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55B1 -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55B1
KR101832455B1 KR1020137003995A KR20137003995A KR101832455B1 KR 101832455 B1 KR101832455 B1 KR 101832455B1 KR 1020137003995 A KR1020137003995 A KR 1020137003995A KR 20137003995 A KR20137003995 A KR 20137003995A KR 101832455 B1 KR101832455 B1 KR 10183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essage
delete delete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853A (ko
Inventor
하리스 지시모포울로스
릭키 카우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또는 사용자 장치로 호를 수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을 가지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 노드 및 상기 서빙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가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메시지(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가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Retrieval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y Application Serv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핸드셋과 같은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가 기지국들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링크들을 통해 또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무선 접속 포인트들 통해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세대들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을 통해 빠르게 발전해왔다. 아날로그 변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초기 배치는 전형적으로 GERA(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2세대(2G)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대체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같은 3세대(3G) 디지털 시스템에 의해 교체되거나 증강되었다. 3세대 표준들은 2세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큰 데이터의 처리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세는 E-UTRA(Evolved UTRA)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한 제안들과 함께 지속되었다. LTE 시스템의 3GPP는 앞선 표준들에 비해 큰 용량 및 추가 특징들을 잠재적으로 제공한다.
용어 “GERA”는 이 문헌에서 GERAN(GERA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련된 무선 접속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고, “UTRA”는 UTRAN(UTRA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들과 관련된 무선 접속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며, 유사한 용어 “E-UTRA” 또는 “LTE”는 E-UTRAN(E-UTRA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된 무선 접속 기술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LTE는 주로 고속 패킷 스위치 네트워크로 설계된다. 그리고 음성 서비스들, 패킷 스위치 음성 서비스들, 그리고 특히 VoIMS(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서비스들이 구상 중에 있다. 반면에, UMTS와 같은 앞선 세대의 시스템들은 주로 서킷 스위칭되는 음성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네트워크들이 전형적으로 배치된다. 이는 최근의 표준에 따른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을 이용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들과, 리거시(legacy)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리거시 무선 접속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치는 전형적으로 둘 이상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이용 가능한 높은 용량을 제공하는 하나의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지만,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선호하는 특징들을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들에서 리거시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E-UTRA 네트워크 및 UTRA/GERA 네트워크 사이에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를 허용하도록 개발되어온 다양한 핸드오버 절차들이 존재한다. 특히, 핸드오버 절차는 음성 호가 진행 중일 때 핸드오버를 허용하도록 개발되었다. 즉, 소위 VCC(Voice Call Continuity) 핸드오버 절차들이다. 전형적으로 VCC 절차는 세션 전달 제어기의 제어 하에 구현될 것이다. 세션 전달 제어기는 전형적으로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및 I/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또는 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을 포함할 것이다. 세션 전달 제어기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에서 전형적으로 구현된다.
IMS는 전형적으로 E-UTRA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패킷 스위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UTRA/GERA 네트워크에서 서킷 스위치 서비스들의 제어는 전형적으로 MSN(Mobility Switching Centre)와 같은 이동성 제어기를 포함한다. 세션 전달 제어기는 전형적으로 VCC 절차에 따른 핸드오버 동안 이동성 제어기와 통신한다.
사용자 장치는 경제성의 이유 또는 전력 소비의 최소화를 위해 단일 무선 트랜시버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들과 동시 통신은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핸드오버 프로토콜은 전형적으로 핸드오버 동안 break-before-make 무선 연결을 이용한다. 단일 무선 음성 호 지속(SR VCC;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절차로 알려진 핸드오버 절차들은 일부 사용자 장치들에서의 사용에 이용 가능할 수 있다.
호는 일반적으로 고정(anchor)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로의 또는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접속 연결이 호 처리 중에 변경되면, 고정 포인트를 넘어서는 호의 라우팅의 나머지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는 패킷 스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서킷 스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패킷 스위치 무선 네트워크에서 고정된 것으로부터 서킷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고정된 것으로 호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원치 않는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호들의 수립 시 서킷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모든 호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이는 서킷 스위치 네트워크 자원들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기계-유형 통신 서버(Machine-Type Communications Server)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다른 유형들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또한 다른 캐퍼빌러티의 사용자 장치에 맞추기 위한 요구에 기인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비효율적인 성능에 시달릴 수 있다.
발명의 측면들은 종래 시스템들의 난점들을 다룬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또는 사용자 장치로 호를 수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을 가지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서빙 노드 및 상기 서빙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지를 결정하는 단계의 이점은, 호 처리 동안 고정의 변경, 및 이와 관련된 지연이,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기초할 수 있는, 호 처리 동안의 고정의 변경이 가능성이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고려하여, 호의 수립 시 호를 고정하는 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사이의 호의 고정의 변경을 피하는 것은 특히 이득이다. 왜냐하면, 이는 수용할 수 없는 지연을 도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사이의 호의 고정의 변경의 가능성은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무선 네트워크와 오직 하나의 무선 연결이 시간 내에 어느 주어진 포인트에서 존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해 단일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능력과 관련된다.
SRVCC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의 캐퍼빌러티에 기초하여 호를 고정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것은 특히 이득이다. 왜냐하면, 캐퍼빌러티는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사이의 호의 고정의 변경이 호 처리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지표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가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능력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메시지에 적어도 의존하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노드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있고, 그리고, 상기 서빙 노드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서빙 노드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일 수 있거나, 또는 MSC(Mobile Switching Centr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는 상기 서빙 노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는 상기 서빙 노드가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유도하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호가 발신되거나, 또는 착신되는 접속 네트워크의 지시에 의존하여,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지 여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결정하는 단계.
이는 이득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사이의 호의 고정의 변경의 가능성이 사용자 장치의 캐퍼빌러티에 추가로, 상기 호가 발신되거나, 또는 착신되는 접속 네트워크의 형식에 의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SRVCC 핸드오버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라,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또는 사용자 장치로 호의 수립을 지원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을 가지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서빙 노드를 가지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적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서빙 노드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는 상기 서빙 노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적응하는 단계.
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상기 성능이 최적화되는 이득을 가진다. 왜냐하면, 모든 사용자 장치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따라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적합하지 않는 어떤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특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들을 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을 가지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빙 노드는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서빙 노드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서빙 노드는 MSC(Mobile Switching Centre)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를 통해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시지들을 구현하기 위해 다이어미터 Sh-pull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기계-유형 통신 서버(Machine-Type Communications(MTC) Server)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요청된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는 상기 사용자 장치 전송 캐퍼빌러티와 관련된다.
이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사용자 장치의 특정 전송 캐퍼빌러티를 가지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장치의 특정 전송 캐퍼빌러티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들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기계-유형 통신 서버(Machine-Type Communications(MTC) Server)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요청된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는 낮은 우선순위 장치인 상기 사용자 장치 전송 캐퍼빌러티와 관련된다.
이는 상기 사용자 장치가 낮은 우선순위 장치이면, 상위 우선순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요청된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I1 캐퍼빌러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되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서빙 노드를 가지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는 상기 서빙 노드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적응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득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들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 주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사이에서 호의 고정의 변경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왜냐하면 이는 수용할 수 없는 지연을 가져오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들의 질의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질의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질의를 위한 다른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 등록 동안에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발신 호(mobile originated call)가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고정되어야 한다고 SCC AS가 결정하는 경우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착신 호(mobile terminated call)가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고정되어야 한다고 SCC AS가 결정하는 경우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측면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무선 네트워크는 패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며 LTE 시스템에서 E-UTRAN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E-UTRA/LTE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 및 서킷 스위치 음성 통신을 지원하며 GSM/UMTS 시스템에서 GERAN/UTRAN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GERA/UTRA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 전형적으로 E-UTRAN 네트워크와 관련된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내의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Application Server)를 가진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들은 IEEE802.16 와이맥스(WiMax)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개별 무선 접속 기술들의 이용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상황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계-유형 통신 서버와 같은 다른 유형들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관련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는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의 능력과 관련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검색(retrieve)과 관련된다. 만약 사용자 장치가 이 캐퍼빌러티를 가지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호가 그 호의 수립에 대해 GERAN/UTRAN 네트워크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호를 위한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접속 전달 제어 기능(ATCF; 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 내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접속 전달 게이트웨이(ATGW; Access Transfer Gate Way) 내에서 고정된다. SRVCC 절차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일단 호가 수립되면, 호의 수립에 관해 GERAN/UTRAN 네트워크에서의 고정은 호의 고정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지연을 피한다. 하지만, 만약 사용자 장치가 SRVCC 캐퍼빌러티를 가지지 않으면, 수립되자마자 호는 일반적으로 IMS 내의 E-UTRAN 네트워크에 고정된다. 따라서 GERAN/UTRAN 자원들의 불필요한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사용자 캐퍼빌러티는 일반적으로 서빙 노드로부터 검색된다(retrieved). 따라서 이는 일반적으로 호의 수립 시 사용자 장치에 질의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것에 관련된 절차들은 일반적으로 영향이 없다.
제1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의 배치 시나리오들에 의거하여 설명될 수 있다. E-UTRAN 네트워크의 초기 배치는 전형적으로 리거시 GERAN/UTRAN 네트워크와 같은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영역 내이다. 초기 배치되자마자, E-UTRAN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도시 중심부를 커버하는, 기존의 리거시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보다 작은 지리적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커버되는 영역들은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오직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특징들의 서브 세트만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의 활성화는 네트워크에 걸쳐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리거시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이의 잠재적으로 향상된 데이터 용량에 기인하여, E-UTRAN의 초기 배치는,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과 같은 LTE 활성화된 장치에 대해, 또는 랩탑 컴퓨터를 위한 통신 모듈을 플러그 인(plug in) 형식으로 가지는 사용자 장치에 대해, 높은 대역폭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요 LTE 음성 서비스인 VoIMS(Voice over IMS)로 알려진 패킷 스위치 서비스는 어떤 영역들에서는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가 E-UTRAN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영역 밖으로 이동하면, GERAN/UTRAN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요구된다. 그리고 핸드오버는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핸드오버가 될 수 있다. 모든 사용자 장치가 SRVCC 캐퍼빌러티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DRVCC(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로 칭할 수 있는 다른 절차는 듀얼 라디오들을 가지는 일부 사용자 장치들에서 이용할 수 있는 캐퍼빌러티이다. 이에 의해, 절차는 사용자 장치 자신이 각 도메인, 즉 각 무선 네트워크에서 호를 수립하기 때문에, 핸드오버라기보다는 2개의 호들을 포함하는 도메인 전달로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DRVCC 절차의 결과로 네트워크 간에 고정의 전달을 행할 필요는 없다.
일부 사용자 장치는 SRVCC와 DRVCC 캐퍼빌러티 어느 것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위한 전형적인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예를 들면 E-UTRAN 무선 접속 네트워크인,제1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이 예에서, UTRAN/GERAN 무선 접속 네트워크인 제2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대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는 제2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시 UTRAN/GERAN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제1 무선 접속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를 가진다. 코어 네트워크는 서빙 노드가 될 수 있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 및 E-UTRAN 내에 핸드오버의 지원에서 동작하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즉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 전형적으로 제2 무선 접속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Application Server)(10) 및 I/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and/or 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포함한다.
제2 무선 접속 네트워크는 서빙 노드, 전형적으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또는 MSC(Mobile Switching Centre) 또는 MSC-S(Mobile Switching Centre Server)를 가진다.
도 1은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6)에 의해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들의 질의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1 단계 및 1.2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가 어플리케이션 서버, 이 예에서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6)로부터, 코어 네트워크(CN) 노드(2), 전형적으로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는 서빙 노드로 전송된다. 요청 메시지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는 1.3 단계 및 1.4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2)로부터 전송되고,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6)에서 수신되며, 이 메시지는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이 메시지 또한 HSS(Home Subscriber Server, 4)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제공하는 메시지는 전형적으로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제공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일반적으로 제1 무선 네트워크, 즉 이 예에서 E-UTRAN에서 호를 고정할지, 또는 제2 무선 네트워크, 즉 이 예에서 UTRAN/GERAN에서 호를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2는 SCC AS(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10)에 의해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질의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제1 실시예의 더 상세한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서빙 노드(8)는 SGSN 또는 MME가 될 수 있다. 2.1 단계에서, 다이어미터 Sh-Pull(DIAMETER Sh-Pull) 메시지는 HSS(4)로 전송되고, 2.3 단계에서 HSS(4)는 다이어미터 삽입 가입자 데이터 요청(DIAMETER ISD(Insert Subscriber Data) Request)을 적절하게 SGSN 또는 MME로 전송하며, 2.1 단계 및 2.2 단계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질의들이 된다. 2.3 단계에서, 서빙 노드(8), 즉 SGSN/MME는 다이어미터 ISD 응답(DIAMETER ISD Answer)을 HSS(4)로 전송한다. 그리고 2.4 단계에서, HSS(4)는 다이어미터 Sh-Pull 응답(DIAMETER Sh-Pull Answer)을 SCC AS(10)로 전송한다. 2.3 단계 및 2.4 단계에서 메시지들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제공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3.1 단계 및 3.4 단계는 HSS(4) 및 SCC AS(1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2.1 단계 및 2.4 단계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하지만, HSS(4) 및 SGSN/MME(8) 사이의 통신을 위해, 3.2 단계 및 3.3 단계에서 맵(MAP) 절차가 이용된다. 3.2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질의하는 맵 PSI 요청이 SGSN/MME(8)로 전송된다. 그리고 3.3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제공하는 맵 PSI 응답(MAP PSI acknowledgement)이 SGSN/MME(8)에 의해 전송된다.
도 4는 SCC AS(10)에 의해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정보를 위한 요청을 트리거하는, 사용자 장치 등록 동안에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기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사용자 장치(12)로부터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 전송되는, 또는 ATCF(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 14)로부터 I/S-CSCF(Interrogating/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6)로 전송되는, 그리고 거기(16)에서 SCC AS(10)으로 전송되는, 4.1 단계, 4.2 단계 및 4.3 단계에서 보인 메시지의 종래 시퀀스의 예를 보여준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SRVCC 캐퍼빌러티에 대하여, SCC AS(10)는 Sh-pull 메시지를 4.4 단계에서 HSS(4)로 전송한다. 그리고 HSS는 삽입 가입자 데이터 메시지(ISD 요청)를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기 위해, 서빙 노드, 이 예에서 MME/SGSN(8)로 전송한다.
도 5는 SCC AS가 모바일 발신 호(제1 사용자 장치, UE-1, 12에 의해 발신되는)가, 이 예에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으로 지칭될 수 있는 서킷 스위치 캐퍼빌러티를 가지는 네트워크인 제1 무선 네트워크 대신에, 이 예에서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으로 지칭될 수 있는 서킷 스위치 캐퍼빌러티를 가지는 네트워크인 제2 무선 네트워크에 고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경우를 위한 시그널링 경로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SCC AS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검색(retrieve)하는 것에 기초하여 VPLMN에서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차에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 SCC AS는 VPLMN에서 고정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ATGW(Access Transfer Gateway, 18)는 호 데이터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고, 그리고 ATCF는 호 시그널링을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ATGW 및 ATCF는 일부 경우에서 MSC(Mobile Switching Centre)와 함께 위치될 수 있다(co-located). 호는 제2 사용자 장치(UE-2, 20)에 대해 수립된다.
도 6은 제1 사용자 장치(UE-1, 12)에서 착신되는 모바일 착신 호(mobile terminated call)를 위한 등가의 프로세스를 보인다.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모바일 발신 호를 위한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SCC AS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검색(retrieve)하는 것에 기초하여 VPLMN에서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VPLMN에서 고정하는 것을 결정하며, 그리고 ATGW(18)은 호 데이터를 고정하도록 사용되고, ATCF는 호 시그널링을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SCC AS가 호가 HPLMN에서 고정되야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메시지들 5.6 및 5.7은 전송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호는 IMS에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IMS는 적어도 SCC AS(10) 및 I/S-CSCF(16)을 포함한다.
WiFi 접속 네트워크와 같은 일부 무선 네트워크는 SRVCC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호가 발신되거나 또는 착신되는 접속 네트워크의 지시에 의거하여 호를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기계-유형 통신(MTC; Machine-Type Communications) 서버이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요청되는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는 사용자 장치 전송 캐퍼빌러티에 관련된다. 사용자 장치의 특정 전송 캐퍼빌러티들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들은 상기 사용자 장치가 이들 캐퍼빌러티들을 가지지 않으면 회피될 수 있다. MTC 서버는 예컨대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미터를 읽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포괄적인 메커니즘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의 캐퍼빌러티를 얻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앞서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다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SRVCC 향상의 콘텍스트(context)에서 향상된(enhanced) SRVCC(eSRVCC) 아키텍처; 착신을 위한 IMS에서 사용자 장치 I1 캐퍼빌러티의 프로비전(provision); 및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MTC 서버 지식(knowledge). 특히,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검색(retrieval)은 사용자 장치에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대한 영향을 요구함이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치가 수정되지 않고, 최적화가 네트워크 절차들에서 수정들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이점을 가진다. SCC AS는 SRVCC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빠른 스위칭 타임을 성취하기 위하여, 발신 또는 착신의 시간에서 VPLMN에 어떤 음성 호를 고정할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는 종래 기술의 SIP/IMS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에 의해 SCC AS로 제공되지 않으며, 그리고 특히 SRVCC를 지원할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동일한 SCC AS가 SRVCC 및 DRVCC 사용자 장치 양자 모두를 위한 호들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SCC AS가 VPLMN에서 (시그널링 및 미디어를 포함하여) 모든 호들을 고정하도록 무조건적으로(blindly) 결정하면, 이는 불필요하게 VPLMN에서 자원들을 낭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또한 VPLMN에서 고정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DRVCC 사용자 장치들로부터 호들을 고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은 SRVCC 캐퍼빌러티, 예를 들면 I1 캐퍼빌러티가 아닌,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형식들의 지식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떤 IMS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들을 검색(retrieve)하고, 사용자 장치의 캐퍼빌러티에 기초하여 관련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점에서는, SCC AS가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에 기초하여) 이것이 적합하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VPLMN에 호를 고정하기 위해 어떤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빙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 그리고 특히,사용자 장치의 캐퍼빌러티에 기초한 적절한 도메인에 기초하는 모바일 발신(MO; mobile originated) 및/또는 모바일 착신(MT; mobile terminated) 호를 고정하는 것을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SCC AS)의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에 기초하여 알려진 결정들을 하도록 한다. eSRVCC 아키텍처의 경우에 있어서, 이는 SCC AS가 사용자 장치 IMS 등록 동안 또는 MO/MT 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사용자 장치가 SRVCC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ATCF/ATGW에서 호를 고정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실시예들은 어느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이의 서빙 노드, 예를 들면 SGSN/MME로부터 특정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빙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한 3GPP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전체 메커니즘들 및 교환에 포함된 다른 엔티티들의 기존의 인터페이스들을 가지는 캐퍼빌러티를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HSS로 Sh-Pull 메커니즘 HSS로부터 서빙 노드로 ISD(Insert Subscriber Data)를 이용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Sh 데이터를 위한 가능한 수정을 보인다. 여기서, 새로운 정보 요소(IE, Information Element)가 서빙 노드(즉, MME/SGSN)로부터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한 요청을 HSS에 지시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Data Ref. XML tag Defined in Access key Operations
24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Xxx MSISDN+ 데이터 레퍼런스 Sh-Pull
HSS는 아래의 표 2에서 보인 바와 같은 IDR 플래그 IE에 대한 수정을 가지는, 기존의 다이어미터 ISD 요청(Insert Subscriber Data Req.)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IDR 플래그는 UE/MS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또는 맵 메시지에 대한 요청을 지시하기 위하여 도입될 수 있다.
비트 명칭 설명
5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이 비트는 세트가 MME 또는 SGSN에 대한 요청을 나타낼 때, HSS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요청함
노트: 이 표에 정의되지 않은 비트들은 전송하는 HSS에 의해 정리되고(cleared) 수신하는 MME에 의해 제거될(discarded) 것이다.
서빙 노드(SGSN/MME)는 아래의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수정된 ISD 응답 형식을 이용하여 ISD 요청(Insert Subscriber Data Req.)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는, 이 특정 사용자 장치를 위한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I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맵(MAP)이 이용될 수 있다.
정보 요소 명칭 다이어미터 AVP에 대한 매핑 Cat. 설명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C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정보를 제공함. 이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정보가 IDR 내에서 요청되면 제공되어야함
“Feature-List” AVP에서 새로운 값이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를 위해 지원되는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특징-비트 값은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MME 또는 SGSN이 IDR/IDA 명령들을 통해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정보의 검색(retrieval)을 지원하지 않는 ULR 명령에서 지시한다. HSS는 MME 또는 SGSN으로 전송되는 연속된 IDR 명령들에서 IDR 플래그들에서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비트를 설정하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AVP의 가능한 구현이 이에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AVP는 그룹화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서빙 네트워크 노드 상에 저장된 현재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VP 형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E-Network-Capabilities ::= < AVP Header: xxx, 10415>
1*{ UE-Capability}
*[ AVP ]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AVP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UE-Capability ::= < AVP Header: xxx, 10415>
{UE-Capability-Name}
{UE-Capability-Support}
*[ AVP ]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명칭(UE-Capability-Name) AVP는 열거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식을 위한 가능한 값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0 SRVCC UTRAN HSPA 또는 E-UTRAN 또는 GERAN/UTRAN로
1 I1 프로토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지원(UE-Capability-Support) AVP는 다음을 값들을 가지는 열거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지원되지 않음 (0)
이 값은 사용자 장치가 이 캐퍼빌러티의 지원을 가지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지원됨 (1)
이 값은 사용자 장치가 이 캐퍼빌러티의 지원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 IE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주어진 어플리케이션에 관련 있는 정보를 필터링 할 수 있다(filter out). 어플리케이션 서버(SCC AS)는 (HSS를 통해) 서빙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들로부터 SRVCC 캐퍼빌러티 IE을 판독할 수 있고,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ATGW 및 ATCF에서 모바일 발신 또는 모바일 착신 호를 고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가 사용자 장치가 SRVCC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면, SCC AS는 ATGW 및 ATCF에서 고정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는 자원들을 절약할 것이다.
SRVCC 캐퍼빌러티 IE는 다음과 같다:
0 SRVCC는 UTRAN HSPA 또는 E-UTRAN로부터 GERAN/UTRAN 까지 지원되지 않음
1 SRVCC는 UTRAN 또는 HSPA E-UTRAN로부터 GERAN/UTRAN 까지 지원됨
도 2는 HSS 및 SGSN/MME(S6a/S6d)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다이어미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보인다. Sh-Pull 요청은 (데이터 레퍼런스를 포함하는) 접속 키(Access-Key)를 이용하는 XML 문서가 될 수 있다. Sh-pull 응답에서, XML 문서는 “사용자 데이터(User-Data)” 형식을 가진 채로 리턴될(returned) 수 있다. 추가적으로,XML 문서를 설명하는 UML 모델은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HSS 및 SCC AS 사이의 다이어미터 Sh-Pull/Sh-Pull-Answer를 위한 프로토콜은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HSS 및 SCC AS 사이에서 전송되는 기존의 XML 프로파일에 대한 변경들이 요구될 수 있다.
도 3은 HSS 및 SGSN 사이의 인터페이스(Gr) 상에서 맵(MAP)을 이용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과 관련된 맵 프로토콜(MAP protocol)은 다음과 같이 종래의 프로토콜에 대한 변경들이 요구될 수 있다.
1. “SGSN 캐퍼빌러티” 형식. 이는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SGSN의 캐퍼빌러티를 나타내는 UGL(Update-GPRS-Location)에서 전송될 수 있다. HLR은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가 포함되지 않으면 다이어미터 Sh-pull을 수신할 때 SGSN으로부터 이 정보를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 질의 지원은 널(NULL) 형식으로 “SGSN 캐퍼빌러티”에 구현될 수 있다.
2. “Requested-Info” 형식. 이는 SGSN으로부터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를 요청하기 위해 PSI 요청에서 사용될 수 있다.
3. “Subscriber-Info” 형식. 이는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를 포함하는 PSI 질의의 결과들을 포함할 수 있는 PSI-ack에서 전송될 수 있다.
4. “Subscriber-Info”에서 기본 형식은 지원되는 사용자 장치 네트워크 캐퍼빌러티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된(constructed)” 맵 정보 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확장되는 형식을 허용하기 위하여, 형식은 맵 엘립시스 표기법(MAP ellipses notati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는 어떤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어느 다른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으로, 또는 어느 다른 실시예들의 어떤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앞서 설명되지 않은 균등물 및 변형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채택될 수도 있다.

Claims (33)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C AS (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SRVCC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성능을 판단하는 단계; 및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등록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SRVCC 성능 판단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ATCF (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ATGW (access transfer gateway)에서 호(call)를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PS(packet switch) 음성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CS(circuit switch)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단일 인터페이스를 가지는지 여부와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상기 SRVCC가 상기 단말에서 가능함을 지시하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ATGW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상기 SRVCC가 상기 단말에서 불가능함을 지시하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ATGW에서 상기 호를 고정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SS에게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1 메시지는 Sh-pull 응답 메시지이고, 상기 제3 메시지는 Sh-pull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SCC AS (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SRVCC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성능을 판단하며, IMS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등록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SRVCC 성능 판단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ATCF (access transfer control function)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ATGW (access transfer gateway)에서 호(call)를 고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C AS.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PS(packet switch) 음성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CS(circuit switch) 음성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C AS.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단일 인터페이스를 가지는지 여부와 관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C AS.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상기 SRVCC가 상기 단말에서 가능함을 지시하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ATGW에서 상기 호를 고정할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SCC AS.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가 상기 SRVCC가 상기 단말에서 불가능함을 지시하면,
    상기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ATGW에서 상기 호를 고정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C AS.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SS에게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성능 정보를 요청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1 메시지는 Sh-pull 응답 메시지이고, 상기 제3 메시지는 Sh-pull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C AS.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37003995A 2010-08-20 2011-08-19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 KR10183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14032.5A GB2482919B (en) 2010-08-20 2010-08-20 Retrieval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y application server
GB1014032.5 2010-08-20
PCT/KR2011/006151 WO2012023836A2 (en) 2010-08-20 2011-08-19 Retrieval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y application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53A KR20140005853A (ko) 2014-01-15
KR101832455B1 true KR101832455B1 (ko) 2018-02-26

Family

ID=4298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995A KR101832455B1 (ko) 2010-08-20 2011-08-19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088936B2 (ko)
EP (1) EP2606677B8 (ko)
JP (1) JP5859535B2 (ko)
KR (1) KR101832455B1 (ko)
CN (2) CN103069881B (ko)
AU (1) AU2011292555B2 (ko)
CA (1) CA2808999C (ko)
GB (1) GB2482919B (ko)
WO (1) WO20120238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1278A1 (ja) * 2012-04-26 2013-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655019B2 (en) * 2012-10-08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338805B2 (en) * 2012-11-16 2016-05-10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ndby with a dual-standby modem and establishing single connection for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WO2014160978A2 (en) * 2013-03-29 2014-10-02 Mobileum Inc. ENABLING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oLTE) SERVICES FOR NON-VoLTE INBOUND ROAMERS
US9451531B2 (en) 2013-11-20 2016-09-2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ireless access to a communication system
US9402218B1 (en) * 2014-01-07 2016-07-2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ioritization of network handovers
WO2015104367A1 (en) * 2014-01-09 2015-07-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cscf restoration based on ue capabilities
KR102277207B1 (ko) * 2014-08-2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EP3269120A1 (en) * 2015-03-10 2018-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network determination
US10305744B2 (en) * 2015-07-08 2019-05-28 Fedex Corporate Service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of event monitoring for an event candidate related to an ID node within a wireless node network
CN109286602B (zh) * 2017-07-20 2021-07-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能力开放的方法、装置与系统
US10455453B2 (en) * 2017-08-16 2019-10-22 T-Mobile Usa, Inc. Service enablement based on access network
JP6918742B2 (ja) * 2018-05-11 2021-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UE(User Equipment)
KR102227224B1 (ko) 2019-07-23 2021-03-1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엘이디 섬유원단
US11297544B2 (en) * 2020-07-28 2022-04-05 T-Mobile Usa, Inc. Domain reque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0020A1 (en) 2008-08-18 2010-02-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user equipment
US20100113010A1 (en) 2008-11-03 2010-05-06 Qualcomm Incorporated Reprioritization of wireless networks for reselection to support voice call
WO2010052343A2 (en) * 2008-11-10 2010-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rvcc from cs to lt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5748B1 (en) * 2002-12-30 2006-03-29 France Telecom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US8755822B2 (en) * 2003-01-13 2014-06-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20040137918A1 (en) * 2003-01-13 2004-07-15 Tomi Varon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rminal
US7436843B2 (en) * 2003-04-30 2008-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access selection
US7346168B2 (en) * 2003-09-29 2008-03-18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wireless delivery of converged services
EP1583312A1 (en) * 2004-04-02 2005-10-05 France Telecom Apparatu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P multimedia system from an application server
FI20050500A0 (fi) * 2005-05-11 2005-05-11 Nokia Corp Menetelmä järjestelmien välisten kanavanvaihtojen toteutt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CN100461881C (zh) * 2005-06-07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被叫业务路由选择方法与系统
WO2006138736A2 (en) * 2005-06-15 2006-12-28 Azaire Networks Inc. Voice call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between ip-can and cs networks
EP1799005B1 (en) * 2005-12-15 2013-03-06 Alcatel Lucent A method to access subscription data stored in a database ent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706779B2 (en) * 2006-03-16 2010-04-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CC functionality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JP4944202B2 (ja) * 2006-10-03 2012-05-3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クセス情報の提供
AR068972A1 (es) * 2007-04-25 2009-12-23 Interdigital Tech Corp Metodo y aparato para un servidor para obtener informacion de preferencias y suscripciones de usuarios
US8149770B2 (en) * 2007-07-05 2012-04-0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apability of a serving system for anchoring a call using an intelligent network protocol
US20100290448A1 (en) 2008-01-15 2010-11-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fetching of input data for access network selection
US8270346B2 (en) * 2008-04-21 2012-09-18 Shoretel, Inc. Dynamic call anchoring
US8711846B2 (en) * 2008-09-18 2014-04-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Network attachment for IMS systems for legacy CS UE with home node B access
US8483680B2 (en) * 2008-10-03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failure scenarios for voice call continuity
EP2338299A2 (en) * 2008-10-15 2011-06-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software for extending the mme-ganc interface to report which ues have registered for the gan to tunnel cs voice over evolved packet system (eps)
US8804661B2 (en) * 2009-05-21 2014-08-12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call in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8942660B2 (en) * 2009-06-0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of an emergency call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04994111B (zh) * 2009-06-29 2019-03-15 黑莓有限公司 用于演进的分组系统中的语音服务的系统和方法
CN101959269B (zh) * 2009-07-15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和装置
US20110019650A1 (en) * 2009-07-21 2011-01-27 Sabine Van Niekerk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device capability exchange in a network
AU2011204099B2 (en) * 2010-01-06 2015-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switching centre server
CN102387557B (zh) * 2010-08-30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反向单一无线语音呼叫连续性的处理方法、设备及系统
US8971875B2 (en) * 2010-10-04 2015-03-03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 reverse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RSRVCC) procedure
WO2012062379A1 (en) * 2010-11-12 2012-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switched to circuit switched access handovers in an ims architecture
CN103404221B (zh) * 2011-01-06 2018-02-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将会话从主叫方的服务通信网络中的主叫方路由选择到被叫方的方法
EP2737678B8 (en) * 2011-07-28 2015-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ims service continuity
US9301211B2 (en) * 2013-08-20 2016-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porting performance and controlling mobility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0020A1 (en) 2008-08-18 2010-02-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user equipment
US20100113010A1 (en) 2008-11-03 2010-05-06 Qualcomm Incorporated Reprioritization of wireless networks for reselection to support voice call
WO2010052343A2 (en) * 2008-11-10 2010-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rvcc from cs to l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3836A3 (en) 2012-06-07
CA2808999A1 (en) 2012-02-23
GB201014032D0 (en) 2010-10-06
WO2012023836A2 (en) 2012-02-23
EP2606677A2 (en) 2013-06-26
CN103069881B (zh) 2017-04-26
AU2011292555B2 (en) 2015-08-13
EP2606677B1 (en) 2018-04-25
AU2011292555A1 (en) 2013-02-07
EP2606677A4 (en) 2016-07-06
CN103069881A (zh) 2013-04-24
JP2013536642A (ja) 2013-09-19
JP5859535B2 (ja) 2016-02-10
GB2482919A (en) 2012-02-22
CN107105481B (zh) 2020-09-22
US9088936B2 (en) 2015-07-21
EP2606677B8 (en) 2018-06-27
CN107105481A (zh) 2017-08-29
US9420526B2 (en) 2016-08-16
KR20140005853A (ko) 2014-01-15
US20150327161A1 (en) 2015-11-12
CA2808999C (en) 2019-01-08
GB2482919B (en) 2014-05-07
US20130150052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55B1 (ko)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한 사용자 장치 캐퍼빌러티의 검색
US9503484B2 (en) Voice transmission technology selection
US11140580B2 (en) Service enablement based on access network
US8644247B2 (en) Inter-system handoffs in multi-access environments
US10880852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initiating service request procedure
US8340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all continuity for VOIP emergency calls
KR101729336B1 (ko) 회선 교환 망과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간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장치
JP6008987B2 (ja) マルチ無線アクセス技術ratおよび/またはマルチ・ドメイン・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モバイル着信サービス配信のサポート
WO2009097811A1 (zh) 分组域用户处理电路域业务的方法、装置及系统
US10917867B2 (en) Optimized handling of a UE in MICO mode with entire PLMN as registration area
US9374761B2 (en) Routing terminating call to user equipment via control nodes
KR101436060B1 (ko) 이종 통신망 간 가입자 위치 정보 동기화 방법, 이종 통신망 간 가입자 위치 정보에 기반한 이종 통신망 서비스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404559B1 (ko) 이종 통신망간 호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