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42B1 -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42B1
KR101832442B1 KR1020170017541A KR20170017541A KR101832442B1 KR 101832442 B1 KR101832442 B1 KR 101832442B1 KR 1020170017541 A KR1020170017541 A KR 1020170017541A KR 20170017541 A KR20170017541 A KR 20170017541A KR 101832442 B1 KR101832442 B1 KR 10183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wearable device
security
user
smart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트
Priority to KR102017001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07C9/0003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단위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위치인식을 위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앵커노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된 광고메시지 중 최대 수신전계강도를 가지는 광고메지시를 전송한 앵커노드와 통신연결하고, 통신연결된 앵커노드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보안구역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단위공간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Smart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의 출입을 통제하고, 보안구역 내의 허가된 단위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안구역의 단위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위치인식을 위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앵커노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된 광고메시지 중 최대 수신전계강도를 가지는 광고메지시를 전송한 앵커노드와 통신연결하고, 통신연결된 앵커노드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보안구역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단위공간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일반 가정, 정부 기관, 기업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여러 분야에서 보안을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출입 통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한 자물쇠 장치에서 기계적 메커니즘과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고가의 기계적 장치 및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출입 통제 시스템은 RF(Radio Frequency) 카드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시스템 구축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IC(Integrated Circuit)칩이 내장된 IC카드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도 보급되어 있지만,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구축에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출입 통제 시스템의 보안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장문 인식, 정맥 인식, 음성 인식, 화상 인식 등과 같은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은 일반적인 출입 통제 시스템의 출입자 인식 방식과는 달리 모방 또는 복제가 어려워 높은 보안성을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은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생체 인식 기술의 특성상 인식 속도, 인식률, 오작동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아직까지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보급이 잘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보다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우 여러 종류의 출입자 인식 모듈들을 사용하여 다단계의 출입자 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인식 방식과 지문 인식 방식을 이중으로 사용하여 출입 통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출입자는 다단계의 출입자 검증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출입 통제 시스템은 보다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다양한 출입 통제 시스템들은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단순한 출입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치중되어, 출입을 통과한 침입자에 의해 보안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보안구역 내의 다수 공간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면서, 보안이상징후를 감지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이 요구된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40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의 출입을 통제하고, 보안구역 내의 허가된 단위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가이드 경로를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보안 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서비스 이용 내역을 모니터링하여 보안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허가되지 않은 보안구역의 접근 및 서비스 이용시 경보 알림을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단위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위치인식을 위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앵커노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된 광고메시지 중 최대 수신전계강도를 가지는 광고메지시를 전송한 앵커노드와 통신연결하고, 통신연결된 앵커노드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보안구역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단위공간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위공간에 접근시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경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공간에 설치되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이용을 요청받으면 상기 단위공간에 설치된 해당 앵커노드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서비스이용요청을 알리는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이용을 요청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판단하여 특정 단위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상의 단위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지시하는 작업명령을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보안구역에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위치 및 이동한 단위공간에서의 서비스 이용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보안구역의 장소특성 및 보안대상자에 따라 개인행동기록서비스, 보안행동기록서비스 및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개인행동기록서비스는 개인활동영역에서 개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이며,
상기 보안행동기록서비스는 보안구역에서 활동하는 내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 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이며,
상기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는 보안구역에 방문한 외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에 따라 상기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스캔을 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보안구역의 출입 및 서비스이용을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보안구역 내에서의 이동가이드 경로 및 이동한 단위공간에서의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명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안구역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안 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서비스 이용 내역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보안 이상 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허가되지 않은 보안구역의 접근 및 서비스 이용시 경보 알림을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보안구역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앵커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노드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파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안구역(개인활동영역)에 적용된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이 적용되는 보안구역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1000)은 앵커노드(100),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관리서버(300), 출입제어부(400) 및 서비스에이전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1000)은 보안 및 관리가 요구되는 보안구역에 적용되어,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및 서비스이용 등의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함으로써, 보안이상징후를 감지하여 경보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안구역은 군부대, 회사, 공장, 빌딩, 병원 등과 같이 내부인 및 외부인이 이용할 수 있는 장소 및 집 등과 같은 개인활동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보안구역은 다수의 단위공간(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구분된 단위공간(20)에는 앵커노드(100)가 각각 설치되고, 단위공간(20)에 출입문이 구비된 경우 출입제어부(400)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이전트(500)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이전트(500)는 프린터, PC, 복사기 등과 같은 사무기기, 가스렌지,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으로, 보안구역의 장소특성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기기가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앵커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앵커노드(100)는 광고메시지 발생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노드(100)는 단위공간(20)의 천창이나 벽에 부착되는 고정형 라우터 형태로 설치되어, 관리서버(300)와 스마트 웨어러블디 바이스(200), 출입제어부(400) 및 서비스에이전트(5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광고메시지 발생부(110)는 위치인식을 위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광고메시지 발생부(110)는 기설정주기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해당 단위공간에 설치된 근접센서, 움직임감지센서 등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는 출입문(미도시)에 설치되어 해당 단위공간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앵커노드(100)는 스마트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신연결된 근접한 물리적 이웃노드가 있는 경우,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여기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존재하는 단위공간(20)에 설치된 앵커노드(100)는 서로 물리적 이웃노드가 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출입제어부(400), 서비스에이전트(500) 등과 통신하기 위한 지그비 통신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관리서버(300) 등과 wifi 등을 통해 무선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그비 통신부는 각 앵커 노드(100)가 어느 단위 공간에 있는지 자동으로 위치 설정이 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위치의 기준점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앵커노드(100)의 제어부(130)는 보안구역 내에 진입한 사용자의 스마트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통신연결되면, 통신연결된 스마트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대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관리서버(300)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단위영역에 설치된 출입문(미도시)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제어부(400)로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앵커노드(100)의 제어부(130)는 해당 단위공간(20)에 설치된 서비스에이전트(500)로부터 스마트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서비스이용요청을 수신하면,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서비스에이전트(500)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앵커노드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보안구역 내의 물리적 이웃노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해당 단위공간(20)에 설치된 출입제어부(400) 및 서비스 에이전트(5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대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형태가 되며, 입력부(210), 표시부(220), 메모리(230), 통신부(240), 제어부(250) 및 채널스캔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스케줄정보 입력, 단위공간의 서비스이용 요청 등을 입력받는 터치식 등의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0)는 보안구역에 진입시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경보알림, 작업명령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3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스캔되는 앵커노드의 광고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은 보안구역의 장소특성(집, 병원, 군대, 회사, 공장 등) 및 보안대상자(사용자)에 따라 설정되고,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사용자는 단위공간의 출입 및 서비스이용에 제한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40)는 앵커노드(100), 관리서버(300) 및 서비스에이전트(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 및 서비스이용 내역을 기록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경보 알림 등을 표시부(1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채널 스캔부(260)는 보안구역에 진입시,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에 따라 기설정된 스캔주기동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며, 다수의 앵커노드(100)로부터 각각 수신된 광고메시지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스캔부(26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스캔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광고메시지 중 최대 수신전계강도를 가지는 광고메시지를 전송한 앵커노드(100)를 선택하고, 선택한 앵커노드와 통신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위치는 사용자가 위치한 단위공간(20)의 앵커 노드(100)의 주소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파악된 위치를 메모리(130)에 기록하고,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단위 공간마다 제공된 앵커노드(100)를 통해 단위 공간별로 제공되는 위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단위공간(20)에 설치된 해당 앵커노드(100)를 통해 서비스에이전트(500)로 서비스이용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300)에서 설정한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단위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을 통제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해당 위치의 서비스에이전트(5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명령을 수신하면, 표시부(120)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앵커노드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앵커 노드(100)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먼저 BT/BLE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자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 광고 메시지(advertising message)를 주기적으로 단위 공간에 광고할 수 있다(S2 ~ S5).
다음으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설정된 스캔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면서 앵커 노드(100)의 광고메시지를 받아 한 스캔 주기가 끝날 때까지 신호 세기를 수집하고, 설정된 스캔 주기가 끝나게 되면 수집한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신호 크기를 가지는 앵커 노드(100)에 연결 요청을 한다(단계 S1, S6 ~ S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파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스캔 주기 동안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여 앵커 노드(100)로부터 전송된 광고 메시지의 RSSI 값들(RSSI_New_location[1], RSSI_New_location[2]...)을 수집할 수 있다(S52).
스캔주기동안 수집한 RSSI값 중 최대값{Max (RSSI_New_location[i])}과, 이전의 위치에 존재하는 앵커 노드(100)로부터 수신하였던 최대 RSSI 값(RSSI_Old_location)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현재 위치를 이전의 위치(Old_location)로 유지하거나, 새로운 위치(New_location[i])로 갱신한다(S51, S53, S54).
즉, S52에서 스캔 주기 동안 수집한 RSSI 값들 중 최대 값(Max_RSSI_New_location[i])이 이전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관장하는 앵커 노드(100)로부터 수신하였던 최대 RSSI 값(RSSI_Old_location)보다 작으면(S53),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이전 위치(Old_location)로 유지하고(단계 S51), S52에서 스캔 주기 동안 수집한 RSSI값 중 최대값(Max_RSSI_New_location[i])이 이전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위치를 관장하는 앵커 노드(100)로부터 수신하였던 최대 RSSI 값(RSSI_Old_location)보다 작지 않으면(S53),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새로운 위치(New_location[i])로 갱신한다(S53, S54).
이때,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위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데몬 프로세스(Daemon process)를 적용하여 백그라운드 서비스(background service)를 실행해, 광고 메시지를 스캔함으로써 가장 가까운 앵커 노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위치 기반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과 사용자의 설정 없이 BT/BLE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관리서버(300)는 보안구역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여 특정 단위공간의 출입 및 서비스 이용을 통제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300)는 보안구역 내에 설치된 각 앵커노드(100)의 위치점, 서비스 에이전트(300)의 위치점 및 서비스종류, 보안구역의 물리적 이웃노드 정보, 다수의 보안구역의 논리적 이웃노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행동공간을 기반으로 논리적 연결된 앵커노드(100) 간의 관계는 논리적 이웃노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회사(제1보안구역) 및 집(제2보안구역)는 사용자의 행동공간을 기반으로 동일한 그룹으로 연결되므로, 서로 이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특히, 관리서버(300)는 보안구역의 장소특성에 따른 보안이 요구되는 단위공간을 지정하고, 해당 단위공간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해, 보안구역의 장소특성 및 보안대상자(사용자)에 따라 개인행동기록서비스, 보안행동기록서비스 및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결정하고, 서비스 이용등급에 따라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고, 단위공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행동기록서비스는 개인활동영역(일 예로, 집)에서 개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또한, 보안행동기록서비스는 보안구역에서 활동하는 내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 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는 보안구역에 방문한 외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앵커노드(300)를 통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서비스 이용 등급 및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위영역에 설치된 출입문(미도시)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제어명령을 해당 앵커노드(100)를 통해 출입제어부(400)로 전송하거나, 직접 출입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단위공간 이동시마다 복잡한 기기설정이나 조작 등을 수행하지 않고도 보안대상자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판별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기설정된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및 접근권한이 없는 서비스 에이전트(500)의 서비스 이용 요청시, 경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안구역(개인활동영역)에 적용된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은 도 7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을 참고하여 보안구역이 개인활동영역이 되고, 보안대상자가 집주인인 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보안구역(집)이 거실 및 안방의 단위공간(20)으로 구분된다. 이때, 사용자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스케줄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사용자 스케줄은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스케줄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귀가시, 거실에 구비된 앵커노드(100)를 통해 출입제어부(400)로 출입문 열림에 대한 제어명령이 전송되어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출입문이 잠금해제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개인활동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 내역(1)이 기록되어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전송된 사용자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 내역(1)으로부터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상황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경보 알림(2)할 수 있다. 이때, 위험상황 발생여부 판단은 기설정된 보안기준과 비교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때, 보안기준은 보안구역의 장소특성 및 보안대상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보안행동기록서비스 및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이 특정 보안구역의 물리적 이웃노드 맵인 경우, 보안대상자가 내부인 또는 외부인 경우에 따라 관리서버(300)는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장소특성에 따른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인에 의한 업무패턴 등을 파악하여 보안이상징후를 감시할 수 있고, 외부인인 경우 가이드없이도 방문목적에 따른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통해 방문견학 등을 할 수 있게 하면서, 보안이상징후도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논리적 이웃노드로 연결된 보안구역(회사, 집 등) 설정에 따라 제1보안구역(일예로, 회사)에서는 보안행동기록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2보안구역(일예로, 집)에서는 개인행동기록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 내지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0 :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100 : 앵커노드
200 :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300 : 관리서버
400 : 출입제어부 500 : 서비스 에이전트

Claims (7)

  1. 보안구역의 단위공간에 각각 구비되어 위치인식을 위한 광고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앵커노드;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스캔하여 수신된 광고메시지 중 최대 수신전계강도를 가지는 광고메지시를 전송한 앵커노드와 통신연결하고, 통신연결된 앵커노드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보안구역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단위공간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존재하는 단위공간에 설치된 앵커노드를 서로 물리적 이웃노드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행동공간을 기반으로 논리적 연결된 단위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앵커노드를 서로 논리적 이웃노드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판단하고,
    - 사용자의 위치 이동시 해당 보안구역의 장소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이 결정되며, 사용자가 위치한 보안구역에서 서비스 이용보안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사용자 스케줄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를 설정하고, 보안구역에서의 사용자 실제이동경로 및 단위공간 위치기반의 서비스 이용내역을,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및 사용자 스케줄과 비교하여 위험상황발생으로 판단시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경보 알림하며,
    - 보안구역의 장소특성 및 보안대상자에 따라 개인행동기록서비스, 보안행동기록서비스 및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개인행동기록서비스는 개인활동영역에서 개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이며,
    상기 보안행동기록서비스는 보안구역에서 활동하는 내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 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이며,
    상기 외부방문자관리서비스는 보안구역에 방문한 외부인의 이동경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통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안구역 내에서의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위공간에 접근시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경보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간에 설치되어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이용을 요청받으면 상기 단위공간에 설치된 해당 앵커노드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서비스이용요청을 알리는 서비스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서비스이용을 요청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보안등급을 판단하여 특정 단위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 상의 단위공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지시하는 작업명령을 해당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보안구역에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위치 및 이동한 단위공간에서의 서비스 이용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이동가이드 경로에 따라 상기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스캔을 개시하는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KR1020170017541A 2017-02-08 2017-02-08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KR10183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41A KR101832442B1 (ko) 2017-02-08 2017-02-08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541A KR101832442B1 (ko) 2017-02-08 2017-02-08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442B1 true KR101832442B1 (ko) 2018-02-26

Family

ID=6153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541A KR101832442B1 (ko) 2017-02-08 2017-02-08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671A (zh) * 2018-03-06 2018-08-14 江苏盛世华安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网掌静脉视频门禁集成系统
KR20200084418A (ko) * 2018-12-24 2020-07-1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공간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11508120A (zh) * 2019-09-20 2020-08-07 河北邦纳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小区用人脸识别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042A (ja) * 2002-03-26 2008-01-24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2009238152A (ja) * 2008-03-28 2009-10-15 Brother Ind Ltd 動作機器の権限管理システム
KR101591844B1 (ko) * 2014-07-29 2016-0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의 위치 인식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042A (ja) * 2002-03-26 2008-01-24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2009238152A (ja) * 2008-03-28 2009-10-15 Brother Ind Ltd 動作機器の権限管理システム
KR101591844B1 (ko) * 2014-07-29 2016-0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의 위치 인식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671A (zh) * 2018-03-06 2018-08-14 江苏盛世华安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物联网掌静脉视频门禁集成系统
KR20200084418A (ko) * 2018-12-24 2020-07-1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공간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040B1 (ko) * 2018-12-24 2020-10-13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공간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11508120A (zh) * 2019-09-20 2020-08-07 河北邦纳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小区用人脸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236B2 (en) Detecting of patterns of activity based on identified presence detection
AU2022201806B2 (en) Robotic assistance in security monitoring
US20220109702A1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Akkaya et al. IoT-based occupancy monitoring techniques for energy-efficient smart buildings
US9703274B2 (en) Method for synergistic occupancy sensing in commercial real estates
KR100789370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문자 안내 방법과 이를 위한시스템
KR101832442B1 (ko) 스마트 출입관제 보안 시스템
EP4140161B1 (en) Determination of user presence and absence using wifi connections
US201702052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rection of motion with a passive sensor
US11748993B2 (en) Anomalous path detection within cameras' fields of view
WO2021105683A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949683B2 (en) Guest access to control devices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JP2022155621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管理方法
GB2608692A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