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733B1 -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733B1
KR101833733B1 KR1020160169300A KR20160169300A KR101833733B1 KR 101833733 B1 KR101833733 B1 KR 101833733B1 KR 1020160169300 A KR1020160169300 A KR 1020160169300A KR 20160169300 A KR20160169300 A KR 20160169300A KR 101833733 B1 KR101833733 B1 KR 10183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filter
port
sign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석
김윤영
오정윤
우민기
안상태
윤재호
손선락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기산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산텔레콤 filed Critical (주)기산텔레콤
Priority to KR102016016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733B1/ko
Priority to PCT/KR2016/014910 priority patent/WO201811075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7Filtering devices for biasing networks or DC retu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0Magic-T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비에 전원과 RF 신호 그리고 IF 신호를 한 개의 급전선로를 이용해 공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F와 RF 신호,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신호간 구분도를 높이고 특히 고출력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수동상호변조왜곡(Passive Inter Modulation: PIM) 신호를 낮추어 무선 이동통신의 순방향 신호가 역방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R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와 DC 성분을 차단하되, 인입된 RF 신호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고, 상기 스커트 특성이 강화된 RF 신호 및 제4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DC 성분을 결합하여 제4 포트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필터부; 제2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I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DC 성분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필터부; 제3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DC 성분을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3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상기 제3 필터부를 통과한 DC 성분을 결합하여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R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4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Bias Tee Apparatus for RF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 "저비용 사업자통합지원 인빌딩 무선망 시스템 개발" 과제 건으로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Bias Tee)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장비에 전원과 RF 신호 그리고 IF 신호를 한 개의 급전선로를 이용해 공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F와 RF 신호,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신호간 구분도를 높이고 특히 고출력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수동상호변조왜곡(Passive Inter Modulation: PIM) 신호를 낮추어 무선 이동통신의 순방향 신호가 역방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시켜 신호 처리한 후 다시 RF 신호로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에는 소정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전력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선로 증폭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선로 증폭기 방향으로 전송해 주기 위해 각각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별도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은 공사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하나의 선로만으로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바이어스 티(Bias-T)가 개발되었다.
통신 중계기 장비에 전원과 RF 신호 그리고 모뎀 신호를 한 개의 급전선로를 이용해 공급하기 위해 바이어스 티(또는 Bias T라 칭함)가 사용되는데, 무선 서비스의 종류 및 수가 점차 많아짐에 따라 IF 신호와 RF 신호가 각각 넓어지고 서로 가까워 지고 있다. 이 넓어진 IF 신호와 RF 신호,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신호간 구분도가 높은 Bias T가 요구된다. 또한 Bias T는 고품질의 RF 신호가 요구됨에 따라 PIM 특성 또한 높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Filter)의 단수를 높이는 구조 등의 Bias T가 사용되었으나 낮은(Low) PIM 특성을 만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42770호(2007.07.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 통신 장비에 전원과 RF 신호 그리고 IF 신호를 한 개의 급전선로를 이용해 공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F와 RF 신호,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신호간 구분도를 높이고 특히 고출력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수동상호변조왜곡(Passive Inter Modulation: PIM) 신호를 낮추어 무선 이동통신의 순방향 신호가 역방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제1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R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와 DC 성분을 차단하되, 인입된 RF 신호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고, 상기 스커트 특성이 강화된 RF 신호 및 제4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DC 성분을 결합하여 제4 포트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필터부; 제2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I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DC 성분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필터부; 제3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DC 성분을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3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상기 제3 필터부를 통과한 DC 성분을 결합하여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R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4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도록 노치 필터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로서, 제1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4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노치 필터에 상기 제4 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는 제1 포트와 제4 포트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제1 캐패시터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인덕터와 제2 캐패시터, 및 제1 캐패시터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덕터와 제3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를 구성하는 제1 인덕터와 제2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에 상기 제4 필터부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2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필터부 및 상기 제4 필터부와 공통 연결된 HPF(High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필터부의 HPF(High Pass Filter)는 상기 제2 포트에 직렬로 연결된 제4~6 캐패시터, 상기 제4,5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3 인덕터, 및 상기 제5,6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4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필터부는 상기 제3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4 필터부와 공통 연결된 LPF(Low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필터부의 LPF(Low Pass Filter)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4 필터부의 공통 연결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포트에 연결된 제5 인덕터, 및 상기 제5 인덕터와 상기 제3 포트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7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3 필터부와 공통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필터부의 노치 필터에 연결된 LPF(Low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필터부의 LPF(Low Pass Filter)는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3 필터부의 공통 연결점과 상기 제1 필터부의 노치 필터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내지 제9 인덕터, 제6,7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8 캐패시터, 제7,8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9 캐패시터, 및 제8,9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10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개의 급전선로를 이용해 전원과 RF 신호 그리고 IF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IF신호, RF 신호, 및 전원 신호간의 구분도를 높이고 특히 고출력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수동상호변조왜곡(Passive Inter Modulation: PIM) 신호를 낮추어 무선 이동통신의 순방향 신호가 역방향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창출한다.
일반적으로 Bias T는 tower top LNA와 같이 전원시설이 필요하지만 시설을 설비하기에 난해하여 비용 증가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RF 주파수와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무선서비스의 증가에 의해 넓은 대역의 IF 및 RF 주파수가 필요하며, RF 주파수가 고출력인 경우는 PIM 때문에 더욱 난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대역의 IF 및 RF 주파수와 전원이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이 필요한 경우 PIM의 제약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사업자에게 안정적인 RF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별도의 전원 시설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전원 시설 비용을 대폭 줄여서 저렴한 시설비로 설치 가능하여 효율적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수를 늘린 PIN 결합형 구조의 Bias T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도 2의 Bias T에 따른 신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Bias T에 따른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Bias T에 따른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의 회로도로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RF 신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 포트(1)가 연결되고 타측에 RF/IF/DC 혼합신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4 포트(4)가 연결된 제1 필터부(21), 일측에 IF 신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 포트(2)가 연결된 제2 필터부(22), 일측에 DC 성분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3 포트(3)가 연결된 제3 필터부(23), 및 제1 필터부(21)와 제2,3 필터부의 공통연결점의 사이에 연결된 제4 필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21)는 제1 포트(1)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R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와 DC 성분을 차단하되, 인입된 RF 신호의 스커트 특성(Skirt Characteristic)을 강화하고, 그 스커트 특성이 강화된 RF 신호 및 제4 필터부(24)를 통과한 IF 신호와 DC 성분을 결합하여 제4 포트(4)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필터부(21)는 예를 들어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도록 노치 필터(21a,21b)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로 구성되는데, 제1 포트(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4 포트(4)에 연결되며 노치 필터(21a)에 제4 필터(24)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1 필터부(21)의 회로 즉, 노치 필터(21a,21b)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21)의 회로는, 예를 들어, 제1 포트(1)와 제4 포트(4)의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1), 캐패시터(C1)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인덕터(L1)와 캐패시터(C2), 및 캐패시터(C1)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인덕터(L2)와 캐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고, 노치 필터(21a)를 구성하는 인덕터(L1)와 캐패시터(C2)의 공통 연결점에 제4 필터부(2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부(22)는 제2 포트(2)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I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DC 성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HPF(High Pass Filter)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은 제2 포트(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필터부(23)와 제4 필터부(24)의 공통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필터부(22)의 HPF(High Pass Filter) 회로는 제2 포트(2)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캐패시터(C4,C5,C6), 캐패시터 C4와 C5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인덕터(L3), 및 캐패시터 C5와 C6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인덕터(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터부(23)는 제3 포트(3)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DC 성분을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LPF(Low Pass Filter)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이 제3 포트(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필터부(22)와 제4 필터부(24)의 공통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필터부(23)의 LPF(Low Pass Filter) 회로는 제2 필터부(22)와 제4 필터부(24)의 공통 연결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포트(3)에 연결된 인덕터(L5), 및 인덕터(L5)와 제3 포트(3)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7)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필터부(24)는 제2 필터부(22)를 통과한 IF 신호와 제3 필터부(23)를 통과한 DC 성분의 결합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RF 신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LPF(Low Pass Filter)로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이 제2 필터부(22)와 제3 필터부(23)의 공통연결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필터부(21)의 노치 필터(2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필터부(24)의 LPF(Low Pass Filter) 회로는 제2 필터부(22) 및 제3 필터부(23)의 공통 연결점과 제1 필터부(21)의 노치 필터(21a)의 인덕터(L1)와 캐패시터(C2)의 공통 연결점의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인덕터(L6~L9)와, 인덕터 L6과 L7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8), 인덕터 L7과 L8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C9), 및 인덕터 L8과 L9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품질/고출력의 특성을 위해 PIMD를 최소화하면서, 광 대역의 RF 신호와 인접한 광 대역의 IF 신호 및 전원 신호의 결합 및 분배 가능한,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 하였고, 제품의 제작을 위한 요구 사항은 PIMD 규격은 -150dBm 이하, RF 주파수는 이동통신의 기본 주파수인 700MHz 이상, IF 주파수는 RF와 근접한 500MHz 이하, 및 전원은 DC를 일 예로 하였으나, 전술한 요구 사항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바이어스 티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포트(1~3)를 통해 RF 신호, IF 신호, 및 DC가 각각 인입되고 제4 포트(4)를 통해 RF 신호, IF 신호, 및 DC의 혼합신호가 출력되는 제1 경로를 일 예로 설명한다.
제2 포트(2)를 통해 인입된 IF 신호는 제2 필터(22)를 통과하고 제3 포트(3)를 통해 인입된 DC 신호는 제3 필터(23)를 통과함과 아울러 제2 필터(22)는 제3 필터(23)측으로부터 DC 신호가 역유입을 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 필터(23)는 제2 필터(22)로부터 IF 신호가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어 제2 필터부(22)와 제3 필터부(23)의 공통연결점으로서의 노드 1(N1)에서 IF 신호와 DC 신호가 결합되어 제4 필터부(24)를 통과하고, 아울러 제4 필터부(24)는 제1 필터부(21)로부터 RF 신호가 역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 포트(1)로부터 인입된 RF 신호는 제1 필터부(21)를 통과하면서 노치 필터(21a)에 의해 스커트 특성이 강화되고 그 스커트 특성이 강화된 RF 신호 및 제4 필터부(24)를 통과한 IF 신호와 DC 성분이 노치 필터(21a)의 노드 2(N2)에서 결합되어 제4 포트(4)를 통해 출력된다.
도 3은 도 2의 바이어스 티 회로에 따른 신호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기존의 바이어스 티 회로에 따르면 도 3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F 신호가 IF 신호를 침범하여 낮은(Low) PIM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지만, 대조적으로 도 2의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회로에 따르면 노치 필터(21a,21b)를 HPF(21)에 포함하여 HPF(21)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함으로써 도 3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F 신호의 스커트 특성이 강화되고 이로 인해 RF 신호와 IF 신호 간의 신호 분리도가 향상되고 낮은(Low) PIM 특성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바이어스 티 회로는 전술한 제1 경로와 같이 인입된 복수의 신호(IF신호, RF 신호, 및 전원 신호)를 서로 구분도를 높이면서 하나로 결합하여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1 경로와 역 방향으로 제4 포트(4)를 통해 입력되는 RF/IF/DC 결합 신호를 RF신호, IF 신호, 및 전원 신호로 서로 분리하여 제1 포트(1), 제2 포트(2), 제3 포트(3)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ias T에 따른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Bias T에 따른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기존의 Bias T는 PIMD 특성을 만족하면서 RF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 단수를 늘린 구조의 결합형 구조의 캐패시터를 적용한 필터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개의 필터가 연결됨에 따라 견고하게 PIN이 고정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MD 특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4에서 (a)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CDMA 신호에 대한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며, (c)는 WCDMA 신호에 대한 PIMD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대조적으로, 도 2의 Bias T 회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은(Low) PIM 특성을 만족할 수 있었고, 또한 RF 주파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제1 필터의 구성 시 HPF의 단수를 줄이면서도 주파수간 분리도를 높일 수 있어서 요구한 RF 특성을 만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수를 가능한 한 줄이면서 필터(Filter)에 주파수간 분리도를 높이기 위해 RF 대역의 감쇄(Attenuation) 구간에 노치(Notch)를 추가하여 RF 대역에서 만족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제안하는 구조로 인해 Low PIM 특성을 확보하는 광대역의 RF/IF/전원 신호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Bias T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제1 포트(RF 신호 연결 포트)
2: 제2 포트(IF 신호 연결 포트)
3: 제3 포트(DC 연결 포트)
4: 제4 포트(RF/IF/DC 합성신호 연결 포트)
21: 제1 필터부(노치 필터를 포함한 HPF)
22: 제2 필터부(IF용 HPF)
23: 제3 필터부(DC용 LPF)
24: 제4 필터부(LPF)

Claims (9)

  1. 제1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R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와 DC 성분을 차단하되, 인입된 RF 신호의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고, 상기 스커트 특성이 강화된 RF 신호 및 제4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DC 성분을 결합하여 제4 포트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필터부;
    제2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IF 신호를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DC 성분을 차단하기 위한 제2 필터부;
    제3 포트를 통해 인입(또는 인출)되는 DC 성분을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I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3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통과한 IF 신호와 상기 제3 필터부를 통과한 DC 성분을 결합하여 통과하고 역으로 유입되는 RF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4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도록 노치 필터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로서, 제1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4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노치 필터에 상기 제4 필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필터를 포함한 HPF(High Pass filter)는 제1 포트와 제4 포트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제1 캐패시터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 인덕터와 제2 캐패시터, 및 제1 캐패시터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 인덕터와 제3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를 구성하는 제1 인덕터와 제2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에 상기 제4 필터부의 일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2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필터부 및 상기 제4 필터부와 공통 연결된 HPF(High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의 HPF(High Pass Filter)는 상기 제2 포트에 직렬로 연결된 제4~6 캐패시터, 상기 제4,5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3 인덕터, 및 상기 제5,6 캐패시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4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부는 상기 제3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4 필터부와 공통 연결된 LPF(Low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터부의 LPF(Low Pass Filter)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4 필터부의 공통 연결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포트에 연결된 제5 인덕터, 및 상기 제5 인덕터와 상기 제3 포트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7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필터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3 필터부와 공통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필터부의 노치 필터에 연결된 LPF(Low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필터부의 LPF(Low Pass Filter)는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3 필터부의 공통 연결점과 상기 제1 필터부의 노치 필터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내지 제9 인덕터, 제6,7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8 캐패시터, 제7,8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9 캐패시터, 및 제8,9 인덕터의 공통 연결점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10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KR1020160169300A 2016-12-13 2016-12-13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83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00A KR101833733B1 (ko) 2016-12-13 2016-12-13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PCT/KR2016/014910 WO2018110752A1 (ko) 2016-12-13 2016-12-20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00A KR101833733B1 (ko) 2016-12-13 2016-12-13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733B1 true KR101833733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00A KR101833733B1 (ko) 2016-12-13 2016-12-13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733B1 (ko)
WO (1) WO2018110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401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담스테크 전자기 펄스 및 전자파 차폐용 동축 라인 광대역 도파관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08B1 (ko) 2012-05-31 2013-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408B1 (en) * 1999-05-19 2001-05-08 Intermec Ip Corp. Zero loss bias “T”
US20070063771A1 (en) * 2005-09-21 2007-03-22 Bookham Technology, Plc. Bias-T circuit
US9008597B2 (en) * 2010-04-20 2015-04-14 Rf Micro Devices, Inc.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having a multi-stage output filter
US20170062911A1 (en) * 2014-02-21 2017-03-02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put selective smart bias tee
US9660594B2 (en) * 2014-06-02 2017-05-23 Nxp Usa, Inc. Resonating filte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08B1 (ko) 2012-05-31 2013-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401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담스테크 전자기 펄스 및 전자파 차폐용 동축 라인 광대역 도파관 필터
KR102290441B1 (ko) * 2020-01-10 2021-08-18 주식회사 담스테크 전자기 펄스 및 전자파 차폐용 동축 라인 광대역 도파관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752A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9122B2 (ja) 再生式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を含むアナログ再生式トランスポンダ
US20050206475A1 (en) Wideband catv signal splitter device
US9686698B2 (en) Signal amplifiers that switch to an attenuated or alternate communications path in response to a power interruption
US20070063790A1 (en) Wideband CATV signal splitter device
US10531151B2 (en) Bidirectional amplifier or node supporting out-of-band signaling
KR101833733B1 (ko)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
US20030093811A1 (en) Bandwidth directional coupler
US20230308127A1 (en) Frequency converting cable network signal transmission devices
JP2006180519A (ja) ハイブリッド接続器及びその中継システム
EP2660975A1 (en) Tower mounted amplifi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454662B2 (en) Duplexer with signal cancellation
EP3301753A1 (en) Multiplex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8055409A2 (en)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48249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급전선 공유기 및 급전선 공유 시스템
CN103997354A (zh) 一种混频系统、混频装置及混频方法
US7093276B2 (en) CATV trunk amplifier, upward signal amplifier, and bi-directional CATV system
US20190166406A1 (en) Power Passing Termination Tap
KR100299131B1 (ko) 케이블텔레비젼방송을위한망을이용한서비스시스템의잡음이유입된상향신호차단장치와상향신호결합장치
WO20060126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line head-end data transmission
KR101559519B1 (ko) 급전선 공유기 및 공유 시스템
GB2501363A (en) Tower Mounted Amplifier for simultaneous use in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andstop filter in transmit/receive path
EP1406384B1 (en) Reverse gain saving broadband RF couplers
CN207854072U (zh) 网络的扩容系统
KR20000066634A (ko) 이동통신 공용 기지국 시스템
KR101582927B1 (ko) 혼변조 왜곡을 방지하는 무선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