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430B1 -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430B1
KR101832430B1 KR1020160112949A KR20160112949A KR101832430B1 KR 101832430 B1 KR101832430 B1 KR 101832430B1 KR 1020160112949 A KR1020160112949 A KR 1020160112949A KR 20160112949 A KR20160112949 A KR 20160112949A KR 101832430 B1 KR101832430 B1 KR 10183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xternal force
side wal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KR102016011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430B1/en
Priority to CN201780054033.6A priority patent/CN109688862B/en
Priority to PCT/KR2017/009546 priority patent/WO2018044095A1/en
Priority to JP2019500204A priority patent/JP670717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4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freely moves a band in a first direction but selectively moves the b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body unit which has an insertion space where one side end of the band is inserted, and a discharging space where one side end of the b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s discharged; a band control unit which is placed inside the body unit not to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unit, enables location changes between a first location and a second location around a rotational shaft, and, when is in the first location, freely moves the band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nd, and, when is in the second location, freely moves the band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no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nd; and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which is placed in a third location to place the band control unit in the first location, and changes locations from the third location to a fourth location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in order to change locations of the band control unit from the first location to the second location.

Description

제어 장치{Control device}[0001]

본 발명의 제어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apparatus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while realizing miniaturization of the apparatus.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의 버클장치의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use of a buckle device for reducing or widening the width of an adherend such as a conventional garment or bag is well known.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 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buckle device used for such an adherend is basically composed of a band and a buckle. The buckl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d or at the waist portion of a pants or a skirt so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It provides the function to adjust.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shrinking or expanding the entrance in a bag or a handbag, and is also used for a watch or the like, and is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tch line to the wearer's wri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The buckle used for the above purpose is provided with a free slide movement by pulling the b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tightened,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the movement is interrup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released, The unfastened fastening state is maintained.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A conventional buckle includes a buckle housing through which a band passes, a button rotatably mounted in the buckle housing, a hooking means for moving the button to adjust whether the band is interrupted, And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은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밴드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을 회전시켜 이를 구현하였다.Here, the button provided on the conventional buckle protrudes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uckle housing and is rotatable. When the user releases the fastening state of the band, the button protrud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buckle housing is rotated to realize this.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탁월하지 못하였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uckle has a problem that the buckle is broken due to repetitive use of the button, so that the durability is not excellent,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a large number of part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구현하며,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realizes miniaturization, and prevents unintentional release of a band tightening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및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allowing movement of a band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nd is inserted and an outflow spac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band inserted in the insertion space flows out;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body, A band control unit which freel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reely moves the band in the second direction without contact with the band in the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in which the band control unit is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linear movement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회전 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the band control portion by the linear motion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and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are determin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a linear mo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와 상기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nd control portion and the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side wall, a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which define the inner space, and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have a moving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penetra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changes the band control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positioned outside the space to apply an external force required to move the contac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and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side wall and the rear side wall,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portion is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nd has a constant size without any limi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bent from the body portion and located in the inner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nge unit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toward the band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after being bent from the body unit, And changing the band control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changing unit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return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due to its own elastic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portion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and a changing portion formed obliquely or roundly toward the band located in the inner space from the reference portion And the reference portion provides a rotation axis for changing the band control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기준부와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reference portion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unded to facilitat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the band control portion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an elastic part locat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retur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and control portion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So that the band control unit is return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and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defining the inner space, and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re elongat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nd Wherei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necessary for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portion is released by the rotation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moved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protruding to restrain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by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portion is released by the rotation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moved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protruding to restrain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by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 상기 전방측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 및 하방측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side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to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lower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전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커버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dy par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ront side wall facing the rear side wall, and the front side cover part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전방측커버부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r side cover portion facing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and may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 unit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is moved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잠금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penetrating portion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be locked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in a released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move in the penetrating portion without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penetrating portion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수용할 수는 도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cover part or the lower side cover part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ck part can be chang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And an escape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or between the upper side cover portion and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And a returning unit for returning the state to th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transmitting portion implements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not be moved withi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movable in the penetrating portion by separat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by positional movement,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잠금부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k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the locked state and the released state by rotational mo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연결되도록 하는 벨트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side wall defining an inner space,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and extending from the ends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belt connection part folded toward each other to connect the belt to which the band is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elt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bent so as to prevent the belt from being fol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삽입홀에 상기 벨트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el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such that a belt to which the band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a pressing part for preventing the belt from being disengaged by a contact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ng body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면, 상기 벨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w hole to which a screw is screwed and when the screw is rotated in the screw hole to press the belt, And the contact force of the contact portion is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밴드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딩 조작을 손쉽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of the band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miniaturization is possible and the application field can be maximized.

또한,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ntentional release of the fastening state of the ban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ing a band by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mounting a band control unit to a body unit provided in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ing a band by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7 and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ing a band by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illustrate examples of us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2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principle of the lock por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in Fig.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principle of the lock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g. 26; Fig.
2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nd 3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along line DD of Fig. 28;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such as a bag, a shoe, a clothing, a belt and a watchband. Further, the control device may be used for suspenders or the like to finely control the length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밴드(B)와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band adjus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nd B and a controller 100.

제어 장치(100)는 밴드(B)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밴드(B)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is a sort of buckle that allows movement of the band B in a first direction while allowing movement of the band B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

상기 제어 장치(100)는 바디부(110),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0 may include a body 110, a band controller 120 and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Th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roller 100 can do.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body 110 has an insertion space S1 in which one end of the band B is inserted and an outflow space S2 in which one end of the band B inserted in the insertion space S1 flows out Or the like.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12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3 of the body 110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of the body 110 and changes its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B)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d (B)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band (B) (B) in the second direction (D2) while being in non-contact with the band (B).

그리고,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s positioned at a third position to allow the band control unit 120 to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o move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third position may be changed to the fourth posi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12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

여기서,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Here, if a term for a position is defined,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may be positions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shown in Fig.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a kind of switch for implementing the movement of the band B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may transmit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to the band control unit 120 have.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may linearly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rotat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and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rotation movement.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positions defin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It may be a position defined by linear mo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defined by a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밴드(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the band B and may implement the positional movement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The body 110 may have a through-hole 111 formed therethrough.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 중 상기 상방측벽(116)과 상기 하방측벽(118)에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on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upper sidewall 116 of the front sidewall 112, the rear sidewall 114, the upper sidewall 116 and the lower sidewall 118 defining the inner space S3 of the body 110. [ 116 and the lower side wall 118, respectively.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밴드(B)의 이동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관통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1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enetration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nd B, tha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on portion 111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penetration part 111. [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142) 및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142)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ncludes a contact portion 142 that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and changes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an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144 position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S3 to apply an external forc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contact unit 142. [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14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접촉부(142)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s 144 may be detachable from the contact portion 142 for ease of assembly.

결국, 상기 외력인가부(14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42)는 상기 외력인가부(144)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142)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144 may be a compon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force by the user's finger and the contact unit 14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144, Lt; / RTI >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122) 및 상기 기준부(1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한 상기 밴드(B)를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120 includes a reference unit 122 loca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and a band B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3 from the reference unit 122, The change portion 124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여기서, 상기 기준부(122)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art 122 may provide a rotation axis for changing the band control par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기준부(1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밀실한 구조일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erence portion 122 may be formed as an arc having a predetermined siz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reference part 122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of the body part 110 is rounded to facilit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part 120.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9)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120 can restrict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first protrusion 119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외력에 의한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탄성부(13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fer unit 140 due to external force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ilient portion 130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S3.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탄성부(130)에 의해 삽입공간(S1) 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7)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pressed toward the insertion space S1 by the elastic part 130 bu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of the body part 110 despite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130 S1) side of the body part 110 by the first fixing part 117 formed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art S1.

상기 제1 고정부(117)는 상기 바디부(11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17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ody part 1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and control part 12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140, The band control unit 120 can be return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한편, 상기 바디부(110)는 유출공간(S2) 측에 탄성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110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115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part 130 to the outlet space S2.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유출공간(S2) 측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상기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력제공부(134),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절개된 후 제1 각도로 절곡되는 날개부(136) 및 상기 날개부(13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큰 제2 각도로 절곡되는 밀림방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30 includes a support part 132 contacti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part 110 on the side of the outlet space S2, an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132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132 toward the band B, 134), a wing portion (136) bent at a first angle after being cut from the support portion (132), and a wing portion (136) located at a second angle larger than the first angle 138).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지지부(132)를 기준으로 대략 90도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angle ma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132.

상기 제2 고정부(115)는 상기 바디부(110)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130)의 날개부(1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body part 110 a plurality of times and a space S4 for inserting the wing part 136 of the elastic part 130 on both sides .

상기 공간(S4)에 상기 날개부(13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S4)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에는 밀림방지부(138)가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wing portion 136 is inserted into the space S4, the anti-jamming portion 138 may contact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where the space S4 is formed.

상기 밀림방지부(138)는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력제공부(134)가 탄성 변형되어 발생되는 유출공간(S2) 측으로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shing portion 138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outflow space S2 generat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force imparting portion 134 due 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130 can be stably fixed by the second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of the body portion 110.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ing a ban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5 and 6, when the band B enters the insertion space S1 in th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 is connected to the band control unit 120,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can be free.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However,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2,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impossible because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caught by the engagement portion B1 of the band B.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전달부(14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1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in order to freel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0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0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외력전달부(1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14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band control part 12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to be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part B1 of the band B, The band B can be free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이때, 탄성부(1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130.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13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Can be returned.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과 후방측벽(1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band B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ide wall 112 and the rear side wall 114 of the body 110,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ternal space S3 may have a constant siz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mounting a band control unit provided on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apparatus. FIG.

도 7(a)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핀(P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1)이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7A,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body 110 by a pin P1. At this time, the pin (P1)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portion (122).

한편,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의 내면 중 일부가 내부공간(S3)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side wall 116 and the lower side wall 118 of the body 110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S3 and the protruded portion is provided by the reference unit 122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body 110.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소정 영역(R)이 절개된 후,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소정 영역(R)의 삽입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b), the band control unit 120 can be bent and fixed to the body 110 after the predetermined region R of the body 110 is cut .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region R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portion 122.

도 7(c)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스프링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핀(P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2)이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7C,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body 110 by a pin P2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by a spring. At this time, the pin (P2)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portion (122).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부(124')로부터 전방측벽(112)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변화부(122'')로부터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eference portion 122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changing portion 124 'toward the front side wall 112 as shown in FIG. 8 (a) The reference portion 122 ''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 may be bent from the changing portion 122 '' toward the rear side wall 114 as shown in FIG.

여기서,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band controllers 120 'and 120' 'may be rotatably fixed on the body 110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예를 들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핀(P1) 등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 상에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nd control unit 120 'can be stably and rotatably fixed on the body 110 by a pin P1 or the like.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7)와 접촉하는 보조부(126', 126'')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s 120 'and 120' 'include auxiliary portions 126' and 126 ''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s 117 to maximize stable position fixing on the body portion 110 can do.

상기 보조부(126', 126'')는 상기 기준부(122', 122'') 사이에서 변화부(124', 124'')로부터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보조부(126', 126'')로 인해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부(11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e auxiliary portions 126 'and 126' 'may be rounded or inclinedly bent from the changing portions 124' and 124 '' between the reference portions 122 'and 122' ', ', 120' 'can be stably fixed on the body 110 in spite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130 due to the auxiliary parts 126' and 126 ''.

전방측벽(112) 또는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May be bent toward the front side wall 112 or the rear side wall 114 and may be rotatably fixed on the body portion 110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와 비교할 때, 탄성부(130)가 생략된 구조일 수 있다.9, 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130)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밴드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바디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nd controller 220 and the band controller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210.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의 삽입공간(S1) 측의 일부가 절곡되어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다.The band control unit 220 may bend a part of the insertion part S1 of the body part 210 and b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는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nd control unit 220 includes a changing unit 224 that is bent or rounded toward a band B that can be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S3 after being bent from the body 210. [ .

이때, 외력전달부(240)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224)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2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240 can change the band control portion 2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changing portion 224 by an external force.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외력전달부(2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240 is removed, the band control part 220 can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due to its own elasticity.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3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10 to 12, the contro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외력전달부(340)를 관통부(3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3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may be a component that allow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340 to be moved in the penetrating unit 311. Whe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340 can be moved.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전달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34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11 and 12,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3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340, and the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350 may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portion 310,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340 can be realized.

바디부(310)의 상방측벽(316) 및 하방측벽(3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35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359)를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wall 316 and the lower sidewall 318 of the body 310 has a rotational constraint formed by protruding to restrain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350 by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350. [ Section 359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외력제공부(250)를 회전시켜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구속부(359)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part 310 by rotating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250, an external force is required to pass the rotation restricting part 359.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후방측벽(314) 측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측벽 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10 to 12,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ar side wall 31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side wall.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밴드(B)가 연결된 벨트(V)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벨트연결부(416a, 418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elt connection portions 416a and 418a for connecting the belt B to the belt V to which the band B is connected.

여기서, 바디부(410)는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412), 상방측벽(416) 및 하방측벽(4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상방측벽(416) 및 상기 하방측벽(418)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B)가 연결된 벨트(V)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body part 410 may include a front side wall 412 defining an inner space, an upper side wall 416 and a lower side wall 418. The belt connection parts 416a and 418a may be formed in the upper side wall 416 And the lower side wall 418, respectively, and then are bent toward each other to connect the belt V to which the band B is connected.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벨트(V)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elt connection portions 416a and 418a may be bent to prevent the belt V from being folded.

또한,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elt connection portions 416a and 418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4; Fig.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5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to 16, the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외력전달부(540)를 관통부(5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5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5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a component that allow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to be moved in the penetrating unit 511. Whe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540 can be moved.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이하에서는 바디부(510)의 측벽에 대한 정의를 달리한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form the front sid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roll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Lt; RTI ID = 0.0 > a < / RTI >

즉, 바디부(510)는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512), 후방측벽(514), 상방측벽(516) 및 하방측벽(5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관통부(511)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에 밴드(B)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ody 510 may include a front side wall 512, a rear side wall 514, an upper side wall 516, and a lower side wall 518 defining the inner space S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nd B. [

여기서, 외력제공부(550)는 나사 체결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외력전달부(5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거나, 후방측벽(514) 측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through a screw fastening method or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wall 514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And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side wall 514.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552),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로부터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554) 및 하방측커버부(556)를 구비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550 may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Specifically,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550 may include a front side cover portion 514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514, An upper side cover part 554 and a lower side side cover part 556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cover part 552 to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

상기 외력전달부(540)는 상기 상방측커버부(554)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55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는 전방측벽(512)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54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cover portion 554 and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556 and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55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wall 512 .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and 1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ement of a band by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5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17 and 18, when the band B enters the insertion space S1 in the control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 is connected to the band control unit 520,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can be free.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5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However,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2,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impossible because the band control unit 520 is caught by the engagement portion B1 of the band B.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제공부(55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5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in order to freel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550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540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외력제공부(550) 및 상기 외력전달부(5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ar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band control unit 52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B1), and the band (B) can be free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이때, 탄성부(5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 상기 외력전달부(540) 및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탄성부(5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520,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and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is case, the elastic control unit 5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과 후방측벽(5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band B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ide wall 512 and the rear side wall 514 of the body part 510,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ternal space S3 may have a constant siz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520. [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이 제거된 구조일 수 있다.FIG. 19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when the front side wall 512 of the body portion 510 is removed Lt; / RTI >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외력제공부(550)의 후방측커버부(558)가 추가된 구조일 수 있다.Fig. 20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the rear side cover portion 558 ) May be added.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전방측커버부(552)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55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51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550 may further include a rear side cover portion 558 facing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552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body portion 510. [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21 and 22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such as a bag, a shoe, a garment, a belt and a watchband.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밸트의 버클로 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buckle of a belt.

이를 위해, 밴드(B)가 연결된 벨트(V)를 제어 장치의 바디부에 연결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연결고리(360) 및 벨트연결부(370)가 필요할 수 있다.To this end, a component is required which can connect the belt V to which the band B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of the control device, and in particular, a connecting ring 360 and a belt connecting part 370 may be required.

상기 연결고리(360)는 대략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370)는 연결바디(372) 및 가압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ring 36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70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372 and a pressing portion 374. [

상기 연결바디(372)는 밴드(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후방측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372 may have an insertion hole H1 into which the band B can be inserted, and the rear side may be partially open.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디(372)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측벽(373)에 의해 후방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374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372 when the belt V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1 and the side wall 373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body 37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ward deviation from being caused.

상기 가압부(374)는 나사(K) 등이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H2)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나사(K) 등에 의해 상기 벨트(V)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374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crew holes H2 through which a screw K may be fastened. A belt V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1, 374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72, the belt V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crew K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다시 말하면, 상기 삽입홀(H2)에 상기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374)의 단차지게 형성되는 측벽(375)은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과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한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방지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belt V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2 and the pressing portion 37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372, the side wall 375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37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373 of the connecting body 372 and the separation of the belt V can be prevented by the contact force by the contact.

또한, 상기 나사(K)가 상기 나사홀(H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V)를 가압하면 할수록,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벨트(V)와 멀어지면서 측벽(375)과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의 접촉력은 증가되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발생되지 않는다.Further, as the screw K is rotated in the screw hole H2 to press the belt V, the pressing portion 374 moves away from the belt V, The contact force of the side wall 373 of the body 372 is increased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belt V does not occur.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in FIG. 23, and FIG. 25 is a view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principle of the lock portion.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6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6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23 to 25, the control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the lock portion 670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670 is a component for blocking non-ide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6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and may be a kind of locking device.

상기 잠금부(670)는 바디부(610)의 상방측벽(616) 및 하방측벽(6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670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is moved by contac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616 and the lower side wall 618 of the body portion 610.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전달부(64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력전달부(640)가 위치 이동되는 경로, 즉,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도 24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The lock portion 67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force defining path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The state shown in FIG. 24) in which the movable member 640 can not be moved within the through-hole 611. [

그리고, 상기 잠금부(670)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도 25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670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penetrating portion 611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is mov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611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sengagement releasing state (the state shown in Fig. 25).

여기서,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방향은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일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that implements the disengagement state may be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wall 616 toward the lower side wall 618 or vice versa.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일측과 대응되는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는 상기 잠금부(670)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67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인 도피부(657)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side cover portion 654 or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656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65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lock portion 670 is in the locked state, And an escape portion 657, which i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cking portion 670 so that the state can be changed.

상기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게 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잠금부(670)는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방측커버부(656)의 도피부(657)로 이동되게 된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wall 616 to the lower side wall 618 when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cover portion 654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650 is press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670 is moved from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penetrating portion 611 to the escaping portion 657 of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656. As a result,

결국, 이 상태에서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는 밴드(B)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n this state,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6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640 can be moved so that the band B can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하방측벽(618)으로부터 상방측벽(616)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Here, 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is remove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wall 618 toward the upper side wall 616, that is, Lt; / RTI >

이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복귀부(E)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670)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return portion E may be formed by a resilient spring such as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which covers an upp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and an upper side cover It is possible to return the lock portion 670 in the relea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by being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654 and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656. [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6 is another schematic sectional view along the CC line in Fig. 23, and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ing principle of the lock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g.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잠금부(670')는 도 24 및 도 25와는 달리, 일부가 절개된 환형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통부(611)도 상기 잠금부(670')와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611)는 원형 형상과 함께 외력전달부(640')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원형 형상인 부분보다 작지만 다소 길게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24 and 25, the locking portion 670 'shown in FIGS. 26 and 27 may be a partially annular ring-like shape, so that the penetrating portion 611 is also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portion 670' As shown in FIG. Here, the penetration portion 611 may include a circular portion and a portion that is smaller than the circular portion but somewhat longer to realize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

상기 잠금부(670')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외력전달부(640')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외력전달부(640')에 고정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670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annular shape and may be fit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and fix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FIG. 2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9 and 30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along a DD line in FIG.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7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7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8 to 30, th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 portion 770 is further includ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상기 잠금부(770)는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770 is a component for blocking non-ide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7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740, and may be a kind of locking device.

상기 잠금부(770)는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7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770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740 is moved by contac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716 and the lower side wall 718 of the body portion 710.

여기서, 상기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77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또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713)를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wall 716 and the lower sidewall 718 of the body 71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713 formed to penetrate or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770 to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portion 770 .

상기 잠금부(770)는 상기 수용부(713)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713)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77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713 to implement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740 can not move in the penetrating portion 711, 713),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isengaged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740 can move in the penetrating portion 711. [

상기 잠금부(770)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ck portion 770 may implement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by rotational motion, and may be formed of one member as shown in FIG. 29,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in FIG. 30 It is possible.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외력이 상기 잠금부(770)에 제공되면,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는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부(770)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잠금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7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740 ar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band B when the lock portion 77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force for changing the stat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lock portion 770 may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portion E, which is one kind of the elastic spring, and may be changed to the lock state agai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밴드 조절 장치
100: 제어 장치
110: 바디부
120: 밴드제어부
130: 탄성부
140: 외력전달부
10: Band adjustment device
100: Control device
110:
120:
130:
140:

Claims (34)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밴드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리는지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및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 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and is moved selectively in a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being engaged with a hook formed on one side of the band,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one end of the band is inserted and an outflow spac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b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lows out;
Where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body, A band control unit which freely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reely moves the band in the second direction without contact with the band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nd control unit being located at a third position to allow the band control unit to be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that is moved to a fourth position,
The band control unit includes:
And a change portion formed to be sloped or rounded from the reference portion toward the band located in the inner space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The external-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s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contact with the changing section during the linear movement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are positions,
Wherein the external force is defined by a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와 상기 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And the band control unit is located between the band control unit and the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벽 및 상기 후방측벽은,
각각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인 타측면 측에 형성되는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front side wall, a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defining the inner space,
Wherein the front side wall
A side wall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and and the other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ide surface, in which the latching portion is formed when the b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band in a long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nd,
The external-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and movable in position within the penetra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rnal-
A contact portion which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changes the band control por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and is required to move the contact portion And an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for causing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to apply the external fo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space
Wherein the band controller has a constant size irrespective of whether the band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side wall and the rear side wall,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is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nd control unit includes: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nd control unit includes:
And is bent from the body portion and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되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a portion bent from the body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nd control unit includes:
And wherei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ontrol device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reference por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와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reference portion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So as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and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due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so that the band control unit return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an elastic portion located in the inner spa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lastic portion
Wherein the band control uni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and control uni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nd the band control uni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측벽은,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측에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rear side wall defining an inner space,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The rear side wall
A side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band in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when the b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band in a long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nd,
The external-
A penetrating part disposed in the penetrat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And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coupl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to provide an external force required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nd the rotation of the body unit relea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unit, thereby realizing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protruding to restrain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by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And is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 상기 전방측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 및 하방측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A front side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and an upper side cover portion and a lower side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to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The external-
And the lower cov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lower cover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방측벽과 대향하는 전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커버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body part
And a front side wall facing the rear side wall,
The front-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wal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전방측커버부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rear side cover portion facing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and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body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lock portion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moved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locking portion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penetrating portion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not move i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is defined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Wherein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in a non-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be mov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는,
상기 잠금부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를 수용할 수는 도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upper cover portion or the lower cover portion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an escape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lock portion such that the lock portion can change the stat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기 상방측커버부 또는 상기 하방측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And a return unit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nd between the upper side cover unit and the lower side cover unit to return the lock unit in the released state to the locked state Devic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가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nd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lock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implement a locked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not be mov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can be mov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by separat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o implement a release stat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locking portion
And the control unit implements the locked state and the released state by rotational mo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측벽은,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밴드의 일측면 측에 형성된 측벽이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연결되도록 하는 벨트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front side wall defining an inner space,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The front side wall
A side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band in which the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when the b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urther comprising a bel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s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nt toward each other to connect the belt to which the band is connected.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bel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belt is bent so as to prevent the belt from being fol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연결된 벨트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벨트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연결부는,
상기 벨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연결바디 및 상기 삽입홀에 상기 벨트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el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such that a belt to which the band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e bel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on body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elt is inserted, and a press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bel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by a contact force with the insertion body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홀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홀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를 가압하면, 상기 벨트와 멀어지면서 상기 연결바디와의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4. The method of claim 33,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when the screw is rotated in the screw hole to press the belt, the contact force with the connecting body increases while being away from the belt.


KR1020160112949A 2016-09-02 2016-09-02 Control device KR101832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en) 2016-09-02 2016-09-02 Control device
CN201780054033.6A CN109688862B (en) 2016-09-02 2017-08-31 Card strip, control device and card strip adjusting device
PCT/KR2017/009546 WO2018044095A1 (en) 2016-09-02 2017-08-31 Band, control device, and band adjustment device
JP2019500204A JP6707170B2 (en) 2016-09-02 2017-08-31 Bands, controls and band adjus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en) 2016-09-02 2016-09-02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430B1 true KR101832430B1 (en) 2018-02-26

Family

ID=6153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en) 2016-09-02 2016-09-02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4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4Y1 (en) * 2002-07-22 2002-10-25 김명희 Buckle for Belt
KR101274672B1 (en)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Buckle
JP5840566B2 (en) 2012-05-25 2016-01-0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Buckle with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44Y1 (en) * 2002-07-22 2002-10-25 김명희 Buckle for Belt
JP5840566B2 (en) 2012-05-25 2016-01-0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Buckle with locking mechanism
KR101274672B1 (en)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Buck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117B1 (en) Buckle
US6233788B1 (en) Integrally molded clip and clip assembly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KR100480669B1 (en)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US8281464B2 (en) Buckle
KR100895229B1 (en) Buckle for self-locking and adjustment fixing of a belt
US6560830B1 (en) Structure of a plug-in fastening device
WO2008041688A1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US10368615B2 (en) Harness fastening system
CN112770983B (en) Belt adjusting system
US11889901B2 (en) Closure device having closure parts which are able to be placed against one another
CN111432682A (en) Tool belt
CN108712869B (en) Buckle
KR101832430B1 (en) Control device
US20130227824A1 (en) Buckle System and Mounting Bracket
US20160374436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US6654989B2 (en) Synthetic resin attachment for clothes and belongings
KR101632531B1 (en) Buckle device
JP6707170B2 (en) Bands, controls and band adjusters
KR101847448B1 (en) Buckle
US11832690B2 (en) Snap and lock
US10263364B1 (en) Pull-type tripp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190082036A (en) Buckle
US20080052879A1 (en) Retention mechanism for a wearable terminal
KR101847447B1 (en)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