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86B1 -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86B1
KR101832386B1 KR1020160140430A KR20160140430A KR101832386B1 KR 101832386 B1 KR101832386 B1 KR 101832386B1 KR 1020160140430 A KR1020160140430 A KR 1020160140430A KR 20160140430 A KR20160140430 A KR 20160140430A KR 101832386 B1 KR101832386 B1 KR 10183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infant
head
lower body
cush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4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지
Original Assignee
김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지 filed Critical 김선지
Priority to KR102016014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08L2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the backflow which prevents the backflow of food ingested by an infant by stably maintaining a supine position of the infant, can suppress tossing and turning of the infant, and can prevent a phenomenon that a head is bent or an arm or leg is press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fant, and to an infant bed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art having at least one of an anti-slip protrusion protruding to support an infant while supporting the infant in a state that the infant is lain, and a vent hole penetrated for ventilation; and an edge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part. Herein, the main body part includes: a head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head part of the infant; an upper body support part for extending slantly downward from the head support part to support a back part of the infant; a lower body support part including a first lower body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body support part to be inclined upward, and a second lower body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art, and supporting a leg part of the infant; a first curved part for connecting the head support part and the upper body support part; a second curved part for connecting the upper body support part and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art; and a third curved part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ower body support parts.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backflow,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의 누운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머리가 꺾이거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flow preventive cushion block and a baby be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backflow preventive cushion block which can stably maintain an infant's lying position and prevent backflow of food ingested by infa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head from being broken, an arm or a leg being pressed by a baby, and an infant be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영아와 같은 유아는 신체 근육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뼈가 채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누워서 보내거나 잠을 자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아가 시간을 보내는 장소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유아용 베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infants, such as infants or infants, spend most of their time laying or sleeping because their muscles are not developed and their bones are not harde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ce where the infant spends time very importantly. To this end, various infant bed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종래에 사용되는 유아용 베드는 목재로 구성된 골조와 골조의 내부에 수평으로 깔리는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골조는 매트리스가 깔리는 바닥판을 지지하며 바닥판의 둘레를 막아 유아가 매트리스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의 역할을 한다.Conventionally used infant beds consist of a frame made of wood and a mattress horizontally laid inside the frame. The frame supports the floor plate on which the mattress is laid and blocks the periphery of the floor plate to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off the mattress.

하지만, 종래의 유아용 베드를 사용하는 경우, 유아가 매트리스에 누운 상태에서 움직이게 됨으로써, 유아의 머리나 팔 또는 다리가 난간에 부딪혀 상처를 입기도 하고, 머리가 꺽이기도 하며,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infant bed, since the infant moves while lying on the mattress, the infant's head, arm or leg hits the railing and is wounded, the head is bent, and the arm or leg is pressed Lt; / RTI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0289호 (발명의 명칭 : 유아 침구, 2009. 12. 09.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30289 (title of the invention: infant bedding, published on Dec. 09,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의 누운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머리가 꺽이거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And a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backward movement of the cushion and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an arm or a leg is pressed, and a baby bed using the cushion block.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은 유아가 눕혀진 상태에서 유아를 받쳐주되, 유아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와 통기를 위해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infant in a state where the infant is laid down, and includes a non-slip protrusion protruding to support the infant, A main bod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of ventila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a rim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유아의 머리 부분이 지지되는 머리지지부;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도록 상기 머리지지부에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체지지부; 상기 상체지지부에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하체지지부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제2하체지지부를 포함하고, 유아의 다리 부분이 지지되는 하체지지부;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상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굴곡부; 상기 상체지지부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굴곡부; 및 상기 제1하체지지부와 상기 제2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3굴곡부;를 포함한다.Here, the main body portion may include a head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supporting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back portion of the infant; A lower body supporting part including a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the lower body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leg part of the infant; A first bent portion connecting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nd the body supporting portion; A second ben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a third bend connecting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and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art.

여기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상기 라텍스와 상기 폴리우레탄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진다.Here, the body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are made of latex or polyurethane or a mixed material of the latex and the polyurethane.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굴곡부의 높이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Here, the height of the third bent por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머리지지부를 감싸도록 돌출되는 제1테두리부; 상기 상체지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2테두리부; 및 상기 제2테두리부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3테두리부;를 포함한다.Here, the rim may include: a first rim protruding to surround the head support; A second rim protruding from the first ri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a third rim protruding from the second rim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테두리부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지지부의 가장자리 전체를 감싸고, 상기 제3테두리부는 상기 제2하체지지부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하체지지부의 양측을 감싼다.Here, the first rim surrounds the entire edg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is open, and the third rim surrounds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is open .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체지지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1하체지지부의 경사각과 같거나 작다.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드는 상술한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으로 이루어진 쿠션블럭; 상기 쿠션블럭을 감싸는 바닥외피; 및 U자 형상으로 상기 바닥외피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쿠션유닛;을 포함한다.The infa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shion block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 bottom shell surrounding the cushion block; And a rim cushion unit coupled to an edge of the bottom shell in a U-shape.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에 따르면, 유아의 누운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머리가 꺽이거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nd the infant be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infant's lying position and prevent the backflow of food consumed by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from being bent or the arm or leg being pressed.

또한, 본 발명은 머리지지부의 홈 형상으로 통해 머리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본체부의 경사 구조를 통해 유아가 누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ilize the position of the head through the groove shap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nd can stably maintain the lying state of the infant through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쿠션블럭의 재질 및 미끄럼방지돌기와 통기공의 구성을 통해 유아에게 안정된 쿠션감을 부여하고, 쿠션블럭의 형상변형을 최소화하며, 친환경적이고, 항균 작용이 탁월하며, 유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유아가 누워 있을 때,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유아의 땀 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cushioning feeling to infants through the material of the cushion block,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nd the ventilation holes, minimizes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ushion block, is environmentally friendly, excellent in antibacterial action,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the ventilation can be smooth and the sweat of the infant can be easily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굴곡부의 구조를 통해 유아와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유아의 누운 자세를 편안하게 하고, 유아가 움직일 때, 유아를 본체부로 유도하고, 유아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dhesion of the infant to the infan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ent portion, thereby comforting the infant's lying posture, guiding the infant to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infant moves, and minimizing the pressing of the infant's arm or leg have.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상체 및 머리 부분이 하체 및 다리 부분보다 높게 유지시키고, 유아의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피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며, 유아에게 구토 증세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infants from backflowing, keeping the upper body and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higher than the lower body and leg portions, facilitating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infant, preventing the infiltration phenomenon, Prevention of vomiting and protection of infants.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유아가 본체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아가 움직일 때, 유아를 본체부로 유도하여 유아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fant from escaping from the main body in the lying posture of the infant, and can guide the infant to the main body when the infant moves, thereby stabilizing the posture of the infant.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유아의 둘레를 막는 난간 역할을 수행하고, 유아가 부딪혔을 때 유아가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fant from being injured when the infant collides with the infant in the lying postures.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자유롭게 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키거나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유아의 다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유아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trict or free the movement of the infant, restrain or free the infant's turning, and provide the infant with a sense of stability by stably supporting the infant's leg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고, 쿠션블럭과 유아용 베드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ortable but also portable, and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cushion block and the baby 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에서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in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by be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Furth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에서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는 쿠션블럭(100)과, 바닥외피(200)를 포함하고, 테두리쿠션유닛(300)을 더 포함하며, 탈착버클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베드는 사용자가 휴대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1 to 5, a baby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block 100, a floor covering 200, and further includes a frame cushion unit 300, (400). The infant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carry the tablet, as well as to carry the tablet easily.

상기 쿠션블럭(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쿠션블럭(100)은 사용자가 휴대를 가능함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cushion block 100 may include a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block 100 can be portable as well as portable.

상기 쿠션블럭(100)은 유아가 눕혀진 상태에서 유아를 받쳐주되 유아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10a)와 통기를 위해 관통 형성되는 통기공(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20)를 포함한다.The cushion block 100 includes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10a which protrudes to support an infant in a state where the infant is laid down and a vent hole 10b form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for ventilation, (10), and a rim (20)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테두리부(20)는 일체로 형성되고,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상기 라텍스와 상기 폴리우레탄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10 and the rim 20 are integrally formed of a latex or polyurethane or a mixed material of the latex and the polyurethane.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유아의 머리 부분이 지지되는 머리지지부(11)와,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도록 상기 머리지지부(11)에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체지지부(12)와, 유아의 다리 부분이 지지되는 하체지지부(13)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head supporting portion 11 for supporting a head portion of the infant,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so as to support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And a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 to which a leg portion of the infant is supported.

이때, 상기 하체지지부(13)는 상기 상체지지부(12)에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하체지지부(131)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에서 연장되는 제2하체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 includes a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2 and a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2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1, . ≪ / RTI >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머리지지부(11)와 상기 상체지지부(12)를 연결하는 제1굴곡부(14)와, 상기 상체지지부(12)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를 연결하는 제2굴곡부(15)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와 상기 제2하체지지부(132)를 연결하는 제3굴곡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굴곡부(14)와 상기 제2굴곡부(15)와 상기 제3굴곡부(16)는 호형 단면을 나타낼 수 있고, 유아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first bend portion 14 connecting the head support portion 11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2 and a second bend portion 14 connecting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2 and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ortion 131 And a third bend section 16 connecting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section 131 and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 section 132 to each other. The first bend section 14, the second bend section 15, and the third bend section 16 may have arc-shaped cross-section, and adhesion with the infant may be improved.

그러면, 상기 상체지지부(12)는 상기 제1굴곡부(14)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는 상기 제2굴곡부(15)로부터 상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체지지부(132)는 상기 제3굴곡부(16)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하체지지부(132)는 상기 제3굴곡부(16)에서 수평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12 may extend from the first bending part 14 downwardly while being inclined downward and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131 may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bending part 15.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third bending portion 16.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 portion 132 may extend horizontally at the third bend portion 16.

상기 본체부(10)에서 적어도 상기 상체지지부(12)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와, 상기 제2하체지지부(132)에는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0a)와 상기 통기공(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지지부(11)에는 상기 통기공(10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10b)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의 하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통기공(10b)은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연통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통기공(10b)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기도 한다.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0a and the air vent holes 10b are formed in at least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2,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art 131 and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 part 132 of the main body part 10, At least one of them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vent hole 10b may be formed in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 The vent hole 10b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vent hole 10b may communicat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vent hole 10b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

그러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0a)는 상기 쿠션블럭(100)의 상면 또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서 유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통기공(10b)은 상기 쿠션블럭(100)의 상면 또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서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유아의 몸에서 발생되는 땀을 배출하거나 유아의 몸에서 발생되는 땀을 간편하게 식힐 수 있다.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10a prevents the infant from slipp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block 10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vent hole 1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block 100 It is possible to smoothly ventilate the upp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discharge the sweat generated in the infant's body or to easily cool the sweat generated in the infant's body.

상기 머리지지부(11)에는 뒤통수 부분이 지지되는 머리안착홈(1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안착홈(11a)은 호형 단면을 나타내거나 단차를 형성하는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또는 호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유아의 뒤척임에 따라 유아의 머리를 상기 머리안착홈(11a)의 중심으로 유도할 수 있고, 유아의 머리가 상기 머리안착홈(1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머리안착홈(11a)은 상기 머리지지부(11)에 형성되는 통기공과 연통되도록 한다.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may be formed with a head seating groove 11a in which a rear head portion is supported. The head restraining groove 11a may have a curved cross section or a corner portion forming a step may be connected in an oblique or arcuate shape so that the head of the infant can b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head restraint groove 11a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of the infan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ead receiving groove 11a. The head seating groove 11a is in communication with a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

이때, 상기 본체부(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굴곡부(16)의 높이는 상기 머리지지부(1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At this ti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height of the third bent portion 16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체지지부(12)의 경사각은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의 경사각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예로, 상기 상체지지부(12)의 경사각은 약 12도 내지 15도이고,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의 경사각은 약 15도 내지 21도이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12 is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131 with referen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 For examp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2 is about 12 degrees to 15 degree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art 131 is about 15 degrees to 21 degrees.

상기 제3굴곡부(16)의 높이와 상기 머리지지부(11)의 높이를 한정하는 사항 또는 상기 상체지지부(12)의 경사각과 상기 제1하체지지부(131)의 경사각을 한정하는 사항은 유아의 머리 측으로 피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가 구토 증세를 나타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아의 누운 자세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The matters defining the height of the third bend section 16 and the height of the head support section 11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upport section 12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section 131, Thereby preventing the backward flow of the food consumed by the infant, preventing the infant from exhibiting vomiting symptoms, and allowing the infant to rest in a lying position.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머리지지부(11)를 감싸도록 돌출되는 제1테두리부(21)와, 상기 상체지지부(12)를 감싸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21)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2테두리부(22)와, 상기 하체지지부(13)를 감싸도록 상기 제2테두리부(22)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3테두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m portion 20 includes a first rim portion 21 protruding to surround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and a second rim portion 21 extending from the first rim portion 21 so as to surround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2, And a third rim portion 23 protruding from the second rim portion 22 so as to surround the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3.

여기서, 상기 제1테두리부(21)는 상기 머리지지부(11)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지지부(11)의 가장자리 전체를 감싸고, 상기 제3테두리부(23)는 상기 제2하체지지부(132)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하체지지부(13)의 양측을 감싸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테두리부(23)는 전방을 향해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하여 유아의 하체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The first rim portion 21 surrounds the entire edg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11 is opened and the third rim portion 23 surrounds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11, Body support portion 13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 support portion 132 is opened. In addition, the third rim portion 23 has a protruding height reduce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lower body of the infant can be freely moved.

상기 쿠션블럭(100)은 가이드굴곡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굴곡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테두리부(20)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굴곡부(30)는 호형 단면을 나타내거나 "S" 자형 단면을 나타내고, 유아의 뒤척임에 따라 유아를 상기 테두리부(20)로부터 상기 본체부(10)로 유도할 수 있고, 상기 테두리부(20)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The cushion block 1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bend portion 30. The guide bend portion 30 connects the body portion 10 and the rim portion 20. The guide bend section 30 may have an arc-shaped cross-section or an "S" -shaped cross section and may guide the infant from the rim 20 to the main body 10 as the infant is turned over, 20 to protect the infant.

따라서, 상기 쿠션블럭(100)은 곡선을 이용한 연결 구조로 유아의 누운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하며, 유아의 등이 배기는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블럭(100)은 상술한 구조적 특징에 따라 유아가 누워있는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ushion block 100 is structured by a curved connection structure to stably maintain the infant's lying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food consumed by the infant, suppressing the infant's heading, Inhibiting or preventing. In addition, the cushion block 100 can stably maintain the lying posture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features.

상기 바닥외피(200)는 상기 쿠션블럭(100)을 감싼다. 상기 바닥외피(200)는 천 또는 통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enclosure 200 surrounds the cushion block 100. The bottom cover 200 may be made of cloth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ir permeability.

상기 바닥외피(200)에는 상기 쿠션블럭(100)의 삽탈을 위해 바닥개폐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개폐부(210)는 벨크로, 지퍼, 단추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외피(200)를 분리시키거나 분리된 상기 바닥외피(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floor enclosure 200 may include a floor opening / closing part 210 for inserting / removing the cushion block 100.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may be formed of a velcro, a zipper, a button, or the like, and may separate the bottom enclosure 200 or may join the separated bottom enclosure 200.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은 U자 형상으로 상기 바닥외피(2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The frame cushion unit 300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bottom enclosure 200 in a U-shape.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은 상기 제1테두리부(21)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외피(200)에 결합되는 머리난간부(301)와, 상기 제2테두리부(22)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난간부(30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외피(200)에 결합되는 제1상체난간부(302a)와, 상기 제2테두리부(22)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난간부(301)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외피(200)에 결합되는 제2상체난간부(302b)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난간부(301)는 U자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제1상체난간부(302a)와 상기 제2상체난간부(302b)는 각각 상기 바닥외피(2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3테두리부(23)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rame cushion unit 300 includes a head rail 301 coupled to the bottom shell 2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rim 21 and a head rail 301 coupled to the second rim 22, A first upper trunk part 302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runk part 301 and coupled to the bottom trunk 200 and a second upper trunk part 302b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ead part 30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unk part 22, And a second upper body part (302b) coupled to the lower side (200). The hair follicle 301 has a U-shape. The first upper and lower body part 302a and the second upper body part 302b may exten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frame part 23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200. [

또한,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은 상기 제1상체난간부(302a)에서 연장되는 제1조절난간부(303a)와, 상기 제2상체난간부(302b)에서 연장되는 제2조절난간부(30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난간부(303a)와 상기 제2조절난간부(303b)는 상기 바닥외피(200)와 결합되지 않아, 상기 바닥외피(200)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The rim cushion unit 300 includes a first adjustment rail part 303a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body part 302a and a second adjustment rail part 302b extending from the second upper part liver part 302b 303b.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able arrays 303a and 303b may not be coupled to the bottom enclosure 200 and may be freely disposed in the bottom enclosure 200. [

상기 제1조절난간부(303a)와 상기 제2조절난간부(303b)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1버클부(410)와 제2버클부(42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uckle part 410 and the second buckle part 4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able arrays 303a and 303b, respectively.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은 U자 형상으로 상기 바닥외피(2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테두리외피(310)와, 상기 테두리외피(310)에 삽입되는 U자 형상의 테두리쿠션블럭(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테두리외피(310)는 상기 바닥외피(200)와 같이 천 또는 통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테두리외피(310)는 상기 테두리쿠션블럭(320)을 감싸게 된다.The frame cushion unit 300 includes a frame cover 310 coupled to the edge of the bottom cover 200 in a U shape and a U-shaped frame cushion block 320 inserted into the frame cover 310. . The rim 3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cloth or breathable material such as the bottom rim 200 and the rim 310 covers the rim cushion block 320.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은 상기 테두리쿠션블럭(320)의 삽탈을 위해 상기 테두리외피(310)에 구비되는 테두리개폐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개폐부(330)는 상기 바닥개폐부(210)와 같이 벨크로, 지퍼, 단추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외피(310)를 분리시키거나 분리된 상기 테두리외피(310)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rim cush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rim opening / closing part 330 provided on the rim 310 for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rim cushion block 320. The rim opening and closing part 330 may be composed of a velcro, a zipper, a button, or the like as in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and may separate the rim enclosure 310 or engage the rim enclosure 310 .

상기 바닥개폐부(210)와 상기 테두리개폐부(330)는 누워있는 유아에게 간섭되지 않도록 유아용 베드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개폐부(210)는 전방, 측방,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개폐부(330)는 측방,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and the frame opening and closing part 330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fant b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ying infant. That is,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part 210 is provided at least one of front, side, and rear, and the frame opening and closing part 330 is provided at least one of a side and a rear side.

상기 탈착버클유닛(400)은 상기 테두리쿠션유닛(300)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양측 단부를 연결시킨다. 상기 탈착버클유닛(400)은 상기 제1조절난간부(303a)의 단부와 상기 제2조절난간부(303b)의 단부를 연결시킨다. 상기 탈착버클유닛(400)은 상기 제1조절난간부(303a)에 결합되는 제1버클부(410)와, 상기 제2조절난간부(303b)에 결합되고 상기 제1버클부(4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버클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버클유닛(400)은 벨크로, 단추 등 상호 탈부착 가능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The detachable buckle unit (400) connects both side ends disposed at the front side in the frame cushion unit (300). The detachable buckle unit 400 connects the end of the first control ledge 303a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trol ledge 303b. The detachable buckle unit 400 includes a first buckle 410 coupled to the first adjustable shoulder 303a and a second buckle 410 coupled to the second adjustable shoulder 303b, And a second buckle portion 420 detachably coupled. The detachable buckle unit 400 may use a detachable member such as a velcro or a button.

상기 쿠션블럭(100)과 상기 테두리쿠션블럭(320)은 유아에게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와 폴리우레탄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쿠션블럭(320)은 스펀지와 스티로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shion block 100 and the frame cushion block 320 may be made of a latex or polyurethane or a mixed material of latex and polyurethane to provide a cushion feeling to the infant. In addition, the rim cushion block 32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sponge and styrofoam.

상술한 역류방지용 쿠션블럭과 이것을 이용한 유아용 베드에 따르면, 유아의 누운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킬 수 있고,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머리가 꺽이거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nd the baby be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infant's lying position and to prevent backward flow of food consumed by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arm is bent or the arm or leg is pressed.

또한, 상기 머리지지부의 홈 형상으로 통해 머리의 위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부의 경사 구조를 통해 유아가 누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osition of the head can be stabilized through the groove shap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nd the infant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lying state through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쿠션블럭(100)의 재질 및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0a)와 상기 통기공(10b)의 구성을 통해 유아에게 안정된 쿠션감을 부여하고, 상기 쿠션블럭(100)의 형상변형을 최소화하며, 친환경적이고, 항균 작용이 탁월하며, 유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유아가 누워 있을 때,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유아의 땀 배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able cushioning feeling is imparted to the infant through the material of the cushion block 100 and the structure of the non-slip projection 10a and the vent hole 10b,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ushion block 100 is minimized,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ction, and can smoothly ventilate and sweat out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lying down while preventing the infant from slipping.

또한, 상기 굴곡부들의 구조를 통해 유아와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유아의 누운 자세를 편안하게 하고, 유아가 움직일 때, 유아를 상기 본체부(10)로 유도하고, 유아의 팔 또는 다리가 눌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ent portions, the close contact with the infant is improved, the infant's lying posture is made comfortable, and when the infant moves, the infant is guid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minimized.

또한, 유아의 상체 및 머리 부분이 하체 및 다리 부분보다 높게 유지시키고, 유아의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피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하며, 유아에게 구토 증세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keep the upper body and the head part of the infant higher than the lower body and the leg part,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of the infant, to prevent the blood leaking phenomenon,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food consumed by the inf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and protect the infant.

또한,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유아가 상기 본체부(1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아가 움직일 때, 유아를 상기 본체부(10)로 유도하여 유아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ant from escaping from the main body 10 in the lying posture of the infant, and to guide the infant to the main body 10 when the infant moves, thereby stabilizing the posture of the infant.

또한, 유아가 누운 자세에서 유아의 둘레를 막는 난간 역할을 수행하고, 유아가 부딪혔을 때 유아가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a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when the infant collides with the infant in the lying posture.

또한, 유아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자유롭게 함은 물론 유아의 뒤척임을 억제시키거나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유아의 다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유아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를 간편하고, 상기 쿠션블럭(100)과 유아용 베드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or free the movement of the infant, to inhibit or free the infant's turnover, and to give the infant a sense of stability by stably supporting the infant's le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the user, to carry it easily, an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cushion block 100 and the baby b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y or modify the Software.

10: 본체부 10a: 미끄럼방지돌기 10b: 통기공
11: 머리지지부 11a: 머리안착홈 12: 상체지지부
13: 하체지지부 131: 제1하체지지부 132: 제2하체지지부
14: 제1굴곡부 15: 제2굴곡부 16: 제3굴곡부
20: 테두리부 21: 제1테두리부 22: 제2테두리부
23: 제3테두리부 100: 쿠션블럭 200: 바닥외피
210: 바닥개폐부 300: 테두리쿠션유닛 301: 머리난간부
302a: 제1상체난간부 302b: 제2상체난간부 303a: 제1조절난간부
303b: 제2조절난간부 310: 테두리외피 320: 테두리쿠션블럭
330: 테두리개폐부 400: 탈착버클유닛 410: 제1버클부
420: 제2버클부
10: main body 10a: non-slippery projection 10b:
11: head supporting portion 11a: head mounting groove 12: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3: lower body supporting part 131: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art 132: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art
14: first bend 15: second bend 16: third bend
20: rim 21: first rim 22: second rim
23: third frame part 100: cushion block 200: bottom cover
210: floor opening / closing part 300: rim cushion unit 301:
302a: first upper body trunk portion 302b: second upper body trunk portion 303a:
303b: second adjustment barb 310: rim skin 320: rim cushion block
330: rim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detachable buckle unit 410: first buckle part
420: second buckle portion

Claims (7)

유아가 섭취한 음식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쿠션블럭;
상기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의 삽탈을 위한 바닥개폐부가 구비되어 상기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감싸는 바닥외피;
U자 형상의 테두리쿠션블럭과, 상기 테두리쿠션블럭의 삽탈을 위한 테두리개폐부가 구비되되 U자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바닥외피의 가장가리에 결합되는 테두리외피를 갖는 테두리쿠션유닛; 및
상기 테두리쿠션유닛 중 전방에 배치되는 양측단부를 연결시키는 탈착버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은
유아가 눕혀진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미끄럼방지돌기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유아의 머리 부분이 지지되는 머리지지부와,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도록 상기 머리지지부에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연장되는 상체지지부와,
상기 상체지지부에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하체지지부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제2하체지지부를 포함하고, 유아의 다리 부분이 지지되는 하체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상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굴곡부;
상기 상체지지부와 상기 제1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굴곡부; 및
상기 제1하체지지부와 상기 제2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제3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머리지지부를 감싸도록 돌출되는 제1테두리부와, 상기 상체지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테두리부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2테두리부와, 상기 제2테두리부에서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는 제3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쿠션유닛은 상기 제1 테두리부와 대응되며 상기 바닥외피와 결합되는 머리난간부와, 상기 제2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외피와 결합되는 제1 상체난간부 및 제2 상체난간부와, 상기 제1 상체난간부에서 연장되는 제1 조절난간부와, 상기 제2 상체난간부에서 연장되는 제2 조절난간부로 구분되고,
상기 탈착버클유닛은 상기 제1 조절난간부에 구비되는 제1 버클부와, 상기 제2 조절난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버클부와 결합되는 제2 버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난간부 및 상기 제2 조절난간부는 상기 바닥외피와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
A backflow preventive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the backward flow of the food consumed by the infant;
A bottom cover having a floor opening / closing part for insertion / removal of the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to surround the backflow preventing cushion block;
A rim cushion unit having a U-shaped rim cushion block and a rim opening / closing part for removing the rim cushion block, the rim cushion unit having a U-shaped rim and having a rim outer periphery coupled to a most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rim; And
And a detachable buckle unit that connects both side ends of the frame cushion units disposed at the front side,
The backflow prevention cushion block
And a rim protru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has a protruded non-slip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infant from slipping when the infant is laid down,
Wherein,
A hea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head portion of the infant,
An upper body support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supporting part so as to support the back part of the infant,
A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a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connecting the head supporting portion and the body supporting portion;
A second bend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third ben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The rim includes a first rim protruding to surround the head support portion, a second rim protruding from the first rim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a second rim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rim portion, And a third rim protruding from the first rim,
The rim cushion unit includes a head rail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im part and coupled with the bottom shell part, a first upper and lower upper body part and a second upper and lower body part coupled with the bottom ri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im part, A first regulation flagellum extending in the first upper body part and a second control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body part,
Wherein the detachable buckle unit includes a first buckle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adjustable rail portion and a second buckle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adjustable rail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first buckl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djustable handrails are not engaged with the bottom shell. ≪ RTI ID = 0.0 > 15.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상기 라텍스와 상기 폴리우레탄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latex or polyurethane or a mixture of the latex and the polyureth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굴곡부의 높이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of the third bent portion is lower than a heigh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지지부의 가장자리 전체를 감싸고,
상기 제3테두리부는 상기 제2하체지지부의 전방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하체지지부의 양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im portion surrounds the entire edge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head supporting portion is open,
Wherein the third rim portion covers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second lower body supporting portion is open.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체지지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1하체지지부의 경사각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쿠션블럭을 갖는 유아용 베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and 5,
Where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ower body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KR1020160140430A 2016-10-26 2016-10-26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KR101832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30A KR101832386B1 (en) 2016-10-26 2016-10-26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30A KR101832386B1 (en) 2016-10-26 2016-10-26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386B1 true KR101832386B1 (en) 2018-02-26

Family

ID=6153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430A KR101832386B1 (en) 2016-10-26 2016-10-26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38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329B1 (en) * 2020-08-10 2021-01-11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comfort
KR102248553B1 (en) * 2020-08-10 2021-05-06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portability
FR3103366A1 (en) * 2019-11-25 2021-05-28 Delphine FREITAS Modular changing mat
WO2021116288A1 (en) * 2019-12-12 2021-06-17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structure and baby carriage
KR102267272B1 (en) 2019-12-12 2021-06-18 신영재 Cushion for a baby
FR3114229A1 (en) * 2020-10-01 2022-03-25 Fair Glob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NGING MAT, SUCH A MAT AND A KIT COMPRISING SUCH A M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88Y1 (en) * 2004-05-21 2004-12-09 양병권 a multipurpose cush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88Y1 (en) * 2004-05-21 2004-12-09 양병권 a multipurpose cush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366A1 (en) * 2019-11-25 2021-05-28 Delphine FREITAS Modular changing mat
WO2021116288A1 (en) * 2019-12-12 2021-06-17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structure and baby carriage
KR102267272B1 (en) 2019-12-12 2021-06-18 신영재 Cushion for a baby
KR102201329B1 (en) * 2020-08-10 2021-01-11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comfort
KR102248553B1 (en) * 2020-08-10 2021-05-06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portability
KR102351440B1 (en) * 2020-08-10 2022-01-17 주식회사 베러댄베러 Backflow prevention air-cell cushion for newborns with improved comfort
FR3114229A1 (en) * 2020-10-01 2022-03-25 Fair Glob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NGING MAT, SUCH A MAT AND A KIT COMPRISING SUCH A MAT
BE1028618B1 (en) * 2020-10-01 2022-09-01 Fair Glob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NGING MAT, SUCH A MAT AND A KIT COMPRISING SUCH A M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386B1 (en) Cushion block for preventing a back flow and bed for baby using the same
US7059000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KR100338587B1 (en) Juvenile safety car seat, protector, protector for child-care instrument, child-care instrument and bed for neonate
US6023802A (en) Infant sleeper
US7588291B2 (en) Breathable infant support pad and head support
US7810181B2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8555429B2 (en) Adjustable contoured baby bathing or pet cushion
US7311357B2 (en) Infant surround support
US5542135A (en) Self-retaining bumper pad
US20060208544A1 (en) Head guard structure and head guard pad of child equipment, and vehicular child safety seat
KR101560211B1 (en) Sids-preventative mattress
KR101426752B1 (en) A Bed for An Infant
US20060282952A1 (en) Arched pillow assembly
US20080052821A1 (en) Infant bed for co-sleeping
US5918335A (en) Baby pillow
KR101626126B1 (en) a functional pillow
CN213940357U (en) Supporting structure and child carrier
KR20060041992A (en) Nursing belt
US10905251B2 (en) Baby seat and carrier system
JP2000139653A (en) Pillow
KR20110083130A (en) Mattress
KR20190012990A (en) Infant bed
US20030214162A1 (en) Arm support cover
US20070251430A1 (en) Cover for treatment table
KR200495824Y1 (en) Backflow prevention cushion for b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