어로 정의하여 설명한다.Here, the hair style device is defined as a hair dryer for convenience.

먼저,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미용의 목적으로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기기로 헤어드라이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바람을 통해 사용자가 모발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모발을 원하는 스타일로 연출하거나 모발을 건조 시킬 수 있는 기기이다First, the hair dryer is a device for hair styling by the user for the purpose of beauty, and the user can directly direct the hair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wind generated from the hair dryer to produce the hair in a desired style or to dry the hair

헤어드라이어의 몸체부(50)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50)의 내부에는 배기구로 배기되기 위한 바람을 생성하기 위한 송풍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부(51)는 통상적으로 바람을 생성할 수 있는 선풍기의 프로펠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50 of the hair dryer, and an exhaust port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a blowing portion 51 for generating wind to b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50. Here, the wind-up portion 51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propeller of an electric fan, which can typically generate wind.

또한, 몸체부(50)의 내부에는 송풍부(51)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고온의 바람으로 가열하기 위한 열원이 발생하는 히터부(60)가 송풍부(51)와 인접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er unit 60 generate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wind-up unit 51 with high-temperature wind, and the heater unit 6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ind-up unit 51 .

즉, 몸체부(50)의 내부에서 송풍부(51)를 통해 생성된 바람은 몸체부(50)의 타측에 형성된 배기구로 배기되는 동안 히터부(60)에서 발생된 열원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바람으로 배기될 수 있다.That is, the wind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50 through the blowing portion 51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generated in the heater portion 60 while being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50, It can be exhausted by the wind.

헤어드라이어의 히터부(60), 컨트롤부(70) 및 검출부(80)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헤어아이론의 동작과 같음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ter 60, the control unit 70 and the detecting unit 80 of the hair dry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hair iron described above, so that duplicat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검출부(80)는 히터부(60)의 구동주기에 따른 구동 여부를 검출하고, 히터부(60)가 오프 되는 시점에서 오프가 검출되지 않으면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고, 컨트롤부(70)는 고장 발생 이벤트를 기초로 히터부(60)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unit 80 detects whether or not the heater unit 60 is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period. When the heater unit 60 is not turned off at the time when the heater unit 60 is turned off, Can control the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60 based on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예를 들어, 컨트롤부(70)는 검출부(80)에서 고장 발생 이벤트가 생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는 송풍부(51)와 히터부(60)가 모두 동작하는 제1 구동모드로 작동 시키고, 검출부(80)에서 고장 발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송풍부(51)만 동작하고 히터부(60)의 동작을 차단하는 제2 구동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 operates in a first drive mode in which both the blower unit 51 and the heater unit 60 operate in a case where a failure occurrence event is not generated in the detection unit 80, 80, when the fault occurrence event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second drive mode in which only the blower unit 51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60 is interrupted.

즉, 컨트롤부(70)는 검출부(80)의 고장 발생 이벤트에 따라 제1 구동모드에서 제2 구동모드로 변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온의 바람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동작 가능한 송풍부(51)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 및 두피를 건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ntrol unit 70 changes from the first drive mode to the second driv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event of the failure of the detection unit 80, the user can continue to operate in a state in which the accident due to the high- The user ' s hair and scalp can be dried through the enrichment 51.

다시 말해서, 제2 구동모드는 송풍부(51)의 바람은 그대로 유지하되, 송풍부(51)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부(60)를 차단하여 가열되지 않은 송풍으로 사용자의 모발을 계속해서 건조 시키거나 스타일링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second drive mode, the wind of the blowing section 51 is maintained, but the heater section 60 for heating the wind generated from the blowing section 51 is cut off, You can continue drying or styling.

또한, 앞서 설명한 헤어아이론의 음성 인식부와 모발 센싱부는 동일한 방식으로 헤어드라이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hair sensing unit of the hair ir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hair dryer in the same manner.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아이론과 헤어드라이어의 구동 시스템을 정리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부(100)와 히터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200)와 히터부(10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300)를 포함한 히터 구동 시스템으로 구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system of the hair iron and hair dr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heater unit 100 for generating a heat source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heater unit 100 200 and a detector 300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100 is driven or not.

이와 같은 히터부(100)와 컨트롤부(200) 및 검출부(300)를 포함한 시스템은 헤어아이론 및 헤어드라이어 외에도 다리미와 같이 히터부(100)를 포함한 제품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ystem including the heater unit 100,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etection unit 300 may be used as a product system including the heater unit 100, such as an iron, in addition to a hair iron and a hair dryer.

본 발명의 히터 구동 시스템은 히터부(100)에서 발생하는 열원의 온도를 검출하고, 열원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히터부(100)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er dr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100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00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10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예를 들어, 온도 센싱부(400)는 열원의 온도를 센싱하고, 오작동 등 이상 동작으로 인해 열원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0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and can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such as a malfunction.

이어서, 컨트롤부(200)는 온도 센싱부(400)에서 생성된 고장 발생 이벤트를 제공 받으면 히터부(100)의 구동주기와 상관없이 히터부(100)의 동작을 차단하여 히터부(100)에서 발생하는 열원이 온도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then stop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100 regardless of the driving period of the heater unit 100 when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generated i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00 is received, The generated heat source can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rising further.

또한, 본 발명의 히터 구동 시스템은 히터부(100)가 동작한 이후부터 동작하는 타이머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부(500)는 컨트롤부(200)를 통해 히터부(100)가 동작하는 시점을 제공받고, 히터부(100)가 동작한 시점부터 동작하여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시간 초과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dr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mer unit 500 that operates after the heater unit 100 operates. The timer unit 500 receives a time point at which the heater unit 100 operates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and generates a timeout eve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heater unit 100 operates. have.

이어서, 컨트롤부(200)는 타이머부(500)에서 생성된 시간 초과 이벤트를 제공받으면 히터부(100)의 구동주기와 상관없이 히터부(100)의 동작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계속해서 히터부(100)가 동작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200 receives the time-out event generated by the timer unit 500, the control unit 200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100 regardless of the driving period of the heater uni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r unit 100 from operating.

검출부(300)는 타이머부(500)의 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히터부(100)의 구동 주기를 검출할 때와 다르게 검출주기를 반대로 변환하여 히터부(100)의 온 을 검출하고, 히터부(100)에서 온이 검출되면 타이머부(500)의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tection unit 300 detects the ON state of the heater unit 100 by reversing the detection cycle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when detecting the drive cycle of the heater unit 100 from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time of the timer unit 500, When the heater unit 100 is turned 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imer unit 500 has failed.

따라서, 검출부(300)는 검출주기를 변환하고 히터부(100)의 구동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타이머부(500)의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detection unit 300 can detect whether the timer unit 500 is faulty by detecting the drive period of the heater unit 100 by converting the detection perio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몸체부
20: 히터부
30: 컨트롤부
40: 검출부
10:
20: heater part
30:
40:

Claims (10)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모발을 집게 형태로 잡기 위한 발열판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A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and a heating plate for holding the hair in the other direction;
A heater unit formed inside the body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ing plat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to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바람을 발생하기 위한 송풍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람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발생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예정된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와 상기 송풍부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A body portion having a handle on one side and an exhaust port on the other side;
A blowing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for generating wind;
A heater part formed inside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wi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And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to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and the blower uni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열원이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초기 구간 동안 제1 구동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열원이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한 이후 구간 동안 제2 구동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er unit in a first drive period during an initial period in which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heater unit in a second driving period during a period after the heat sourc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구동주기 및 상기 제2 구동주기에 대응하는 제1 검출주기 및 제2 검출주기로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with the first detection period and the secon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period and the second driving period
Hair style device driving system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구동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driving period according to the target temperature
Hair style device driving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생성된 고장 발생 이벤트를 기초로 상기 히터부 및 송풍부를 모두 동작시키는 제1 구동모드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송풍부만 동작시키는 제2 구동모드를 포함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drive mode for operating both the heater unit and the blower unit based on a failure occurrence event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 second drive mode for shutting down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operating only the blow-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히터부의 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히터부를 가변된 구동주기로 동작시키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가변된 구동주기에 대응하는 상기 검출주기로 상기 히터부를 검출하는
헤어스타일 기기의 구동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heater unit at a variable driving cycle as the use time of the heater unit elapses,
Wherei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heater unit at the detection cycl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drive cycle
A driving system of a hair style device.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열원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를 예정된 구동 주기로 동작시켜 상기 열원을 목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컨트롤부; 및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구동 주기와 대응하는 예정된 검출주기를 가지며, 상기 검출주기에 따라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고장 발생 이벤트를 생성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고장 발생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부의 구동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구동 시스템.
A heater unit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heat sourc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heater unit at a predetermined driving cycle to heat the heat source to a target temperature; And
And a detection unit hav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perio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period to detect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nd detecting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ccording to the detection period to generate a fault occurrence ev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peration mode of the heater unit in response to the failure occurrence event
Heater drive syste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히터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히터 구동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Heater drive syste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가 동작한 이후 예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시간 초과 이벤트를 생성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타이머부에서 생성된 시간 초과 이벤트를 기초로 상기 히터부의 동작을 차단하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예정된 시간이 초과한 이후 상기 히터부의 구동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타이머부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는
히터 구동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timer section for generating a timeout even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heater section was operated,
Wherein the control unit block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based on the timeout event generated by the timer unit,
Th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heater unit is drive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detects whether the timer unit has failed or not
Heater drive system.
KR1020170052547A 2017-04-24 2017-04-24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KR101834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47A KR101834817B1 (en) 2017-04-24 2017-04-24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47A KR101834817B1 (en) 2017-04-24 2017-04-24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817B1 true KR101834817B1 (en) 2018-03-06

Family

ID=6172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547A KR101834817B1 (en) 2017-04-24 2017-04-24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8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308A (en) * 2019-04-05 2020-10-15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Hair styling device control system with voice contro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93A (en) * 2004-01-15 2005-07-20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Malfunction detector
KR20060018457A (en) * 2004-08-24 2006-03-02 카오스 주식회사 Current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hair iron
KR100851395B1 (en) * 2007-02-07 2008-08-08 카오스 주식회사 Hair-iron capable of calibrating temperature of heating plate by signal input-output means and temperature calibrating method heating plate
KR100950512B1 (en) * 2009-11-10 2010-03-30 박준모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al mat and error check method thereof
KR101431716B1 (en) * 2013-12-31 2014-08-21 주식회사 이엘텍 Heater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Of Heater For Blowing Hot Wind And Method For Detecting Of Fan Disorder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93A (en) * 2004-01-15 2005-07-20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Malfunction detector
KR20060018457A (en) * 2004-08-24 2006-03-02 카오스 주식회사 Current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hair iron
KR100851395B1 (en) * 2007-02-07 2008-08-08 카오스 주식회사 Hair-iron capable of calibrating temperature of heating plate by signal input-output means and temperature calibrating method heating plate
KR100950512B1 (en) * 2009-11-10 2010-03-30 박준모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al mat and error check method thereof
KR101431716B1 (en) * 2013-12-31 2014-08-21 주식회사 이엘텍 Heater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Of Heater For Blowing Hot Wind And Method For Detecting Of Fan Disorder Of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308A (en) * 2019-04-05 2020-10-15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Hair styling device control system with voice control
KR102214270B1 (en) 2019-04-05 2021-02-10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Hair styling device with voic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974B1 (en) Hair styling iron
JP7216025B2 (en) Hair care device with at least two attachments
KR101518663B1 (en) Hair drier
US20160316883A1 (en) Automatic hair dryer
KR101834817B1 (en) Hair style device operation system
US20170219237A1 (en) Heat-exchange ventilation device
JP2012239615A (en) Hair care device
KR101162116B1 (en) Heating curler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ITTO20000406A1 (en) METHOD FOR DRYING LINEN AND MACHINE IMPLEMENTING THIS METHOD.
JP2007236735A (en) Hand drying apparatus
JPH0433602A (en) Dryer
JP6990884B2 (en) Hair Dryer
KR101431716B1 (en) Heater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Of Heater For Blowing Hot Wind And Method For Detecting Of Fan Disorder Of Using The Same
JP3958523B2 (en) Clothes dryer
CN109688866A (en) Hair care device
KR20110053706A (en) Electric heater
KR100351941B1 (en) A controlling method of cavity temperature in microwave oven
JP4028137B2 (en) Clothes dryer
US20060218816A1 (en) Dryer heat modulation with solid state motor switch
CN105759206B (en) A kind of detection protection system of fan condition
EP4280812A2 (en) Phase control heater control
JPH01291059A (en) Air blowing temperature control circuit
CN116998814A (en) Hair dryer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hair drying equipment
KR100986283B1 (en) hair dryer
KR20100122591A (en) Circuit for controlling electric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