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228B1 -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 Google Patents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228B1
KR101833228B1 KR1020160147973A KR20160147973A KR101833228B1 KR 101833228 B1 KR101833228 B1 KR 101833228B1 KR 1020160147973 A KR1020160147973 A KR 1020160147973A KR 20160147973 A KR20160147973 A KR 20160147973A KR 101833228 B1 KR101833228 B1 KR 10183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essure
pressure sensing
door bod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성환
홍지훈
Original Assignee
오성환
홍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환, 홍지훈 filed Critical 오성환
Priority to KR102016014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2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body; a first display portion; a second display portion; a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a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a memory portion; an optical angle cameral portion; a control portion; and a communication portion. By comparing degrees of a first pressure and a second pressure measur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provided in the door body, an outside image generated by the optical angle camera portion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a user such that the user is able to quickly identify intrusion.

Description

보안강화 현관문{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보안강화 현관문{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한국의 경우 인구밀도가 높아 경비실이 없는 주택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현관문의 보안강화가 지속적으로 요청되고 있다.In Korea, the population density is so high that houses without security rooms are concentrated.

이러한 사용자들의 현실적인 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현관문은 도어락의 성능 개선과 현관문의 재질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Despite the practical needs of these users, the general front door is moving towar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oor locks and strengthening the material of the front doors.

그러나 도어락의 성슨 개선이나 현관문의 재질 강화만으로는 사용자의 보안강화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관문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owever, it is not enough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users by improving the door locks or reinforcing the doors. Therefore,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enhance the security of the entrance doors.

공개특허 10-2004-0097033 (공개일자 : 2004.11.17)[Patent document 10] 2004-0097033 (public date: November 17, 200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은 침입자의 침입 행동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security enhanc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an ability to grasp the intruder's intrusion behavior.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ask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에 인접하는 제1 측면과 내부에 인접한 제2 측면을 지니며 개구부를 지닌 도어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도어 바디; 상기 도어 바디의 제1 측면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도어 바디의 제2 측면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큰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측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1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압력 센싱부; 상기 도어 지지 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제2 측면의 주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2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압력 센싱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단말기 연락 정보, 워드 프로세싱 모듈, 상기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주변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하는 광각 카메라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2 압력이 기준 압력 세기 이상이고, 상기 제2 압력이 상기 제1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1 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광각 카메라부를 통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기 연락 정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초인종 동작에 따라 상기 광각 카메라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워드 프로세싱 모듈을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필기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 부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내부에 구비된 가스 밸브 및 수도 밸브를 폐쇄하는 것과 더불어 미리 지정된 가전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강화 현관문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comprising: a door body having a first side adjacent to the outside and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inside and connected to a door supporting frame having an opening;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on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and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display unit;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cent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door support frame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periphe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A memory unit provided in the door body for storing user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a word processing module, and the user related image; A wide angle camera unit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and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side surface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of the subject; When the second pressure accor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ressure intensity and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door body and transmitting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loading the word processing module and inputting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user-related image from the memory unit and display the user-related imag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the user's member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gas valve and water valve provided in the interior are closed In addition to The security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a specified household appliances ar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은 도어 바디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싱부 및 제2 압력 센싱부를 통하여 침입자의 침입 행동에 따른 외부 상황 영상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침입 행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external situation image according to an intruder's intrusion behavior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door body, It can be grasped quickly.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을 외부 및 내부에서 각각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싱부와 제2 압력 센싱부의 분포를 나타낸다.
FIG. 1 and FIG. 2 show a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outside and inside.
3 show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enhanc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the distribution of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security enhanced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을 외부 및 내부에서 각각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도 2에는 도어 바디(110)와 도어 지지 프레임(115)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FIG. 1 and FIG. 2 show a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outside and insid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body 110 and the door supporting frame 115. As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enhanc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은 도어 바디(110), 제1 디스플레이부(120), 제2 디스플레이부(130), 제1 압력 센싱부(140), 제2 압력 센싱부(150), 메모리부(160) 광학 카메라부(170), 제어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한다. 1 to 3, the security enhanc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body 110, a first display unit 120, a second display unit 130,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30,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a memory unit 160, an optical camera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communication unit 190.

도어 바디(110)는 외부에 인접하는 제1 측면과 내부에 인접한 제2 측면을 지니며 개구부를 지닌 도어 지지 프레임(115)에 연결된다.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사람은 먼저 도어 바디(110)의 제1 측면을 보고 도어 지지 프레임(115)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반대로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사람은 먼저 도어 바디(110)의 제2 측면을 보고 도어 지지 프레임(115)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다. The door body 110 has a first side adjacent to the outside and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inside, and is connected to a door supporting frame 115 having an opening. A person enter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can first see the first side of the door body 110 and enter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of the door supporting frame 115. On the other hand, a person who goes ou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can see the second side of the door body 110 and go o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door supporting frame 115.

도어 지지 프레임(115)은 경첩(미도시) 등을 통하여 도어 바디(110)와 연결될 수 있으나, 도어 바디(110)와 도어 지지 프레임(115)의 연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 지지 프레임(115)의 개구부는 사람이나 물건이 드나드는 출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door support frame 115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body 110 through a hinge (not shown), b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oor body 110 and the door support frame 115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ening of the door support frame 115 can serve as an entrance for a person or an object.

제1 디스플레이부(120)는 도어 바디(110)의 제1 측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 디스플레이부(120)는 LCD나 O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display unit 120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door body 110. The first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n LCD or an O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디스플레이부(130)는 도어 바디(110)의 제2 측면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제1 디스플레이부(120)의 면적보다 크다. 이후에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은 광각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The second display unit 130 is provid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110 and includes a touch screen and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de-angle camera unit.

보통 렌즈는 사람이 보는 시야 화각과 거의 같게 보여주는데, 광각 카메라부의 광각 렌즈는 사람의 시야보다 넓게 보여준다. 따라서 내부의 사용자가 외부의 상황을 보다 넓게 볼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내부의 사용자가 보는 제2 디스플레이부(130)의 면적은 제1 디스플레이부(120)의 면적보다 크다. Usually, the lens is almost the same as the view angle of the human vision. The wide-angle lens of the wide-angle camera section is wider than the human view. Accordingly, since the inside of the user can see the outside situation more widely, the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130 viewed by the inside user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120.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강화 현관문에 구비된 제1 압력 센싱부(140)와 제2 압력 센싱부(150)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싱부(140)는 제1 측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중앙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1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한다. 4 shows a distribution of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provided in the security enhanced front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ide, and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ent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또한 제2 압력 센싱부(150)는 도어 지지 프레임(115)과 인접한 제2 측면의 주변 영역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주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2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is provid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door supporting frame 115 and senses a pressure applied to the periphe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이와 같은 제1 압력 센싱부(140) 및 제2 압력 센싱부(150)는 압력을 센싱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element that senses a pressure and converts the sensing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제1 압력 센싱부(140) 및 제2 압력 센싱부(150)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60)는 도어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단말기 연락 정보, 워드 프로세싱 모듈(word processing module),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저장한다. 사용자의 단말기 연락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TCP/IP 주소 및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the memory unit 16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body 110 and stores user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a word processing module, and a user related image.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mail address of the user, or the TCP / IP address and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워드 프로세싱 모듈은 메모장이나 MS note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필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160)는 OS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OS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할 수 있다.The word processing module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a notepad or an MS note, in which a user can display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To this end, the memory unit 160 stores an OS program, OS programs can be loaded and executed.

사용자 관련 이미지는 사용자의 사인이 포함된 이미지, 사용자의 문패 이미지,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명함 이미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r related imag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image including a user's signature, a nameplate image of a user, an image including a user's face, or a business card image of a user.

광각 카메라부는 제1 측면에 구비되어 제1 측면 주변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에 대한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한다. 광각 카메라부는 광각 렌즈를 포함하여 일반 렌즈보다 더 넓은 외부 영역을 촬상하여 외부의 상황에 대한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광각 카메라부는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CCD나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de-angle camera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to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side surface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of the subject. The wide-angle camera section includes a wide-angle lens, captures an outer area wider than the general lens, and generates an external situation image for an external situation. The wide-angle camera unit may also include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or CMOS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제어부(180)는 도어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2 압력이 기준 압력 세기 이상이고, 제2 압력이 제1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1 압력보다 클 경우, 광각 카메라부를 통한 외부 상황 영상의 생성을 제어한다. When the second pressure accor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intensity and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And controls generation of an external situation image through the camera unit.

만약 외부에서 내부로 무단 침입하려는 자가 현관문을 파손하려 할 경우, 침입자는 도어 지지 프레임(115)과 도어 바디(110)의 경계 영역에 집중적으로 해머나 뾰족한 수단으로 힘을 가할 것이다. If an intruder intruding from outside to inside attempts to break the front door, the intruder will exert a concentrated hammer or pointed force o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door support frame 115 and the door body 110.

왜냐하면 도어 바디(110)와 도어 지지 프레임(115) 사이에는 일정 정도의 틈이 존재하므로 상기 틈 주변에 힘을 가하는 것이 도어 바디(110)를 파손하기 쉬울 수 있다. Because there is a certain gap between the door body 110 and the door supporting frame 115, it is easy to damage the door body 110 by applying a force around the gap.

또한 도어 락의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도어 바디(110)의 중앙 영역이 아닌 도어 바디(110)의 주변 영역에 설치되므로 침입자는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 바디(110)의 주변 영역에 힘을 가하여 도어 락을 파손시키려 할 수 있다.Since the handle of the door lock is generally installed in a peripheral area of the door body 110, rather than a central area of the door body 110, the intruder applies a force to a peripheral area of the door body 110 using a tool, It may be damaged.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어 바디(110) 주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싱부(150)로부터 센싱된 제1 압력의 세기가 도어 바디(110) 중앙 영역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싱부(140)로부터 센싱된 제2 압력의 세기보다 클 경우 광각 카메라부로 하여금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상황 영상은 The controller 180 may sense the first pressure sensed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located near the door body 110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oor body 110, Angle camera unit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level. This external situation picture

이 때 제어부(180)는 제2 압력이 세기가 기준 압력 세기 이상인 지를 체크한다. 제2 압력이 제1 압력보다 크더라도 침입자가 아닌 일반인이 도어 바디(110)에 대한 정상적인 조작을 위하여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일반인은 기준 압력 세기보다 작은 힘을 가하므로 외부 상황 영상의 생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or not the second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Even if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the general person, not the intruder, can apply the force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oor body 110. [ In this case, since the general person applies a force small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intensity, genera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is not required.

통신부(190)는 도어 바디(110)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연락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외부 상황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는 데스크 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피처 폰(feature phone), PDA, 태블렛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 19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body 110 and can transmit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he user's termin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feature phone, a PDA, a tablet PC.

이와 같은 통신부(19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90)는 네트워크에 맞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protocol suitable for the network.

또한 통신부(190)는 접속하는 네트워크 및 프로토콜에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include hardware suitable for the network and protocol to be connected.

예를 들어, 단말기 연락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경우, 통신부(190)는 3G 또는 4G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is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transmit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3G or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의 단말기가 Wi-Fi 네트워크나 이더넷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경우, 제어부(180)는 이더넷 카드를 포함하는 통신부(19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의 파일을 첨부하여 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terminal is connectable to the Wi-Fi network or the Ethernet network, the control unit 180 can send the e-mail by attaching the file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e-mail address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including the Ethernet card have.

단말기 연락 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TCP/IP 주소 및 MAC 주소를 포함할 경우, 통신부(190)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로 외부 상황 영상을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영상 플레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외부 상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the TCP / IP address and the MAC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connect to the Internet network and transmit the external context image to the terminal, A situation image can be displayed.

한편, 제어부(180)는 초인종(미도시) 동작에 따라 광각 카메라부를 통하여 생성된 외부 상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초인종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unit 130 to display an external situation image generated through the wide-angle camera unit according to a doorbell (not shown) operation. The doorbell is a general technique for a typical technicia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외부에서 사람인 초인종을 누르면 전류가 흘러 소리가 출력되는데, 제어부(180)는 초인종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광각 카메라부가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외부 상황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detec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oorbell to control the wide angle camera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and outputs the generated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second display unit 130. [ As shown in FIG.

또한 제어부(180)는 워드 프로세싱 모듈을 로딩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필기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loads the word processing module and controls the first display unit 120 to displa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워드 프로세싱 모듈은 제2 디스플레이부(13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필기 정보를 입력받아 외부에 인접한 제1 디스플레이부(120)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필기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가상 자판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d processing module may receiv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30 and displa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n the first display unit 120 adjacen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ouching a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30, or may be input by a user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이에 따라 외부인은 내부에 있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연락처 등을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기가 자고 있으니 초인종을 누르지 마세요'라는 메모가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으며, 택배원이나 우체부 등은 이를 먼저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sider can confirm the request or the contact of the user in the first display through the first display. For example, a note saying "Do not press the doorbell because the baby sleeps"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nd a carrier or postman can recognize this first.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메모리부(160)로부터 독출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관련 이미지는 사용자의 사인이 포함된 이미지, 사용자의 문패 이미지,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 또는 사용자의 명함 이미지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택배 기사나 우체부 등은 사용자에게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user-related imag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20 by reading the image from the memory unit 160. As described above, the user-related image may be an image including a user's signature, an image of a nameplate of a user, an image including a user's face, or a business card image of a user. Accordingly, a courier article, Can be confirmed in advance.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 부재 정보가 입력되면, 내부에 구비된 가스 밸브 및 수도 밸브를 폐쇄하는 것과 더불어 미리 지정된 가전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제어한다. 통신부(190)는 내부의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어부(180)는 가스 밸브 및 수도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member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closes the gas valve and the water valve provided therein,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predetermined home appliance to be cut off. The communication unit 190 can be connected to an internal home network through which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gas valve and the water supply valve.

사용자 부재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사용자 부재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The input of the user absence information can be inputted by touching the user absence interfac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30 by the user.

이 때 메모리부(160)는 가스 밸브 구동부(200) 및 수도 밸브 구동부(210)에 대한 ID 정보 또는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사용자 부재 정보가 입력되면 메모리부(160)로부터 상기 ID 정보 또는 주소 정보를 독출하여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ID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for the gas valve driving unit 200 and the water valve driving unit 210. When the user's member information is input, The ID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can be read out and the drive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통신부(19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ID 정보 또는 주소 정보에 해당되는 가스 밸브 구동부(200) 및 수도 밸브 구동부(210)로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90 may transmit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gas valve driving unit 200 and the water valve driving unit 210 corresponding to the ID information or the address information through the home network.

이에 따라 가스 밸브 구동부(200) 및 수도 밸브 구동부(210)는 각각 가스 밸 브 및 수도 밸브를 폐쇄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gas valve driving unit 200 and the water valve driving unit 210 can close the gas valve and the water valve,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어 바디(110)
도어 지지 프레임(115)
제1 디스플레이부(120)
제2 디스플레이부(130)
제1 압력 센싱부(140)
제2 압력 센싱부(150)
메모리부(160)
광학 카메라부(170)
제어부(180)
통신부(190)
가스 밸브 구동부(200)
수도 밸브 구동부(210)
The door body 110,
The door support frame 115,
The first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140,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150,
In the memory unit 160,
In the optical camera unit 170,
The controller 180,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 gas valve driver 200,
The water valve driving part 210,

Claims (1)

외부에 인접하는 제1 측면과 내부에 인접한 제2 측면을 지니며 개구부를 지닌 도어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도어 바디;
상기 도어 바디의 제1 측면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도어 바디의 제2 측면에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면적보다 큰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측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1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압력 센싱부;
상기 도어 지지 프레임과 인접한 상기 제2 측면의 주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제2 압력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압력 센싱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단말기 연락 정보, 워드 프로세싱 모듈, 상기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1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측면 주변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외부 상황 영상을 생성하는 광각 카메라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2 압력이 기준 압력 세기 이상이고, 상기 제2 압력이 상기 제1 압력센싱신호에 따른 제1 압력보다 클 경우, 상기 광각 카메라부를 통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도어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기 연락 정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초인종 동작에 따라 상기 광각 카메라부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외부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워드 프로세싱 모듈을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필기 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 부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내부에 구비된 가스 밸브 및 수도 밸브를 폐쇄하는 것과 더불어 미리 지정된 가전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강화 현관문.
A door body having a first side adjacent to the exterior and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interior and connected to a door support frame having an opening;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on a first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A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on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door body and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display unit;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cent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door support frame to sense a pressure applied to the peripheral region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A memory unit provided in the door body for storing user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a word processing module, and the user related image;
A wide angle camera unit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and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side surface to generate an external situation image of the subject;
When the second pressure according to the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ressure intensity and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door body and transmitting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contac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rein,
And controls display of the external situation image generated through the wide angl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doorbell operation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nd controls to display the handwriting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user by loading the word processing modu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read the user-related image from the memory unit and display it via the first display unit,
And controls to shut off power supply to a predetermined home appliance in addition to closing the gas valve and the water valve provided in the inside when user's member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KR1020160147973A 2016-11-08 2016-11-08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KR101833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73A KR101833228B1 (en) 2016-11-08 2016-11-08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973A KR101833228B1 (en) 2016-11-08 2016-11-08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228B1 true KR101833228B1 (en) 2018-04-13

Family

ID=6197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973A KR101833228B1 (en) 2016-11-08 2016-11-08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2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515B1 (en) 2005-01-27 2006-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igital door lock device to transmit sms massage in alias as security alarm messag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ms massage
KR101716808B1 (en) 2015-03-04 2017-03-15 주식회사 아마다스 Door lock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and security system u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515B1 (en) 2005-01-27 2006-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igital door lock device to transmit sms massage in alias as security alarm messag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e sms massage
KR101716808B1 (en) 2015-03-04 2017-03-15 주식회사 아마다스 Door lock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and security system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23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458995B1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7122679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110115924A1 (en) Image pickup device
US9608992B2 (en) Mobile terminal device
WO2016008456A1 (en) Mobile home applian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7990978A (en) Environment light detec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008348A (e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device and terminal
CN104615240A (en) Terminal unlocking method and device
US9218086B2 (en) Mobile touch-generating device as secure loupe for touchscreen devices
US9794443B2 (en) Proximity-base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multifunction devices
CN107917755A (en) Environment light detec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3834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a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0925971B1 (en) Central Access Control Unit
CN106951757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gram
TWI696913B (en) Electronic device and moving module thereof
US20160063274A1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Light Indicator Unit
CN105824474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mobile equipment
KR101833228B1 (en) Front door for reinforcing security
WO2023072038A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2222412A1 (en) Smart door lock, audio modu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1109457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57208A1 (en) Internal signal diversion with optional camera shutter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563741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thereof
JP5561808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